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란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적란운은 국제운표의 기본 운형 중 하나로, 적운과 난운을 합쳐 Cumulonimbus로 표기하며, 쌘비구름, 소나기구름, 천둥구름 등으로 불린다. 이 구름은 뇌우를 동반하며, 수 km에서 10km 크기로 발달하여 30분에서 1시간 정도 지속된다. 적란운은 물방울, 빙정으로 구성되며, 웅대 적운에서 빙정이 형성되면서 변화한다. 적란운은 발달, 성숙, 소멸 단계를 거치며, 강한 비, 번개, 우박, 돌풍을 동반하여 항공기 운항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여름철에 집중호우와 관련하여 발생하며, 기후 변화로 인한 극한 기상 현상과도 연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악천후 - 화이트아웃
화이트아웃은 눈보라, 폭설, 지표면 안개로 시야가 극도로 제한되어 지평선이 사라지고 공간이 흰색으로 보이는 현상으로, 극지방이나 고산지대에서 자주 발생하며 등산객, 운전자, 조종사에게 위험을 초래한다. - 악천후 - 습수
습수는 온도와 습도의 관계를 섭씨 온도로 나타내는 지표로, 상대 습도가 100%일 때 0℃가 되며 기상 예보에서 비나 안개 예측에 활용된다. - 구름 - 모루구름
모루구름은 적란운이 상승 기류를 타고 대류권 계면에 도달하여 옆으로 퍼지면서 형성되는 구름으로, 뇌우, 우박, 폭우, 강풍, 토네이도 등의 위험 기상 현상을 동반하며, 뇌우 종류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 구름 - 버섯 구름
버섯 구름은 대규모 폭발, 특히 핵폭발 시 고온 기체가 상승하며 주변 공기를 끌어당겨 형성되는 특징적인 구름 형태로, 핵무기의 파괴력을 상징하며 화산 폭발 시에도 유사한 형태가 나타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적란운 | |
---|---|
구름 정보 | |
이름 | 적란운 (積亂雲) |
영어 이름 | Cumulonimbus |
약어 | Cb |
기호 | [[파일:CL 3.png|20px|CL3]] 또는 [[파일:CL 9.png|20px|CL9]] |
어원 | 라틴어 "cumulus" (더미) + "nimbus" (비) |
종 | Calvus (뭉게구름형) Capillatus (머리털형) |
고도 | 500–16,000 미터 |
높이 | 수직 |
모양 | 짙은 밑면과 인상적인 수직 성장력을 가진 폭풍 구름 |
강수 | 매우 흔함 (비, 눈, 싸락눈, 또는 우박, 때때로 강함) |
특징 | 매우 크고 위로 성장함 |
이미지 | |
![]() | |
![]() |
2. 명칭
국제운표에 따른 10가지 기본 운형 중 하나이다. 라틴어 학술명은 "cumulus"(적운)와 "nimbus"(우운, 난운)를 조합한 "Cumulonimbus"(큐물로닌버스)이며, 약호는 '''Cb'''이다.[17][18]
적란운은 높이 솟아오르며, 전형적으로 더 작은 적운을 동반한다. 운저는 수 킬로미터(km)에 걸쳐 넓게 퍼지거나, 수십 미터(m) 정도로 작을 수도 있으며, 대류권 내의 낮은 고도에서 높은 고도까지 차지한다. 대략 200m 에서 4000m 고도에서 형성된다. 일반적인 운정은 보통 12000m에 이르며,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은 20000m 정도를 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21000m 이상으로 높다고 알려져 있다.[2][3]
일본에서는 여름에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여름의 정경으로 여겨지며, "적란운", "입도운", "소나기 구름"은 하이쿠에서 여름의 계절어가 된다.[37][38][39]
3. 특징
잘 발달된 적란운은 윈드 시어 또는 기온 역전에 의해 발생된 납작한 모루구름 모양의 상단(모루 돔)이 특징이며, 이는 평형 고도 근처의 대류권계면에서 발생한다. 모루의 선반은 주요 구름의 수직 요소보다 수 킬로미터(km) 앞서 형성될 수 있으며, 번개를 동반한다. 때때로, 상승하는 기류 덩어리는 (운동량 때문에) 평형 고도를 초과하여 오버슈팅 톱을 형성하며, 이는 최대 기류 고도에서 정점에 이른다. 수직으로 발달할 때, 이 모든 구름 중에서 가장 큰 구름은 일반적으로 세 구름 영역을 모두 통과한다. 가장 작은 적란운조차도 주변 구름을 압도한다.
