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성운수는 1988년 경남여객에서 분리 창업한 버스 운송 업체이다. 1998년 대신여객의 노선을 양수하고, 2007년 성호여객의 노선과 차량을 인수하여 평택여객 등을 계열사로 설립했다. 안성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서울, 수원, 평택 등 타 지역과 연계되는 노선도 운영한다. 과거에는 10-1번, 55번 등의 노선을 운행했으며, 현재는 하이거 버스, CRRC,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성운수 계열사 - 평택여객
평택여객은 1949년 설립되어 평택 ~ 안중 시내/시외버스 운행을 시작했으나, 시외버스 사업 양도 및 부도 처리 후 시원교통을 거쳐 백성운수에 인수되어 현재 평택시와 주변 지역을 운행하는 버스 회사이다. - 198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서일본 JR 버스
서일본 JR 버스는 1988년 설립되어 JR 서일본으로부터 버스 사업을 인계받아 고속버스와 일반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일본의 버스 회사로, IC 카드 도입, 노선 구조조정, 관광 사업 등 변화를 시도하며 오사카를 중심으로 여러 지역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 198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JR 도카이 버스
JR 도카이 버스는 1987년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로 설립된 도카이 여객철도의 자회사로, 현재는 야간 고속버스와 전세버스 사업을 중심으로 운영하며 승객 편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과거 안전 관리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연천교통
연천교통은 2002년 설립되어 경기도 연천군에서 농어촌버스, 맞춤형 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6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다.
| 백성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백성운수 주식회사 |
| 위치 | 경기도 안성시 금석길 14 (안성동) |
| 창립 | 1988년 7월 30일 |
| 인물 | 양욱모, 양수지 (대표이사) |
| 산업 | 운수업 |
| 제품 | 시내버스 |
| 계열사 | 평택여객 |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 자본금 | 520,000,000원 |
| 매출액 | 8,905,395,006원 |
| 영업이익 | -9,857,762,795원 |
| 순이익 | -1,577,696,129원 |
| 자산총액 | 5,452,084,500원 |
| 주주 구성 | |
| 주주 | 양욱모: 60.41% |
| 기타 정보 | |
| 종업원 | 230명 |
2. 역사
1988년 7월 30일 용인시 소재 경남여객에서 분리 창업하였으며, 1998년 최종 부도처리된 대신여객의 평택 - 안성 - 장호원 - 여주간 완행버스 노선을 양수하였다(현 37번과 70번 노선의 모태). 2007년에는 노사분규 이후 최종 부도처리된 평택 ~ 안중 노선 버스업체 성호여객의 차량, 노선권을 양수, 계열사인 평택여객 등을 설립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88년 ~ 2000년대 초)
1988년 7월 30일 용인시 소재 경남여객에서 분리 창업하였으며, 1998년 최종 부도처리된 대신여객의 평택 - 안성 - 장호원 - 여주간 완행버스 노선을 양수하였다(현 37번과 70번 노선의 모태). 2007년에는 노사분규 이후 최종 부도처리된 평택 ~ 안중 노선 버스업체 성호여객의 차량, 노선권을 양수, 계열사인 평택여객 등을 설립하였다.2. 2. 사업 확장 및 변화 (2000년대 중반 ~ 현재)
1988년 7월 30일 용인시 소재 경남여객에서 분리 창업하였으며, 1998년 최종 부도처리된 대신여객의 평택 - 안성 - 장호원 - 여주간 완행버스 노선을 양수하였다(현 37번과 70번 노선의 모태). 2007년에는 노사분규 이후 최종 부도처리된 평택 ~ 안중 노선 버스업체 성호여객의 차량, 노선권을 양수, 계열사인 평택여객 등을 설립하였다.3. 운행 노선
- 1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내리
- 1-1번: 하나로마트 - 방축리
- 1-2번: 봉산로터리 - 신령리.수산나네집
- 1-3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죽리
- 1-4번: 하나로마트 - (舊)공도정류장
- 1-5번: 봉산로터리 - 당촌리
- 1-6번: 하나로마트 - 양성터미널
- 1-8번: 두원공업고등학교 - 주정동
- 1-9번: 하나로마트 - 양성터미널
- 2번: 인삼농협앞 - 연내동
- 2-1번: 인삼농협앞 - 조령
- 2-2번: 태영아파트 - 홍익아파트
- 2-3번: 태영아파트 - 홍익아파트
- 2-5번: 인삼농협앞 - 연내동
- 2-6번: 인삼농협앞 - 연내동
- 2-8번: 인삼농협앞 - 조령
- 2-11번: 성모병원입구 - 홍익아파트
- 3번: 일죽터미널 - 삼성터미널
- 3-1번: 죽산터미널 - 하장경로당
- 3-2번: 죽산터미널 - 산직.칠장사
- 3-3번: 죽산터미널 - 덕산낚시터
- 3-4번: 죽산터미널 - 거곡
- 3-5번: 죽산터미널 - 일죽터미널
- 3-7번: 일죽터미널 - 산북리마을회관
- 3-8번: 일죽터미널 - 대죽4리입구
- 3-9번: 일죽터미널 - 율동경로당
- 3-11번: 일죽터미널 - 죽림리
