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슈몬트-매터팬 고속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슈몬트-매터팬 고속선은 미국 보스턴의 매사추세츠 만 교통국(MBTA) 레드 라인의 일부로, 애슈몬트 역과 매터팬 역 사이를 운행하는 노면 전차 노선이다. 1847년 증기 철도로 시작되어 1927년 전철로 전환되었으며, 현재까지 8개의 역을 운영하고 있다. 이 노선은 1945~46년에 제작된 PCC 스트리트카를 사용하며, 향후 노후화된 시설과 차량을 교체하기 위한 갱신 공사가 계획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사추세츠주의 철도 - 그린 라인 (MBTA)
그린 라인(Green Line)은 미국 보스턴과 인근 지역을 운행하는 MBTA의 경전철 노선으로, 19세기 말에 개통되어 4개의 지선을 통해 보스턴 외곽까지 운행하며, 지상, 고가, 지하 구간을 모두 운행한다. - 매사추세츠주의 철도 - MBTA 지하철
MBTA 지하철은 미국 최초의 지하철 구간을 포함하는 보스턴 광역권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색상으로 구분된 5개의 노선과 1개의 간선급행버스 노선으로 구성되어 보스턴 시내 중심부를 기준으로 허브 앤 스포크 형태의 노선망을 갖추고 있다. - 미국의 경전철 -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E선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E선은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광역 교통국에서 운영하는 경전철 노선으로, 과거 엑스포선으로 개통되어 명칭 변경 후 A선과 연결되어 산타모니카에서 이스트 로스앤젤레스까지 이어지는 간선 노선으로 확장되었으며, 과거 노면전차 노선의 일부를 계승하여 현재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 기능한다. - 미국의 경전철 - SEPTA 101, 102호선
SEPTA 101, 102호선은 필라델피아 광역권에서 SEPTA가 운영하는 고속철도 노선으로, 69번가 터미널을 공유하며 각각 샤론 힐과 엘든 애비뉴까지 델라웨어 카운티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과거 "레드 애로우" 트롤리 노선입니다. - 보스턴의 교통 - 그린 라인 (MBTA)
그린 라인(Green Line)은 미국 보스턴과 인근 지역을 운행하는 MBTA의 경전철 노선으로, 19세기 말에 개통되어 4개의 지선을 통해 보스턴 외곽까지 운행하며, 지상, 고가, 지하 구간을 모두 운행한다. - 보스턴의 교통 - 로건 국제공항
로건 국제공항은 1923년에 개항한 보스턴의 주요 공항으로, 4개의 터미널과 6개의 활주로를 갖추고 있으며, 델타 항공 등 다양한 항공사가 국내선과 국제선을 운항하고 2023년에 약 4천만 명의 승객이 이용했다.
애슈몬트-매터팬 고속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노선 종류 | 라이트 레일 |
운영 현황 | 운영 중 |
관할 국가 | 미국 |
위치 |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매사추세츠주 밀턴 |
노선 정보 | |
기점 | 애슈몬트(Ashmont) |
종점 | 매터팬(Mattapan) |
역 수 | 8 |
노선 길이 | 4.1 km (2.55 mile) |
궤간 | (표준궤)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방식 | 가공 전차선 직류 600 볼트 |
사용 차량 | PCC카 |
운행 | |
개통일 | 1929년 8월 26일 |
소유주 | 매사추세츠 만 교통공사(MBTA) |
운영자 | 매사추세츠 만 교통공사(MBTA) |
일일 이용객 수 | 4,637 명 (2010년 기준) |
노선도 | |
![]() | |
명칭 | |
한국어 명칭 | 애슈몬트-매터팬 고속선 |
영어 명칭 | Ashmont–Mattapan High Speed Line |
일본어 명칭 | マタパン線 (마타판 선) |
기타 정보 | |
노선색 | '#' |
로마자 표기 | Mattapan Trolley |
2. 역사
1847년에 돈체스터 앤 밀턴 브랜치 철도/Dorchester and Milton Branch Railroad영어가 건설한 증기 철도에서 애슈몬트-매터팬 고속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노선은 초기에 올드 콜로니 철도/Old Colony Railroad영어의 관리를 받았으며, 1872년에 해리슨 스퀘어(Harrison Square)에서 밀턴(Milton)을 잇는 쇼멋 브랜치 철도(Shawmut Branch Railroad)가 건설되었다. 이 노선들은 1893년에 뉴헤이븐 철도에 인수되었다[4]。