적란운 폭풍 세포는 대류성의 쏟아지는 비 (종종 강수 띠 형태로 나타남)와 돌발 홍수를 일으킬 수 있으며, 강풍도 동반할 수 있다. 대부분의 폭풍 세포는 약 20분 후에 강수로 인해 상승 기류보다 더 많은 하강 기류가 발생하여 에너지가 소멸되면서 소멸된다. 그러나 지구 대기에 충분한 불안정과 수분이 있는 경우(예: 더운 여름날), 한 폭풍 세포에서 뿜어져 나오는 수분과 돌풍 전선은 몇 킬로미터(km) 떨어진 곳에서 새로운 세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은 뇌우의 형성(및 쇠퇴)을 몇 시간 또는 며칠 이상 지속되게 한다. 적란운은 특히 강한 강설량과 눈보라 조건을 동반하는 "뇌설"이라고 하는 위험한 겨울 폭풍으로 발생할 수도 있으며, 강한 바람과 함께 가시성을 더욱 감소시킨다. 그러나 적란운은 열대 지역에서 가장 흔하며, 중위도의 따뜻한 계절에는 습한 환경에서도 자주 발생한다.[10] 적란운 하강 기류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 폭풍은 하부브이다.
구름은 대류권에서 물의 이슬점 온도에 도달하고 응결핵이 존재할 때 형성된다. 대기는 역동적인 시스템이며, 난류, 지각 융기 및 기타 매개변수의 국지적 조건은 다양한 유형의 구름을 발생시킨다.
적란운은 농밀한 물방울이나 빙정으로 이루어진 운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개 구름의 윤곽이 뚜렷하고, 햇빛을 받는 부분은 흰색으로 빛나 눈부시지만 그림자 부분은 어둡고, 상부는 농밀한 권운처럼 윤곽이 흐릿한 부분을 가지며, 하부는 어둡고 검은색을 띤다.[14][16] 적란운이 하늘의 대부분을 덮으면, 낮에도 상당히 어두워질 수 있다.
대부분 뭉게뭉게 부풀어 오른 운정은 일정한 높이에서 천장에 부딪힌 듯이 수평으로 퍼지는 모루구름이 된다. 운정 부근에는 베일과 같은 두건구름이나 베일구름이 붙어있는 경우도 있다.[16][14]
운저는 수평이지만 울퉁불퉁하며, 운저 아래에는 때때로 부서진 형태의 조각구름이나 롤 형태의 아치구름이 보인다.[14]
적란운의 운저는 대체로 (위도에 관계없이) 지표면으로부터 고도 2,000 m의 범위 내에 있으며, 대부분은 (중위도에서) 600m 에서 1500m 정도이다. 운정은 종종 (중위도에서) 10킬로미터(km)를 초과한다. 운저에서 운정까지의 높이는 (중위도에서) 보통 3000m 이상이며, 드물게 15000m에 달하기도 한다.[14][19]
적란운은 주변 대기의 불안정을 배경으로 발달한 대류에 의해 수직으로 성장한다. 모루구름처럼 운정이 수평으로 퍼지는 것은, 대류권계면의 높이에 도달하면 그 위의 성층권이 강한 안정 성층을 이루어 그 이상으로 발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개별 적란운이나 그 대류의 수평 방향 크기는 5km 에서 15km 정도이며, 지속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정도이다. 슈퍼셀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것은 단독으로도 100km에 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적란운이 모여 활동하는 멀티셀은 20km 에서 100km 정도, 1시간에서 3시간 정도가 되며, 선상 강수대를 형성하는 대류 활동은 50km 에서 200km에 달한다.
