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라리 요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자라리 요새는 오만 무스카트 항구 동쪽에 위치한 요새이다. 포르투갈인들이 1582년 두 번째로 무스카트를 약탈한 후 건설되었으며, 1587년 완공되어 '상 주앙 요새'라고 불렸다. 알 미라니 요새와 함께 무스카트를 방어하는 역할을 했으며, 17세기 초 포르투갈이 영국, 네덜란드와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중요성이 커졌다. 이후 감옥으로 사용되다가 1970년대에 폐쇄되었으며, 1983년 복원되어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는 국가 원수 등 중요 인물에게만 개방되며, 포르투갈 시대의 유물과 다양한 전시품을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만의 요새 - 바흘라 요새
바흘라 요새는 12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건설된 오만의 요새로, 198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알자라리 요새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알 잘라리 요새 |
위치 | 무스카트, 오만 |
![]() | |
유형 | 요새 |
상태 | 복원됨 |
소유주 | 오만 정부 |
공개 여부 | 비공개 |
건축 | |
최초 요새 | 1550년 이전 |
두 번째 요새 | 1586년경 |
건설 주체 | 오만 (최초 요새) 포르투갈 제국 (두 번째 요새) |
통제 | |
통제 세력 | 포르투갈 (1586–1649) 야루비 왕조 (1649–1738) 아프샤르 왕조 (1738–1749) 오만 제국 (1749–1856) 무스카트 오만 (1856–1970) 오만 (1970–현재) |
2. 어원
포르투갈인들은 이 구조물을 ''포르테 데 상 주앙''(Fort St. John, 성 요한 요새)라고 불렀다. 현재 이름인 "알 잘랄리"의 기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한 가지 설은 아랍어 ''알 잘랄''(Al Jalal)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위대한 아름다움"을 의미한다. 전설에 따르면 이 요새는 발루치족 출신 지휘관 미르 잘랄 칸(Mir Jalal Kha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그의 형제이자 지휘관이었던 미르 미란(Mir Miran)의 이름을 따서 알 미라니 요새도 명명되었다고 한다. 알 잘랄리 요새는 아시 샤르키야 요새(Ash Sharqiya Fort)라고도 알려져 있다.
무스카트는 '정박'의 의미로, 올드 머스카트는 페르시아만과 인도양 사이의 전략적인 장소에 있는 자연적인 항이다. 오만 만 연안에 있으며 전체 길이 약 700미터의 만으로 바위투성이의 섬들에 의해 바다로부터 보호받고 있다. 항구는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육지 쪽에서의 접근이 어렵다. 2세기에 지리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이 지역에 숨겨진 항구가 있음을 지적했다.
3. 위치
알자라리 요새는 무스카트 항 동쪽의 바위투성이 먼바다에 있다. 서쪽에 있는 또 다른 부지에 건설된 알 미라니 요새에 서로 마주 보고 있다. 무스카트는 이 두 요새, 그리고 서쪽의 무트라 요새, 만을 에워싼 바위투성이 능선의 다른 요새들에 의해 바다로부터의 공격으로부터 강하게 방어되었다. 얼마 전까지 그 요새는 항구에서 돌계단의 가파른 계단을 통해서만 갈 수 있었다. 바위의 바다 쪽 매립으로 인해 현재는 헬기장용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강삭철도 덕분에 요새로의 접근이 용이하다.
4. 역사
4. 1. 배경
15세기 초, 무스카트는 배들이 물을 보급하기 위해 사용하던 작은 항구였으나, 16세기 초에는 중요한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 당시 오만 내륙은 아랍계 이맘족이 통치했지만, 무스카트가 위치한 해안은 페르시아 호르무즈 왕의 지배를 받았다. 1497년, 포르투갈 항해사 바스코 다 가마는 아프리카 남쪽 곶을 돌아 인도와 향신료 제도(Spice Islands)로 가는 항로를 발견했다. 이후 포르투갈은 향신료, 비단 등 무역을 독점하려 시도했고, 홍해를 통한 유럽과의 무역이 위협받던 맘루크 이집트와 충돌했다. 호르무즈는 페르시아만을 통해 현대 이라크 및 이란과 연결되는 무역로의 주요 중심지였기에, 포르투갈은 이 항로에 대한 통제권 역시 원했다.