- 5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독정리
- 5-1번: 인지사거리 - 늑동
- 5-2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독정리입구
- 5-5번: 대우아파트 - 금화아파트
- 7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원곡제일오투그란데아파트
- 7-1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송정아파트(송정아파트 입주가 시작될 무렵 개통. 서희스타힐스 입주 이후 개통된 11번(안성터미널~아양지구~중앙대) 노선을 흡수하면서 아양지구 서희스타힐스를 경유)
- 7-2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양성터미널
- 7-3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신용정
- 7-4번: 하나로마트 - 산하리
- 7-5번: 공도시외버스정류장 - 양성터미널
- 7-6번: 공도시외버스정류장 - 원곡지방산업단지
- 7-7번: 공도시외버스정류장 - 양성터미널
- 7-8번: 임광그대가아파트 - 임광그대가아파트
- 8-1번: 대우경남아파트 - 내리삼거리
- 8-2번 (舊 10-8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법전리법전
- 10-2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신계리
- 10-4번: 인지사거리 - 농협안성농식품물류센터
- 10-6번: 인지사거리 - 미양면사무소
- 10-7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개리촌마을회관
- 15번: 인삼농협 - 원삼
- 15-1번: 인삼농협 - 남풍리
- 15-2번: 인삼농협 - 북가현리
- 15-3번: 인삼농협 - 동양리
- 15-4번: 인삼농협 - 서삼
- 17번: 죽산터미널 - 광혜원면(과거엔 용인시 소재 경남여객이 10번으로 '수원 - 용인 - 죽산 - 광혜원'을 오갔지만 후에 수원역~죽산(10번), 죽산~광혜원(10-1번)으로 분리됨. 이후 안성시 소재 백성운수가 인수하면서 10-1번이 17번으로 번호가 변경됨. 현재 10-1번은 '백암~죽산' 노선에 새로 부여된 상태)
- 20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청룡사
- 20-1번: 인지사거리 - 독정리
- 20-2번: 인지사거리 - 서운면사무소
- 20-3번: 인지사거리 - 독정리
- 20-6번: 인지사거리 - 서운면사무소
- 35번: (舊)안성터미널 - 백암터미널
- 35-2번: 삼죽 - 백암터미널
- 37번/37-1번: (舊)안성터미널 - 여주터미널(저상버스 운행) (1998년에 안성시 소재 대신여객이 부도처리된 후 안성시 소재 백성운수가 이 노선을 인수하여 37번을 부여해서 운행하기 시작. 2016년에 안성차고지 소속차량이 37번으로, 여주터미널 소속차량이 37-1번으로 분할됨)
- 38-1번: 인삼농협앞 - 기동
- 50-1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쌍지리
- 50-2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사동
- 50-3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쌍령
- 50-5번: 대천공판장 - 양성터미널
- 50-6번: 대천공판장 - 호동
- 50-7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미리내성지
- 50-8번: 대천공판장 - 미리내성지
- 60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미리내성지 (60번 계통 양성, 미리내 지역 운행)
- 60-1번: 하나로마트 - 무능리
- 60-3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미리내성지 (60번 계통 양성, 미리내 지역 운행)
- 70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평택시외버스터미널 (70번 계통, 공도 ~ 평택 지역 운행)
- 100번: 인삼농협앞 - 석남사, 장죽리, 상중리 (100번 계통 개산리, 상중리 지역 운행)
- 100-1번: 인삼농협앞 - 발화동
- 100-2번: 인삼농협앞 - 보개도서관
- 100-3번: 인삼농협앞 - 서운면사무소
- 370번: 일죽터미널 - 평택시외버스터미널
- 380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평택시외버스터미널 - 일죽터미널[2]
3. 1. 안성시 관내 노선
- 1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내리
- 1-1번: 하나로마트 - 방축리
- 1-2번: 봉산로터리 - 신령리.수산나네집
- 1-3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죽리
- 1-4번: 하나로마트 - (舊)공도정류장
- 1-5번: 봉산로터리 - 당촌리
- 1-6번: 하나로마트 - 양성터미널
- 1-8번: 두원공업고등학교 - 주정동
- 1-9번: 하나로마트 - 양성터미널
- 2번: 인삼농협앞 - 연내동
- 2-1번: 인삼농협앞 - 조령
- 2-2번: 태영아파트 - 홍익아파트
- 2-3번: 태영아파트 - 홍익아파트
- 2-5번: 인삼농협앞 - 연내동
- 2-6번: 인삼농협앞 - 연내동
- 2-8번: 인삼농협앞 - 조령
- 2-11번: 성모병원입구 - 홍익아파트
- 3번: 일죽터미널 - 삼성터미널
- 3-1번: 죽산터미널 - 하장경로당
- 3-2번: 죽산터미널 - 산직.칠장사
- 3-3번: 죽산터미널 - 덕산낚시터
- 3-4번: 죽산터미널 - 거곡
- 3-5번: 죽산터미널 - 일죽터미널
