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강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강읍은 경상북도 경주시의 읍으로, 지명은 신라 경덕왕 때 주민의 평안을 염원하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고대에는 음즙벌국이 있었고, 신라 시대에 안강현으로 개칭되어 의창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는 경주부의 속현이 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15개 리로 개편되었다. 1949년 강서면에서 안강읍으로 승격되었고, 1995년 경주시와 경주군 통합으로 경주시 안강읍이 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안강지구대, 안강우체국, 안강역 등이 있으며, 안강초등학교, 안강중학교 등 여러 학교가 위치해 있다. 교통으로는 동해선 안강역과 여러 간선 도로가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주시의 행정 구역 - 내남면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내남면은 1906년 경주군 내남면으로 시작하여 1995년 경주시 내남면으로 확정되었으며, 경주 남산을 포함하고 반구대로 등의 도로가 지나간다. - 경주시의 행정 구역 - 건천읍
경주시 건천읍은 11개 법정리로 이루어진 읍으로, 경부고속선과 동해선이 지나고 주요 도로와 나들목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며, 고분군과 단석산 등 문화재와 관광 명소가 있다. - 1949년 설치 - 전주시
전주시는 전라북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유서 깊은 역사를 지닌 도시로, 후백제의 도읍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완산구와 덕진구로 나뉘어 역사와 전통, 맛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 1949년 설치 - 진주시
진주시는 경상남도 서부 내륙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농복합시로, 진주성 전투, 진주유등축제 등 문화 관광 자원과 진주실크, 진주비빔밥 등의 특산물이 유명하며, 교육 도시로서의 면모도 갖추고 있다. - 경상북도의 읍·면 - 풍기읍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풍기읍은 고려 문종의 태를 묻은 것에서 유래한 풍기군의 중심지로, 풍기인삼과 온천, 희방사 등의 명소, 그리고 다양한 교육 및 교통 시설을 갖춘 읍이다. - 경상북도의 읍·면 - 내남면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내남면은 1906년 경주군 내남면으로 시작하여 1995년 경주시 내남면으로 확정되었으며, 경주 남산을 포함하고 반구대로 등의 도로가 지나간다.
안강읍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읍 |
이름 (한글) | 안강읍 |
로마자 표기 | Angang-eup |
매큔-라이샤워 표기 | Angang-ŭp |
![]() |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45개 행정리 (15개 법정리), 362개 반 |
정부 | |
소속 자치 단체 | 경주시 |
시장 | (정보 없음) |
면적 | |
총 면적 | 139.08 km2 |
인구 | |
총 인구 (2008년) | 33333명 |
인구 밀도 | 240명/km2 |
총 인구 (2022년 3월) | 23907명 |
총 세대 (2013년 12월 31일) | 12,506 |
언어 | |
방언 | 경상도 방언 |
기타 정보 | |
교육 기관 | http://www.gyeongju.go.kr/program/publicsil/condition/lstDetailCondition.asp?Con01Code=47&Kwa01Code=b_angang&T=%B1%B3%C0%B0%B1%E2%B0%FC&N=T |
북경주 행정복지센터 | |
주소 | 경주시 안강읍 비화원로 47 |
홈페이지 | 안강읍 행정복지센터 |
2. 지명 유래
원래 안강은 무인 하천 지역이었으나 칠평천 유수의 변천으로 민가가 형성되었고 신라 경덕왕때 주민의 평안함을 염원하는 뜻에서 "안강"이라 칭하게 되었다고 한다.
진한의 음즙벌국(音汁伐國)이 있었다. 음즙벌국이 신라에 정복되고 이곳에 음즙화현(音汁火縣)과 비화현(比火縣)이 설치되었다. 757년에 비화현을 안강현(安康縣)으로 개칭하고 두 현은 의창군(義昌郡 : 흥해)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때 음즙화현이 안강현에 편입되었다. 1018년에 경주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1391년에 감무를 두면서 경주에서 독립했다가 조선 초기에 다시 경주부(慶州府)의 속현이 되었다. 속현제도가 폐지되면서 안강현 지역은 경주부 강동면(江東面)과 '''강서면(江西面)'''이 되었다.
3. 역사
3. 1. 고대
진한의 음즙벌국(音汁伐國)이 있었다. 음즙벌국이 신라에 정복되고 이곳에 음즙화현(音汁火縣)과 비화현(比火縣)이 설치되었다. 757년에 비화현을 안강현(安康縣)으로 개칭하고 두 현은 의창군(義昌郡 : 흥해)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때 음즙화현이 안강현에 편입되었다. 1018년에 경주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1391년에 감무를 두면서 경주에서 독립했다가 조선 초기에 다시 경주부(慶州府)의 속현이 되었다. 속현제도가 폐지되면서 안강현 지역은 경주부 강동면(江東面)과 '''강서면(江西面)'''이 되었다.
