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성시의 시내버스는 안성시 관내 운수업체인 백성운수가 유일하게 운행하며, 2021년 1월 기준 79개 노선에 97대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용인, 평택, 천안 등 인접 지역의 운수 업체들도 안성시를 경유하는 노선을 운영한다. 안성시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아, 현금, 교통카드, 연령에 따라 요금이 다르며, 수도권의 다른 시내버스 및 전철과의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안성시 관내에는 도시형 버스, 직행좌석 버스 등이 운행되며, 타 지역 면허의 버스 노선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성시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안성시의 교통 - 중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는 경기도 하남시에서 충청북도 청주시를 잇는 총연장 117.2km의 고속도로로, 1985년 착공되어 1987년 서울~대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1년에 고속국도 노선번호 35호선으로 변경되었고, 구간별로 왕복 4차로와 8차로로 운영된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안성시의 시내버스 | |
---|---|
안성시 시내버스 정보 | |
![]() | |
관리 기관 | 안성시청 교통행정과 |
서비스 지역 | 경기도 안성시 |
기타 지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평택시, 용인시, 이천시, 여주시, 충청북도 진천군, 음성군, 충청남도 천안시 |
노선 수 | 78 |
인가 대수 | 112 |
지불 수단 | |
지불 방식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
관련 웹사이트 | |
안성시청 버스 안내 | 안성시청 버스 안내 |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
2. 운수 업체
안성시에서는 백성운수가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용인의 경남여객, 평택의 서울고속, 평택여객, 협진여객, 천안의 새천안교통, 보성여객, 삼안여객 등의 업체가 운행한다.
2. 1. 안성시 관내 운수 업체
백성운수는 안성시 관내에서 유일하게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업체이다. 2021년 1월 기준으로 79개의 시내일반 노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등록된 차량은 총 97대이다.[1]운행업체 | 노선 수 | 등록 대수 |
---|---|---|
백성운수 | 79 | 97 |
2. 2. 타 지역 운수 업체
안성시의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기 때문에, 경기도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수도권 전철 간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3. 요금 체계
3. 1. 요금
안성시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는다. 기본 요금은 현금, 교통카드, 연령(성인, 청소년, 어린이)에 따라 구분된다. 조조할인 요금이 적용된다.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3. 2. 환승 할인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통해 안성시 시내버스와 경기도 다른 지역 시내버스, 수도권 전철 간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4. 버스 노선
백성운수와 평택버스가 안성시 관내 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1]
운행업체 | 보유 노선 수 | 등록 대수 |
---|---|---|
백성운수 | 79 | 97 |
위 표는 2021년 1월 기준 자료이다.[1]
백성운수는 도시형버스를, 평택버스는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한다. 자세한 노선 정보는 각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안성시는 인접 지역(용인, 평택, 천안, 광주) 버스 노선이 활발하게 운행되어, 대중교통을 이용한 지역 간 이동이 편리하다.
- '''용인''' : 경남여객 노선이 운행 중이다.
- '''평택''' : 서울고속, 평택여객, 협진여객 노선이 운행 중이다.
- '''천안''' : 새천안교통, 보성여객, 삼안여객 노선이 운행 중이다.
4. 1. 안성시 차적 버스 노선
안성시 차적 버스 노선으로는 백성운수가 운행하는 도시형 버스와 평택버스가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가 있다.[1]운행업체 | 보유 노선 수 | 등록 대수 |
---|---|---|
백성운수 | 79 | 97 |
상위 표는 2021년 1월 기준 자료이다.[1]
하위 섹션인 '도시형버스'와 '직행좌석버스'에서 각 운행업체별 자세한 노선 정보를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운행업체와 보유 노선 수, 등록 대수 정보만 표로 제시한다.
