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 간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형 간염은 분변-경구 경로를 통해 A형 간염 바이러스(HAV)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간 질환이다. 오염된 식수나 음식, 또는 감염자와의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환경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 치유되지만, 드물게 급성 간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A형 간염 백신 접종과 개인 위생 관리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형 간염 - A형 간염 백신
A형 간염 백신은 A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비활성화 또는 약독화된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백신으로, 세계보건기구는 발생률이 높은 지역에서 예방 접종을 권장하며, 한국에서는 국가 예방접종 사업을 통해 무료로 접종할 수 있다. - A형 간염 - A형 간염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피코르나바이러스과 헤파르나바이러스속의 유일한 종으로, 단일 가닥 RNA를 유전체로 가지며 외피가 없는 정이십면체 구조를 가진 바이러스이고, 경구 감염을 통해 전파된다. - 피코르나바이러스과 - 엔테로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는 폴리오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등을 포함하는 피코르나바이러스과의 바이러스 그룹으로, 분변-구강 경로 또는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어 발열, 수막염, 심근염, 수족구병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며,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를 통해 예방하고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요법으로 치료한다. - 피코르나바이러스과 - A형 간염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피코르나바이러스과 헤파르나바이러스속의 유일한 종으로, 단일 가닥 RNA를 유전체로 가지며 외피가 없는 정이십면체 구조를 가진 바이러스이고, 경구 감염을 통해 전파된다. - 간염 - B형 간염
B형 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혈액과 정액을 통해 전염되며 백신 접종으로 예방 가능하고 만성화될 경우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하다. - 간염 - C형 간염
C형 간염은 오염된 혈액으로 전파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질환으로, 만성 감염 시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직접 작용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하지만 백신은 개발되지 않아 감염 경로 차단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A형 간염 | |
---|---|
일반 정보 | |
![]() | |
분야 | 감염병, 소화기내과 |
발병 시기 | 감염 후 2–6주 |
지속 기간 | 8주 |
원인 | 분변-경구 경로, Hepatovirus A에 감염된 대변으로 오염된 음식 섭취 또는 물 음용, 성적 전파 (구강-항문 성교, 디지털-직장 성교 행위를 통해) |
진단 | 혈액 검사 |
예방 | A형 간염 백신, 손 씻기, 음식 적절히 조리 |
치료 | 지지 요법, 간 이식 |
빈도 | 증상 및 무증상 1억 1400만 명 (2015년) |
사망 | 11,200명 |
DiseasesDB | 5757 |
MedlinePlus | 000278 |
eMedicineSubj | med |
eMedicineTopic | 991 |
MeshID | D006506 |
동의어 | A형 간염 감염성 간염 |
증상 | |
증상 | 메스꺼움, 구토, 설사, 짙은 소변, 황달, 발열, 복통 |
합병증 | |
합병증 | 급성 간부전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Ryan KJ, Ray CG (편집자).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4판. McGraw Hill. 2004: 541–4. ISBN 978-0-8385-8529-0. Connor BA. Hepatitis A vaccine in the last-minute traveler. Am. J. Med. 2005;118 Suppl 10A:58S–62S. doi:10.1016/j.amjmed.2005.07.018. PMID 16271543. Matheny SC, Kingery JE. Hepatitis A. Am Fam Physician. 2012 Dec 1;86(11):1027–34; quiz 1010–1012. PMID 23198670. Bellou M, Kokkinos P, Vantarakis A. Shellfish-borne viral outbreaks: a systematic review. Food Environ Virol. 2013 Mar;5(1):13–23. doi:10.1007/s12560-012-9097-6. PMID 23412719. The Encyclopedia of Hepatitis and Other Liver Diseases. Infobase. 2006: 105. ISBN 978-0-8160-6990-3. Irving GJ, Holden J, Yang R, Pope D. Hepatitis A immunisation in persons not previously exposed to hepatitis A.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 Jul 11;7:CD009051. doi:10.1002/14651858.CD009051.pub2. PMID 22786522. PMC 6823267. ((GBD 2015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The Lancet. 2016 Oct 8;388(10053):1545–1602. doi:10.1016/S0140-6736(16)31678-6. PMID 27733282. PMC 5055577. ((GBD 2015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The Lancet. 2016 Oct 8;388(10053):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ID 27733281. PMC 5388903. Hepatitis MedlinePlus Hepatitis A Fact sheet N°328 Hepatitis A outbreaks bring back focus on vaccination in Kerala Viral hepatitis could cause liver cancer: Here's what you need to know about prevention and treatment Indian Immunologicals unveils indigenously developed Hepatitis A vaccine |
2. 원인
A형 간염의 직접적인 원인은 A형 간염 바이러스(HAV) 감염이다.[37] 이 바이러스는 주로 감염자의 분변을 통해 배출되어 분변-구강 경로로 전파되며,[39] 오염된 식수나 식품 섭취가 주요 감염 경로이다.[88] 특히 잘 익히지 않은 조개류 섭취는 흔한 감염 원인으로 지목된다.[88] 또한, 감염자와의 밀접한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86]
드물지만 오염된 혈액[88]이나 특정 성행위[39]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환경 저항성이 강하며,[37] 인간만이 유일한 자연 숙주이고 만성적인 감염 상태는 유발하지 않는다.[42]
위생 수준이 낮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어린 시절 감염이 흔하지만,[43] 위생 환경이 개선된 지역에서는 감염 경험이 없는 성인이 고위험 지역 여행[3]이나 감염자 접촉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44]
2. 1. 감염 경로
A형 간염 바이러스(HAV)는 주로 분변-구강 경로를 통해 전파된다.[39] 이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식수나 식품을 섭취하거나, 감염자의 대변에 오염된 손이나 물건을 통해 입으로 바이러스가 들어가는 경우를 의미한다. 특히 위생 상태가 좋지 않고 인구 밀도가 높은 환경에서 감염이 쉽게 발생한다.[39]구체적인 감염 경로는 다음과 같다.