3. 2. 고려 시대
진한의 음즙벌국(音汁伐國)이 있었고, 음즙벌국이 신라에 정복된 후 음즙화현(音汁火縣)과 비화현(比火縣)이 설치되었다. 757년에 비화현을 안강현(安康縣)으로 개칭하고 두 현은 의창군(義昌郡 : 흥해)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때 음즙화현이 안강현에 편입되었다. 1018년에 경주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1391년에 감무를 두면서 경주에서 독립했다가 조선 초기에 다시 경주부(慶州府)의 속현이 되었다. 속현제도가 폐지되면서 안강현 지역은 경주부 강동면(江東面)과 '''강서면(江西面)'''이 되었다.
3. 3. 조선 시대
진한의 음즙벌국(音汁伐國)이 있던 곳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음즙화현(音汁火縣)과 비화현(比火縣)이 설치되었다. 757년에 비화현을 안강현(安康縣)으로 개칭하고 의창군(義昌郡 : 흥해)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때 음즙화현이 안강현에 편입되었다. 1018년에 경주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가, 1391년에 감무를 두면서 경주에서 독립했다. 조선 초기에 다시 경주부(慶州府)의 속현이 되었고, 속현제도가 폐지되면서 안강현 지역은 경주부 강동면(江東面)과 '''강서면(江西面)'''이 되었다.
3. 4. 일제 강점기
1914년 4월 1일 15개리로 개편하였다. 1949년 5월 20일 강서면이 '''안강읍'''으로 승격하였다.
3. 5. 대한민국
진한의 음즙벌국(音汁伐國)이 있었으며, 신라에 정복된 후 음즙화현(音汁火縣)과 비화현(比火縣)이 설치되었다. 757년에 비화현을 안강현(安康縣)으로 개칭하고 두 현은 의창군(義昌郡 : 흥해)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때 음즙화현이 안강현에 편입되었다. 1018년에 경주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1391년에 감무를 두면서 경주에서 독립했다가 조선 초기에 다시 경주부(慶州府)의 속현이 되었다. 속현제도가 폐지되면서 안강현 지역은 경주부 강동면(江東面)과 '''강서면(江西面)'''이 되었다.
4. 지리
동쪽으로 강동면, 서쪽으로 영천시 고경면, 남쪽으로는 강동면, 천북면, 현곡면에 접하고, 북쪽으로는 포항시 북구 기계면과 신광면이 접하고 있다.
5. 행정 구역
wikitable
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비고 |
---|---|---|---|
갑산리 | 甲山里 | 갑산1리, 갑산2리 | |
강교리 | 江橋里 | 강교1리, 강교2리 | |
검단리 | 檢丹里 | 검단1리, 검단2리 | |
근계리 | 根溪里 | 근계1리, 근계2리, 근계3리 | |
노당리 | 老堂里 | 노당1리, 노당2리 | |
대동리 | 大洞里 | 대동리 | |
두류리 | 斗流里 | 두류1리, 두류2리 | |
사방리 | 士方里 | 사방리 | |
산대리 | 山垈里 | 산대1리, 산대2리, 산대3리, 산대4리, 산대5리, 산대6리, 산대7리, 산대8리, 산대9리, 산대10리 | |
안강리 | 安康里 | 안강1리, 안강2리, 안강3리, 안강4리, 안강5리 | 읍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
양월리 | 楊月里 | 양월1리, 양월2리, 양월3리, 양월4리, 양월5리, 양월6리 | |
옥산리 | 玉山里 | 옥산1리, 옥산2리, 옥산3리, 옥산4리 | |
육통리 | 六通里 | 육통1리, 육통2리, 육통3리 | |
청령리 | 靑令里 | 청령리 | |
하곡리 | 霞谷里 | 하곡리 |
5. 1. 법정리 목록
wikitable법정리 | 한자명 | 행정리 | 비고 |
---|---|---|---|
갑산리 | 甲山里 | 갑산1리, 갑산2리 | |
강교리 | 江橋里 | 강교1리, 강교2리 | |
검단리 | 檢丹里 | 검단1리, 검단2리 | |
근계리 | 根溪里 | 근계1리, 근계2리, 근계3리 | |
노당리 | 老堂里 | 노당1리, 노당2리 | |
대동리 | 大洞里 | 대동리 | |
두류리 | 斗流里 | 두류1리, 두류2리 | |
사방리 | 士方里 | 사방리 | |
산대리 | 山垈里 | 산대1리, 산대2리, 산대3리, 산대4리, 산대5리, 산대6리, 산대7리, 산대8리, 산대9리, 산대10리 | |
안강리 | 安康里 | 안강1리, 안강2리, 안강3리, 안강4리, 안강5리 | 읍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
양월리 | 楊月里 | 양월1리, 양월2리, 양월3리, 양월4리, 양월5리, 양월6리 | |
옥산리 | 玉山里 | 옥산1리, 옥산2리, 옥산3리, 옥산4리 | |
육통리 | 六通里 | 육통1리, 육통2리, 육통3리 | |
청령리 | 靑令里 | 청령리 | |
하곡리 | 霞谷里 | 하곡리 |
6. 주요 시설
안강읍에는 여러 공공기관이 위치해 있다. 안강지구대, 안강우체국, 농협중앙회 안강지점, 안강새마을금고, 안강신용협동조합이 있다. 또한 안강보건지소, 농촌공사 안강지소, 경주소방서 안강119안전센터, 예비군 안강읍대가 있다. 이 외에도 농업기술센터 안강농민상담소, KT안강지점, KT&G안강영업소(구 담배인삼공사), 한국전력 안강서비스 센터가 있다.