4. 1. 1. 도시형버스
안성시의 도시형버스는 백성운수에서 모든 노선을 운행한다.[1] 2021년 1월 기준 백성운수는 총 79개의 노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97대의 차량을 등록하여 운행하고 있다.[1]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1 | 안성터미널 | ↔ | 중앙대학교 | 봉산교차로, (구)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대덕면 행정복지센터, 중앙대입구 | 10~15분 | 07:30~22:00 |
1-1 | 하나로마트 | ↔ | 방축리 | 한경국립대학교, 안성산업단지, 대덕초등학교, 보동리 | 6회 | 06:20~21:00 |
1-2 | 안성시청 | ↔ | 신령리 | (구)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안성산업단지, 안골, 중앙대입구 | 4회 | 06:20~18:10 |
1-3 | 안성터미널 | ↔ | 내리·죽리 | 봉산교차로, (구)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대덕면 행정복지센터, 중앙대입구 | 20~40분 | 06:10~21:55 |
1-4 | 하나로마트 | ↔ | 공도터미널 | 봉산교차로, (구)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대덕면 행정복지센터, 중앙대입구, 대림동산, 신두리 | 2회 | 07:00, 15:10 |
1-5 | 안성시청 | ↔ | 비봉주택 | 봉산교차로, (구)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대덕면 행정복지센터, 중앙대입구, 내리 | 3회 | 08:20~18:00 2024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1-6 | 하나로마트 | ↔ | 양성터미널 | 한경국립대학교, 대덕면사무소, 중앙대입구, 대림동산, 송말1-6 1-9 안성 행/새터1-9 양성 행, 덕봉리 | 4회 | 06:20~20:50 |
2회 | ||||||
1-8 | 두원공고 | ↔ | 주정동 | 하나로마트, 한경국립대학교, 대덕면사무소, 중앙대입구, 대림동산, 공도터미널 | 3회 | 06:55~16:50 |
2 | 알파문구 | ↔ | 옥정리 | 봉산교차로, 금광, 한운2-5 2-6, 하현2-5, 연내동 2 | 6회 | 06:30~22:00 |
3회 | ||||||
2회 | ||||||
2-1 | 알파문구 | ↔ | 조령 | 봉산교차로, 금광, (사간, 동막)2-8 | 6회 | 06:10~21:30 |
5회 | ||||||
2-2 | 태영아파트 | ↔ | 홍익아파트 | (금산R→ 서인R / 한경국립대학교← 서인R← 금산R← 한주아파트), 봉산교차로, 터미널, 종합운동장 | 30~50분 | 06:00~21:30 |
2-3 | 태영아파트 | ↔ | 홍익아파트 | (금산R→ 서인R / 한경국립대학교← 시민회관), 봉산교차로, 금광 | 30~50분 | 06:15~22:00 |
2-11 | 성모병원입구 두원공고 | → ← | 홍익아파트 | (안성소방서← 알파문구), 봉산교차로, 금광 | 1회 | 07:20 |
3 | 일죽터미널 | ↔ | 삼성터미널 | 장암리, 화봉리, 대사리 | 12회 60~70분 | 07:00~20:00 |
3-1 | 죽산터미널 | ↔ | 능북리 | 두현리 | 2회 | 07:40, 18:10 |
3-2 | 죽산터미널 | ↔ | 칠장리 | 한겨레고 | 4회 | 06:30~18:30 |
3-3 | 죽산터미널 | ↔ | 배태리 | 두현리, (내장리)죽산 행, 삼죽 | 3회 | 07:30~20:00 |
