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더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더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자는 헤센 대공 루트비히 2세의 아들로, 러시아 군에서 복무하며 군 경력을 쌓았다. 그는 누이의 시녀였던 율리아 폰 하우케 백작부인과 결혼하기 위해 귀천상혼을 감행하여 바텐베르크 가문을 창설했다. 그의 자녀들은 유럽 왕족과 결혼하여 영국, 스페인, 스웨덴 왕실과 연결되었으며, 그의 후손으로는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남편 필립 공, 스페인 국왕 펠리페 6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관련자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19세기 후반 독일 통일의 주역인 프로이센 왕국 출신 정치가로, 철혈 정책을 통해 독일 제국을 건설하고 초대 총리가 되어 강력한 국가를 건설했지만, 국내 정책과 외교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관련자 - 루트비히 3세 (바이에른)
루트비히 3세는 1913년부터 1918년까지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독일 혁명으로 퇴위하여 왕국은 멸망했다. - 바텐베르크가 - 에든버러 공작 필립
1921년 그리스에서 태어난 에든버러 공작 필립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남편으로, 해군 복무 후 왕실 배우자로서 70년 이상 공무를 수행하며 왕실 현대화에 기여하고 자선 활동을 펼쳤다. - 바텐베르크가 - 빅토리아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녀
헤센 대공녀 빅토리아는 루트비히 4세와 앨리스 공주의 장녀이자 빅토리아 여왕의 외손녀로, 바텐베르크 공자 루이와 결혼하여 네 자녀를 두었으며, 밀퍼드 헤이븐 후작부인이 되었고, 전쟁과 혁명의 비극을 겪은 후 손자 양육에 기여하다 켄싱턴 궁전에서 생을 마감했다.
알렉산더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알렉산더 루트비히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에밀 |
출생 | 1823년 7월 15일 |
출생지 | 헤센 대공국 다름슈타트 |
사망 | 1888년 12월 15일 |
사망지 | 헤센 대공국 제하임-유겐하임 |
묻힌 곳 | 다름슈타트 로젠회에 |
가문 | |
왕가 | 헤센-다름슈타트 가 |
아버지 (공식) | 루트비히 2세 폰 헤센 대공 |
아버지 (소문) | 아우구스트 폰 제나르클렌스 데 그란시 |
어머니 | 빌헬미네 폰 바덴 |
결혼과 자녀 | |
배우자 | 율리아, 폰 바텐베르크 여공작 (1851년 10월 28일 결혼) |
자녀 | 마리, 에르바흐-쇤베르크 공녀 루트비히 마운트배튼, 밀포드헤이븐 후작 1세 알렉산더르, 불가리아 공 하인리히 공 프란츠 요제프 공 |
2. 가계 배경 및 초기 생애
알렉산더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자는 헤센 대공루트비히 2세와 그의 비빌헬미네의 넷째 아들(다섯째 자녀)로 다름슈타트에서 태어났다. 전 이름은 알렉산더 루트비히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에밀(''Alexander Ludwig Georg Friedrich Emilde'')이다. 알렉산더와 그의 누이 마리는 대공의 자녀가 아니라, 실제로는 어머니의 실내 시종인 아우구스트 폰 제나르클렌 드 그랑시가 아버지였다는 소문이 공공연하게 돌았다. 그의 어머니는 대공과 결혼했지만 남편과 별거했으며, 남편은 결혼 기간 동안 태어난 네 자녀 중 누구의 아버지인지 부인하지 않았다.
알렉산더는 그의 누이(마리아 알렉산드로브나)의 시녀였던 율리아 폰 하우케 백작부인과 사랑에 빠졌다. 율리아는 독일계 폴란드인 귀족으로, 러시아 황제가 임명한 폴란드 국방차관 얀 마우리츠 하우케 백작의 딸이었다. 당시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1세는 알렉산더와 자신의 조카딸과의 결혼을 추진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의 결혼을 강하게 반대했다.
