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악천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악천후는 생명이나 재산에 위험을 초래하거나 당국의 개입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상 현상을 의미하며, 뇌우와 관련된 기상 현상을 좁은 의미로 지칭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악천후와 국지적인 악천후로 분류되며, 극한 기상 현상과는 구분된다. 악천후는 대기 중의 수분, 상승 기류, 대기 불안정성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뇌우, 강풍, 토네이도, 폭우, 홍수, 가뭄, 폭염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기후 변화는 악천후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악천후 - 화이트아웃
    화이트아웃은 눈보라, 폭설, 지표면 안개로 시야가 극도로 제한되어 지평선이 사라지고 공간이 흰색으로 보이는 현상으로, 극지방이나 고산지대에서 자주 발생하며 등산객, 운전자, 조종사에게 위험을 초래한다.
  • 악천후 - 적란운
    적란운은 뇌우, 번개, 우박, 폭우를 동반하는 불안정한 대기의 상징으로, 웅대운에서 발달하여 윈드 시어 또는 기온 역전에 의해 모루 모양 상단을 가지며, 열대 및 온대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항공 운항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 기상 재해 - 한파
    한파는 북극 또는 남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내려와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며, 북극진동과 남극진동의 기압 차이에 따라 빈도가 달라지고, 가축과 야생 동물 피해, 수도관 동파, 인명 피해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 기상 재해 - 엘니뇨
    엘니뇨는 2~7년 주기로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는 기후 현상으로, 전 지구적 기후와 지역별 기상 이변, 경제 및 사회, 생태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악천후
개요
다양한 형태의 악천후
다양한 형태의 악천후
정의위험한 기상 현상
종류
주요 유형뇌우
토네이도
우박
폭설
폭염
한파
홍수
가뭄
태풍/허리케인
기타 유형폭우
강풍
황사
해일
산불
안개
원인
대기 조건불안정한 대기, 습도, 기온 변화 등
기후 변화지구 온난화로 인한 극단적인 기상 현상 증가
영향
인명 피해사망, 부상 등
재산 피해건물 파괴, 농작물 피해, 기반 시설 마비 등
사회적 영향이재민 발생, 전염병 확산, 경제 활동 마비 등
예방 및 대처
예측 및 경보기상청의 예보 및 특보
대비재난 대비 용품 준비, 대피 계획 수립 등
대응신속한 대피, 응급 구조 활동, 피해 복구 등
참고 자료
관련 기관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소방청
행정안전부
관련 법률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2. 용어

기상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악천후(severe weather)를 생명이나 재산에 위험을 초래하거나 당국의 개입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상 현상으로 정의한다.[4][7] 좁은 의미에서는 심한 뇌우와 관련된 모든 기상 현상을 의미한다.[4][7]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에 따르면, 악천후(severe weather)는 일반적인 악천후와 국지적인 악천후의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1] 노르이스터(Nor'easter), 유럽의 강풍, 그리고 이와 관련된 현상들은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발생하며, ''일반적인 악천후(general severe weather)''로 분류된다.[1]

''악천후(severe weather)''라는 용어는 기술적으로 극한 기상 현상(extreme weather)과 같은 현상이 아니다. 극한 기상 현상은 특정 지역의 역사적 분포의 극단에 해당하는 특이한 기상 현상을 의미한다.[8]

3. 원인

조직된 강한 기상 현상은 뇌우를 발생시키는 조건과 유사하게 대기 중의 수분, 상승 기류(종종 열적인 것), 그리고 불안정성에서 발생한다.[9] 다양한 조건들이 강한 기상 현상을 일으키는데, 예를 들어 상층의 차가운 공기층은 평범한 뇌우에서 큰 우박이 발달하도록 돕는다. 가장 심각한 우박과 토네이도는 슈퍼셀 뇌우에 의해 발생하며, 최악의 다운버스트와 데레초(직선형 돌풍)는 보우 에코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폭풍은 모두 높은 풍속 시어 환경에서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9]

이 그림은 CAPE와 수직 풍속시어 값에 따라 특정한 조직된 뇌우 복합체에 유리한 조건을 보여줍니다.


홍수, 허리케인, 토네이도, 뇌우는 모두 적란운과 관련이 있지만, 서로 다른 조건과 지리적 위치에서 형성되고 발달한다. 이러한 기상 현상과 그 형성 요건 간의 관계는 가장 빈번하고 가능한 위치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는 데 사용된다.

악천후의 대부분은 대기의 강한 대류가 주된 요인이다.

4. 종류

강한 뇌우는 "강해지는 중", "강함", "매우 강함"의 세 가지 범주로 평가된다.[10][11][1]


  • '''강해지는 중'''은 지름 1.3 ~ 2.5cm의 우박 또는 시속 80~93km (50노트)의 바람으로 정의된다.
  • '''강함'''은 지름 2.5 ~ 5.1cm의 우박, 시속 93km 이상의 바람 또는 토네이도로 정의된다.
  • '''매우 강함'''은 지름 5.1cm 이상의 우박, 시속 120km (65노트) 이상의 바람 또는 EF2 이상 강도의 토네이도로 정의된다.