1507년 8월 10일,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 제독 휘하의 6척의 원정대가 호르무즈를 목표로 새로 건설된 포르투갈 기지인 소코트라를 떠났다. 포르투갈은 오만 해안을 따라 항해하며 배를 파괴하고 마을을 약탈했다. 격전을 벌인 후 점령한 쿠라이야트에서 포르투갈은 포로를 불구로 만들고, 성별이나 나이에 관계없이 주민들을 죽였으며, 마을을 약탈하고 불태웠다. 무스카트는 처음에는 같은 운명을 피하기 위해 무조건 항복했다. 그러나 증원군이 도착하자 주민들은 복종을 철회했고, 알부케르크는 무스카트를 공격하여 대부분의 주민들을 학살한 후 마을을 약탈하고 불태웠다.
포르투갈은 해안을 따라 계속 나아갔고, 소하르의 총독은 포르투갈 왕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조공을 바치기로 동의했다. 1507년 9월 26일 호르무즈에 도착한 포르투갈은 격렬한 저항 끝에 10월 10일 마을을 점령했다. 알부케르크는 포르투갈이 관세를 면제받고 호르무즈에 요새와 무역 공장을 건설할 수 있도록 하는 조약을 체결했다. 이후 무스카트는 포르투갈 선박의 정기 기항지가 되었고, 1512년 디오구 페르난데스 드 베자가 조공을 징수하기 위해 방문했다. 1515년 3월에는 당시 인도 부왕이었던 알부케르크가 방문했고, 1520년에는 23척의 포르투갈 함대가 홍해에서 호르무즈로 가는 길에 항구에 정박했다. 1521년 11월, 호르무즈에 대한 포르투갈 지배에 대한 전반적인 반란이 일어났을 때, 무스카트는 포르투갈이 공격받지 않은 유일한 장소였다.
4. 2. 포르투갈 요새
포르투갈인들은 1527년 무스카트에 막사, 창고, 예배당을 짓기 시작하여 1531년 완공했다. 1546년 오스만 제국의 함대가 마을을 공격했으나 상륙하지는 않았다. 포르투갈인들은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현재 알 미라니항 서쪽에 요새를 건설했고, 1550년 최초의 무스카트 요새를 건설했다. 1552년 오스만 함대가 무스카트를 포위 공격하여 마을을 함락시키고 요새를 파괴했다. 포르투갈은 2년 뒤 마을을 탈환하고 1554년 터키군의 공격을 물리쳤다.
알자라리 요새는 1582년 오스만 군이 무스카트를 두 번째로 약탈한 뒤 세워졌다. 1587년 베르키오르 칼라사 대위가 요새 건설을 위해 파견되어 ''상 주앙 요새''(포르테 데 사오 조뇨)를 건설했다. 그는 요새를 건설하며 돌출부 윗부분을 수평으로 만들고 바위를 깎았으며, 저수조를 만들고 대포로 요새를 무장시켰다. 포르투갈인들은 항구를 볼 수 있는 포대를 건설하는 등 요새를 개선했다. 알자라리 요새와 알미라니 요새는 1586년에서 1588년 사이에 완성되었다.
