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카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 카밀은 아이유브 왕조의 술탄으로, 부왕으로서 아버지 알 아딜을 보좌하다가 1218년 부친의 사망으로 술탄이 되었다. 제5차 십자군을 격퇴했지만, 내분과 프리드리히 2세의 제6차 십자군 침공으로 예루살렘을 십자군에게 양도했다. 그는 프리드리히 2세와 서신을 통해 교류하며 평화를 유지했고, 1238년 사망했다. 알 카밀은 이슬람 전쟁법을 잘 보여주었으며, 프리드리히 2세와의 우호적인 관계는 19세기 그의 유해에서 이슬람풍 의상과 알 카밀에 대한 칭찬 문구로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5차 십자군 무슬림 - 알아딜
    알 아딜은 살라딘의 동생으로, 제3차 십자군 당시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고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여 1200년 술탄으로 즉위하여 이집트와 시리아를 통치하며 아이유브 왕조의 평화를 유지하려 노력하다가 제5차 십자군의 침공으로 사망했다.
  • 13세기 이집트 사람 - 살리흐
    알-말리크 알-살리흐 나짐 앗딘 아이유브, 통칭 살리흐는 아이유브 왕조의 이집트 술탄으로, 제7차 십자군 격퇴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맘루크 세력을 키웠고, 치안 유지, 왕래 안전 확보, 로다 섬 성채와 카이로를 잇는 다리 건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3세기 이집트 사람 - 알아딜
    알 아딜은 살라딘의 동생으로, 제3차 십자군 당시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고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여 1200년 술탄으로 즉위하여 이집트와 시리아를 통치하며 아이유브 왕조의 평화를 유지하려 노력하다가 제5차 십자군의 침공으로 사망했다.
알카밀
기본 정보
알-카밀 (오른쪽)과 프리드리히 2세
알-카밀 (오른쪽)이 프리드리히 2세를 만나는 모습 (14세기 중반의 Nuova Cronica 필사본)
칭호알-말리크 알-카밀
이름나시르 앗딘 무함마드
전체 이름알-말리크 알-카밀 나시르 앗딘 아부 알-마알리 무함마드
종교수니 이슬람
통치
국가아이유브
직함이집트의 술탄
재위 기간1218년 – 1238년 3월 6일
이전 통치자알-아딜 1세
후임 통치자알-아딜 2세
직함 (다마스쿠스)다마스쿠스의 술탄
재위 기간 (다마스쿠스)1238년
이전 통치자 (다마스쿠스)아스-살리흐 이스마일
후임 통치자 (다마스쿠스)알-아딜 2세
생애
출생1177년, 아이유브 술탄국, 카이로
사망1238년 3월 6일, 아이유브 술탄국, 다마스쿠스
가족
배우자위르드 알-마나
시티 사우다
자녀아스-살리흐 아이유브
알-아딜 2세
아슈라 하툰
파트마 하툰
아버지알-아딜 1세
왕가아이유브 가문

2. 생애

알 카밀은 쿠르드족 출신 술탄 알 아딜("사파딘")의 아들이자 살라딘의 형제였다. 아버지가 술탄으로 재위하는 동안 부왕(술탄의 대리인)으로서 이집트 통치를 맡았다.[3] 1218년 아버지 알 아딜이 제5차 십자군과 교전 중에 사망하여 술탄으로 즉위했다.[9]

아버지의 죽음으로 제5차 십자군다미에타를 점령하는 등 위기에 빠졌으나, 반격하여 십자군을 격파했다. 이후 알 카밀의 즉위에 불만을 품은 일족 및 알레포다마스쿠스 총독의 반란으로 위기에 빠진 상황에서, 1228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제6차 십자군을 이끌고 침공해 왔다.

알 카밀은 프리드리히 2세와 싸울 여유가 없어 예루살렘을 양도하고 화해했으며, 이후 내분 수습에 집중했다. 프리드리히 2세 또한 로마 교황과의 갈등에 집중하고자 했기에, 두 사람은 서신을 통해 교류하며 서로 싸우는 것을 원치 않음을 확인했다.[14] 1229년 자파 조약을 통해 10년간의 평화 조약을 맺고 예루살렘 등을 십자군 왕국에 반환했다.[14] 그러나 이 일로 이슬람교도들의 불만을 샀으며, 바그다드에서 알 카밀을 규탄하는 집회가 열리기도 했다.

1238년 알 카밀은 사망했다. 프리드리히 2세와의 교류는 알 카밀이 사망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2. 1. 이집트 부왕

1200년, 알 아딜은 자신이 술탄임을 선포한 후 동부 영토에서 알 카밀을 초청하여 이집트의 부왕(나이브)으로 삼았다. 알 아딜은 알 카밀에게 상당한 수준의 권한을 부여하여 카이로 시타델 건설의 많은 부분을 감독하고, 자신의 이름으로 칙령을 발표하게 하였으며, 심지어 아버지에게 강력한 재상 이븐 슈크르를 해임하도록 설득하게 했다.[8] 1218년 아버지 알 아딜의 사망으로 알 카밀은 술탄이 될 때까지 부왕으로 남아 있었다.

2. 2. 제5차 십자군

1218년 아버지 알 아딜이 제5차 십자군과 교전 중에 심장 발작으로 사망하여 이집트의 술탄으로 즉위했다.[9]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제5차 십자군은 다미에타를 점령하는 등 일시적으로 위기에 빠졌으나, 총력을 기울여 반격에 나서 십자군을 격파했다.