- 3-7번: 일죽터미널 - 산북리마을회관
- 3-8번: 일죽터미널 - 대죽4리입구
- 3-9번: 일죽터미널 - 율동경로당
- 3-11번: 일죽터미널 - 죽림리
- 5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독정리
- 5-1번: 인지사거리 - 늑동
- 5-2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독정리입구
- 5-5번: 대우아파트 - 금화아파트
- 7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원곡제일오투그란데아파트
- 7-1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송정아파트(송정아파트 입주가 시작될 무렵 개통. 서희스타힐스 입주 이후 개통된 11번(안성터미널~아양지구~중앙대) 노선을 흡수하면서 아양지구 서희스타힐스를 경유)
- 7-2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양성터미널
- 7-3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신용정
- 7-4번: 하나로마트 - 산하리
- 7-5번: 공도시외버스정류장 - 양성터미널
- 7-6번: 공도시외버스정류장 - 원곡지방산업단지
- 7-7번: 공도시외버스정류장 - 양성터미널
- 7-8번: 임광그대가아파트 - 임광그대가아파트
- 8-1번: 대우경남아파트 - 내리삼거리
- 8-2번 (舊 10-8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법전리법전
- 10-2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신계리
- 10-4번: 인지사거리 - 농협안성농식품물류센터
- 10-6번: 인지사거리 - 미양면사무소
- 10-7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개리촌마을회관
- 15번: 인삼농협 - 원삼
- 15-1번: 인삼농협 - 남풍리
- 15-2번: 인삼농협 - 북가현리
- 15-3번: 인삼농협 - 동양리
- 15-4번: 인삼농협 - 서삼
- 17번: 죽산터미널 - 광혜원면(과거엔 용인시 소재 경남여객이 10번으로 '수원 - 용인 - 죽산 - 광혜원'을 오갔지만 후에 수원역~죽산(10번), 죽산~광혜원(10-1번)으로 분리됨. 이후 안성시 소재 백성운수가 인수하면서 10-1번이 17번으로 번호가 변경됨. 현재 10-1번은 '백암~죽산' 노선에 새로 부여된 상태)
- 20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청룡사
- 20-1번: 인지사거리 - 독정리
- 20-2번: 인지사거리 - 서운면사무소
- 20-3번: 인지사거리 - 독정리
- 20-6번: 인지사거리 - 서운면사무소
- 35번: (舊)안성터미널 - 백암터미널
- 35-2번: 삼죽 - 백암터미널
- 37번/37-1번: (舊)안성터미널 - 여주터미널(저상버스 운행) (1998년에 안성시 소재 대신여객이 부도처리된 후 안성시 소재 백성운수가 이 노선을 인수하여 37번을 부여해서 운행하기 시작. 2016년에 안성차고지 소속차량이 37번으로, 여주터미널 소속차량이 37-1번으로 분할됨)
- 38-1번: 인삼농협앞 - 기동
- 50-1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쌍지리
- 50-2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사동
- 50-3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쌍령
- 50-5번: 대천공판장 - 양성터미널
- 50-6번: 대천공판장 - 호동
- 50-7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미리내성지
- 50-8번: 대천공판장 - 미리내성지
- 60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미리내성지 (60번 계통 양성, 미리내 지역 운행)
- 60-1번: 하나로마트 - 무능리
- 60-3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미리내성지 (60번 계통 양성, 미리내 지역 운행)
- 70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평택시외버스터미널 (70번 계통, 공도 ~ 평택 지역 운행)
- 100번: 인삼농협앞 - 석남사, 장죽리, 상중리 (100번 계통 개산리, 상중리 지역 운행)
- 100-1번: 인삼농협앞 - 발화동
- 100-2번: 인삼농협앞 - 보개도서관
- 100-3번: 인삼농협앞 - 서운면사무소
- 370번: 일죽터미널 - 평택시외버스터미널
- 380번: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평택시외버스터미널 - 일죽터미널[2]
3. 2. 타 지역 연계 노선
wikitable|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배차 간격 |
|---|---|---|---|
| 70 | 백성운수 | 양재/良才한국어역 | 20분 |
| 700-1 | 백성운수 | 수원/水原한국어역 | 60분 |
| 700-2 | 백성운수 | 수원/水原한국어역 | 240분 |
```
분류:안성시의 시내버스
4. 과거 노선
5. 운행 차종
백성운수는 전 차량이 하이거 버스와 CRRC 중국중차,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으로 운행 중이다. 현대 뉴 카운티, CRRC 그린웨이 720, 현대 그린시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 하이거 하이퍼스 차종이 운행되고 있다.
6.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