적란운은 극지에서의 발생은 드물지만, 열대나 온대에서 자주 보이며, 대류가 활발한 열대 수렴대의 강우는 주로 적란운에 의해 발생한다.[23]
3. 1. 웅대 적운과의 차이점
빙정의 형성은 웅대운(웅대적운)이 더욱 발달하여 적란운이 되는 핵심적인 변화이다.[15][23] 매끄럽던 운정의 윤곽이 흐릿해지거나 털이 돋아나는 변화는 빙정이 존재함을 나타낸다.[23] 운정의 윤곽이 흐릿한 것은 무모운, 털이 돋아난 것은 다모운이라고 부른다.
쇠털 모양 구름이 아닌 적란운과 웅대운은 외관상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적운에는 없는 뇌우나 우박 동반 여부가 판단 기준이 된다.[24][25]
기상 레이더 관측 자료를 통해서도 웅대 적운과 적란운을 구별할 수 있다. μm(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운립은 기상 레이더에 잡히지 않지만, 적란운(뇌운)은 개별적으로 활동하며 성쇠하는 에코 셀이 떼를 지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발생 후 약 10분 뒤 상공의 약한 에코가 처음 포착되고, 상하로 확대되어 강해진다. 상공에 강한 에코가 생겨 15분 정도 지나면 지상에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점차 강해졌다가 약해지는 과정을 밟는다. 통계적으로 에코정(에코의 최상부)이 -20℃ 이하의 층까지 발달하면 번개를 동반한 뇌운이 된다.
3. 2. 발달 단계
일반적으로 적란운은 형성을 위해 습기, 불안정한 공기 덩어리, 그리고 상승력이 필요하다. 적란운은 전형적으로 세 단계를 거치는데, '''발달 단계''', '''성숙 단계''', 그리고 '''소멸 단계'''이다.[11] 대기 중에 존재하는 조건에 따라, 이 세 단계를 거치는 데 평균 30분이 걸린다.[12]
적운에서 성장하는 단계로, 상승류에 의해 상방으로 구름이 발달해 간다. 상승류는 보통의 적란운에서 10m/s 정도, 강한 것은 30m/s에서 40m/s에 달할 정도로, 관찰하고 있으면 눈으로 알 수 있을 정도의 속도로 솟아오르는 것도 있다. 구름 속은 아직 상승류뿐이다. 물방울이나, 0℃ 이하의 층에서는 일부에 빙정을 포함하는 구름 입자가 생겨 커져간다. 빗방울 크기에 달하는 것도 있지만 적고, 상승류에 떠 있다.
성숙기는 하강 기류가 생겨 상승 기류와 공존하는 단계이다. 많은 구름 입자가 빗방울이나 눈송이 크기로 성장하여, 상승 기류보다 자중에 의한 낙하 속도가 더 커져 낙하하기 시작하는 것이 나타난다. 많은 입자가 낙하하면 공기를 아래로 밀어내는 효과(로딩, loading)로 하강 기류가 시작된다. 로딩은 빗방울이나 눈송이가 용해 또는 증발함에 따라 주변 공기로부터 증발열을 빼앗아 냉각되는 것도 원인이 된다.
이와 병행하여 발달한 구름에서는 상부에서 빙정 형성이 시작되어, 그것이 눈송이와 얼음 입자로 성장해 간다. 0℃ 이하의 층에 있는 구름 입자는 주로 과냉각 물방울로 구성되지만, 비교적 큰 눈송이와 얼음 입자는 낙하하면서 부딪힌 과냉각 물방울을 표면에 부착시켜 얼려 크게 성장하고 (구름 입자 포착 성장, 라이밍), 싸락눈이 된다. 이 과정에서 특히 커진 것과, 더 나아가 낙하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0℃ 이상의 층에 들어가 싸락눈의 표면이 녹은 후,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해 다시 0℃ 이하의 층에 들어가 얼고, 다시 포착 성장을 몇 번이나 반복하여 적층 구조가 된 얼음 덩어리가 우박이 된다. 따뜻한 때에는 0℃ 이상의 층에서 눈송이와 일부 싸락눈은 녹아 비가 된다.