- '''식품 및 식수 매개 감염:'''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섭취하여 감염되는 경로이다. 특히 조개류(굴 등)를 충분히 익히지 않고 먹거나, 오염된 물에서 자란 채소(상추, 파 등), 냉동 과일(라즈베리, 딸기 등)을 섭취하는 것이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88][40][41][80][75] 식품 매개 유행이 흔하게 보고된다.[40] 세계적으로 굴, 상추, 냉동 라즈베리 등에 의한 집단 감염이 보고되었으며,[80][75] 일본에서는 우치무라사키 조개(대합)나 초밥을 통한 식중독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80] 한국 내 감염 사례에서도 굴 등의 해산물, 초밥, 육류 등이, 국외 감염 사례에서는 해산물 외 채소, 과일, 물 등이 감염원으로 추정된다.[80] A형 간염 유행 지역에서는 생수나 익히지 않은 채소 등 비가열 식품 섭취를 피하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된다.[80] 식품을 통해 A형 간염이 발생한 경우 해당 식품에 대한 검사가 강화될 수 있다.[84]
- '''밀접 접촉 감염:''' A형 간염에 감염된 사람과의 가까운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86]
- '''혈액 매개 감염:''' 드물지만 혈액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이는 오염된 주사기를 공동으로 사용하거나 수혈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88] A형 간염은 비경구 경로로 전파될 수 있으나, 혈액 및 혈액 제제를 통한 전파는 매우 드물다.[40]
- '''성 접촉 감염:''' 항문 성교나 수지-직장 간 성행위 등 특정 성행위를 통해 전파될 수 있으며, 성병의 일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39] 특히 남성 간 성행위를 통한 감염 증가가 보고되고 있다.[76]
인간은 A형 간염 바이러스의 유일한 자연 숙주이자 질병 매개체이며, 다른 동물이나 곤충을 통해 전파되지는 않는다.[42] 만성적인 A형 간염 상태는 보고된 바 없다.[42] 감염된 사람은 증상이 나타나기 약 10일 전부터 전염력을 가지게 된다.[37] 바이러스는 세제, 산(pH 1), 에테르, 클로로포름과 같은 용매, 건조 상태 및 60°C까지의 온도에 강한 저항성을 보이며, 신선한 물과 소금물 속에서도 수개월간 생존할 수 있다.[37] 그러나 염소 처리(식수), 포르말린(0.35%, 37°C, 72시간), 과초산(2%, 4시간), 베타-프로피오락톤(0.25%, 1시간) 및 자외선(UV) 조사(2 μW/cm2/min) 등을 통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37]
개발도상국이나 위생 수준이 낮은 지역에서는 어린 시절에 감염되는 경우가 흔하며, 이 경우 평생 면역을 얻게 된다.[43] 반면, 소득이 증가하고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률은 감소한다.[44] 위생 환경이 개선된 선진국에서는 감염 경험이 없는 젊은 성인이 고위험 지역을 여행하거나[3] 감염자와 접촉하여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2. 2. 바이러스학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ovirus A'')는 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목(Picornavirales) 피코르나바이러스과(Picornaviridae) 헤파토바이러스속(Hepatovirus)에 속하는 종이다. 사람과 다른 척추동물이 이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이다.[21][22] 동의어로는 'A형 간염 바이러스'[19], '인간 A형 간염 바이러스'[20], '원숭이 A형 간염 바이러스'[20] 등이 있다. 발견 초기에는 피코르나바이러스과의 엔테로바이러스속으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헤파토바이러스속으로 재분류되었다.헤파토바이러스속에는 현재 9종이 알려져 있으며[23], 이들은 박쥐, 설치류, 고슴도치, 땃쥐 등을 감염시킨다. 계통 발생학적 분석에 따르면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설치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4] 관련 바이러스로는 바다사자에서 분리된 ''hepatovirus B''(''Phopivirus'')[25][26]와 히말라야마멋(Marmota himalayana)에서 분리된 히말라야마멋 간염 바이러스[27] 등이 있다.