6. 1. 공공 기관
안강읍에는 여러 공공기관이 위치해 있다. 안강지구대, 안강우체국, 농협중앙회 안강지점, 안강새마을금고, 안강신용협동조합이 있다. 또한 안강보건지소, 농촌공사 안강지소, 경주소방서 안강119안전센터, 예비군 안강읍대가 있다. 이 외에도 농업기술센터 안강농민상담소, KT안강지점, KT&G안강영업소(구 담배인삼공사), 한국전력 안강서비스 센터가 있다.6. 2. 금융 기관
농협중앙회 안강지점, 안강새마을금고, 안강신용협동조합이 있다.6. 3. 기타 시설
안강읍에는 안강지구대, 안강우체국, 농협중앙회 안강지점, 안강새마을금고, 안강신용협동조합 등의 금융기관이 있다. 또한 안강보건지소, 농촌공사 안강지소, 경주소방서 안강119안전센터, 예비군 안강읍대, 농업기술센터 안강농민상담소, KT안강지점, KT&G안강영업소(구 담배인삼공사), 한국전력 안강서비스 센터 등이 위치하고 있다.7. 교육
- 안강초등학교는 안강리에 있다.
- 안강제일초등학교는 양월리에 있다.
- 산대초등학교는 산대리에 있다.
- 옥산초등학교는 옥산리에 있다.
- * 하강분교는 폐교되었으며, 호국로 2037 (하곡리)에 있었다.
- 사방초등학교는 사방리에 있다.
- 안강북부초등학교는 폐교되었으며, 안현로 1853-12 (육통리)에 있었다.
- 안강중학교
- 안강여자중학교
- 안강전자고등학교
- 안강여자고등학교
7. 1. 초등학교
- 안강초등학교는 안강리에 있다.
- 안강제일초등학교는 양월리에 있다.
- 산대초등학교는 산대리에 있다.
- 옥산초등학교는 옥산리에 있다.
- * 하강분교는 폐교되었으며, 호국로 2037 (하곡리)에 있었다.
- 사방초등학교는 사방리에 있다.
- 안강북부초등학교는 폐교되었으며, 안현로 1853-12 (육통리)에 있었다.
7. 2. 중학교
7. 3. 고등학교
- 안강전자고등학교
- 안강여자고등학교
8. 교통
8. 1. 철도
동해선 안강역이 있다.8. 2. 간선 도로
건포산업로, 호국로, 안현로, 형산로, 비화원로, 비화중로, 새안현로, 안강중앙로, 칠평로가 안강읍을 지난다. 감성길, 갑산공단길, 갑산안길, 검곡길, 검단장골길, 곤실길, 구강길, 구부랑1길, 구부랑2길, 구부랑3길, 구부랑4길, 구부랑길, 구부랑두림길, 근계1길, 근계2길, 근계3길, 근계4길, 근계5길, 낙산길, 낙헌1길, 낙헌2길, 널다리길, 대동길, 덕성길, 두류길, 딱실길, 박동길, 밭마을1길, 밭마을2길, 밭마을앞길, 부곡길, 북부리1길, 북부리2길, 북부리3길, 북부리4길, 북부리5길, 비화동길, 사들길, 사박길, 사방거암길, 사방검단길, 사방신기길, 사방안마을1길, 사방안마을2길, 산대금성길, 산대새터길, 산대새터안길, 산대육통길, 산막골길, 석정길, 섬말길, 성산서당길, 세심길, 세정길, 안강시장길, 양월교동길, 양월복개길, 옥산서원길, 와당길, 원곡마을길, 원정길, 육통길, 육통제하길, 육통중앙길, 은행나무길, 존당길, 죽마길, 중부1길, 중부2길, 창말1길, 창말2길, 창말3길, 창말4길, 창말5길, 초제길, 칠평남길, 칠평북1길, 칠평북2길, 칠평북3길, 칠평북4길, 칠평북5길, 표충각길, 피일길, 피일안길, 하곡강교길, 행촌1길, 행촌2길, 향나무길, 호계길, 홍천길, 홍천안길, 화전길, 화전남1길, 화전남2길, 화전남3길, 화전북1길, 화전북2길, 화전북3길, 화전북4길, 화전중앙길, 황새마을길, 회화나무길도 안강읍을 지난다.9. 관련 드라마
참조
[1]
웹사이트
안강읍 Angang-eup 安康邑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17
[2]
웹사이트
ko:교육기관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2009-08-17
[3]
웹인용
안강의 발자취
http://www.imaeil.co[...]
2009-06-05
[4]
웹인용
최민희 교사의 '안강 구성의 현재' 문화강좌
http://m.gjnews.com/[...]
경주신문
2024-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