남은 상승 기류는 더 구름을 상부로 발달시킨다. 때로는 권계면에 도달하여 상부가 수평으로 퍼져 두꺼비집 구름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하강 기류와 함께 많은 비 또는 눈이 지상으로 낙하하여 강수가 강해진다.
많은 적란운에는 번개가 보이는데, 구름 내에서의 강수 입자의 낙하, 특히 싸락눈의 작용이 구름 내의 대전과 관련되어 있다.
소멸 단계는 상승 기류가 사라지고 하강 기류가 강해지면서 구름이 사라지는 단계이다. 하강 기류가 축적된 냉기는 지상에 도달하면 수평으로 퍼져 주변으로 흘러나온다(냉기 외출류). 냉기 외출류는 주변의 비교적 따뜻한 공기와 충돌하여 한랭 전선과 유사한 구조의 충돌면을 형성하며, 냉기가 온기를 밀어내는 듯이 이동한다. 이 작은 전선을 가스트 프론트라고 부르며, 부근에서는 돌풍이 불기도 한다.
상승 기류가 사라지고 하강 기류만 남게 되면, 비는 차츰 약해지고, 남은 구름도 증발하여 사라진다.
슈퍼셀은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의 영역이 분리된 것으로, 적란운의 수명이 길어진다.
4. 발생 원인
적란운과 그 전 단계인 적운은 보통 대기의 불안정 상태에서 수직으로 크게 발달한다. 전형적으로 지표면 부근이 따뜻해지는 여름철 맑은 날이나 상공에 한기가 유입되었을 때 잘 발달한다.[10]
예를 들어, 바람이 산을 넘어가거나 지표면이 가열되어 공기가 팽창하면서 위로 올라간다. 위로 올라간 공기는 기압이 낮아져 기온이 내려간다. 주위와 섞이지 않는 단열 과정으로 가정하면, 습도가 100%에 도달하지 않은 공기 덩어리는 1km당 9.8℃씩 온도가 내려간다(건조 단열 감률). 냉각되어 습도 100%에 도달하고(포화) 더 위로 올라가면, 포화된 공기 덩어리는 1km당 약 5℃씩 온도가 내려간다(습윤 단열 감률). 주위 대기는 대략 평균 1km당 약 6℃씩 온도가 내려가는 환경(기온 감률)에 있는데, 매우 건조한 공기라면 계속 올라가면 주위보다 차가워져 상승이 억제되지만, 습한 공기라면 도중에 응결하여 더 긴 거리를 주위보다 따뜻하게 부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상승할 수 있다. 대기는 대개 이러한 상태(조건부 불안정)에 있다. 지표면이 따뜻해지거나 상공이 차가워지면 대기의 기온 감률이 증가하여 공기 덩어리를 더 오래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두꺼운 공기층이 위로 올라간다고 가정하면, 고도가 높아질수록 습도가 낮아지는(엄밀히는 상당온위가 감소하는) 공기층은 윗부분은 포화되지 않고 빠르게 냉각되지만, 아랫부분은 위로 올리는 도중에 포화되어 천천히 냉각된다. 따라서 위로 올릴수록 온도 차가 커져 불안정도가 증대하는 상태(대류 불안정)가 된다.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유입되면 대류 불안정도가 커져 적란운이 발달하기 쉬워진다. 대류 불안정은 공기층을 위로 올리는 기류, 교란이 있으면 불안정하지만 없으면 안정적이므로 포텐셜 불안정, 일사 가열에 의해 발생하기 쉬우므로 열적 불안정이라고도 한다.
적란운의 발생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잠재 불안정이다. 어느 시점의 기온을 나타낸 단면도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지표면의 공기 덩어리는 건조 단열선을 따라 상승 응결 고도(LCL)에 도달하여, 습윤 단열선을 따라 자유 대류 고도(LFC)를 경유하여 평형 고도(EL)에 이른다. 교란이나 가온 상승에 의해 공기를 자유 대류 고도까지 올리면, 그 이후는 공기 자체의 부력에 의해 평형 고도까지 계속 상승한다. 상승 응결 고도는 거의 구름 밑면 고도, 평형 고도는 거의 구름 꼭대기 고도에 해당한다. 그림 중의 대류 억제(CIN)는 그 면적이 대류를 억제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고, 대류 유효 위치 에너지(CAPE)는 그 면적이 대류를 촉진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낸다.