17세기 초, 포르투갈은 영국, 네덜란드와 경쟁이 치열해졌고, 1622년 페르시아와 영국 연합군에 호르무즈를 빼앗겼다. 이후 포르투갈은 오만 연안의 다른 항구 요새를 포기하고 무스카트 방어에 집중했다. 1622년 이후 포르투갈은 알자라리 요새를 주요 요새로 삼으려 했으나, 1623년까지도 알미라니 요새가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1625년 포르투갈은 무스카트 주변에 벽과 탑을 세워 방어를 강화했다. 그러나 무스카트는 포르투갈 재정에 부담을 주었고, 무역도 기대만큼 번창하지 못했다. 1624년 즉위한 오만 야루바 왕조의 첫 번째 왕 나시르 빈 무르시드는 포르투갈을 몰아내기 위해 부족들을 통합했다. 그는 무스카트를 제외한 오만 전역에서 포르투갈인을 몰아냈다. 1649년 그의 뒤를 이은 술탄 빈 사이프는 1649년 12월 무스카트 마을을 점령하고, 1650년 1월 23일 포르투갈인들을 항복시켰다. 이는 오만 세력 확장의 시작이었고, 인도와 동아프리카의 포르투갈 소유지가 위협받게 되었다.
4. 3. 야루바 왕조와 오만의 저항
나시르 빈 무르시드(재위 1624–49)는 1624년에 선출된 오만의 야루바 왕조의 첫 번째 이맘이었다. 그는 포르투갈인을 몰아낸다는 공동의 목표로 부족들을 통합할 수 있었다. 나시르 빈 무르시드는 무스카트를 제외한 오만의 모든 기지에서 포르투갈을 몰아냈다. 그는 1649년에 그의 사촌 술탄 빈 사이프가 계승했다.
16세기 초 포르투갈은 무스카트에 병영, 창고, 예배당을 건설하였고, 이는 1531년 완공된 것으로 보인다. 1546년 오스만 함대가 무스카트를 공격했지만 상륙하지는 않았다. 포르투갈인들은 1550년에 최초의 무스카트 요새를 건설했고, 1552년 무스카트 포위에서 오스만 제국에 의해 요새가 파괴되었다. 포르투갈은 2년 후 마을을 되찾았고, 1554년에는 또 다른 터키의 공격을 격퇴했다.
알 자랄리 요새는 오스만 제국이 1582년에 두 번째로 무스카트를 약탈한 후 건설되었다. 1587년 Belchior Calaça가 요새 건설을 위해 무스카트로 보내졌고, 그 이름은 ''상 주앙 요새''(Forte de São João)였다. 요새가 서 있는 돌출부의 꼭대기가 먼저 평평하게 다듬어졌고, 바위가 깎였다. Calaça는 거주자를 위한 물을 담을 물탱크를 건설하고 대포로 요새를 무장시켰다. 포르투갈인들이 만든 주요 개선 사항은 항구를 내려다보는 포탄 데크를 건설한 것이다. 알-자랄리 요새와 쌍둥이 요새인 알-미라니 요새는 1586년에서 1588년 사이에 완공되었다.
포르투갈은 이 지역에서 영국 및 네덜란드 상인들과 경쟁이 심화되었다. 1622년에 페르시아-영국 연합군은 호르무즈를 점령했다. 이 후 포르투갈은 오만 해안의 다른 항구에 요새를 건설했지만, 1633~34년에 대부분을 버리고 무스카트 방어에 집중했다. 1622년 이후 포르투갈은 알 자랄리 요새를 강화하기 시작했다. 1625년에는 무스카트 주변에 벽과 탑을 건설했다. 무스카트는 대규모 군대와 해군력을 유지하여 방어해야 했기 때문에 포르투갈 재정에 부담을 주었다. 페르시아 시장이 1630년까지 그들에게 폐쇄되어 무역이 희망대로 번창하지 못했다. 그 당시 네덜란드와 영국이 페르시아만 무역을 지배했다.
1649년 12월, 술탄 빈 사이프의 군대는 무스카트 마을을 점령했다. 약 600명의 포르투갈인들은 배를 타고 탈출했고, 다른 사람들은 포르테 도 알미란테 (알 미라니)로 도망쳤다. 그들은 1650년 1월 23일에 항복했다. 포르투갈로부터 무스카트를 점령한 것은 오만 해군의 세력 확장의 시작을 알렸고, 곧 인도와 동아프리카에 있는 포르투갈 소유가 위협을 받게 되었다.