미국 국립기상청(홍수는 제외), 캐나다 환경부, 오스트레일리아 기상청, 뉴질랜드 기상청 및 영국 기상청은 "강함"과 "매우 강함" 사건에 대해 강한 뇌우 경보를 발령한다(해당 국가에서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 토네이도가 발생했거나(관측자들이 토네이도를 목격했거나) 임박한 경우(도플러 기상 레이더가 폭풍 내 강한 회전을 관측하여 초기 단계의 토네이도를 나타내는 경우),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강한 뇌우 경보가 ''토네이도 경보''로 대체된다.[13]

강한 기상 현상의 발생은 일반적으로 10개 이상의 토네이도(그중 일부는 장거리 이동 및 강력한 토네이도일 가능성이 높음)와 많은 대형 우박 또는 파괴적인 강풍 보고가 하루 또는 그 이상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로 간주된다. 심각성은 영향을 받는 지리적 면적의 크기(수백 또는 수천 평방킬로미터를 덮는지 여부)에도 따라 달라진다.[14]

강한 기상 현상에 필요한 요소들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붉은색 화살표는 저층 제트 기류의 위치를, 파란색 화살표는 상층 제트 기류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 비 (소나기, 갑자기 내리는 비, 폭우)
  • *집중호우
  • 우박(소우박), 우박, 빙우, 착빙
  • 착빙
  • 눈 (눈보라, 갑자기 내리는 눈, 폭설)
  • 번개 (뇌우)
  • 돌풍
  • *먼지회오리
  • *다운버스트
  • *토네이도
  • *난기류
  • 안개 (짙은 안개)
  • 눈보라
  • 모래폭풍
  • 파랑·풍랑

4. 1. 강풍

강풍은 그 강도에 따라 피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한 선단운의 파노라마. 강풍이 시작되기 전에 나타날 수 있다.


풍속이 23kn(43km/h)만큼 낮더라도 나뭇가지가 떨어져 전력선을 차단하여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15] 어떤 종류의 나무는 바람에 더 취약하다. 뿌리가 얕은 나무는 뿌리가 뽑히기 쉽고, 유칼립투스, 해변무궁화(히비스커스), 아보카도와 같이 부러지기 쉬운 나무는 가지가 손상되기 쉽다.[16]

돌풍은 설계가 부실한 현수교가 흔들리게 할 수 있다. 돌풍이 흔들리는 다리의 진동수와 조화를 이루면 1940년 타코마 내로즈 교에서 발생했던 것처럼 다리가 무너질 수 있다.[17]

개별 뇌우, 뇌우군, 데레초, 토네이도, 온대 저기압 또는 열대 저기압에 의해 발생하는 허리케인급 강풍은 이동식 주택을 파괴하고 기초가 있는 건물에 구조적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지형에서 불어 내려오는 바람으로 인한 이러한 강도의 바람은 창문을 산산이 부수고 자동차에서 페인트를 날려 버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강한 열대 저기압과 토네이도 내에서 풍속이 135kn(250km/h)를 초과하면 주택이 완전히 붕괴되고 더 큰 건물에도 상당한 피해가 발생한다. 풍속이 175kn(324km/h)에 도달하면 인공 구조물이 완전히 파괴된다. 저기압에 대한 사피어-심슨 허리케인 등급과 토네이도에 대한 확장된 퍼지타 척도(토로 척도 (유럽))는 그들이 야기하는 피해로부터 풍속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개발되었다.[19][20]

== 토네이도 ==

2007년 캐나다 매니토바주 엘리에 상륙한 F5 토네이도


토네이도는 지표면과 적란운(뇌운) 또는 드물게는 적운의 기저부에 닿아 있는 위험한 회전하는 기둥 모양의 공기 기둥이다. 토네이도는 크기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지표면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 좁아지는 보이는 깔때기 구름(응축깔때기)을 형성하며, 파편과 먼지 구름으로 둘러싸여 있다.[21]

토네이도의 풍속은 일반적으로 시속 64km/h에서 시속 177km/h 사이이다. 지름은 약 76m이며, 소멸되기 전까지 수 킬로미터 이동한다. 일부 토네이도는 시속 483km/h가 넘는 풍속에 달하고, 폭이 3.2km가 넘고, 지상과의 접촉을 수십 킬로미터(100km 이상) 동안 유지하기도 한다.[22][23][24] 토네이도의 강도, 세기 및/또는 피해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로는 확장된 퍼지타 척도(Enhanced Fujita Scale)와 TORRO 척도가 있다.

토네이도는 가장 파괴적인 기상 현상 중 하나이지만, 일반적으로 수명이 짧다. 오래 지속되는 토네이도의 경우 일반적으로 1시간을 넘지 않지만, 2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예: 삼주 토네이도(Tri-State Tornado)). 상대적으로 지속 시간이 짧기 때문에 토네이도의 발생과 형성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25]

== 수상돌개 ==

북미 5대호 지역에서 발생한 여러 개의 수상돌개 형성


수상돌개는 일반적으로 수면 위에서 발생하는 토네이도 또는 비슈퍼셀 토네이도로 정의된다.[26]

수상돌개는 대부분 열린 수면 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큰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육지로 이동할 수 있다. 수상돌개는 식물, 약하게 지어진 건물 및 기타 인프라에 피해를 주거나 파괴할 수 있다. 수상돌개는 일반적으로 지상 환경에서는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마찰로 인해 바람이 쉽게 소멸되기 때문이다. 강한 수평 바람은 와류를 방해하여 수상돌개가 소멸되도록 한다.[27]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토네이도만큼 위험하지는 않지만, 수상돌개는 배를 뒤집을 수 있으며 대형 선박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13]

== 다운버스트와 데레초 ==

마이크로버스트의 개념도. 공기는 지면에 부딪힐 때까지 아래로 이동한 다음 사방으로 퍼져 나간다.


