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택여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택여객은 1949년 성호여객자동차공사로 설립되어 평택 ~ 안중 구간의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했다. 2004년 시외버스 사업을 양도하고 2005년 부도 처리되었다. 2006년 시원교통으로 재창립되었으나 노사분규를 겪었고, 2007년 백성운수에 인수되어 현재의 평택여객으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현재 평택시와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도시형 버스와 일반좌석 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하이거 버스와 현대자동차 버스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일본우정
    일본우정은 2006년 우정민영화에 따라 설립된 지주회사로, 우편, 은행, 생명보험 사업을 분할하여 운영하다가 2015년 주식을 상장하고 현재 일본우편, 유초 은행, 간포 생명보험, 톨 그룹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 2006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선진네트웍스
    선진네트웍스는 1989년 성민통운에서 시작하여 2006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운송 사업을 중심으로 물류, 에너지, IT, 건설, 광고기획, 교육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며 특히 경기도 버스 사업에서 KD운송그룹과 경쟁하고 우즈베키스탄에도 진출한 기업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연천교통
    연천교통은 2002년 설립되어 경기도 연천군에서 농어촌버스, 맞춤형 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6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다.
평택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평택여객 주식회사
산업운수업
창립2006년 12월 20일
이전 회사성호여객자동차공사 (1949년~2006년)
시원교통 (2006~2007년)
국가대한민국
장소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안현로서1길 39 (안중리 196-36)
사업 지역안중터미널 영업소: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안현로서9길 14-4 (현화리 838)
죽백동차고지: 경기도 평택시 이화로 160-15 (죽백동)
대표이사양욱모
주주백성운수(주): 38.96%
양욱모: 35.04%
양재영: 7.73%
김석국: 7.73%
한은주: 5.80%
계열사백성운수
제품시내버스

2. 역사

1949년 성호여객자동차공사로 설립된 평택여객은 평택~안중 간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를 운행했다. 2004년 시외버스 사업을 서해고속에 양도하고 시내버스 사업에 주력했으나, 2005년 8월 24일 부도처리되었다.[1] 이후 노사분규와 파행 운행을 겪다가 2006년 12월 20일 용인시 마을버스 운수업체에 인수되어 시원교통으로 재창립되었고,[2] 2007년 백성운수가 인수하여 현재의 평택여객이 되었다. 2016년 6월 1일 일반좌석버스가 폐지되었다.

2. 1. 성호여객자동차공사 (1949년 ~ 2005년)

1949년 '''성호여객자동차공사'''라는 상호로 설립되었다. 성호여객자동차공사는 평택과 안중 구간을 오가는 시내버스시외버스를 운행하였다. 2004년 시외버스 사업을 서해고속여객에 넘기고 시내버스 사업에 집중하였으나, 2005년 8월 24일에 최종 부도처리되었다.[1]

2. 2. 시원교통 (2006년 ~ 2007년)

2006년 12월 20일 용인시 마을버스 운수업자에게 인수되어 '''시원교통'''으로 재창립되었으나,[2] 노사분규와 파행운행이 지속되었다.

2. 3. 평택여객 (2007년 ~ 현재)

2007년 백성운수에 인수되어 평택여객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1] 2016년 6월 1일에는 일반좌석버스를 폐지하였다.[2]

3. 운행 노선

wikitext

한국어 80번, 80-1번: 죽백동 - 평택항

한국어 81-1번: 안중터미널 - 평택항

한국어 82-1번: 안중구터미널 - 아산만

한국어 82-2번: 안중구터미널 - 평택호

한국어 82-3번: 안중구터미널 - 방축리

한국어 83번, 83-2번: 안중터미널 - 원정8리

한국어 83-1번, 83-3번: 안중터미널 - 원정8리

한국어 84번 ~ 84-5번: 안중터미널 - 대안, 광덕

한국어 85번, 85-1번: 안중터미널 - 홍원1리

한국어 86번, 86-1번: 성공회앞 - 신영2리

한국어 87번: 안중터미널 - 덕우리

한국어 87-3번: 성공회(안중) - 청북유승한내들 (2013년 10월 1일 신설)