4. 4. 페르시아 침략
1718년 오만의 제5대 야르바 이맘, 술탄 빈 사이프 2세가 사망한 후, 이맘 자리를 둘러싼 대립이 시작되었다. 이 내전으로 알자랄리 요새는 피해를 입었다. 그 나라는 사이프 빈 술탄 2세와 그의 사촌이자 라이벌인 이맘 바라브 빈 히마이어에 의해 분단됐다. 사이프 빈 술탄 2세는 세력이 쇠퇴하고 있음을 깨닫고 페르시아의 나데르 샤에게 도움을 청했다. 1738년 두 요새는 페르시아군에 항복했다. 페르시아 인들은 약탈을 하고 페르시아로 돌아갔다.
몇 년 뒤 추방된 사이프 빈 술탄 2세는 다시 도움을 청했다. 페르시아 원정대가 1742년 10월경 줄파르에 도착했다. 페르시아군은 새로운 이맘 술탄 빈 무르시드의 계략에 밀려 무스카트 탈취에 실패했다. 이후 1743년 페르시아인들이 돌아와 사이프 빈 술탄 2세를 데려왔다. 이들은 무스카트 마을을 점령했지만 알자라리와 미라니 요새는 저항했고, 사이프 빈 술탄 2세는 그들에게 굴복을 명령하려 하지 않았다. 오만의 역사학자들은 페르시아의 사령관 미르자 타키가 사이프를 배에서 연회에 초대했다고 한다. 사이프는 술에 취해 정신을 잃었고 그의 도장이 빼앗겼다. 이는 보루 지휘관들에게 항복 명령을 내리기 위해 사용되었고 성공적인 책략이었다.
4. 5. 알 부사이디 왕조와 요새의 변화
알 사이드 왕조의 첫 번째 통치자인 아흐마드 빈 사이드 알 부사이디는 1749년에 무스카트를 봉쇄하고 요새를 점령했다. 그는 특히 알 잘랄리를 개조했는데, 항구의 수동적 방어에서 병력을 파견할 수 있는 기지로 기능을 바꾸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커다란 중앙 건물과 둥근 탑이 추가되었다.
1781년 초, 아흐마드 빈 사이드의 아들 둘, 술탄과 사이프는 알 미라니와 알 잘랄리 요새를 장악했다. 무스카트의 총독이 요새를 되찾으려 하자 술탄과 사이프는 도시에 파괴적인 폭격을 시작했고, 두 형제는 1781년 4월 수도를 공격한 강력한 셰이크 사카르의 지원을 받았다. 그들의 아버지는 사면을 허락하여 반항적인 아들들이 두 요새를 모두 차지하도록 했으나, 마음을 바꿔 알 미라니를 점령했고, 형제들은 몇 달 동안 알 잘랄리를 지켰다. 이후 술탄과 사이프는 형제 사이드 빈 아흐마드를 납치하여 알 잘랄리에 감금했다. 1782년 1월, 이맘인 그들의 아버지는 알 미라니의 사령관에게 알 잘랄리에 포격을 가하도록 명령했고, 그의 배들은 요새 동쪽에서 합류했다. 이 일이 진행되는 동안 사이드 빈 아흐마드는 간수에게 뇌물을 주고 탈출했고, 고립되고 인질도 없는 두 형제는 항복하기로 합의했다. 이맘은 사이프를 데려가 새로운 반란을 막기 위해 감시했다. 사이드 빈 아흐마드는 1783년부터 1789년까지 통치했는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의 아들은 무스카트의 총독에 의해 알 잘랄리 요새에 한동안 갇혀 있었고, 그의 다른 아들이 그를 석방했다.