다운버스트는 뇌우 내에서 상당히 냉각된 빗물이 지면에 도달하면서 사방으로 퍼져 강풍을 발생시키는 현상이다. 토네이도의 바람과 달리 다운버스트의 바람은 회전하지 않고 땅이나 물에 부딪히는 지점에서 바깥쪽으로 향한다. "건조 다운버스트"는 강수량이 매우 적은 뇌우와 관련이 있으며,[28] 습윤 다운버스트는 많은 양의 강수를 동반하는 뇌우에 의해 발생한다. 마이크로버스트는 매우 작은 다운버스트로, 바람이 발생원에서 최대 4km까지 확장되는 반면, 매크로버스트는 바람이 4km를 초과하여 확장되는 대규모 다운버스트이다.[29] 히트 버스트는 강수가 부족한 오래된 유출 경계와 스콜 라인의 후면에서 수직 기류에 의해 생성된다. 히트 버스트는 생성 과정에서 냉각된 빗물이 부족하여 상당히 높은 기온을 발생시킨다.[30] 데레초는 직선형 돌풍으로 특징지어지는 더 길고 일반적으로 더 강한 형태의 다운버스트 바람이다.[31][32]

다운버스트는 수직 풍속 변화 또는 마이크로버스트를 생성하며, 이는 항공기 운항에 위험하다.[33] 이러한 대류성 다운버스트는 최대 75 m/s에 달하는 강풍을 5분에서 30분 동안 발생시켜 지상에 토네이도와 같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다운버스트는 토네이도보다 훨씬 더 자주 발생하며, 토네이도 1건당 다운버스트 피해 보고는 10건에 달한다.[34]

== 스콜선 ==

펜실베이니아 상공의 저기압 소용돌이와 그 뒤를 잇는 스콜선


스콜선(squall line)은 강한 뇌우가 길게 늘어선 형태로, 한랭전선을 따라 또는 그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35][36] 스콜선은 일반적으로 강한 강수, 우박, 잦은 번개, 강한 직선풍, 그리고 경우에 따라 토네이도나 워터스파우트를 동반한다.[37] 스콜선이 활 모양 에코를 형성하는 지역, 특히 활의 가장 바깥쪽 부분에서는 강한 직선풍 형태의 격렬한 기상 현상이 예상된다.[38] 선형 에코파(LEWP) 내의 파동을 따라 중규모 저기압 지역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토네이도가 발생할 수 있다.[39] 광범위하고 심각한 풍해를 일으키는 강한 활 모양 에코는 데레초라고 하며, 광대한 지역을 빠르게 이동한다.[31] 성숙한 스콜선의 강우 지역(강우 캐노피 하의 고기압계) 뒤에는 후류 저기압 또는 중규모 저기압 지역이 형성되며, 때로는 열폭풍과 관련이 있다.[40]

스콜선은 종종 강한 직선풍 피해를 야기하며, 토네이도가 아닌 대부분의 풍해는 스콜선에 의해 발생한다.[41] 스콜선의 주된 위험은 직선풍이지만, 일부 스콜선에는 약한 토네이도가 포함되기도 한다.[41]

4. 1. 1. 토네이도



토네이도는 지표면과 적란운(뇌운) 또는 드물게는 적운의 기저부에 닿아 있는 위험한 회전하는 기둥 모양의 공기 기둥이다. 토네이도는 크기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지표면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 좁아지는 보이는 깔때기 구름(응축깔때기)을 형성하며, 파편과 먼지 구름으로 둘러싸여 있다.[21]

토네이도의 풍속은 일반적으로 시속 64km/h에서 시속 177km/h 사이이다. 지름은 약 76m이며, 소멸되기 전까지 수 킬로미터 이동한다. 일부 토네이도는 시속 483km/h가 넘는 풍속에 달하고, 폭이 3.2km가 넘고, 지상과의 접촉을 수십 킬로미터(100km 이상) 동안 유지하기도 한다.[22][23][24] 토네이도의 강도, 세기 및/또는 피해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로는 확장된 퍼지타 척도(Enhanced Fujita Scale)와 TORRO 척도가 있다.

토네이도는 가장 파괴적인 기상 현상 중 하나이지만, 일반적으로 수명이 짧다. 오래 지속되는 토네이도의 경우 일반적으로 1시간을 넘지 않지만, 2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예: 삼주 토네이도(Tri-State Tornado)). 상대적으로 지속 시간이 짧기 때문에 토네이도의 발생과 형성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25]

4. 1. 2. 수상돌개



수상돌개는 일반적으로 수면 위에서 발생하는 토네이도 또는 비슈퍼셀 토네이도로 정의된다.[26]

수상돌개는 대부분 열린 수면 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큰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육지로 이동할 수 있다. 수상돌개는 식물, 약하게 지어진 건물 및 기타 인프라에 피해를 주거나 파괴할 수 있다. 수상돌개는 일반적으로 지상 환경에서는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마찰로 인해 바람이 쉽게 소멸되기 때문이다. 강한 수평 바람은 와류를 방해하여 수상돌개가 소멸되도록 한다.[27]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토네이도만큼 위험하지는 않지만, 수상돌개는 배를 뒤집을 수 있으며 대형 선박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13]