3-4 | 죽산터미널 | → | 죽산터미널 거곡 | 죽산, 용설리, 거곡, 두원공대, 죽산 | 2회 | 07:00, 19:20 |
3-5 | 죽산터미널 | ↔ | 일죽터미널 | 은석, 죽화초교 | 2회 | 08:30, 12:20 |
3-7 | 일죽터미널 | ↔ | 산북리 | 3회 | 07:10~18:50 | |
3-8 | 일죽터미널 | ↔ | 일죽터미널 | 두문, 노동, 덕현, 신흥 | 3회 | 07:30~17:30 |
3-9 | 일죽터미널 | ↔ | 율동 | 장암리 | 4회 | 06:40~18:10 |
3-11 | 일죽터미널 | ↔ | 장암리 | 장암리 | 2회 | 08:30, 19:30 |
5 | 안성터미널 | ↔ | 독정리입구 | 봉산교차로, 인지사거리, 동광아파트, 제2공단, 미양농공단지, 강덕>현매>(독정)5 | 5회 | 06:30~20:30 |
9회 | ||||||
5-1 | 인지사거리 | → | 인지사거리 구례리 | 인지사거리, 안성소방서, 두원공고, 구례리, 계동, 인지사거리 | 2회 | 06:50, 17:30 |
5-5 | 안성의료원 | ↔ | 금화아파트 | 한경국립대학교, 인지사거리, 동광아파트, 제2공단, 미양농공단지 (복편 금산교차로 경유) | 26회 30분 | 06:10~21:30 |
7 | 안성터미널 | ↔ | 원곡면사무소 | 봉산로타리, (구)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대덕면사무소, 중앙대학교, 대림동산, 공도터미널, 방신리, 양성터미널7-2번 회차, (만세고개, 칠곡리)7 | 4회 | 06:20~21:00 |
양성터미널 | 5회 | |||||
7-1 | 안성터미널 | ↔ | 송정아파트 | 봉산로타리, (구)안성 터미널, 서희스타힐스, 시티프라디움, 대덕면사무소, 중앙대학교, 임광아파트, 베르빌아파트, 대림동산 | 26회 30분 | 06:20~21:20 |
7-3 | 안성터미널 | ↔ | 신용정 (건천리) | 봉산로타리, (구)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대덕면사무소, 중앙대학교, 대림동산, 공도터미널, 태산아파트 | 3회 | 06:00, 10:50, 17:00 |
7-4 | 하나로마트 | ↔ | 산하리 | 한경국립대학교, 안성산업단지, 명당리, 양성터미널, 방신리, 공도터미널, 주정동, 칠곡리, 원곡면사무소, 지문리 | 3회 | 07:40~18:50 |
7-5 | 공도터미널 | ↔ | 양성터미널 | 만정리, 방신리, 삼암리7-7, 양성터미널 | 4회 | 07:30~19:20 |
1회 | ||||||
↔ | 원곡산업단지 | 만정리, 방신리, 양성터미널, 만세고개, 성은리, 산하리, 지문리, 원곡면사무소 | 2회 | |||
7-8 | 임광아파트 | ↔ | 임광아파트 | 베르빌아파트, 대림동산, 송정아파트, 부영아파트, 만정리, 공도터미널, 한일타운, 송정아파트, 대림동산 | 16회 40분 | 06:50~20:00 |
8-1 | 대우경남아파트.안성의료원 | ↔ | 내리삼거리 | 대우경남아파트.안성의료원, 금산주공아파트.수정연립, 대천공판장, (구)안성터미널, 안성우체국, 서희스타힐스, 백성초등학교, 중앙대학로.대학1길 | 30~60분 | 06:25~21:20 |
8-2 | 안성터미널 | ↔ | 법전리 | 봉산로타리, 서희스타힐스, 시티프라디움, 안성경찰서, 두원공고, 미양면사무소, 고지리 | 7회 | 06:40~20:00 |
10-2 | 안성터미널 | ↔ | 신계리 | 봉산로타리, 시민회관, 인지사거리, 안성소방서, 두원공고, 미양면사무소, 하개정 | 21회 20~40분 | 06:30~22:00 |
10-4 | 인지사거리 | → | 보체물류센터 | 도기동, 계동, 제2공단, 보체리입구 | 2회 | 07:40, 17:20 |