1894년에 설립되어 보스턴 각지에서 노면 전차나 고가 철도를 운영하던 보스턴 고가 철도/Boston Elevated Railway영어는 1910년대에 코드먼 스퀘어(Codman Square)까지의 신선 건설을 계획하고 있었다. 해당 노선은 대부분이 앞서 언급한 증기 철도와 병행하는 노선이었지만, 보스턴 고가 철도의 노면 전차에 승객을 빼앗긴 점도 있어, 1920년에 뉴헤이븐 철도와 보스턴 교통위원회를 포함한 협의 결과, 매터팬 방면의 철도 노선 재건을 포함한 건설 계획의 합의가 이루어졌고, 1923년 3월 23일에 승인되었다[5]。
1927년에 증기 철도는 폐지되었으며, 이후 2년에 걸쳐 개수 공사가 진행되었다. 당초에는 애슈먼트역까지 뻗어 있던 고가 철도를 그대로 연장할 예정이었으나, 비용 문제로 인해 노면 전차 규격으로 건설하게 되었다. 1929년 8월 26일에 , 같은 해 12월 21일에 매터팬역/Mattapan station영어까지의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이후에 개업한 여러 중간역을 포함하여 2019년 현재에도 이 노선망이 유지되고 있다. 1947년의 공영화, 1964년의 MBTA로의 재편을 거쳐, 1966년 이후 매터팬선은 애슈먼트역에서 연결되는 지하철 노선과 함께 "레드 라인"(Red Line)의 일부가 되었다。
궤도 갱신 공사, 보유 차량의 갱신, 연선 공사의 영향으로 1977년 6월 - 같은 해 9월, 1981년 6월 - 1982년 1월 , 1993년 8월 - 같은 해 9월, 2018년 9월에 장기 운휴 조치가 취해졌으며, 그 동안에는 대체 버스가 운행되었다. 특히 2006년 7월 24일부터 2007년 12월 22일에 실시된 역사의 개량에 따른 장기 운휴 기간 동안에는, 입지 조건상 공사가 불가능했던 을 제외하고, 승강용 경사로 설치와 고가교 철거 등 배리어 프리 대응 및 감시 카메라와 전광 게시판, 자전거 주차장 정비 등 다수의 현대화가 이루어졌다[6]。
2. 1. 통근 열차 노선 시대 (1847년~1927년)
도체스터 & 밀턴 브랜치 철도는 1847년 12월에 올드 콜로니(Old Colony) 메인 선의 네폰세트(Neponset)에서 밀턴 밀스(Milton Mills, 이후 밀턴 로어 밀스(Milton Lower Mills)를 거쳐 밀턴(Milton)으로 간략화)를 경유하여 도테스터의 매터팬 역(Mattapan station)에 이르는 구간이 문을 열었다. 이 선은 올드 콜로니의 밀턴 지선(네폰세트 지선)으로 즉시 이어졌다.[14] 올드 콜로니는 1872년에 해리슨 스퀘어(Harrison Square)에서 피버디 스퀘어(Peabody Square)을 거쳐 밀턴 로어 밀스 (Millton Lower Mills)까지 이르는 샤멋 브랜치 철도(Shawmut Branch Railroad)를 지었다.[14] 대부분 매터팬 여객 서비스는 밀턴의 동쪽에 있는 새로운 지점으로 전환하였는데, 습지 지역보다는 조밀한 도시 지역을 통과하였다.[15] 1893년 뉴욕, 뉴헤이븐 앤드 핫퍼드 철도(New York, New Haven and Hartford Railroad)에 인수되었다.[14]1920년에 뉴헤이븐 철도와 보스턴 교통위원회를 포함한 협의 결과, 매터팬 방면의 철도 노선 재건을 포함한 건설 계획의 합의가 이루어졌고, 1923년 3월 23일에 승인되었다.[5]
보스턴 고가 철도(Boston Elevated Railway, BERy)가 1910년대 초기에 케임브리지-도체스터 선을 처음 건설할 때, 앤드류에서 에드워드 에버렛 스퀘어(Edward Everett Square), 컬럼비아 스퀘어(Columbia Square), 보든 산(Mount Bowdoin)을 경유해 코드먼 스퀘어까지 남쪽으로 확장할 계획이었다. 이 루트는 뉴헤이븐의 샤멋(Shawmut) 지선과 미들랜드(Midland) 구간과 평행을 이루었다.[16] 그러나 그 기간이 끝날 무렵, 뉴헤이븐이 소유한 두 노선의 승객 수송량은 포레스트 힐스, 에글리스턴, 더들리 스퀘어 및 앤드류에서 급행 환승 열차와 연결된 BERy의 전차 노선에 의해 크게 급감하였다. 1920년경, BERy는 뉴헤이븐과 보스턴 교통위원회(Boston Transit Commission)와 함께 Dorchester Circuit Plan 계획을 추구하기로 합의를 하였다.[16] 이 계획하에, 양방향의 철도 루프가 올드 콜로니 메인 선을 따라 앤드류에서 남쪽으로 뻗어서, 샤멋 지선과 밀턴 지선을 통해 매터팬을 거쳐, 터널에서 미들랜드 구간으로 넘어가고, 미들랜드의 우회 도로와 다른 터널 구간을 통해 앤드류로 돌아온다.[16]
2. 2. 도시 철도로 전환 (1927년~현재)