성장하면서 알렉산더는 헤센 대공가의 남자들의 관례에 따라 군인이 되어 러시아군에 소속되어 빛나는 전력을 쌓았다. 그는 열강의 군대에 헌신했다. 그는 러시아 군대에서 존경받는 지휘관이 되었고, 훌륭한 경력을 쌓을 전망이었다. 그에게는 그의 이름을 딴 창기병 연대가 있었고, 성 게오르기 훈장 4급을 수여받았다.
3. 귀천상혼과 바텐베르크 가문
알렉산더는 율리아와 함께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떠나 프로이센의 브레슬라우에서 1851년에 결혼했다. 알렉산더의 형인 헤센 대공 루트비히 3세는 이들의 결혼을 귀천상혼으로 여겨 율리아에게 바텐베르크 백작부인의 작위를 부여하고, 그 자녀들은 헤센 대공가의 계승권을 가질 수 없도록 했다. 훗날 율리아는 바텐베르크 공비로 승격되었고, 그 자녀들은 바텐베르크 공자/공녀의 칭호를 받았다.
알렉산더와 율리아의 다섯 자녀는 어머니의 작위를 성으로 삼았다. 스캔들을 일으킨 결혼에도 불구하고 바텐베르크 가문은 유럽 귀족 사회에 받아들여졌고, 심지어 영국 왕실의 일원이 되기도 했다. 알렉산더의 차남 알렉산더는 불가리아 공국의 공이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 알렉산더의 혈통을 이은 세 명의 후손이 유럽 군주의 배우자가 되었다.3. 1. 바텐베르크 가문의 발전
알렉산더와 율리아의 다섯 자녀는 어머니의 작위를 성으로 삼았다. 스캔들을 일으킨 결혼에도 불구하고 바텐베르크 가문은 유럽 귀족 사회에 받아들여졌고, 심지어 영국 왕실의 일원이 되기도 했다. 알렉산더의 차남 알렉산더는 불가리아 공국의 공이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 알렉산더의 혈통을 이은 세 명의 후손이 유럽 군주의 배우자가 되었다.
4. 군 경력
알렉산더는 헤센 대공가의 분가 출신으로, 가족의 군사적 전통에 따라 열강의 군대에 헌신했다. 그는 러시아 군에서 복무하며 창기병 연대의 지휘관을 맡았고, 성 게오르기 훈장 4급을 수여받는 등 뛰어난 경력을 쌓을 전망이었다. 그러나 율리아와의 결혼으로 인해 무단 이탈로 군 경력이 종결되었고, 러시아에서 도망자 신세가 되었다.
이후 알렉산더는 오스트리아 군대에 들어가 군 경력을 재개했다.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운 후,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는 오스트리아의 동맹국으로서 헤센 군대의 지휘권을 맡았다. 전쟁에서 프로이센이 오스트리아와 헤센을 격파한 후, 알렉산더는 제하임-유겐하임에 있는 자신의 성으로 은퇴했다. 헤센 선제후국이 프로이센에 병합된 것과 달리, 헤센-다름슈타트 대공국은 러시아 차르와의 친족 관계 덕분에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다.
알렉산더는 종종 형의 궁정에 참석했으며, 1870년대에 그의 누이인 러시아 황후가 매년 형을 방문하면서 알렉산더의 비정상적인 가정은 사회적으로 재활되는 효과를 얻었다. 러시아 황제를 만나고자 하는 외교관들이 알렉산더의 집에서 은밀하게 알현하기 위해 그의 헤센 시골 방문을 기다리는 등, 알렉산더 가족의 가정은 점점 더 중요해졌다.
5. 말년
알렉산더와 율리아는 주로 유겐하임 근교의 하일리겐베르크 성에서 조용한 생활을 보냈다. 알렉산더는 1888년에 사망했고, 율리아는 그로부터 7년 후인 1895년에 하일리겐베르크에서 사망했다.
6. 자녀
마리아는 1852년 2월 15일에 태어나 1923년 6월 20일에 사망했다. 3남 1녀를 두었다.