4. 1. 3. 다운버스트와 데레초

다운버스트는 뇌우 내에서 상당히 냉각된 빗물이 지면에 도달하면서 사방으로 퍼져 강풍을 발생시키는 현상이다. 토네이도의 바람과 달리 다운버스트의 바람은 회전하지 않고 땅이나 물에 부딪히는 지점에서 바깥쪽으로 향한다. "건조 다운버스트"는 강수량이 매우 적은 뇌우와 관련이 있으며,[28] 습윤 다운버스트는 많은 양의 강수를 동반하는 뇌우에 의해 발생한다. 마이크로버스트는 매우 작은 다운버스트로, 바람이 발생원에서 최대 4km까지 확장되는 반면, 매크로버스트는 바람이 4km를 초과하여 확장되는 대규모 다운버스트이다.[29] 히트 버스트는 강수가 부족한 오래된 유출 경계와 스콜 라인의 후면에서 수직 기류에 의해 생성된다. 히트 버스트는 생성 과정에서 냉각된 빗물이 부족하여 상당히 높은 기온을 발생시킨다.[30] 데레초는 직선형 돌풍으로 특징지어지는 더 길고 일반적으로 더 강한 형태의 다운버스트 바람이다.[31][32]

다운버스트는 수직 풍속 변화 또는 마이크로버스트를 생성하며, 이는 항공기 운항에 위험하다.[33] 이러한 대류성 다운버스트는 최대 75 m/s에 달하는 강풍을 5분에서 30분 동안 발생시켜 지상에 토네이도와 같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다운버스트는 토네이도보다 훨씬 더 자주 발생하며, 토네이도 1건당 다운버스트 피해 보고는 10건에 달한다.[34]

4. 1. 4. 스콜선

스콜선(squall line)은 강한 뇌우가 길게 늘어선 형태로, 한랭전선을 따라 또는 그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35][36] 스콜선은 일반적으로 강한 강수, 우박, 잦은 번개, 강한 직선풍, 그리고 경우에 따라 토네이도나 워터스파우트를 동반한다.[37] 스콜선이 활 모양 에코를 형성하는 지역, 특히 활의 가장 바깥쪽 부분에서는 강한 직선풍 형태의 격렬한 기상 현상이 예상된다.[38] 선형 에코파(LEWP) 내의 파동을 따라 중규모 저기압 지역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토네이도가 발생할 수 있다.[39] 광범위하고 심각한 풍해를 일으키는 강한 활 모양 에코는 데레초라고 하며, 광대한 지역을 빠르게 이동한다.[31] 성숙한 스콜선의 강우 지역(강우 캐노피 하의 고기압계) 뒤에는 후류 저기압 또는 중규모 저기압 지역이 형성되며, 때로는 열폭풍과 관련이 있다.[40]

스콜선은 종종 강한 직선풍 피해를 야기하며, 토네이도가 아닌 대부분의 풍해는 스콜선에 의해 발생한다.[41] 스콜선의 주된 위험은 직선풍이지만, 일부 스콜선에는 약한 토네이도가 포함되기도 한다.[41]

4. 2. 열대 저기압

열대 저기압(태풍, 사이클론, 허리케인)은 저기압 중심, 폐쇄된 저층 대기 순환, 강풍, 그리고 많은 비나 돌풍을 일으키는 소용돌이치는 뇌우의 배열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게 회전하는 폭풍 시스템이다.[78] 습한 공기가 상승할 때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습한 공기 속에 포함된 수증기의 응결을 일으킨다. 열대 저기압은 폭우, 높은 파도, 그리고 파괴적인 폭풍 해일을 일으킬 수 있다.[78] 폭풍 해일은 해안선에서 최대 40 km까지 광범위한 해안 홍수를 일으킬 수 있으며, 잔류 강우로 인한 폭우로 내륙 지역에 홍수가 발생할 수도 있다.

국제우주정거장 탐사 7호에서 본 허리케인 이사벨 (2003)


앤드류 허리케인이 초래한 피해는 5등급 열대 저기압이 초래하는 피해의 좋은 예이다.


성숙한 열대 저기압은 매우 강한 바람을 일으켜 해양 생물에 피해를 줄 수 있다.[42] 저기압은 인명과 사유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주지만,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강수 체계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건조한 지역에 꼭 필요한 강수량을 가져다주거나[79] 가뭄 상황을 완화시킬 수 있다.[81] 또한 열대 지방에서 열과 에너지를 운반하여 온대 위도로 이동시키므로, 전 지구적인 대기 순환 메커니즘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지구의 대류권의 평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4. 3. 온대 저기압

온대 저기압은 한랭 전선과 온난 전선을 동반하며, 강풍, 폭우, 폭설 등을 유발할 수 있다.[43][44]

노르이스터


노르이스터는 미국 동부 해안 상부와 캐나다 대서양 연안을 따라 나타나는 시노프틱 규모의 온대성 저기압이다. 특히 미국 북동부와 캐나다 대서양 연안의 해안 지역에서 바람이 북동쪽에서 불어오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되었다. 노르이스터는 해안 홍수, 해안 침식, 폭우 또는 폭설, 그리고 허리케인급 강풍을 유발할 수 있다. 노르이스터는 콤마 헤드 강수 패턴 내부 또는 뒤따르는 한랭 전선이나 정체 전선을 따라 폭우 또는 폭설을 유발할 수 있다. 노르이스터는 일년 중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 겨울철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4. 4. 황사

황사는 바람에 의해 많은 양의 모래와 먼지 입자가 운반되는 특이한 형태의 돌풍이다.[46] 황사는 종종 가뭄 기간이나 건조 및 반건조 지역에서 발생한다. 대한민국은 봄철에 중국과 몽골의 사막 지역에서 발원한 황사의 영향을 받으며, 황사 특보 발령 시 야외 활동 자제 등 건강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2005년 4월 27일 해질녘, 거대한 황사 구름(하부브)이 알 아사드 공군기지(이라크)의 군사 캠프를 덮치기 직전의 모습.


