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키오네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키오네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초기 자료에서는 헤라클레스의 적 중 하나로 묘사되거나 거인이 아닌 존재로 언급되기도 한다. 기원전 6세기의 항아리 그림과 포세 델 셀레의 헤라 신전 메토페 등에서는 헤라클레스와 싸우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핀다르의 기록에서는 "산처럼 거대한" 존재로 묘사된다. 알키오네우스는 플레그라에서 헤라클레스와 텔라몬에게 맞서 싸웠으며, 헬리오스의 소를 훔치거나 거인들의 전쟁인 기가토마키아에 관련된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후대의 자료에서는 아테나와 싸우는 거인으로 묘사되거나, 베수비오 산과 관련된 인물로 언급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알키오네우스 |
---|
2. 초기 자료
초기 자료들은 아폴로도로스가 전하는 이야기와는 다른 알키오네우스 이야기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아마 알키오네우스는 원래 거인이 아니라, 헤라클레스의 수많은 괴물형 적들 중 하나였을 것이다.
2. 1. 도상학

헤라클레스와 알키오네우스의 전투는 기원전 6세기 항아리 그림 등에서 명문으로 확인된다. (예: 루브르 F208)[1] 이 전투를 묘사한 가장 오래된 예시는 포세 델 셀레의 헤라 신전 메토페로 추정된다.[1] 이 메토페에는 헤라클레스가 알키오네우스의 머리카락을 잡고 칼로 찌르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 같은 장면은 올림피아의 여러 방패 밴드 부조(B 1801, B 1010)에서도 묘사된다.[1]
테라코타 프리즈(바젤 BS 318)와 기원전 6세기 항아리에는 알키오네우스가 누워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 몇몇 항아리에서는 알키오네우스가 날개 달린 힙노스와 함께 잠든 모습으로 나타난다(멜번 1730.4, 게티 84.AE.974, 뮌헨 1784, 톨레도 52.66).[1] 이는 헤라클레스가 잠든 상대를 이용하는 이야기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1]
여러 항아리에 소가 등장하는 것은 이 이야기가 소와 관련이 있었음을 시사한다(예: 타르퀴니아 RC 2070, 타란토 7030).[1] 타란토 7030 항아리는 헤라클레스가 알키오네우스의 머리채를 잡고 끌고 가는 모습을 묘사하는데, 이는 헤라클레스가 알키오네우스를 그의 고향에서 끌어내는 모습을 표현한 것일 수 있다.[1]
2. 2. 문학
기원전 5세기의 시인 핀다르는 헤라클레스와 텔라몬이 플레그라를 여행하던 중 알키오네우스를 만난 이야기를 묘사했다.[8] 핀다르는 알키오네우스를 "산처럼 거대한" 목동이자 "크고 무시무시한 전사"로 묘사했다.[9] 알키오네우스는 바위를 던져 "열두 대의 전차와 그 안에 타고 있던 24명의 말 길들이는 영웅들을 쓰러뜨렸지만", 결국 두 영웅에게 "파괴"되었다.[8]텔라몬과 다른 필멸자들이 전투에 참여하고, 신이나 다른 거인들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은 핀다르에게 헤라클레스와 알키오네우스의 전투가 아폴로도로스와는 달리 기가토마키아와는 별개의 사건이었음을 암시하는 듯하다. 핀다르는 알키오네우스를 거인이라고 부르지는 않지만, 그를 "산처럼 거대한" 존재로 묘사하고, 바위를 무기로 사용하며, 전투 장소가 기가토마키아의 일반적인 장소인 플레그라라는 점을 고려하면 그가 거인이었음을 시사한다.[10]
핀다르의 주석은 알키오네우스가 트라키아 지협에 살았고, 헬리오스의 소를 훔쳐 기가토마키아를 일으켰다고 전한다(Schol. Pindar ''Isthmian'' 6.47). 또한 알키오네우스는 거인 중 한 명으로, 트라키아가 아니라 코린토스 지협에서 헤라클레스가 게리온의 소를 가지고 돌아오는 길에 공격했는데, 이는 거인들이 제우스의 적이었기 때문에 제우스의 계획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Schol. Pindar ''Nemean'' 4.43). 6세기 항아리에 묘사된 소는 알키오네우스가 헬리오스에게서 훔친 소이거나 헤라클레스가 게리온에게서 빼앗은 소를 나타낼 수 있다.[11] 아폴로도로스는 헬리오스의 소를 훔친 사건을 기가토마키아의 사건 중 하나로 언급했지만, 그 원인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3. 다른 자료
알키오네우스는 페르가몬 제단의 부조에서 아테나와 싸우는 날개 달린 거인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2] 클라우디아누스는 알키오네우스를 베수비오 산 아래에 묻혀 있다고 묘사했으며,[15] 필로스트라토스는 알키오네우스의 뼈가 베수비오 산 근처에 살던 사람들에게 경이롭게 여겨졌다고 전한다.[15] ''수다''는 헤게산데르가 알키오네우스의 딸들인 알키오니데스에 대한 신화를 이야기했다고 전한다.[16] 논누스는 그의 시 ''디오니시아카''에서 알키오네우스를 디오니소스가 기가토마키에서 싸우는 여러 거인 중 하나로 언급한다.[17]
참조
[1]
서적
pp. 419–421, 445–450
[2]
웹사이트
p. 89
https://books.google[...]