바이러스 입자(비리온)는 외피가 없는 정20면체 모양이며, 직경은 약 27nm이다. 캡시드 안에는 플러스 가닥 단일 가닥 RNA(+ssRNA) 유전체가 들어 있다.[33]
속 | 구조 | 대칭 | 캡시드 | 유전체 배열 | 유전체 분절 |
---|---|---|---|---|---|
헤파토바이러스속 | 정20면체 | Pseudo T=3 | 비외피 | 선형 | 단일 분절 |
A형 간염 바이러스는 혈청형은 하나만 존재하지만, 여러 유전자형이 존재한다.[34] 현재까지 7개의 유전자형이 보고되었으며(I~VII), 이 중 사람에게서는 주로 I, II, III형이 발견된다. 유인원에서는 IV, V, VI형이 발견된다. 유전자형 VII은 초기에 별도 유전자형으로 보고되었으나[28] 이후 아형 IIB로 재분류되었다.[29] 특히 유전자형 I형(아형 IA, IB)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하게 발견되며, 그중에서도 아형 IA가 대다수를 차지한다.[30] 유전자형 III형은 사람과 올빼미원숭이 모두에서 발견된 바 있다.
유전체 내 코돈 사용은 숙주 세포와 다른 편향성을 보이며, 내부 리보솜 진입 부위(IRES)의 번역 효율도 낮은 편이다.[35] 캡시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영역에 드물게 사용되는 코돈들이 고도로 보존되어 있는 것은 항원 변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1][36] 게놈의 돌연변이율은 연간 위치당 1.73–9.76 × 10−4 뉴클레오티드 치환으로 추정되며[31][32], 사람을 감염시키는 균주는 약 3,600년 전에 유인원을 감염시키는 균주로부터 분기된 것으로 보인다.[32] 유전자형 III 및 IIIA 균주의 평균 연령은 각각 592년과 202년으로 추정된다.[32]
주요 전파 경로는 분변-경구 경로이며, 혈액을 통한 전파도 가능하다.[21] 바이러스는 섭취 후 인두나 장의 상피를 통해 혈류로 들어가 표적 기관인 간으로 이동한다.[37] 간에서는 간세포와 쿠퍼 세포(간 대식세포) 내에서 증식한다. 바이러스 복제는 세포질에서 일어나며, 숙주 세포로의 침입은 바이러스가 숙주 수용체에 부착된 후 세포내이입을 통해 이루어진다. 복제는 양성 가닥 RNA 바이러스 복제 모델을 따른다.
다른 피코르나바이러스와 달리, A형 간염 바이러스는 번역 개시 과정에서 온전한 진핵 개시 인자 4G(eIF4G)를 필요로 한다.[38] 이 때문에 숙주 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중단시키지 못하고 세포 내 번역 기구와 비효율적으로 경쟁해야 하며, 이는 세포 배양 환경에서 바이러스 증식이 상대적으로 느린 이유 중 하나로 설명된다.[38] 증식된 바이러스는 용해 및 바이로포린을 통해 숙주 세포 밖으로 방출되어 담즙으로 분비되고 결국 대변으로 배출된다. 대변을 통한 바이러스 배출은 임상 증상이 나타나거나 혈액에서 항-HAV IgM 항체가 검출되기 약 11일 전부터 시작될 수 있다. 잠복기는 15~50일이다. 간 손상은 바이러스 자체가 직접 세포를 파괴하기보다는 주로 면역 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A형 간염의 잠복기는 평균 28일이며, 15일에서 50일 사이다.[14][3] 증상은 감염자의 나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계면활성제, 에테르, pH 3 정도의 산성 환경, 온도 변화, 건조 등에 비교적 강한 저항성을 가진다. 하지만 고압멸균, 자외선(UV) 조사, 포르말린 처리, 염소계 소독제 처리 등에 의해 비활성화된다.
3. 증상
6세 이하 소아의 약 50%는 감염되어도 증상이 없는 무증상 상태일 수 있는데, 증상이 없더라도 전염력은 있다.[86] 반면, 감염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황달과 같은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의 임상 증상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지고 증상도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89][15]
초기 증상은 인플루엔자와 비슷하여 오인될 수 있으며[14], 다른 질병과 증상이 유사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 혈액 검사 등을 실시하기도 한다.
3. 1. 일반적인 증상
A형 간염의 초기 증상은 인플루엔자와 유사할 수 있으며, 감염 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잠복기는 평균 28일(2주~6주)이다.[14][3] 하지만 모든 감염자에게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어린이의 약 90%는 증상을 경험하지 않거나 매우 가벼운 증상만 보인다.[15]
감염 시 증상이 나타날 위험은 나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성인의 경우 80% 이상이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에 해당하는 증상을 보이는 반면, 대부분의 어린이는 증상이 없거나(불현성 감염)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5] 성인은 뚜렷한 황달 증상을 포함하여 회백색 변, 발열, 설사, 복통, 구역질 및 구토, 전신 권태감, CRP 수치 상승, 프로트롬빈 시간 단축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며[79], 초기에는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나이가 많을수록 증상이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증상은 보통 2개월 미만으로 지속되지만, 일부는 최대 6개월까지 이어질 수 있다.[16]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 4주에서 8주 안에 회복되며,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과는 달리 만성 상태로 진행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 기능이 완전히 회복되기까지는 1개월에서 2개월 정도 소요되며, 이 기간 동안에는 금주해야 한다. 황달 증상이 사라지면 간 기능 검사 결과가 완전히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았더라도 안전하게 일상생활이나 직장으로 복귀할 수 있다.