황사는 많은 위험을 가지고 있으며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시야가 급격히 감소하여 차량 및 항공기 충돌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는 폐의 산소 흡입을 감소시켜[47] 질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마찰로 인해 눈에도 손상을 입힐 수 있다.[48]

황사는 농업에도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토양 침식은 가장 흔한 위험 중 하나이며 경작지를 감소시킨다. 먼지와 모래 입자는 건물과 암석층의 심각한 풍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인근의 물에는 먼지와 모래가 침전되어 수생 생물이 죽을 수 있다. 일사량 감소는 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적외선 방사량 감소는 온도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4. 5. 산불

산불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미국, 캐나다, 중국 북서부에서는 번개가 주요 발화 원인이며,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피지, 뉴질랜드에서는 축산, 농업, 토지 전환을 위한 방화와 같은 인간 활동이 주요 원인이다.[49] 중국과 지중해 분지에서는 인간의 부주의가, 호주에서는 번개와 인간 활동 모두가 산불의 원인으로 지목된다.[49]

옐로스톤 국립공원(Yellowstone National Park)의 산불로 인해 생성된 적란운


산불은 밀집되고 끊임없이 이어지는 연료를 통해 연소할 때 빠른 ''전방 확산 속도''(FROS)를 보인다.[50] 숲에서는 10.8 km/h, 초원에서는 22 km/h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51] 산불은 주요 전선에 접선하여 ''측면'' 전선을 형성하거나 주요 전선과 반대 방향으로 ''후퇴''하여 연소될 수 있다.[52] 바람과 수직 대류 기둥이 ''화염(뜨거운 나무 잔해)'' 및 기타 연소 물질을 공기 중으로 운반하여 도로, 강 및 기타 장벽을 넘어 ''도약'' 또는 ''점화''하여 확산될 수도 있다.[53][54] 나무 캐노피의 화염과 화재는 점화를 촉진하고, 산불을 둘러싼 건조한 지상 연료는 화염으로 인한 발화에 특히 취약하다.[55] 호주의 부시파이어에서는 점화 산불이 산불 전선에서 최대 10 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1980년대 중반 이후로 눈이 일찍 녹고 이와 관련된 온난화는 미국 서부의 산불 시즌 기간과 심각성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57]

4. 6. 우박

우박을 내리는 모든 형태의 뇌우를 우박 폭풍이라고 한다.[58] 우박 폭풍은 적란운이 있는 지리적 지역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지만, 열대 및 몬순 지역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59] 적란운 내의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는 물 분자가 얼고 고체화되어 우박과 기타 고체 강수 형태를 만든다.[60] 우박은 밀도가 더 크기 때문에 구름의 밀도를 극복할 만큼 무거워져 지면으로 떨어진다. 적란운의 하강 기류는 떨어지는 우박의 속도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동심원을 가진 큰 우박


우박은 자동차, 항공기, 채광창, 유리 지붕 구조물, 가축 및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61] 드물게, 거대한 우박이 뇌진탕이나 치명적인 머리 외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박 폭풍은 역사 전반에 걸쳐 값비싼 사건과 치명적인 사건의 원인이 되어 왔다. 가장 일찍 기록된 사건 중 하나는 12세기경 영국 웰즈번에서 발생했다.[62] 미국에서 기록된 최대 둘레와 길이를 가진 가장 큰 우박은 2003년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로라에서 떨어졌다. 이 우박은 지름이 18cm, 둘레가 47.6cm였다.[63]

4. 7. 폭우와 홍수

강한 강우는 여러 가지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그 대부분은 홍수 또는 홍수로 인한 위험이다.[64] 홍수는 일반적으로 물에 잠기지 않는 지역이 물에 잠기는 것을 말하며, 강 홍수, 돌발 홍수, 해안 홍수의 세 가지 종류로 나뉜다.[64][65]

강한 뇌우로 인한 갑작스러운 홍수


돌발 홍수는 느리게 이동하는 뇌우에서 자주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이와 함께 발생하는 많은 양의 액체 강수로 인해 발생한다. 돌발 홍수는 인구 밀집 도시 환경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작은 인프라와 약하게 지어진 건물, 농업 지역의 식물과 농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또한, 토양 침식을 일으켜 산사태 현상의 위험을 초래하고, 주차된 자동차를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수인성 질병과 매개체 매개 질병을 확산시킬 수 있다.[67][68]

기상학적으로 과도한 강우는 많은 양의 수분을 포함한 기단 내에서 발생하며, 상층 한랭성 저기압 또는 열대성 저기압 주변으로 이동한다.[66] 돌발 홍수는 어떤 강도의 열대성 사이클론에 의해 방출되는 광범위한 강우 또는 얼음 댐의 갑작스러운 해빙 효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67][68]

대한민국은 여름철 장마 기간과 태풍 내습 시기에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피해가 자주 발생한다.