1803년 초, 오만의 통치자가 메카 순례를 떠났을 때 그의 조카 바드르 빈 사이프는 잘랄리 요새를 장악하려 했으나, 힌두교 상인에게 발각되어 가까스로 탈출하여 카타르로 피신했다. 1849년 6월 소하르의 총독은 노예 무역을 억압하기 위해 영국 거주자와 조약을 맺었고, 이는 종교 단체의 반란을 촉발하여 총독이 살해되고 그의 아버지 하마드가 총독이 되었다. 당시 잔지바르에 거주하던 오만의 술탄은 하마드를 체포하여 알 잘랄리 요새에 가두도록 조치했고, 하마드는 1850년 4월 23일 굶주림이나 독살로 사망했다. 1895년 부족들이 무스카트를 약탈했을 때, 술탄 파이살 빈 투르키는 알 미라니 요새를 점령하고 있던 그의 형제가 도시를 다시 장악할 때까지 알 잘랄리 요새에 피신했다.
20세기 대부분 동안 알 잘랄리 요새는 오만의 주요 감옥이었으며, 제벨 아크다르 전쟁(1954–59) 중에 체포되거나 그 전쟁 이후에 잡힌 내부 오만인, 도파르 반란(1962–76) 중에 체포된 수감자들을 수용했다. 이 감옥은 끔찍한 환경으로 유명했고, 무스카트에서 술탄 군대의 사령관이었던 데이비드 스마일리 대령은 이 감옥을 "진정한 지옥 구덩이"라고 불렀다. 1963년, 44명의 수감자가 잘 계획된 탈출을 했지만, 대부분은 약화된 신체 상태로 인해 빠르게 다시 체포되었고, 1969년, 간수는 왕족 두 명의 탈출을 도왔지만, 며칠 만에 붙잡혔다. 이 감옥은 1970년대에 폐쇄되었다.
4. 6. 19세기 이후
알 사이드 왕조의 첫 번째 통치자인 아흐마드 빈 사이드 알 부사이디는 1749년에 무스카트를 봉쇄하고 요새를 점령했으며, 특히 알 잘랄리를 개조했다. 알 잘랄리의 기능은 항구의 수동적 방어에서 병력을 파견할 수 있는 기지로 바뀌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커다란 중앙 건물과 둥근 탑이 추가되었다.
1781년 초, 아흐마드 빈 사이드의 아들 둘, 술탄과 사이프는 알 미라니와 알 잘랄리 요새를 장악했다. 무스카트의 총독이 요새를 되찾으려 하자 술탄과 사이프는 도시에 파괴적인 폭격을 시작했다. 두 형제는 1781년 4월 수도를 공격한 강력한 세이크 사카르의 지원을 받았다. 그들의 아버지는 사면을 허락하여 반항적인 아들들이 두 요새를 모두 차지하도록 했다. 그는 마음을 바꿔 알 미라니를 점령했고, 형제들은 몇 달 동안 알 잘랄리를 지켰다.
술탄과 사이프는 형제 사이드 빈 아흐마드를 납치하여 알 잘랄리에 감금했다. 이맘, 즉 그들의 아버지는 1782년 1월에 무스카트에 도착했다. 그는 알 미라니의 사령관에게 알 잘랄리에 포격을 가하도록 명령했고, 그의 배들은 요새 동쪽에서 합류했다. 이 일이 진행되는 동안 사이드 빈 아흐마드는 간수에게 뇌물을 주고 탈출했다. 고립되고 인질도 없는 두 형제는 항복하기로 합의했다. 이맘은 사이프를 데려가 새로운 반란을 막기 위해 감시했다. 사이드 빈 아흐마드는 1783년부터 1789년까지 통치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의 아들은 무스카트의 총독에 의해 알 잘랄리 요새에 한동안 갇혀 있었고, 그의 다른 아들이 그를 석방했다.