드물게 급성 신부전, 빈혈, 심근 장애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3. 2. 간외 증상
드물게 관절통, 적혈구 무형성증, 췌장염 및 전반적인 림프절병증과 같은 간외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신부전과 심낭염은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18] 이러한 증상은 급성으로 시작되며, 질병이 회복되면 사라진다.
4. 진단
A형 간염은 다른 질병과 증상이 유사할 수 있으며, 특히 소아는 무증상으로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86]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성인의 경우 황달 등 증상이 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89]
가장 중요한 진단 방법은 혈액 검사를 통해 A형 간염 바이러스(HAV)에 대한 특정 항체를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혈액 내 HAV 특이 IgM 항체 검출은 급성 감염을 진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45] 감염 초기에는 IgM 항체가 검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76] 반면, IgG 항체는 과거에 감염되었거나 백신 접종을 통해 면역력이 생겼음을 나타낸다.[45]
급성 감염 시기에는 간세포 손상으로 인해 간 효소인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 수치가 혈액에서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46] 또한, 복부를 직접 만져보거나 초음파 검사를 통해 간이 커져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76]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부터 혈액(바이러스혈증)이나 대변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46] 변 검사는 진단 목적으로는 잘 이용되지 않는다.
4. 1. 혈액 검사

A형 간염은 다른 질병과 증상이 유사할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을 위해 혈액 검사가 필요하다. 특히 소아는 감염되어도 무증상인 경우가 많지만(6세 이하 약 50%), 증상이 없어도 전염력은 있다.[86] 성인의 경우 증상이 더 뚜렷하고 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89]
A형 간염 바이러스(HAV)의 특이적 진단은 혈액 내 HAV 특이 IgM 항체 검출을 통해 이루어진다.[45] IgM 항체는 급성 감염 시에만 혈액에 존재하며, 감염 초기 1~2주부터 검출되어 최대 14주까지 지속될 수 있다.[45] 이 IgM 항체 검사는 A형 간염 확진에 사용되지만, 감염 초기에는 약 5%에서 음성으로 나올 수도 있다.[76]
혈액 내 IgG 항체의 존재는 급성 감염 시기가 지났거나 백신 접종을 통해 면역력이 생겼음을 의미하며, 치유의 지표가 되기도 한다.[45]
급성 감염 단계에서는 간세포 손상으로 인해 간 효소인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ALT) 수치가 혈액 내에서 정상보다 훨씬 높게 나타난다.[46] 따라서 혈액 검사 시 간 기능 검사를 통해 ALT 수치를 확인하고, 혈청 내 IgM 및 IgG 항체 검사, 바이러스 분석 등을 함께 실시한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임상 증상이 나타나기 2주 전부터 감염자의 혈액(바이러스혈증)과 대변에서 발견될 수 있다.[46]
4. 2. 기타 검사
복부를 직접 만져보는 촉진이나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간의 종대(간이 커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76] 혈액 검사를 통해 간 기능 검사나 혈청 내 바이러스 분석 등을 시행할 수 있다. IgG형 HA항체는 치유의 지표가 된다. 드물게 변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지만, 세포 배양을 통한 바이러스 분리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진단 목적으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5. 치료
A형 간염에 대한 특별한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86][17] 따라서 증상을 완화시키는 대증 요법이 시행된다.[73] 감염 후 회복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17]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후유증 없이 완치되며 다른 간 질환을 유발하지 않는다.[86] 드물게 급성 간부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간 이식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86]
5. 1. 대증 요법
A형 간염에 대한 특별한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17] 따라서 증상을 완화하고 환자의 회복을 돕는 대증 요법이 시행된다.[73] 치료는 주로 환자가 편안함을 느끼고 적절한 영양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며, 구토나 설사로 인해 손실된 수분을 보충하는 것을 포함한다.[17] 충분한 안정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간에서 대사되는 약물은 피해야 한다.[76] 감염 후 증상이 완전히 회복되기까지는 수 주에서 수 개월이 걸릴 수 있다.[17]6. 예방
A형 간염은 예방 접종과 철저한 위생 관리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1][47][86] 특히 손 씻기를 생활화하고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는 것이 중요하며,[86][74][80] 위생 시설 개선 또한 감염 예방에 기여한다.[1][47]
6. 1. 백신 접종
A형 간염 백신은 A형 간염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다.[86] 백신 접종 외에도 음식물을 충분히 익혀 먹고 손을 자주 씻는 것이 좋은 예방법이다.[86]A형 간염 백신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사멸)시켜 만든 불활성화 백신이고, 다른 하나는 바이러스의 독성을 약화시킨 약독화 생백신이다.[10] 두 종류 모두 접종 시 신체가 바이러스에 대한 능동 면역을 형성하도록 유도하여 향후 감염을 예방한다. 백신의 예방 효과는 95% 이상으로 매우 높으며, 그 효과는 최소 25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8]
백신은 일반적으로 근육 주사 방식으로 투여된다. 1차 접종 후 2~4주가 지나면 보호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약 1년간 지속된다. 1차 접종 후 6~12개월 사이에 2차 추가 접종을 받으면, 면역 효과가 크게 강화되어 20년 이상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51] 일부 자료에서는 평생 한 번의 접종으로 충분하다는 언급도 있으나[86], 일반적으로는 2회 접종이 권장된다.
