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쪽곧은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쪽곧은근은 눈을 안쪽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눈 바깥 근육이다. 온힘줄고리에서 기시하여 눈의 앞안쪽 면에 닿으며, 눈돌림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안쪽곧은근의 위치는 위곧은근, 아래곧은근과 인접해 있으며, 다른 곧은근보다 짧지만 힘이 강하다. 사시, 두개골 골절로 인한 압박, 수술적 손상 등 임상적 중요성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구해부학 - 아래빗근
    아래빗근은 눈의 가쪽, 위쪽, 바깥쪽 돌림 운동에 관여하며 눈돌림신경의 지배를 받고, 눈의 바깥쪽 돌림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 안구해부학 - 아래곧은근
    아래곧은근은 눈을 아래로 내리고, 안쪽으로 모으고, 바깥쪽으로 돌리는 기능을 하는 바깥눈근육으로, 눈돌림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손상 시 사시를 유발할 수 있고, 눈 수술 시 부교감신경 가지 손상 위험이 있다.
  • 두경부 근육 - 빗모뿔근
    빗모뿔근은 목소리를 내는 데 중요한 후두 내재근으로, 윤상연골에 부착되어 서로 교차하며, 혈액과 신경 공급을 받아 후두 입구를 보호하는 괄약근 역할을 한다.
  • 두경부 근육 - 얼굴근육
    얼굴근육은 표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뇌졸중, 벨 마비 등으로 손상되어 얼굴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안쪽곧은근
개요
안근
직근: 2 = 위곧은근, 3 = 아래곧은근, 4 = 안쪽곧은근, 5 = 가쪽곧은근/ 사근: 6 = 위빗근, 8 = 아래빗근/ 다른 근육: 9 = 눈꺼풀올림근/ 다른 구조: 1 = 온힘줄고리, 7 = 위빗근도르래, 10 = 윗눈꺼풀판, 11 = 공막, 12 = 시신경
안쪽곧은근 및 가쪽곧은근의 신경 분포
안쪽곧은근과 가쪽곧은근의 신경 분포를 보여주는 그림.
라틴어musculus rectus medialis bulbi
영어medial rectus
기원 및 삽입
기시온힘줄고리 (눈확 꼭대기)
종지윤부에서 안쪽으로 5.5mm 떨어진 지점
신경 분포
신경눈돌림신경 아래가지
작용
작용눈의 내전
추가 이미지
겸자로 잡아당긴 인간의 안쪽곧은근 (겸자 끝 부분)
겸자로 잡아당긴 인간의 안쪽곧은근 (겸자 끝 부분)

2. 구조

안쪽곧은근은 다른 여러 개의 바깥눈근육과 함께 온힘줄고리에서 일어난다. 닿는곳은 안구의 앞안쪽 면이며, 너비는 약 11mm이다.[10]

2. 1. 신경 분포

눈돌림신경(제3뇌신경)의 아래갈래가 안쪽곧은근을 지배한다.[11][2] 눈돌림신경은 안쪽곧은근을 따라가다 전체 길이의 2/5 정도 되는 지점에서 근육으로 들어간다.[11][2] 그 후 보통 2개의 작은 가지로 갈라지며, 간혹 3개로 갈라지기도 한다.[11][2] 이 가지들은 더 작게 나누어지며, 안쪽곧은근의 닿는곳보다 뒤쪽으로 17mm가량 떨어진 지점에서 표준 염색법으로는 감지할 수 없게 된다.[2]

2. 2. 위치 관계

안쪽곧은근의 닿는곳은 위곧은근의 닿는곳으로부터 7.5mm, 아래곧은근의 닿는곳으로부터 6mm가량 떨어져 있다.[10] 다른 눈확의 곧은근들보다 길이가 짧지만 힘은 더 강하다.[12] 다른 바깥눈근육과 달리, 드물게 수축할 때 위치가 크게 바뀌기도 한다.[13]

3. 기능

안쪽곧은근은 안구를 안쪽으로 모으는(내전) 역할을 한다.[14][5] 안쪽곧은근은 안구의 앞면 주변에서 휘기 때문에 도르래처럼 작동한다.[14][5]

4. 임상적 중요성

안쪽곧은근이 머리뼈 안의 눈확에서 너무 높이 위치하면 사시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13] 내사시는 가쪽곧은근의 근무력이나 마비를 일으키는 제6뇌신경 마비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간혹 보툴리눔 독소(보톡스)를 안쪽곧은근 안에 주사하기도 한다.[15]