4. 8. 몬순

몬순은 계절풍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장기간의 우기로,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서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동부, 멕시코, 필리핀 등 지역의 연간 강수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69] 강수량이 과다할 경우 광범위한 홍수가 발생하며,[69] 산악 지역에서는 산사태와 산림토사유출을 유발할 수 있다.[70] 홍수는 강의 수위를 초과하게 만들어 인근 건물이 침수된다.[71] 이전 건기 동안 화재가 발생하면 홍수가 악화될 수 있는데, 이는 모래 또는 양토로 구성된 토양이 소수성이 되어 물을 밀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72]

정부 기관은 범람원 지도 제작과 토사 유출 방지 정보를 통해 주민들이 우기 홍수에 대처하도록 지원한다. 지도 제작은 홍수 발생 가능성이 더 높은 지역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73] 토사 유출 방지 지침은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한 홍보 활동을 통해 제공된다.[74]

몬순 시즌 동안 발생하는 홍수는 많은 원생생물, 박테리아, 바이러스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다.[75] 모기와 파리는 오염된 물에 알을 낳는다. 이러한 병원체는 식품 매개 질병과 수인성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홍수에 노출된 것과 관련된 질병으로는 말라리아, 콜레라, 장티푸스, A형 간염, 그리고 감기가 있다.[76] 장시간 홍수 지역에 노출될 경우 참호족부병 감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77]

4. 9. 폭설

폭설은 단시간에 많은 양의 눈이 내리는 현상이다.[82] 폭설은 교통 마비, 건물 붕괴, 고립, 전력선 파손 등을 유발할 수 있다.[83][85][88] 특히 온대 저기압이 눈의 물 당량(SWE) 비율이 6:1에서 12:1 사이이고 제곱피트당 10파운드 이상(~50 kg/m2)의 무게를 가진 무겁고 젖은 눈을 내릴 때 피해가 커질 수 있다.[82][83] 산에 쌓인 눈에 갑작스러운 열적 또는 기계적 충격이 가해지면 눈사태가 발생하여 눈이 갑자기 산 아래로 쏟아져 파괴력을 더한다.[84]

2006년 10월 호우 효과 눈 폭풍 "진딧물"로 인한 피해


많은 양의 눈이 인공 구조물 위에 쌓이면 구조적 결함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85] 눈이 녹는 동안 이전에 눈 더미에 내린 산성비가 방출되어 해양 생물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86]

차가운 바람이 따뜻한 호수 위를 지날 때 수증기를 흡수하여 얼어서 풍하 해안에 쌓이는 호우 효과 눈(Lake-effect snow)은 겨울에 길쭉한 띠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형태로 발생한다.[87]

눈보라는 많은 양의 날리는 눈과 강풍으로 인해 시야가 크게 줄어드는 현상이다. 눈보라에 장시간 노출되면 길을 잃을 가능성이 커지고, 강풍은 풍한을 일으켜 동상과 저체온증을 유발할 수 있다.[88] 또한, 눈보라의 강풍은 식물에 피해를 주고 정전, 동파, 연료관선 파손을 일으킬 수 있다.[88]

4. 10. 결빙 폭풍

결빙 폭풍은 얼어붙는 비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은빛 폭풍(Silver storm)'으로도 알려져 있다.[89] 차가운 표면에서 액체 강수가 얼어붙으면서 두꺼워지는 얼음층이 점진적으로 발달한다.[89]

빙판 폭풍으로 파괴된 나무들


얼음이 쌓이면 나무와 식물이 파괴되고, 이로 인해 전력선이 끊어져 난방과 통신이 두절될 수 있다.[90] 건물과 자동차 지붕이 심하게 손상되거나, 가스관이 얼거나 손상되어 가스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 얼음의 무게 때문에 산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고, 시야가 급격히 줄어들 수 있다. 결빙 폭풍 이후 갑작스러운 해빙은 특히 호수, 강, 수역 근처에서 심각한 홍수를 유발할 수 있다.[91]

4. 11. 가뭄

가뭄은 지속적으로 건조한 날씨(즉, 강수량 부족)가 장기간 지속되는 현상이다.[92] 가뭄은 다른 심각한 기상 현상만큼 빠르게 발생하거나 진행되지는 않지만,[93] 그 영향은 똑같이 치명적일 수 있다. 가뭄은 농작물 실패를 초래하고,[93] 수자원을 심각하게 고갈시켜 때로는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92] 1930년대에 발생한 더스트 볼이라는 가뭄은 미국 중부의 농경지 5천만 에이커에 영향을 미쳤으며,[92] 경제적 측면에서 수십억 달러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1988년 미국의 가뭄으로 400억 달러가 넘는 손실이 발생했는데,[94] 이는 앤드류 허리케인, 1993년 대홍수, 1989년 로마프리에타 지진의 경제적 손실 총액을 초과한다.[93] 다른 심각한 영향 외에도 가뭄으로 인한 건조한 조건은 산불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다.[92]

가뭄으로 인해 실패한 호주의 농작물

4. 12. 폭염

폭염은 일반적으로 과도한 열이 장기간 지속되는 시기를 의미한다.[95] 공식적인 정의는 다양하다. 폭염은 다른 유형의 극한 기상 현상만큼 큰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지는 않지만, 인간과 동물에게 매우 위험하다. 미국 국립기상청에 따르면, 매년 열 관련 사망자 수는 홍수, 토네이도, 낙뢰, 허리케인으로 인한 사망자 수를 합친 것보다 많다.[96] 호주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다른 어떤 유형의 극한 기상 현상보다 많다.[95] 폭염과 함께 나타날 수 있는 건조한 조건은 식물이 수분을 잃고 죽기 때문에 식물 생명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97] 폭염은 습도가 높을 때 더욱 심각해지는 경우가 많다.[96]