미국에서는 모리스 힐먼 연구팀이 개발한 백신이 1995년에 처음 허가되었으며,[49][50] 1996년부터 고위험 지역 어린이들에게 접종되기 시작하여 1999년에는 감염률이 높은 지역으로 확대되었다.[51] 현재 미국에서는 생후 12개월에서 23개월 사이의 모든 어린이에게 A형 간염 예방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4] 단, 생후 12개월 미만 영아에게는 접종이 권장되지 않는다.[57] 또한, 이전에 접종받지 않은 성인 중 해외여행 등으로 바이러스 노출 위험이 있거나 노출된 경우에도 접종이 권장된다.[4]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남성 동성애자에게도 감염 예방을 위해 백신 접종을 권고한다.[58]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A형 간염 백신(주로 불활성화 백신)은 보통 2회 접종으로 완료된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GSK의 '하브릭스'(Havrix)와 MSD의 '박타'(Vaqta)가 있으며, B형 간염 백신과 혼합된 '트윈릭스'(Twinrix)도 있다. 이들 백신은 면역 반응을 높이는 보조제를 포함하고 있어, 1회 접종 후 약 14일이면 항체가 형성되기 시작하여 비교적 빠른 면역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제조사의 백신 간 교차 접종(상호 호환성)도 가능한 것으로 보고된다.
일본에서는 KM 바이오로직스가 제조한 '에임겐' 백신이 사용된다. 이는 보조제가 포함되지 않은 불활성화 백신으로, 총 3회 접종(초기 2회 접종 후 6개월 뒤 3차 접종)이 필요하며, 약 5년간의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임겐은 다른 백신과의 상호 호환성이 확인되지 않아, 접종을 시작했다면 3회 모두 동일 제품으로 완료해야 한다.
A형 간염 백신은 1992년 도입 초기에는 고위험군에게 주로 권장되었으나, 이후 바레인, 이스라엘 등 여러 국가에서 광범위한 예방 접종 프로그램을 시행하면서 A형 간염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52][53][54][55][56]
과거 사용되었던 항체 포함 면역 글로불린 주사를 통한 수동 면역 방법은 현재는 권장되지 않는다.[81]
6. 2. 개인 위생 관리
A형 간염은 예방 접종뿐만 아니라 양호한 위생 관리와 위생 시설 개선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1][47] 개인 위생 관리는 감염 예방의 중요한 부분이다.일반적인 감염 예방법은 다음과 같다.[74][80]
- 손 씻기: 손 씻기를 충분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 * 조리 전
- * 식사 전
- * 화장실 이용 후
- * 기저귀 교체 후
- 음식 섭취: 음식을 충분히 가열하여 익혀 먹는 것이 좋다.
A형 간염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감염 예방을 위해 추가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생수나 익히지 않은 채소 등 비가열 식품의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다.[80] 만약 식품을 통해 A형 간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식품에 대한 검사가 강화될 수 있다.[84]
7. 역학
A형 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그 분포는 지역의 위생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74]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40만 명이 A형 간염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추정되며[4], 2015년에는 급성 A형 간염으로 약 11,200명이 사망했다.[13]
위생 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개발도상국에서는 A형 간염 바이러스(HAV)의 순환 수준이 높아 많은 사람들이 어린 시절 감염되어 자연 면역력을 얻는 경우가 많다.[60] 이 때문에 해당 지역의 청소년과 성인은 이미 면역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흔하다.[60] 반면, 상하수도 시설이 잘 갖춰진 선진국에서는 바이러스 순환 수준이 낮아 인구 대부분이 항체를 보유하지 않아 감염에 취약할 수 있다.[60] 위생 환경이 개선되는 과정에 있는 중간 소득 국가의 성인 역시 감염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60]
미국에서는 CDC에 보고되는 A형 간염 사례가 1997년 30,000건 이상이었으나, 이후 예방 접종 등의 노력으로 연간 2,000건 미만으로 감소했다.[61]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지역이나 환경에서는 여전히 집단 발병이 발생할 수 있다.
7. 1. 세계 현황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억 1,400만 명이 A형 간염에 감염되며[11], 이 중 약 1,400만 명에게서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90][4] 감염은 주로 오염된 식수나 식품을 통해 이루어지며, 대변-구강 경로나 드물게 혈액(주사기 공동 사용, 수혈)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 특히 덜 익힌 조개류 섭취가 주요 감염 경로 중 하나로 지목된다.[88] 감염된 사람과의 밀접한 접촉으로도 전염될 수 있다.[86]2015년에는 급성 A형 간염으로 인해 11,200명이 사망했다.[13] 간염의 위험성을 알리고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매년 7월 28일은 세계 간염의 날로 지정되어 있다.
A형 간염 바이러스(HAV)는 전 세계에 분포하며, 발생률은 지역의 위생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상대적으로 위생 환경이 열악하거나 오염된 물을 사용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바이러스 순환 수준이 높다.[60] 이러한 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아이들이 10세 이전에 감염되어 자연 면역을 얻게 되므로, 청소년과 성인은 이미 면역력을 가진 경우가 많다.[90][60] 따라서 풍토병처럼 존재하며 대규모 유행은 드물다.