안쪽곧은근은 머리뼈 안의 눈확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하므로,[16] 눈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머리뼈 골절 시에 눌리기 쉽다.[16][17]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수술과 같은 눈 수술이나 머리뼈 수술 중에 안쪽곧은근이 손상될 수 있다.[18]

4. 1. 사시

안쪽곧은근이 머리뼈 안의 눈확에서 너무 높이 위치하면 사시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13]

내사시는 가쪽곧은근의 근무력이나 마비를 일으키는 제6뇌신경 마비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15] 간혹 보툴리눔 독소(보톡스)를 안쪽곧은근 안에 주사하기도 한다.[15] 이렇게 하면 무언가를 눈으로 쫓을 때 안구를 벌리거나 모으는 능력은 감소하지만, 내사시가 교정되면서 보통 시력이 개선된다.[15]

4. 2. 압박

안쪽곧은근은 머리뼈 안의 눈확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한다.[16] 이 때문에 안쪽곧은근은 눈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머리뼈 골절 시에 눌리기 쉽다.[16][17] 머리뼈 골절을 치료하면 압박 상태는 보통 해소된다.[16]

4. 3. 수술적 손상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수술과 같은 눈 수술이나 머리뼈 수술 중에 안쪽곧은근이 손상될 수 있다.[18] 손상은 과 같이 사소할 수도 있으며, 부분적이거나 완전한 근육의 절단, 신경 손상 등 심각한 손상이 생길 수도 있다.[18]

5. 추가 이미지

위에서 본 안쪽곧은근으로 인한 안구운동


안구의 수평 단면


오른쪽 눈확의 근육과 위눈확틈새로 들어가는 신경의 해부


안뜰눈반사


안쪽곧은근


안쪽곧은근


바깥눈근육과 눈확의 신경. 깊은 해부.


바깥눈근육과 눈확의 신경. 깊은 해부.


바깥눈근육과 눈확의 신경. 깊은 해부.


바깥눈근육과 눈확의 신경. 깊은 해부.


바깥눈근육과 눈확의 신경. 깊은 해부.


바깥눈근육과 눈확의 신경. 깊은 해부.

참조

[1] 논문 An anatomical reevaluation of rectus muscle insertions. 1980
[2] 논문 Intramuscular Nerve Distribution in the Medial Rectus Muscle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https://doi.org/10.1[...] 2019-05-04
[3]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Elsevier Limited
[4] 논문 Location and stability of rectus muscle pulleys. Muscle paths as a function of gaze. https://iovs.arvojou[...] 1997-01-01
[5] 논문 Structure-function correlations in the human medial rectus extraocular muscle pulleys. https://iovs.arvojou[...] 1996-02-01
[6] 논문 Vertical Rectus Muscle Transposition and Botulinum Toxin (Oculinum) to Medial Rectus for Abducens Palsy https://doi.org/10.1[...] 1989-06-01
[7] 논문 Medial Rectus Muscle Incarceration in Pediatric Medial Orbital Wall Trapdoor Fractures https://doi.org/10.1[...] 2004-07-01
[8] 논문 Isolated Medial Orbital Wall Fractures With Medial Rectus Muscle Incarceration https://journals.lww[...] 2006-05
[9] 논문 Medial Rectus Muscle Injuries Associated With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Characterization and Management https://journals.lww[...] 2003-01
[10] 논문 An anatomical reevaluation of rectus muscle insertions. 1980
[11] 논문 Intramuscular Nerve Distribution in the Medial Rectus Muscle and Its Clinical Implications https://doi.org/10.1[...] 2019-05-04
[12] 서적 Gray's anatomy: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Elsevier Limited
[13] 논문 Location and stability of rectus muscle pulleys. Muscle paths as a function of gaze. https://iovs.arvojou[...] 1997-01-01
[14] 논문 Structure-function correlations in the human medial rectus extraocular muscle pulleys. https://iovs.arvojou[...] 1996-02-01
[15] 논문 Vertical Rectus Muscle Transposition and Botulinum Toxin (Oculinum) to Medial Rectus for Abducens Palsy https://doi.org/10.1[...] 1989-06-01
[16] 논문 Medial Rectus Muscle Incarceration in Pediatric Medial Orbital Wall Trapdoor Fractures https://doi.org/10.1[...] 2004-07-01
[17] 논문 Isolated Medial Orbital Wall Fractures With Medial Rectus Muscle Incarceration https://journals.lww[...] 2006-05
[18] 논문 Medial Rectus Muscle Injuries Associated With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Characterization and Management https://journals.lww[...] 20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