자유 대류 고도(LFC)가 낮을수록 CIN은 작아지고, 적란운(대류)의 "발생 가능성"의 지표로는 500m 고도에서 자유 대류 고도까지의 거리(dLFC)가 자주 사용된다.[26] 불안정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는 CAPE나 쇼왈터 안정 지수(SSI) 등이 사용되며,[26][27] 뇌우의 발생 가능성 및 강도의 척도로는 SSI, 평형 고도 등이 사용된다.[28] 다운버스트나 토네이도의 발생 가능성에도 몇 가지 지표가 있다.[27]
5. 종류
국제 구름 도감(International Cloud Atlas)에 따르면, 적란운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종 (Species)
- 털 없는 구름 (Calvus): 둥근 돔 형태의 꼭대기를 가진 흰색의 덩어리 모양 적란운이다. 털 구름으로 발달하기 전 단계이다.
- 털 구름 (Capillatus): 꼭대기 부분이 털이나 깃털처럼 섬유질 구조를 가진 적란운으로, 권운과 유사한 형태를 띤다.
- 부변종 (Supplementary features)
- 강수운 (Praecipitatio): 비나 눈 등의 강수를 동반하는 적란운이다. 강수 기둥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9]
- 꼬리 구름 (Cauda): 적란운 아래쪽에 꼬리처럼 덧붙은 구름이다.[35]
- 두겁 구름 (Pileus): 적란운 꼭대기에 모자를 씌운 듯한 형태의 구름이다.
- 젖꼭지 구름 (Mammatus): 구름 밑면에 유방 모양의 돌출부가 있는 현상이다.
- 아치 구름 (Arcus): 뇌우 유출의 선두와 관련된 낮고 수평적인 구름 형태이다.[5] 롤 구름과 선반 구름이 있다.
- 깔때기 구름 (Tuba): 구름 기저에서 매달린 기둥 모양의 구름으로, 깔때기 구름 또는 토네이도로 발전할 수 있다. 매우 낮게 드리워질 수 있으며, 때로는 지면에서 20m 정도 높이에 위치하기도 한다.
- 조각 구름 (Pannus): 강수 현상에서 형성되는 프랙투스 종 구름의 하층을 동반한다.[6]
- 베일 구름 (Velum): 적란운 중간 부분 주위에 형성되는 얇은 수평 시트 형태의 구름이다.[7]
- 특수 형태
- 화염 적란운 (Pyrocumulonimbus): 화산 폭발이나 산불과 같이 대기가 아닌 열과 응결 핵의 급속한 증가로 형성되는 구름이다.

6. 영향
적란운은 여러 가지 기상 현상을 동반하여 때때로 심각한 피해를 일으킨다.
뇌우는 보통 여러 적란운이 모여 발생하며, 각 적란운은 30분에서 1시간 정도 지속되지만, 전체적으로는 2~3시간 동안 천둥이 지속될 수 있다. 적란운은 발달기에는 구름 전체에 상승 기류가 있고, 성숙기에는 빗방울이 성장하여 강수가 시작되면서 하강 기류로 바뀐다. 쇠퇴기에는 구름 대부분이 하강 기류로 덮여 비가 계속 내리지만 구름은 점차 사라진다.[10]
구름 속 얼음 알갱이가 부딪히거나, 구름 내부의 +전기와 -전기, 또는 구름 하부의 -전기와 대지의 +전기가 만나면 대량의 전기가 발생하여 번개가 친다. 번개가 치면 주변 공기가 팽창하면서 천둥 소리가 난다. 번개는 매우 빠르지만 소리는 상대적으로 느려 천둥소리가 늦게 들리는 것이다.[10]
적란운은 소나기성 강수를 동반하며, 시간당 수십 mm의 강한 비가 내릴 수 있다. 때로는 우박이나 돌풍을 동반하기도 한다. 층운의 비와는 다르게 강도 변화가 크다.[15][14]
낙뢰는 구름 아래나 주변 10km 범위에서 발생하므로, 천둥 소리가 들리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한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 건물이나 자동차 안이 가장 안전하며, 여의치 않으면 전주나 철탑의 보호 범위 내에서 자세를 낮추는 것이 좋다. 수목은 측격뢰의 위험이 있어 피해야 한다.[20][21][22]
고립된 적란운의 비는 보통 수십 분 정도 지속되지만, 강도가 강할 때는 침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적란운이 조직화되거나, 수렴대가 유지되거나,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하층으로 유입되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강우가 수 시간 이상 지속되면 집중 호우가 발생할 수 있다.