반면, 선진국에서는 상하수도 시설이 잘 갖춰져 있고 위생 수준이 높아 바이러스 순환 수준이 낮다.[60] 이 때문에 인구 대부분이 면역력이 없으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출생 세대는 항체 보유율이 낮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오염된 음식이나 해외여행 등을 통해 바이러스가 유입될 경우 집단 발병이 발생할 수 있다.[90] 특히, A형 간염 유행 지역(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으로 해외 여행을 다녀온 후 감염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위생 환경이 개선되는 과정에 있는 국가나 지역에서는 대규모 유행이 발생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1988년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에서는 오염된 조개 섭취로 인해 약 30만 명 규모의 대유행이 있었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A형 간염 위험도에 따라 지역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예방 접종 전략을 다르게 권고하고 있다.[74]
일본과 같은 저위험 지역에서는 개발도상국으로 중·장기(1개월 이상) 체류하는 사람, 특히 40세 이하에게 접종이 권장되고 있다.[82] 하지만 해외여행 외에도 국내에서 산발적인 발병이 발생할 수 있어, 정기 접종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83]
7. 2. 대한민국 현황
위생 환경이 개선되면서 과거와 달리 어린 시절 A형 간염 바이러스(HAV)에 노출될 기회가 줄어들었다. 이는 전반적인 감염률 감소로 이어졌지만, 동시에 젊은 성인층의 항체 보유율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다.[90]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20~40대를 중심으로 항체 보유율이 낮은 경향이 나타나 감염에 취약한 인구 집단이 형성되었다.위생 환경이 개선되는 과정에 있는 국가나 이미 위생 수준이 높은 선진국에서는 오히려 A형 간염의 집단 발병이나 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 과거 1988년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에서는 오염된 재첩 (Anadara subcrenatala) 섭취로 인해 30만 명 이상이 감염되는 대규모 유행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37] 이는 위생 환경 변화와 항체 미보유 인구 증가가 맞물릴 경우 대규모 유행으로 번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선진국에서는 해외여행 중 감염되거나 오염된 수입 식품을 통해 감염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A형 간염은 잠복기가 약 1개월로 길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감염자가 감염원 역할을 하여 식품 등을 통해 집단 발병을 일으킬 수 있으며, 때로는 감염 경로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7. 3. 유행 사례
고대에는 히포크라테스가 "유행성 황달"으로 기록했다고 전해진다.[74]A형 간염 바이러스(HAV)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감염력이 비교적 강하다. 환자 발생 수는 거주 환경의 위생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상하수도 시설이 잘 갖춰진 선진국에서는 발생 빈도가 낮지만, 위생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는 만연하는 경향이 있다. 위생 환경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는 주로 유아기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 큰 유행은 드물다. 반면, 위생 환경이 개선되는 과정에 있는 지역에서는 항체 보유율이 낮은 인구 집단에서 대규모 유행이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1988년 중국 상하이에서 오염된 강에서 잡은 재첩(''Anadara subcrenata'') 섭취로 인해 30만 명 이상이 감염된 사례가 있다.[37]
위생 환경이 잘 정비된 선진국이나 도시 지역에서는 주민들의 항체(HA 항체) 보유율이 낮아 집단 발생이 나타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매년 봄철에 감염자 수가 증가하는 계절성을 보이지만, 그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출생 세대는 A형 간염 항체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이들이 A형 간염 유행 지역인 남아시아나 아프리카 등으로 해외 여행을 갔다가 감염되는 사례가 많다. 또한 오염된 수입 식품을 통한 감염도 우려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97년 CDC에 30,000건 이상의 A형 간염 사례가 보고되었으나, 이후 예방 접종 등의 노력으로 연간 보고 건수는 2,000건 미만으로 크게 감소했다.[61]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집단 발병 사례가 보고되었다.
- 2003년 미국 간염 유행: 2003년 말, 오하이오주 북동부와 펜실베이니아주 남서부에서 최소 640명이 감염되고 4명이 사망했다. 이 유행은 펜실베이니아주 모나카에 위치한 Chi-Chi's 레스토랑에서 제공된 오염된 쪽파가 원인으로 지목되었다.[64][65]
- 코스트코 관련 유행:
- 2013년 6월, 미국 코스트코에서 판매된 냉동 베리로 인해 최소 158명이 감염(69명 입원)되었고, 해당 제품은 리콜되었다. 약 24만 명이 이 제품을 구매한 것으로 추정된다.[66][67]
- 2015년 2월, 호주에서도 코스트코에서 판매된 냉동 베리 섭취 후 최소 19명이 감염되어 관련 제품이 리콜되었다.[69]
- 2016년 4월, 캐나다에서 코스트코 냉동 베리로 인해 최소 13명이 감염(3명 입원)되면서 다시 리콜 조치가 이루어졌다.[68]
- 2017년 미국 유행: 캘리포니아주(특히 샌디에고 주변), 미시간주, 유타주 등에서 A형 간염이 유행하여 800명 이상이 입원하고 40명이 사망했다.[70][71][72]
- 켄터키주 유행 (2017-2019): 2017년 11월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유행은 미국에서 가장 광범위한 사례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2018년 7월까지 켄터키주 내 카운티의 48%에서 최소 1건 이상의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총 의심 사례는 969건, 사망자는 6명이었다(루이빌에서 482건 발생).[62] 2019년 7월까지 누적 감염자는 5,000명, 사망자는 60명으로 증가했으나, 이후 발생 건수는 크게 줄어들었다.[63]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잠복기가 약 1개월로 길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감염자가 자신도 모르게 식품 등을 오염시켜 집단 발생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때로는 정확한 감염원을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참조
[1]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McGraw Hill
[2]
웹사이트
Hepatitis MedlinePlus
https://medlineplus.[...]