루트비히는 1854년 5월 24일에 태어나 1921년 9월 11일에 사망했다. 2남 2녀를 두었으며, 필립 마운트배튼의 외조부이다.
알렉산더는 1857년 4월 5일에 태어나 1893년 10월 23일에 사망했다. 불가리아 공작이었으며, 1남 1녀를 두었으나 귀천상혼이었다.
하인리히는 1858년 10월 5일에 태어나 1896년 1월 20일에 사망했다. 영국 공주 베아트리스와 결혼하여 3남 1녀를 두었다.
프란츠 요제프는 1861년 9월 24일에 태어나 1924년 7월 31일에 사망했다. 몬테네그로 공주 안나와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6. 1. 마리아
마리아는 1852년 2월 15일에 태어나 1923년 6월 20일에 사망했다. 3남 1녀를 두었다.
6. 2. 루트비히
1854년 5월 24일에 태어나 1921년 9월 11일에 사망했다. 루트비히는 필립 마운트배튼의 외조부이다. 초대 밀퍼드헤이븐 후작 (1854년-1921년) 작위를 받았으며, 영국 왕실과 혼인하였다. 그는 빅토리아 여왕의 외손녀인 헤센의 빅토리아와 결혼했다. 그의 딸 앨리스는 그리스 왕자 안드레아스와 결혼하여 에든버러 공작 필립을 낳았다. 즉, 루트비히는 찰스 3세의 외증조부가 된다. 2남 2녀를 두었다.6. 3. 알렉산더
알렉산더는 1857년 4월 5일에 태어났으며, 1893년 10월 23일에 사망했다. 그는 불가리아 공작이었으며, 1남 1녀를 두었으나 귀천상혼이었다.|120px]]
6. 4. 하인리히
'''하인리히 폰 바텐베르크 공자'''(1858년 10월 5일 - 1896년 1월 20일)는 알렉산더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자와 율리아 하우케 사이에서 태어난 넷째 아들이다. 루트비히의 동생이자 알렉산더의 동생이다. 그는 영국 공주 베아트리스와 결혼하여 3남 1녀를 두었다. 그의 딸 빅토리아 유제니는 스페인 국왕 알폰소 13세와 결혼하여 스페인 왕비가 되었다.
6. 5. 프란츠 요제프
바텐베르크 공자 프란츠 요제프는 1861년 9월 24일에 태어나 1924년 7월 31일에 사망했다. 그는 몬테네그로 공주 안나와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
7. 후손들과의 관계
알렉산더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자의 자녀들은 여러 군주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 루이 왕자는 빅토리아 공녀 (영국 여왕 빅토리아의 둘째 딸인 앨리스 공녀의 딸)와 결혼했다. 그들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
- * 루이즈 공녀는 스웨덴의 구스타프 6세 아돌프와 결혼하여 스웨덴 여왕이 되었다.
- * 앨리스 공녀는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와 결혼하여 필립 공을 낳았으며, 필립 공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남편이자 영국의 찰스 3세 국왕의 아버지이다.
- 헨리 왕자는 빅토리아 여왕의 막내딸인 비어트리스 공녀와 결혼했다. 그들의 유일한 딸은 다음과 같다.
- * 에나 공녀는 스페인의 알폰소 13세 국왕과 결혼하여 스페인 여왕이 되었다. 그들의 손자인 후안 카를로스 1세는 2014년까지 스페인 국왕이었으며, 아들 펠리페 6세에게 양위했다.
- 알렉산더 왕자는 현대 불가리아의 초대 군주가 되었다. 그는 프리드리히 3세의 동의를 얻어 그의 딸인 프로이센의 빅토리아 공녀와 결혼하려 했다. 빅토리아 공녀의 어머니이자 할머니인 영국 여왕 빅토리아 역시 이 결혼을 사랑의 결합으로 지지했다. 그러나 알렉산더가 그의 왕좌에서 퇴위되기 전부터, 이 결혼은 정치적인 이유로 비스마르크 공에 의해 반대되었고, 약혼녀의 오빠인 빌헬름 2세에 의해 왕조의 자존심 문제로 반대되었다. 이에 빅토리아 여왕은 외교적 양보로 지지를 철회했고, 알렉산더는 귀천상혼으로 요한나 로이징거와 결혼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을 잃었다.