적란운에서 발생하는 돌풍에는 다운버스트와 토네이도 등이 있다. 감쇠기에 하강 기류가 축적된 냉기가 지상에 도달하여 수평으로 퍼지면서 주변의 따뜻한 공기와 충돌하여 가스트 프론트라는 작은 전선을 형성하며, 이 부근에서 돌풍이 불기도 한다.[10] 불안정도가 높을 때는 다운버스트가 발생하여 돌풍 피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구름 하부에 기류의 소용돌이가 생기면 토네이도로 발달할 수도 있는데, 메조사이클론이 있는 슈퍼셀이나 국지적인 전선 부근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29]
슈퍼셀은 상승 기류와 하강 기류 영역이 분리되어 적란운의 수명이 길어진 형태이다. 구름 전체가 천천히 회전하며(메조사이클론), 앤빌 부분과 오버슈트라는 구름 융기 부분이 나타난다.
6. 1. 항공기 운항
적란운은 항공 운항에 여러 가지 위험을 초래한다. 우선, 적란운 내부와 부근에는 강한 난기류와 청천 난류(특히 하강풍)가 발생한다. 이러한 난기류는 항공기의 급격한 움직임을 유발하여 승객과 승무원에게 부상을 입히거나 항공기 구조에 손상을 줄 수 있다.[31] 특히, 다운버스트와 마이크로버스트는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한 바람의 변화를 일으켜 항공기 사고의 주요 원인이 된다. 건조 마이크로버스트는 눈에 보이지 않아 더욱 위험하다.또한, 적란운은 시정 악화를 유발한다. 구름 내부에서는 시야가 거의 확보되지 않으며, 구름 상부에서도 시정이 극도로 저하될 수 있다. 이는 조종사가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안전하게 비행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14]
적란운 내에서는 착빙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 과냉각된 구름 입자가 항공기 표면에 부딪히면서 얼음이 얼어붙는 현상으로, 항공기의 공기역학적 성능을 저하시키고 심각한 경우 엔진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14]
번개 역시 항공기에 위협적이다. 적란운은 강력한 번개를 동반하며, 벼락이 항공기에 직접 떨어지면 기체 손상이나 전자 장비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31] 구름 주변에서는 세인트 엘모의 불과 같은 방전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14]
이러한 위험 때문에 항공기 조종사는 적란운을 최대한 회피해야 한다. 순항 고도보다 높은 적란운을 만났을 때는 자동 조종을 해제하고서라도 우회하는 경우가 있다.[30]
적란운과 관련된 항공 사고 사례도 있다. NLM 시티호퍼 431편 사고는 토네이도를 통과하던 비행기가 추락한 사고이다.
7. 한국에서의 적란운
한국에서 적란운은 주로 여름철에 자주 발생하며, 일본과 유사하게 여름의 정경으로 여겨진다. "적란운", "입도운", "소나기 구름"은 하이쿠에서 여름을 나타내는 계절어로 사용된다.[37][38][39]
적란운은 대류성의 쏟아지는 비(종종 강수 띠 형태로 나타남)와 돌발 홍수를 일으킬 수 있으며, 강풍도 동반한다. 대부분의 적란운은 약 20분 후 소멸되지만, 지구 대기에 충분한 불안정과 수분이 있는 더운 여름날에는 하나의 적란운에서 발생한 수분과 돌풍 전선이 새로운 적란운을 형성하여 뇌우가 몇 시간 또는 며칠 이상 지속될 수 있다. 적란운은 열대 지역에서 가장 흔하며, 중위도의 따뜻한 계절에는 습한 환경에서 자주 발생한다.[10]
겨울철에는 강한 강설량과 눈보라를 동반하는 "뇌설"이라는 위험한 폭풍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강한 바람과 함께 가시성을 더욱 감소시킨다. 적란운 하강 기류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 폭풍은 하부브라고 불린다.