2020-06-19
[3]
논문
Hepatitis A vaccine in the last-minute traveler
[4]
논문
Hepatitis A.
http://www.aafp.org/[...]
2012-12-01
[5]
논문
Shellfish-borne viral outbreaks: a systematic review.
2013-03
[6]
서적
The Encyclopedia of Hepatitis and Other Liver Diseases
https://books.google[...]
Infobase
[7]
웹사이트
Hepatitis A outbreaks bring back focus on vaccination in Kerala
https://www.thehindu[...]
thehindu
2024-01-01
[8]
웹사이트
Viral hepatitis could cause liver cancer: Here's what you need to know about prevention and treatment
https://economictime[...]
theeconomictimes
2023-01-01
[9]
웹사이트
Indian Immunologicals unveils indigenously developed Hepatitis A vaccine
https://www.thehindu[...]
theeconomictimes
2024-01-01
[10]
논문
Hepatitis A immunisation in persons not previously exposed to hepatitis A.
[1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12]
웹사이트
Hepatitis A Fact sheet N°328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07
[13]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08
[14]
웹사이트
Hepatitis A Symptoms
http://www.emedicine[...]
eMedicineHealth
2007-05-17
[15]
논문
Clinical course and consequences of hepatitis A infection
[16]
웹사이트
Hepatitis A Information for the Public
https://www.cdc.gov/[...]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09-09-17
[17]
웹사이트
Hepatitis A
https://www.who.int/[...]
2014-02-20
[18]
서적
Hepatology: A clinical textbook
Flying publisher
2012
[19]
웹사이트
Rename12 ''Picornavirus'' species
https://ictv.global/[...]
2014-07-07
[20]
간행물
Virus taxonomy. Seventh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Academic Press, San Diego. p672
https://ictv.global/[...]
[21]
웹사이트
Viral Zone
http://viralzone.exp[...]
ExPASy
[22]
웹사이트
Virus Taxonomy: 2014 Release
http://ictvonline.or[...]
[23]
웹사이트
Virus Taxonomy: 2019 Release
https://ictv.global/[...]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24]
논문
Evolutionary origins of hepatitis A virus in small mammals
2015-12-08
[25]
논문
Discovery of a novel hepatovirus (Phopivirus of seals) related to human hepatitis A virus
[26]
웹사이트
Genus: ''Hepatovirus''
https://talk.ictvonl[...]
[27]
논문
A novel hepatovirus identified in wild woodchuck ''Marmota himalayana''
[28]
논문
Genetic characterization of wild-type genotype VII hepatitis A virus
2002-01
[29]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complete genomic sequence of genotype II hepatitis A virus (CF53/Berne isolate)
https://www.microbio[...]
2004-10-01
[30]
논문
Characterization of hepatitis A virus isolates from subgenotypes IA and IB in Rio de Janeiro, Brazil
2002-01
[31]
논문
Bayesian coalescent inference of hepatitis A virus populations: evolutionary rates and patterns
2007-11
[32]
논문
Full length genomes of genotype IIIA Hepatitis A Virus strains (1995–2008) from India and estimates of the evolutionary rates and ages
2009-12
[33]
논문
Genetic variability and molecular evolution of hepatitis A virus
2007-08
[34]
논문
Genetic variability of hepatitis A virus
2003-12
[35]
논문
Low efficiency of the 5' nontranslated region of hepatitis A virus RNA in directing cap-independent translation in permissive monkey kidney cells
1994-08
[36]
논문
Hepatitis A virus mutant spectra under the selective pressure of monoclonal antibodies: codon usage constraints limit capsid variability
2008-02
[37]
서적
Medical Microbiology
Elsevier Mosby
2005
[38]
논문
Fine-tuning translation kinetics selection as the driving force of codon usage bias in the hepatitis A virus capsid
2010-03
[39]
논문
Part 2: Testing guidelines for individual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 Hepatitis A, B, and C
BMJ Group
2006-12
[40]
논문
Hepatitis A
http://www.aafp.org/[...]
[41]
논문
Viruses and bivalve shellfish
[42]
웹사이트
Hepatitis 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10-25
[43]
논문
Changing travel-related global epidemiology of hepatitis A
2005-10
[44]
논문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on worldwide hepatitis A virus seroprevalence patterns
[45]
논문
Host immune response to hepatitis A virus
[46]
논문
Tests of Liver Injury
[47]
웹인용
Hepatitis A — Prevention
http://www.nhs.uk/Co[...]