한국어 89번: 안중터미널 - 당거리

한국어 91번: 죽백동 - 창내리

한국어 91-2번: 고덕 → 죽백동 (94번 차량으로 운행)

한국어 92-1번: 안중터미널 - 평택항서부두

한국어 93번: 안중터미널 - 객사리

한국어 94번: 죽백동 - 고덕

한국어 94-1번: 죽백동 - 고덕 - 서정리역

한국어 96번: 안중터미널 - K55 (동일 노선으로 협진여객 96-1번이 존재한다)

한국어 98번, 98-1번: 죽백동 - 해군기지

한국어 99번: 안중터미널 - 기산리 (2009년 10월 20일 신설)

한국어 100번: 평택 순환선 <이 노선은 협진여객, 서울고속과 공동 배차 운행한다.>

한국어 100-1번: 평택 순환선 <이 노선은 협진여객, 서울고속과 공동 배차 운행한다.>

한국어 100-2번: 한국폴리텍여자대학교 ~ 평택장례문화원 <이 노선은 협진여객, 서울고속과 공동 배차 운행한다.>

한국어 300번: 숙성리 ~ 숙성리

한국어 300-1번: 숙성리 ~ 숙성리

한국어 302번, 302-1번: 평택항 ~ 청북신도시 ~ 서정리역

한국어 310번: 죽백동 - 청북부영아파트 (평택지제역 경유)

한국어 310-1번: 안중신터미널 ~ 죽백동 (길음 경유)

한국어 310-2번: 안중신터미널 ~ 청북

한국어 313번: 안중신터미널 ~ 청북 (2012년 10월 신설)

한국어 320번: 안중신터미널 ~ 죽백동 (청북, 안화리 경유)

한국어 320-1번: 안중신터미널 ~ 토진, 백봉, 양교리

한국어 777번: 용이동 - 평택지제역 (용이E편한세상아파트 경유, 2018년 1월 22일 신설)

한국어 810번: 죽백동 - 평택항 (평택지원, 평택지제역 경유)

한국어 870번: 안중 - 청북유승한내들 (2015년 7월 20일 신설)

한국어 888A번, 888B번: 평택역 - 평택시외버스터미널 <이 노선은 협진여객, 서울고속과 공동 배차 운행한다. 평택시의 구도심과 신도심을 연결하는 순환노선이다.> (2020년 9월 21일 신설)

한국어 940번: 죽백동 - 영화아파트(국제병원 경유, 2012년 9월 3일 신설)

한국어 999번: 용이동 - 평택지제역 <이 노선은 협진여객, 서울고속과 공동 배차 운행한다.> (2016년 7월 1일 신설)

평택여객 8000번 (안중터미널 ↔ 안중오거리 ↔ 고덕면태평아파트 ↔ 숙성리 ↔ 평택지제역평택역(AK프라자)) 노선이 2019년 12월 23일에 신설되었다.[1]

3. 1. 도시형버스

한국어 80번, 80-1번: 죽백동 - 평택항

한국어 81-1번: 안중터미널 - 평택항

한국어 82-1번: 안중구터미널 - 아산만

한국어 82-2번: 안중구터미널 - 평택호

한국어 82-3번: 안중구터미널 - 방축리

한국어 83번, 83-2번: 안중터미널 - 원정8리

한국어 83-1번, 83-3번: 안중터미널 - 원정8리

한국어 84번 ~ 84-5번: 안중터미널 - 대안, 광덕

한국어 85번, 85-1번: 안중터미널 - 홍원1리

한국어 86번, 86-1번: 성공회앞 - 신영2리

한국어 87번: 안중터미널 - 덕우리

한국어 87-3번: 성공회(안중) - 청북유승한내들 (2013년 10월 1일 신설)

한국어 89번: 안중터미널 - 당거리

한국어 91번: 죽백동 - 창내리

한국어 91-2번: 고덕 → 죽백동 (94번 차량으로 운행)

한국어 92-1번: 안중터미널 - 평택항서부두

한국어 93번: 안중터미널 - 객사리

한국어 94번: 죽백동 - 고덕

한국어 94-1번: 죽백동 - 고덕 - 서정리역

한국어 96번: 안중터미널 - K55 (동일 노선으로 협진여객 96-1번이 존재한다)