10-6 | 인지사거리 | ↔ | 미양면사무소 | 도기동, 계동, 제2공단, 보체초등학교, 영청 | 5회 | 06:20~19:10 |
10-7 | 안성터미널 | ↔ | 개리촌 | 봉산로타리, 시민회관, 인지사거리, 안성소방서, 두원공고, 미양면사무소, 개정초등학교 | 3회 | 09:20~16:00 |
15 | 알파문구 | ↔ | 원삼터미널 | 봉산교차로, 보개면사무소, 가율리, 서삼15-4 회차, 청룡 | 17회 60분 | 06:20~22:00 |
1회 | ||||||
15-1 | 알파문구 | ↔ | 하남 | 봉산교차로, 방죽안, 북좌리, 신안리, 상남 | 6회 | 06:30~20:20 |
15-2 | 알파문구 | ↔ | 가치래미 | 봉산교차로, 보개면사무소, 가율리, 서삼, 경수사입구, 아랫가치래미 | 5회 | 06:20~19:20 |
15-3 | 알파문구 | ↔ | 동양리 | 봉산로타리, 보개면사무소, 신장리, 적가리, 고삼저수지, 서삼 | 4회 | 06:30~18:00 |
17 | 죽산터미널 | ↔ | 광혜원정류장 | 두원공대(입구), 천계리, 칠장사입구, 두교산업단지 | 14회 60분 | 06:15~21:20 |
20 | 안성터미널 | ↔ | 청룡사 | 봉산로타리, 인지사거리, 동광아파트, 서운면사무소, 신흥리, 산평교 | 19회 | 06:20~21:50 |
20-1 | 인지사거리 | ↔ | 독정리 | 봉산로타리, 인지사거리, 동광아파트, 서운면사무소, 사갑, 현매리20-1 | 2회 | 07:35~19:20 |
2회 | ||||||
20-2 | 인지사거리 | ↔ | 인지사거리 서운 | 도기동, 중리, 오촌리, 양촌리, 서운면사무소, 동광아파트, 도기동 | 4회 | 06:20~21:00 중리 선측 20-2번 동광(A) 선측 20-6번 |
6회 | ||||||
35 | (구)터미널 | ↔ | 백암터미널 | 서인사거리, 봉산로타리, 안성터미널, 종합운동장입구, 동아방송대, 삼죽, 율현리, 영곡 | 5회 | 06:30~18:20 |
35-2 | 삼죽 | ↔ | 백암터미널 | 품곡, 율현리, 석천리, 장평삼거리, 영곡 | 4회 | 07:25~21:00 |
37 37-1 | (구)안성터미널 | ↔ | 여주터미널 | (구)터미널, 봉산로타리, 안성터미널, 종합운동장입구, 동아방송대, 삼죽, 죽산터미널, 일죽터미널, 설성초교, 장호원, 점동, 여주대학교, 여주시청 | 20분 | 06:00~21:00 |
38-1 | 알파문구 | ↔ | 기동 | 봉산교차로, 안성터미널, 동신초등학교, 삼강, 상삼리 | 5회 | 06:20~18:00 |
50-1 | 안성터미널 | ↔ | 쌍지리 | 봉산로타리, 대천공판장, 금산로타리, 금석동, 명덕초등학교, 대갈리, 신창, 고삼 | 10회 | 06:10~21:25 |
50-2 | 안성터미널 | ↔ | 사동 | 봉산로타리, 대천공판장, 금산로타리, 금석동, 명덕초등학교, 벌말, 고삼, 쌍지리 | 3회 | 10:20~19:50 |
50-3 | 안성터미널 | ↔ | 쌍령 | 봉산로타리, 대천공판장, 금산로타리, 금석동, 명덕초등학교, 벌말, 고삼, 쌍지리 | 10회 | 06:25~21:55 |
50-5 | 대천공판장 | ↔ | 양성터미널 | 금산로타리, 금석동, 명덕초등학교, 대갈리, 방축리 | 5회 | 06:20~18:10 |
50-6 | 대천공판장 | ↔ | 고삼 | 금산로타리, 금석동, 명덕초등학교>삼한리>대농리>고삼>호동>대갈리>명덕초등학교 | 6회 | 06:25~20:00 |
50-7 | 안성터미널 | ↔ | 미리내성지 | 봉산로타리, 대천공판장, 금산로타리, 금석동, 명덕초등학교, 벌말, 고삼, 노곡리 | 2회 | 08:30, 19:30 |
50-8 | 대천공판장 | ↔ | 미리내성지 | 금산로타리, 금석동, 명덕초등학교, 벌말, 고삼, 하가, 노곡리 | 3회 | 07:00~18:40 |