National Health Service (England)
2012-03-21
[48]
논문
Hepatitis A vaccines
2008-07
[49]
웹사이트
Hepatitis A: Vaccine Licensed
https://www.historyo[...]
2021-02-06
[50]
논문
Maurice Hilleman: Creator of Vaccines That Changed the World
2018
[51]
웹인용
Hepatitis A Vaccine: What you need to know
https://www.cdc.gov/[...]
CDC
2007-03-12
[52]
서적
Mass Vaccination: Global Aspects — Progress and Obstacles
[53]
논문
Changing epidemiology of hepatitis A and hepatitis E in urban and rural India (1982-98)
2001-12-21
[54]
논문
Impact of Hepatitis A vaccination with a two-dose schedule in Panama: Results of epidemiological surveillance and time trend analysis
Elseiver
2015-06-22
[55]
논문
Hepatitis A surveillance and vaccine use in China from 1990 through 2007
[56]
논문
Surveillance for acute viral hepatitis — United States, 2007
https://www.cdc.gov/[...]
2009-05
[57]
웹사이트
Hepatitis A Questions and Answers for Health Professionals
https://www.cdc.gov/[...]
2018-08-15
[58]
웹사이트
Men Who Have Sex with Men
https://www.cdc.gov/[...]
2017-12-13
[59]
웹사이트
AABB
https://www.aabb.org[...]
2017-09-22
[60]
논문
Hepatitis A virus seroprevalence by age and world region, 1990 and 2005
2010-09-24
[61]
웹사이트
Hepatitis A Information for Health Professionals — Statistics and Surveillance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01-28
[62]
뉴스
Officials: Kentucky's hepatitis A outbreak now worst in US
http://www.wkyt.com/[...]
Associated Press
2018-06-30
[63]
뉴스
Hepatitis A numbers down in Kentucky; health officials still urge vaccination
https://www.wkyt.com[...]
WKYT
2020-09-01
[64]
논문
Hepatitis A outbreak associated with green onions at a restaurant—Monaca, Pennsylvania, 2003
https://www.cdc.gov/[...]
2003-11
[65]
논문
An outbreak of hepatitis A associated with green onions
2005-09
[66]
뉴스
118 sickened in hepatitis A outbreak linked to berries
https://www.usatoday[...]
2013-06-18
[67]
웹사이트
Outbreak Case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10-28
[68]
뉴스
Recalled Costco frozen berries linked to 13 cases of Hepatitis A
https://www.thestar.[...]
2016-04-19
[69]
뉴스
Frozen berries Heptitus A scare
http://www.abc.net.a[...]
2015-02-17
[70]
웹사이트
Utah's hepatitis A outbreak among the homeless is one of three big flare-ups around the country
http://www.sltrib.co[...]
The Salt Lake Tribune
2017-11-21
[71]
웹사이트
San Diego is struggling with a huge hepatitis A
http://wordrange.us/[...]
2017-09-25
[72]
뉴스
Grim conditions in public restrooms hurt fight to halt deadly hepatitis outbreak in San Diego
http://www.latimes.c[...]
2017-09-25
[73]
웹사이트
A型肝炎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74]
웹사이트
A型肝炎について
https://www.city.yok[...]
横浜市健康福祉局衛生研究所感染症・疫学情報課
2022-02-19
[75]
웹사이트
A型肝炎の集団感染、有機栽培の生鮮イチゴが原因か FDA
https://www.cnn.co.j[...]
CNN
2022-05-31
[76]
웹사이트
感染拡大中のA型肝炎を見逃すな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オンライン
2018-09-25
[77]
웹사이트
2012年第1週から2018年第33週までの感染症発生動向調査におけるA型肝炎の報告状況
https://www.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
[78]
웹사이트
感染症についての情報 A型肝炎
https://www.forth.go[...]
FORTH 厚生労働省検疫所
[79]
간행물
急性ウイルス性肝炎 A型,E型
https://www.med.or.j[...]
日医雑誌
[80]
웹사이트
A型肝炎(Hepatitis A)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22-02-19
[81]
웹사이트
トラベラーズワクチンとしてのA型肝炎ワクチン
https://www.niid.go.[...]
国立感染症研究所
[82]
웹사이트
FORTH 海外渡航のためのワクチン
https://www.forth.go[...]
厚生労働省
[83]
웹사이트
A型肝炎ワクチン
http://www.know-vpd.[...]
Know VPD!
[84]
뉴스
A型肝炎発生の豪州、食品検査の基準強化を検討
https://www.afpbb.co[...]
AFP
2015-02-18
[85]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https://archive.org/[...]
McGraw Hill
[86]
저널
Hepatitis A.
http://www.aafp.org/[...]
2012-12-01
[87]
저널
Hepatitis A vaccine in the last-minute traveler
[88]
웹인용
Shellfish-borne viral outbreaks: a systematic review
https://www.semantic[...]
[89]
서적
The Encyclopedia of Hepatitis and Other Liver Disease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6
[90]
저널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https://www.ncbi.nlm[...]
2016-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