8.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Cumulonimbus, International Cloud Atlas
https://archive.org/[...]
2014-11-28
[2]
웹사이트
Wild World of Clouds
https://spaceplace.n[...]
NASA.com
[3]
웹사이트
Factors Influencing Thunderstorm Height
http://www.theweathe[...]
theweatherprediction.com
2016-07-15
[4]
서적
Species, International Cloud Atlas
https://archive.org/[...]
2014-08-26
[5]
서적
National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Weather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6]
백과사전
Pannus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8-10
[7]
서적
Features, International Cloud Atlas
https://archive.org/[...]
2014-08-26
[8]
웹사이트
Cumulonimbus Incus
http://epod.usra.edu[...]
Universities Space Research Association
2009-08-05
[9]
서적
The Weather Identification Handbook
The Lyons Press
[10]
웹사이트
Flying through 'Thunderstorm Alley'
https://www.nst.com.[...]
2014-12-31
[11]
서적
Extreme Weather
https://archive.org/[...]
Black Dog & Leventhal Publisher
[12]
웹사이트
A Severe Weather Primer: Questions and Answers about Thunderstorms
http://www.nssl.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6-10-15
[13]
문서
『気象観測の手引き』p.51.
[14]
웹사이트
Descriptions of clouds as observed from aircraft > Cumulonimbus
https://cloudatlas.w[...]
WMO
2023-02-23
[15]
문서
『雲・空』pp.100-111.
[16]
문서
『雲・空』pp.176-179.
[17]
웹사이트
Appendix 1 - Etymology of latin names of clouds
https://cloudatlas.w[...]
WMO
2023-02-23
[18]
뉴스
積雲
https://www.bioweath[...]
バイオウェザー
2008-07
[19]
웹사이트
Chapter 15. Observation of clouds
https://library.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7-01-01
[20]
학술논문
1991年度藤原賞受賞記念講演-人体への落雷と安全対策
https://www.metsoc.j[...]
日本気象学会
1992-04
[21]
학술논문
連載:実践的な人体への落雷防護方法 雷の接近の予知、検知
電気設備学会
2008-10
[22]
웹사이트
雷から命を守るための心得
https://www.saej.jp/[...]
日本大気電気学会
2023-03-06
[23]
웹사이트
Cumulonimbus (Cb) > Explanatory remarks and special clouds
https://cloudatlas.w[...]
WMO
2023-02-23
[24]
웹사이트
雲の種類とその特徴を教えてください。
https://official.rik[...]
理科年表
[25]
웹사이트
Main differences between Cumulonimbus and similar clouds of other genera
https://cloudatlas.w[...]
WMO
2023-03-05
[26]
문서
「シビア現象の監視・予測について」、pp.58, 60.
[27]
웹사이트
主な大気パラメータについての解説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2-08-16
[28]
문서
「シビア現象の監視・予測について」、pp.9, 58, 60.
[29]
웹사이트
竜巻などの激しい突風とは
https://www.jma.go.j[...]
気象庁
[30]
서적
『航空知識のABC』1996年
[31]
서적
『航空知識のABC』1996年
[32]
문서
『雲・空』p.12.
[33]
웹사이트
Cloud classification summary
https://cloudatlas.w[...]
WMO
2017-01-01
[34]
문서
日本語訳未確定。壁雲などの案がある。
[35]
문서
日本語訳未確定。尻尾雲などの案がある。
[36]
문서
日本語訳未確定。流入帯雲(りゅうにゅうたいうん)などの案がある。
[37]
웹사이트
積乱雲
2023-02-23
[38]
웹사이트
入道雲
2023-02-23
[39]
웹사이트
夕立雲
2023-02-23
[40]
간행물
집중호우
대한민국 기상청
20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