[3]
웹사이트
Alcyoneus 1.
https://www.perseus.[...]
[4]
웹사이트
Alcyoneus 2.
https://www.perseus.[...]
[5]
서적
Theogony 185
https://www.perseus.[...]
[6]
서적
Fabulae Preface
http://www.theoi.com[...]
[7]
서적
1.6.1
https://www.perseus.[...]
[8]
서적
Isthmian 6.47
[9]
서적
p. 419
[10]
서적
p. 446
[11]
웹사이트
p. 100
https://books.google[...]
[12]
서적
p. 420
[13]
웹사이트
6561
http://www.beazley.o[...]
Beazley Archive
[14]
웹사이트
p. 65
https://books.google[...]
[15]
서적
p. 124
https://books.google[...]
[16]
서적
p. 420
[17]
웹사이트
p. 118
https://books.google[...]
[18]
웹사이트
201048
http://www.beazley.o[...]
Beazley Archive
[19]
웹사이트
25109 (Alkyoneus 11)
http://ark.dasch.swi[...]
LIMC
[20]
웹사이트
16201
http://www.beazley.o[...]
Beazley Archive
[21]
웹사이트
p. 66–68
https://books.google[...]
[22]
웹사이트
351331
http://www.beazley.o[...]
Beazley Archive
[23]
웹사이트
2190
http://www.beazley.o[...]
Beazley Archive
[24]
웹사이트
p. 65
https://books.google[...]
[25]
서적
p. 420
[26]
웹사이트
332028
http://www.beazley.o[...]
Beazley Archive
[27]
서적
pp. 188, 189
[28]
웹사이트
24768 (Alkyoneus 17)
http://ark.dasch.swi[...]
LIMC
[29]
서적
Isthmian 6.30–35
https://www.perseus.[...]
[30]
서적
Nemean 4.24–30
https://www.perseus.[...]
[31]
서적
pp. 419, 445, 447
[32]
서적
Nemean 1.67–69
https://www.perseus.[...]
[33]
서적
Nemean 7.90
https://www.perseus.[...]
[34]
서적
Pythian 8.12–18
https://www.perseus.[...]
[35]
서적
pp. 419, 448
[36]
웹사이트
p. 113
https://books.google[...]
[37]
웹사이트
p. 156 FIG. 5-79
https://books.google[...]
[38]
웹사이트
p. 39
https://books.google[...]
[39]
웹사이트
note 59, pp. 59–60
https://books.google[...]
[40]
서적
p. 419
[41]
서적
Rape of Proserpine 3.186–187 (pp. 358–359)
https://archive.org/[...]
[42]
웹사이트
8.15–16
https://books.google[...]
[43]
웹사이트
"Ἀλκυονίδες ἡμέραι (Alcyon days, Halcyon days, kingfisher days)"
http://www.stoa.org/[...]
Suda
[44]
웹사이트
"Παλλήνη (Pallene)"
http://www.stoa.org/[...]
Suda
[45]
서적
"Dionysiaca 25.90 (II, pp. 256–257)"
https://archive.org/[...]
[46]
서적
"Dionysiaca 48.44 (III, pp. 426–427)"
https://archive.org/[...]
[47]
서적
"Dionysiaca 48.71 (III, pp. 428–429)"
https://archive.org/[...]
[48]
서적
"Dionysiaca 48.22 (III, pp. 426–427)"
https://archive.org/[...]
[49]
서적
"Dionysiaca 36.242 (III, pp. 18–19)"
https://archive.org/[...]
[50]
서적
"Dionysiaca 48.44 (III, pp. 426–427)"
https://archive.org/[...]
[51]
서적
"Dionysiaca 48.71 (III, pp. 428–429)"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