이 요새는 19세기 오만 역사에 여러 번 언급된다. 1803년 초, 오만의 통치자가 메카 순례를 떠났을 때 그의 조카 바드르 빈 사이프는 잘랄리 요새를 장악하려 했다. 이야기에 따르면 그는 큰 상자에 숨겨 요새로 밀입국하려 했지만, 힌두교 상인에게 발각되었다. 그는 가까스로 탈출하여 카타르로 피신했다. 1849년 6월 소하르의 총독은 노예 무역을 억압하기 위해 영국 거주자와 조약을 맺었다. 이는 종교 단체의 반란을 촉발하여 총독이 살해되고 그의 아버지 하마드가 총독이 되었습니다. 당시 잔지바르에 거주하던 오만의 술탄은 하마드를 체포하여 알 잘랄리 요새에 가두도록 조치했다. 하마드는 1850년 4월 23일 굶주림이나 독살로 사망했다. 1895년 부족들이 무스카트를 약탈했다. 술탄 파이살 빈 투르키는 알 미라니 요새를 점령하고 있던 그의 형제가 도시를 다시 장악할 때까지 알 잘랄리 요새에 피신했다.
20세기 대부분 동안 알 잘랄리 요새는 오만의 주요 감옥이었으며 약 200명의 수감자를 수용했다. 일부는 제벨 아크다르 전쟁(1954–59) 중에 체포되거나 그 전쟁 이후에 잡힌 내부 오만인이었다. 다른 수감자들은 도파르 반란(1962–76) 중에 체포되었다. 이 감옥은 끔찍한 환경으로 유명한 오만 감옥 중 가장 악명이 높았다. 무스카트에서 술탄 군대의 사령관이었던 데이비드 스마일리 대령은 이 감옥을 "진정한 지옥 구덩이"라고 불렀다. 1963년, 44명의 수감자가 잘 계획된 탈출을 했지만, 대부분은 약화된 신체 상태로 인해 빠르게 다시 체포되었다. 1969년, 간수는 왕족 두 명의 탈출을 도왔지만, 며칠 만에 붙잡혔다. 이 감옥은 1970년대에 폐쇄되었다.
5. 구조 및 전시
알잘라리 요새는 1983년에 복원되었다. 오늘날에는 포르투갈 시대의 유물로는 몇 개의 비문만 남아 있을 뿐이다. 이 요새는 오만 문화 역사 박물관으로 바뀌었으며, 국가 원수와 같은 중요 인물들에게 개방되지만, 일반 대중에게는 개방되지 않는다.
요새는 대포를 위한 포트가 뚫린 연결 벽으로 이어진 두 개의 탑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는 현재 분수와 연못, 나무와 정원으로 조경되어 있으며, 그 결과는 "디즈니화"로 묘사되었다. 요새 중앙에는 나무가 심어진 안뜰이 있다. 그 주변에는 다양한 층에 방, 울타리, 탑이 있으며, 한때 방어 목적이었을 복잡한 계단 세트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튀어나온 쇠못이 박힌 거대한 문이 요새의 구역을 보호한다.
전시품으로는 포트의 대포, 포탄, 밧줄, 발사 장비, 낡은 머스킷총 및 머스킷이 있다. 무스카트 만의 바람과 해류를 묘사한 현판을 포함한 지도와 역사적 삽화도 있다. 야자나무 통나무로 만든 천장이 있는 한 방에는 오만의 문화 유물이 가득하다. 중앙의 사각형 탑에는 카펫, 도자기, 보석, 무기, 가정용품, 향꽂이 등 주요 박물관 전시품이 있다. 식당은 특별 방문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안뜰을 내려다보고 있다. 이 방에는 한때 수동으로 작동되었지만 이제는 기계화된 오래된 바람 제조기가 보존되어 있다.
이 요새는 왕실의 다우선과 요트가 항구를 통해 항해하고, 불꽃놀이가 시작되며, 백파이프 연주자가 성벽에서 연주하는 특별 행사에서 역할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