한국어 98번, 98-1번: 죽백동 - 해군기지

한국어 99번: 안중터미널 - 기산리 (2009년 10월 20일 신설)

한국어 100번: 평택 순환선 <이 노선은 협진여객, 서울고속과 공동 배차 운행한다.>

한국어 100-1번: 평택 순환선 <이 노선은 협진여객, 서울고속과 공동 배차 운행한다.>

한국어 100-2번: 한국폴리텍여자대학교 ~ 평택장례문화원 <이 노선은 협진여객, 서울고속과 공동 배차 운행한다.>

한국어 300번: 숙성리 ~ 숙성리

한국어 300-1번: 숙성리 ~ 숙성리

한국어 302번, 302-1번: 평택항 ~ 청북신도시 ~ 서정리역

한국어 310번: 죽백동 - 청북부영아파트 (평택지제역 경유)

한국어 310-1번: 안중신터미널 ~ 죽백동 (길음 경유)

한국어 310-2번: 안중신터미널 ~ 청북

한국어 313번: 안중신터미널 ~ 청북 (2012년 10월 신설)

한국어 320번: 안중신터미널 ~ 죽백동 (청북, 안화리 경유)

한국어 320-1번: 안중신터미널 ~ 토진, 백봉, 양교리

한국어 777번: 용이동 - 평택지제역 (용이E편한세상아파트 경유, 2018년 1월 22일 신설)

한국어 810번: 죽백동 - 평택항 (평택지원, 평택지제역 경유)

한국어 870번: 안중 - 청북유승한내들 (2015년 7월 20일 신설)

한국어 888A번, 888B번: 평택역 - 평택시외버스터미널 <이 노선은 협진여객, 서울고속과 공동 배차 운행한다. 평택시의 구도심과 신도심을 연결하는 순환노선이다.> (2020년 9월 21일 신설)

한국어 940번: 죽백동 - 영화아파트(국제병원 경유, 2012년 9월 3일 신설)

한국어 999번: 용이동 - 평택지제역 <이 노선은 협진여객, 서울고속과 공동 배차 운행한다.> (2016년 7월 1일 신설)

3. 2. 일반좌석버스

평택여객 8000번 (안중터미널 ↔ 안중오거리 ↔ 고덕면태평아파트 ↔ 숙성리 ↔ 평택지제역평택역(AK프라자)) 노선이 2019년 12월 23일에 신설되었다.[1]

4. 보유 차량

전 차량이 하이거 버스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으로 운행한다.

5. 기타 현황

(입력 `source`가 빈 문자열이므로, 주어진 `sub-contents` 정보를 바탕으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합니다.)

평택여객은 2021년 1월 기준으로 54개 노선, 88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었다.[3] 과거에는 여러 노선을 운행했으나, 일부 노선은 폐지되거나 다른 운수업체에 양도되었다.

5. 1. 운행 업체 및 보유 대수 (2021년 1월 기준)

2021년 1월 기준이다.[3]

운행업체보유 노선 수등록 대수
평택여객5488



종류노선 수차량 대수
일반좌석15
시내일반5383
합계5488


5. 2. 미운행 노선

과거 운행 노선
노선 번호기점종점폐지/양도일비고
55-1번안중안성2012년 10월공도 경유
80-2번죽백동안중터미널송담지구 경유
81번죽백동평택항2016년 6월 1일안중신터미널 경유
90번~90-4번죽백동양교, 토진, 백봉
92번안중터미널평택항2016년 12월 1일
920번, 920-1번안중안중2015년 6월 22일 ~ 2016년 12월 1일평택항, 청북 경유
95번용이동평택호2010년경백성운수에 양도
310-3번안중신터미널죽백동2015년 7월 20일 ~ 2017년 12월 18일청북 경유
700번안성종합버스터미널평택역2016년 4월 1일 백성운수에서 양도받음
800번안중신터미널죽백동2012년 4월 1일 ~ 2016년 6월 1일


참조

[1] 뉴스 "[표] 당좌거래정지 (8월 24일)" https://news.naver.c[...] 2010-02-11
[2] 뉴스 "[인터뷰] 성호여객 인수한 시원교통 송 정 휘 대표" http://www.pttimes.c[...] 2007-01-10
[3] 문서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