60 | 안성터미널 | ↔ | 미리내성지 | 봉산로타리, (구)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안성산업단지, 명당리, 양성터미널, 산정리, 장서리, 노곡리, (염티)60-3 | 5회 | 06:10~20:50 |
3회 | ||||||
60-1 | 하나로마트 | ↔ | 무능리 (무어산) | 한경국립대학교, 안성산업단지, 내곡, 능촌 | 4회 | 07:10~18:20 |
70 | 안성터미널 | ↔ | 평택터미널 | 봉산로타리, (구)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중앙대학교, 대림동산, 공도터미널, 진사리입구, 평택대학교, 합정동 | 10분 | 05:40~23:10 |
100 | 알파문구 | ↔ | 장죽리 | 시민회관, 개산리, 마둔 (복편 터미널, 서인사거리 경유) | 13회 60분 | 06:10~21:30 |
100-1 | 알파문구 | ↔ | 발화동 | 시민회관 | 3회 | 07:20~18:10 |
100-2 | 알파문구 | ↔ | 보개도서관 | 시민회관, 내동, 개산리, 금광면사무소, 종합운동장 | 3회 | 11:20~16:30 |
100-3 | 알파문구 | ↔ | 서운면사무소 | 시민회관, 개산리, 오촌리 | 3회 | 09:10~16:00 |
370 | 일죽터미널 | ↔ | 평택터미널 | 죽산터미널, 두원공대, 삼죽, 동아방송대, 안성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중앙대학교, 대림동산, 공도터미널, 진사리입구, 평택대학교, 굿모닝병원 | 25분 | 06:40~20:40 |
380 | 일죽터미널 | ↔ | 평택터미널 | 죽산터미널, 두원공대, 삼죽, 동아방송대, 안성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중앙대학교, 대림동산, 공도터미널, 진사리입구, 평택대학교, 굿모닝병원 | 25분 | 05:30~19:30 안성→평택→일죽→안성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4. 1. 2. 직행좌석버스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기점 | 종점 | 경유지 | 배차간격 (분) | 비고 |
---|---|---|---|---|---|---|
4401 | 평택버스 | 한경국립대학교 | 양재역 | 중앙대학교·롯데캐슬아파트, 대림동산, 공도터미널, 풍림아파트 | 10~45 |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2023년 6월 20일 신설 |
4402 | 평택버스 | 동아방송대학교 | 강남역 | 안성종합버스터미널, 제2산업단지교차로, 양재시민의숲역, 양재역, 뱅뱅사거리 | 25~50 |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2024년 2월 29일 신설 |
8203 | 평택버스 | 안성터미널 | 이천터미널 | 동아방송예대-두원공대-죽산시장-신갈1리(상)/테루미앞(하)-이천역 | 60~80 | 공공버스 전환 예정, 2023년 11월 13일 신설 |
4. 2. 타 지역 차적 버스 노선
안성시는 인접한 여러 지역의 버스 노선이 활발하게 운행되고 있어, 대중교통을 이용한 지역 간 이동이 편리하다.- '''용인''' : 경남여객 노선이 운행 중이다.
- '''평택''' : 서울고속, 평택여객, 협진여객 노선이 운행 중이다.
- '''천안''' : 새천안교통, 보성여객, 삼안여객 노선이 운행 중이다.
4. 2. 1. 광주시 면허
직행좌석직행좌석
(야탑역)
직행좌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