1219년, 하카리 쿠르드 연대의 지휘관인 아미르 이마드 앗 딘 이븐 알 마슈투브(Imad ad-Din ibn al-Mashtub)가 자신의 동생 알 파이즈 이브라힘(al-Faiz Ibrahim)으로 알 카밀을 교체하려는 음모를 꾸몄다.[11] 이 음모를 알게 된 알 카밀은 안전을 위해 진영에서 도망쳐야 했고, 혼란스러운 틈을 타 십자군은 다미에타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알 카밀은 아들 알 마수드 유수프가 통치하는 예멘으로 도망치는 것을 고려했지만, 시리아에서 그의 형제 알 무아잠이 지원군과 함께 적시에 도착하면서 음모는 빠르게 종식되었다.[11]

알 카밀은 십자군에게 수많은 평화 제안을 했지만, 교황 사절 펠라기우스의 영향으로 모두 거부되었다.[12] 그는 예루살렘을 돌려주고 그 성벽을 재건하며, 진실한 십자가를 돌려줄 것을 제안했다.[12] 한때 그는 십자군에 동행했던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와 만나기도 했다.[12]

아시시의 프란체스코와 아르체의 일루미나투스가 제5차 십자군 당시 술탄 알 카밀과 함께. 15세기. 베노초 고촐리 작품.


나일 강의 범람 실패로 인한 기근과 질병으로 인해 알 카밀은 다미에타를 방어할 수 없었고, 1219년 11월에 함락되었다.[13] 술탄은 나일 강 상류에 있는 요새인 알만수라로 물러났다. 그 후 1221년까지 별다른 행동이 없었고, 알 카밀은 다시 평화를 제안하여, 십자군이 이집트에서 철수하는 대가로 트란스요르단을 제외한 예루살렘 왕국의 전체 영토를 넘겨주겠다고 제안했으나 거부되었다.[13] 십자군은 카이로를 향해 진격했지만, 알 카밀은 댐을 열어 나일 강이 범람하게 했고, 마침내 십자군은 8년 평화 협정을 받아들였다. 그는 9월에 다미에타를 탈환했다.

2. 3. 제6차 십자군과 예루살렘 양도

알카밀의 즉위에 불만을 품은 일족 및 알레포다마스쿠스의 총독이 반란을 일으켰다. 1228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가 제6차 십자군을 이끌고 침공해 왔다. 알카밀은 프리드리히 2세를 맞아 싸울 여유가 없었기에 성지 예루살렘을 양도하는 것으로 화해하였고, 그 다음 전력을 모아 내분 수습에 나섰다. 프리드리히 2세 또한 로마 교황과 교황파 제후들과의 다툼에 집중하고 싶어 했다.[14] 두 사람은 지식인으로서 서신을 통해 (함께 아랍어로) 자연 과학에 대한 논의 등을 하며 교류하였고, 서로 싸우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229년 2월, 알카밀은 자파 조약을 협상하여 프리드리히 2세와 10년간의 평화를 맺고 예루살렘과 기타 성지를 십자군 왕국에 반환했다.[14] 그러나 예루살렘을 넘겨준 일로 인해 많은 이슬람교도로부터 불만을 샀으며, 바그다드의 모스크에서는 알카밀을 규탄하는 집회가 열렸다.

2. 4. 말년

1238년 알카밀은 사망했다. 프리드리히 2세와의 교류는 알 카밀이 사망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그의 사후, 아들 아스 살리흐 아이유브와 알 아딜 2세가 각각 시리아와 이집트에서 그의 뒤를 이었지만, 아이유브 왕조는 곧 내전으로 휩싸였다. 1239년 프리드리히 2세와의 조약이 만료되면서 예루살렘은 다시 아이유브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3. 평가

알 카밀은 이슬람의 전쟁법을 잘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알 카밀이 제5차 십자군을 격파한 후, 파더보른의 올리버는 알 카밀이 패배한 프랑크 군에게 식량을 제공한 것에 대해 칭찬했다.[17]

19세기, 프리드리히 2세의 유해가 학술 조사를 받았을 때, 관 속의 그는 이슬람풍 의상을 입고 있었고, 셔츠 소매에는 아랍어로 "'''친구여, 관대한 자여, 성실한 자여, 지혜로운 자여, 승리자여'''"라는 알 카밀에게 보내는 것으로 보이는 말이 수놓아져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참조

[1] 서적 Eyyubi Ailesi Kadınları http://kaynakca.hace[...] 2024-01-05
[2] 문서 Saint Francis and the Sultan: The Curious History of a Christian-Muslim Encounter OUP 2009
[3] 서적 From Saladin to the Mongols: The Ayyubids of Damascus 1193–1260
[4] 서적 From Saladin to the Mongols: The Ayyubids of Damascus 1193–1260
[5] 서적 From Saladin to the Mongols: The Ayyubids of Damascus 1193–1260
[6] 문서 The chronicle of Ibn al-Athir for the Crusading period from al-Kamil fi'l-Tarikh Ashgate Publishing Ltd 2008
[7] 서적 From Saladin to the Mongols: The Ayyubids of Damascus 1193–1260
[8] 서적 From Saladin to the Mongols: The Ayyubids of Damascus 1193–1260
[9] 서적 Al-Kamil, Sultan Al-Malik https://www.encyclop[...] Gale 2023-08-13
[10] 서적 From Saladin to the Mongols: The Ayyubids of Damascus 1193–1260
[11] 서적 From Saladin to the Mongols: The Ayyubids of Damascus 1193–1260
[12] 간행물 Traces of the Kurds and Kurdistan in Italy and Rome http://books.openedi[...] Institut français d'études anatoliennes 2021-05-27
[13] 서적 The Atlas of the Crusades Times Books 1990
[14]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5, c. 1198–c. 1300 CUP 1999
[15] 웹사이트 Crusades http://www.britannic[...]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2012-09-25
[16] 문서 1977
[17] 간행물 Justice Without Frontiers Brill Publishers
[18] 간행물 Justice Without Frontiers Brill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