2003년 유럽의 평년보다 높은 기온을 나타내는 지도

5. 기후변화와 악천후

참조

[1] 웹사이트 Workshop On Severe and ExPOO Events Forecasting https://web.archive.[...] 2004-10
[2] 웹사이트 Severe Weather 101 – NOAA National Severe Storms Laboratory https://www.nssl.noa[...]
[3] 웹사이트 Severe Weather Facts https://www.factsjus[...]
[4] 웹사이트 Severe weather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5] 논문 Annex II: Glossary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논문 Summary for Policymakers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Severe storm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 웹사이트 IPCC Third Assessment Report – Climate Change 2001 – Complete online versions | GRID-Arendal – Publications – Other https://web.archive.[...] Grida.no
[9] 웹사이트 Storm Prediction Center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 http://www.spc.noaa.[...] Spc.noaa.gov 2008-07-16
[10] 웹사이트 NWS JetStream – Weather Glossary: A's http://www.srh.noaa.[...] Srh.noaa.gov 2011-06-08
[11] 웹사이트 Why One Inch Hail Criterion? https://web.archive.[...] National Weather Service
[12] 웹사이트 Online Severe Weather Climatology – Radar Coverage Areas http://www.spc.noaa.[...] Storm Prediction Center 2007-10-06
[13] 웹사이트 The Online Tornado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ornadoes http://www.spc.noaa.[...] Storm Prediction Center, NOAA 2012-03-23
[14] 이메일 SPC Web Feedback – Outbreaks 2007-06-14
[15] 서적 Lightning: Principles, Instrument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16] 웹사이트 How to Minimize Wind Damage in the South Florida Garden http://edis.ifas.ufl[...] University of Florida 2006-04-26
[17] 서적 The tornado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8] 웹사이트 Boulder's downslope winds https://web.archive.[...] University Corporation for Atmospheric Research 2000-04-10
[19] 웹사이트 Saffir-Simpson Hurricane Scale Information http://www.nh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6-06-22
[20] 웹사이트 Enhanced F Scale for Tornado Damage http://www.spc.noaa.[...] 2007-02-01
[21] 논문 A thermodynamically general theory for convective vortices http://vortexengine.[...] 2008-08
[22] 웹사이트 The Online Tornado FAQ http://www.spc.noaa.[...] Storm Prediction Center 2006-04-04
[23] 웹사이트 Doppler On Wheels https://web.archive.[...] Center for Severe Weather Research
[24] 웹사이트 Tornado Warnings infographic https://web.archive.[...] MCA 2013-07-18
[25] 웹사이트 Tornadoes http://www.windows.u[...] 2008-08-01
[26] 웹사이트 AMS Glossary https://web.archive.[...] Amsglossary.allenpress.com
[27] 웹사이트 Waterspout Information – NWS Wilmington, North Carolina http://www.erh.noaa.[...] Erh.noaa.gov 2007-01-14
[28] 웹사이트 Microbursts: A Handbook for Visual Identification http://www.cimms.ou.[...] 2002-06-26
[29] 웹사이트 Microburst https://web.archive.[...] NOAA/Forecast Systems Laboratory
[30] 뉴스 Oklahoma "heat burst" sends temperatures soaring https://www.usatoday[...] USA Today 1999-07-08
[31] 웹사이트 About Derechos http://www.spc.noaa.[...] Storm Prediction Center, NCEP, NWS, NOAA Web Site 2013-12-03
[32] 서적 Extreme Weather https://archive.org/[...] Black Dog & Leventhal Publisher
[33] 웹사이트 Making the Skies Safer From Windshear https://web.archive.[...] 1992-06
[34] 웹사이트 Downbursts https://web.archive.[...] National Weather Service Forecast Office, Columbia, South Carolina 2010-05-05
[35] 웹사이트 Squall line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36] 웹사이트 Prefrontal squall line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6-14
[37] 웹사이트 Chapter 2: Definitions http://www.ofcm.gov/[...] NOAA 2009-05-03
[38] 웹사이트 Bow echo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6-14
[39] 서적 Line echo wave pattern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5-03
[40] 서적 Heat burst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6-14
[41] 웹사이트 Structure and Evolution of Squall Line and Bow Echo Convective Systems http://www.crh.noaa.[...] NOAA 2010-08-31
[42] 학술지 Hurricanes and Coral Reef Communities http://bbp.amnh.org/[...] 2004-10-01
[43] 웹사이트 European Windstorms | PANDOWAE http://www.pandowae.[...] Pandowae.de 2009-12-05
[44] 웹사이트 Adiabatic process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8-18
[45] 웹사이트 Nor'easters http://www.mcwar.org[...] 2008-01-22
[46] 웹사이트 AMS Glossary http://amsglossary.a[...] Amsglossary.allenpress.com 2009-12-05
[47] 웹사이트 Dust storms Factsheet – NSW Department of Health http://www.health.ns[...] Health.nsw.gov.au 2009-12-05
[48] 웹사이트 Dust Storm Safety http://www.nws.noaa.[...] Nws.noaa.gov 2009-12-05