알렉산더와 율리아의 다섯 자녀는 어머니의 작위를 성으로 삼았다. 스캔들을 일으킨 결혼에도 불구하고 바텐베르크 가문은 유럽 귀족 사회에 받아들여졌고, 심지어 영국 왕실의 일원이 되기도 했다. 알렉산더의 차남 알렉산더는 불가리아 공이 되었다.
- '''마리''' 카롤리네 (1852년 - 1923년) - 에어바흐-쇤베르크 백작(후에 후작) 구스타프 에른스트와 결혼
- '''루트비히''' 알렉산더 (1854년 - 1921년) - 초대 밀포드 헤이븐 후작
- '''알렉산더''' 요제프 (1857년 - 1893년) - 불가리아 공.
- '''하인리히''' 모리츠 (1858년 - 1896년) - 영국 공주 베아트리스와 결혼
- '''프란츠 요제프''' (1861년 - 1924년) - 몬테네그로 공주 안나와 결혼
20세기에 들어서 알렉산더의 혈통을 이은 세 명의 후손이 유럽 군주의 배우자가 되었다.
- 빅토리아 유제니 - 스페인 왕 알폰소 13세의 왕비. 알렉산더의 손녀.
- 루이즈 -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6세 아돌프의 왕비. 알렉산더의 손녀.
- 에든버러 공작 필립 -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왕배. 알렉산더의 증손.
7. 1. 영국 왕실과의 관계
알렉산더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자의 장남 루트비히는 빅토리아 공녀(앨리스 공녀의 딸)와 결혼했다. 이들의 딸 앨리스 공녀는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와 결혼하여 필립 공을 낳았으며, 필립 공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남편이자 영국의 찰스 3세 국왕의 아버지이다. 따라서 알렉산더 대공자의 자손들은 현재 영국 왕실의 일원이다.알렉산더의 또 다른 아들 헨리 왕자는 빅토리아 여왕의 막내딸인 비어트리스 공녀와 결혼했다. 그들의 유일한 딸 에나 공녀는 스페인의 알폰소 13세 국왕과 결혼하여 스페인 여왕이 되었다.
7. 2. 스페인 왕실과의 관계
알렉산더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자의 아들 하인리히의 딸 빅토리아 유제니는 스페인 국왕 알폰소 13세와 결혼하여 스페인 왕비가 되었다. 알렉산더의 고손자인 후안 카를로스 1세는 2014년까지 스페인 국왕이었으며, 그의 아들 펠리페 6세에게 양위했다.7. 3. 스웨덴 왕실과의 관계
알렉산더 폰 헤센다름슈타트 대공자의 장남 루트비히의 딸 루이즈는 스웨덴의 구스타프 6세 아돌프와 결혼하여 스웨덴 왕비가 되었다.8. 대한민국과의 관계
참조
[1]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Hessen
https://babel.hathit[...]
Genealogy
1886/7
[2]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 Hessen
1879
[3]
서적
Kurfürstlich Hessisches Hof- und Staatshandbuch: 1866
https://books.google[...]
Waisenhaus
[4]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1870
https://books.google[...]
Landesamt
[5]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1862
[6]
간행물
Staats- und Adreß-Handbuch des Herzogthums Nassau
1866
[7]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8]
간행물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73)
[9]
간행물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zs.thulb.uni[...]
1859
[10]
서적
Staatshandbuch für Württemberg
https://archive.org/[...]
Druck von W. Kohlhammer
[11]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1888
[12]
서적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https://books.google[...]
Syddansk Universitetsforlag
[13]
문서
Sovereign Ordonnance of 23 April 1865
https://journaldemon[...]
[14]
간행물
List of Cavaliers of Russian Imperial and Tsarist Orders
[15]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1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