[49] 웹사이트 The World on Fire https://www.pbs.org/[...] NOVA online – Public Broadcasting System (PBS) 2002-06-01
[50] 웹사이트 Protecting Your Home From Wildfire Damage http://www.flash.org[...] Florida Alliance for Safe Homes (FLASH) 2010-03-03
[51] 문서 Billing, 5–6
[52] 문서 Graham, et al., 12
[53] 웹사이트 Under Fire http://ngm.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2008-07-01
[54] 문서 Graham, et al., 16.
[55] 문서 Graham, et al., 9, 16.
[56] 문서 Billing, 5
[57] 학술지 Warming and earlier spring increase western U.S. Forest wildfire activity 2006-08-01
[58] 웹사이트 AMS Glossary http://amsglossary.a[...] Amsglossary.allenpress.com 2009-12-05
[59] 웹사이트 Facts about Hailstorms http://www.buzzle.co[...] Buzzle.com 2009-07-13
[60] 웹사이트 Hailstorms http://www.andthenso[...] Andthensome.com 2009-12-05
[61] 학술지 Hail, Hail, Hail ! The Summertime Hazard of Eastern Colorado http://www.cocorahs.[...] 1994-04-01
[62] 웹사이트 Hailstorms: Extremes http://www.torro.org[...] TORRO 2009-12-05
[63] 문서 Very Large Hailstones From Aurora, Nebraska
[64] 웹사이트 Flash Flood http://amsglossary.a[...] 2009-09-09
[65] 웹사이트 Coastal Inundation: NOAA Watch: NOAA's All-Hazard Monito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Commerce http://www.noaawatch[...] Noaawatch.gov 2006-05-01
[66] 학회 An Analysis of Heavy Rainfall Weather Systems over Louisiana http://ams.confex.co[...] 2010-01-20
[67] 웹사이트 Flash Flood! http://weathereye.kg[...] Sinclair Acquisition IV, Inc. 2009-09-09
[68] 웹사이트 Definitions of flood and flash flood https://www.weather.[...] National Weather Service Southern Region Headquarters 2006-03-07
[69] 웹사이트 Warden Message: Guyana Rainy Season Flood Hazards https://www.osac.gov[...] Overseas Security Advisory Council 2009-01-05
[70] 웹사이트 California's Rainy Season http://www.floodsmar[...] U.S.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2009-02-05
[71] 뉴스 Bali Hit By Wet Season Floods http://www.abc.net.a[...] 2009-01-12
[72] 문서 Natural History of Fire & Flood Cycles http://www.coastal.c[...] 2009-02-05
[73] 간행물 Flood http://www.fesa.wa.g[...] 2007-02-06
[74] 웹사이트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for Construction Sites http://www.kingcount[...] 2009-02-06
[75] 웹사이트 Preventing Disease and Injury in a Flood – Fairfax County, Virginia http://www.fairfaxco[...] Fairfaxcounty.gov 2009-12-05
[76] 웹사이트 Monsoon diseases: Prevention and cure http://www.zeenews.c[...] Zeenews.com 2009-12-05
[77] 웹사이트 australianetwork.com http://ww38.australi[...] 2023-10-30
[78] 논문 Epidemiology of Tropical Cyclones: The Dynamics of Disaster, Disease, and Development
[79] 웹사이트 2005 Tropical Eastern North Pacific Hurricane Outlook http://www.cpc.ncep.[...]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6-05-02
[80] 뉴스 Background: California's tropical storms https://www.usatoday[...] 2009-02-07
[81] 웹사이트 2005 Tropical Eastern North Pacific Hurricane Outlook http://www.cpc.ncep.[...]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6-05-02
[82] 웹사이트 Historic snowfall for the Niagara Frontier https://web.archive.[...] Weather Channel blog 2009-07-07
[83] 웹사이트 Historic Lake Effect Snow Storm of October 12–13, 2006 http://www.erh.noaa.[...] National Weather Service Forecast Office in Buffalo, New York 2009-07-08
[84] 웹사이트 Avalanche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6-30
[85] 뉴스 A Winter's Tale of Tragedy https://www.washingt[...] 2009-01-24
[86] 논문 Of Wet Snow, Slush, and Snow Balls https://web.archive.[...] 2009-07-12
[87] 웹사이트 Lake-effect snow https://web.archiv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6-15
[88] 웹사이트 Blizzards http://www.ussartf.o[...] Ussartf.org 2009-12-05
[89] 웹사이트 AMS Glossary https://web.archive.[...] Amsglossary.allenpress.com 2009-12-05
[90] 웹사이트 Glossary – NOAA's National Weather Service http://www.weather.g[...] Weather.gov 2009-12-05
[91] 웹사이트 WinterStorms.p65 https://web.archive.[...] 2009-12-05
[92] 웹사이트 What is Meant by the Term Drought? http://www.wrh.noaa.[...]
[93] 웹사이트 Drought: The Creeping Disaster http://earthobservat[...] 2000-08-28
[94] 웹사이트 Billion-Dollar Weather and Climate Disasters: Table of Events |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NCEI) https://www.ncdc.noa[...]
[95] 웹사이트 Meteorological hazards http://www.ga.gov.au[...] Geoscience Australia
[96] 웹사이트 Heat:A Major Killer http://www.nws.noaa.[...]
[97] 웹사이트 Heatwaves: Get the Facts https://web.archiv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