1923년 3월 23일, 샤멋 지선을 따른 매터팬 간 도시 철도 확장 공사가 승인되었다.[16] 1927년 증기기관차 운행이 중단되고, 노면 전차(streetcar) 운행을 위한 개조 공사가 2년간 진행되었다.[13] 1929년 8월 26일, 애슈몬트-밀턴 구간이 개통되었고,[13] 같은 해 12월 21일에는 밀턴-매터팬 구간이 개통되었다.[13]1968년 3월 18일, 네폰세트 강의 범람으로 밀턴 역이 침수되었으나,[17] 신속한 복구 작업을 통해 3월 21일에 운행이 재개되었다.[17]
2006년 6월 24일부터 2007년 12월 22일까지 애슈몬트 역과 매터팬 역 개조 공사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18] 이 공사를 통해 밸리 로드 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역이 현대화되고 휠체어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2007년 재개통 당시, 녹색 역명판이 사용되었으나,[20] 2008년에 노선 색상과 일치하는 붉은색으로 변경되었다.[21]
3. 구간
애슈몬트-매터팬 선은 대부분 보스턴 시내에서 시종착하지만, 남쪽 구간의 대부분은 이웃 밀턴 북부에 있다.[12] 이는 1920년대까지 통근 열차 운행을 했던 올드 콜로니 철도의 2개 지점의 통행권을 따랐기 때문이다.[12] 이 노선은 주로 네폰세트 강과 평행을 이루며 두 번 교차한다.[12] 총 길이는 4.2km이며, 두 곳의 건널목이 있다.[12] 시더그로브와 버틀러 사이 구간은 시더그로브 공동묘지 중앙을 통과한다.
4. 역 목록
애슈몬트-매터팬 선에는 총 8개의 역이 있다. 밸리 로드 역을 제외한 모든 역은 휠체어 접근이 가능하다.
역명 | 소재지 | 개업일자 | 환승 및 참고 |
---|---|---|---|
애쉬몬트 | Ashmont Street and Dorchester Avenue | 1929년 8월 26일 | }} 레드 라인 시·종착역 |
시더그로브 13px | Fellsway Street and Milton Street | 1929년 | |
버틀러 13px | Butler Street and Branchfield Street | 1931년 10월 7일 | |
밀턴 13px | 1 Adams Street at 1 Eliot Street | 1929년 8월 26일 | |
센트럴 애비뉴 13px | Central Avenue off Eliot Street | 1929년 | |
밸리 로드 | Valley Road off Eliot Street | ||
케이픈 스트리트 13px | Capen Street off Eliot Street | 1930년 9월 | |
매터팬 13px | 500 River Street at 1670 Blue Hill Avenue | 1929년 12월 21일 | 시·종착역 |
5. 운행
애슈몬트-매터팬 고속선의 모든 열차는 애슈몬트 역과 매터팬 역 사이 전 구간을 운행한다.[7] 운행 간격은 시간대에 따라 다르며, 평일 러시 아워에는 5분, 주말 및 심야에는 최대 26분 간격으로 운행된다.[7] 성인 기준 요금은 2.9달러이지만, 찰리 카드를 사용하면 2.4달러로 이용할 수 있다.[7]
애슈몬트 역과 매터팬 역에는 회차를 위한 루프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매터팬 역 서쪽에는 차량기지가 있다. 애슈몬트-시더그로브 구간에서는 레드 라인의 코드먼 차량기지(Codman Yard)와 연결되는 단락선이 분기된다.
6. 철도 차량
철도 차량은 새로 개조된 PCC 스트리트카를 사용하며, 이전에는 그린 라인과 공유하던 차량의 일부였다. 철도 차량은 1920년대 전차용으로 제작된 선로가 그린 라인에서 사용되는 더 무거운 현대식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재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크게 유지되었다.[22] 오래된 노면 전차를 운행하는 대부분의 철도 노선과 달리, 이 노선은 보존전차 관광 명소가 아닌 현대 대중 교통 시스템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현재 운용되는 PCC 차량은 1945년~46년에 풀먼 스탠다드(Pullman-Standard)에서 구축된 "전시(Wartime)" PCC이다. 1955년까지 PCC 차량이 애쉬몬트-패터팬 선에 배정되지 않았지만, 제작 후 보스턴에서 지속적인 수익 서비스를 해왔다.[22]
현재의 차량은 1978년~83년에 PCC 차량 개조 계획의 일부로 개조되었고, 1999년~2005년에 다시 개조되었다.[23] 후자의 개조 동안, 차량은 기존의 녹색 도색에서 최초의 도색과 유사하게 더 밝은 주황색 및 크림색으로 재도색되었다.[22] 차량은 또한 독특한 지도 형태의 MBTA 로고가 붙여 있는데, 1948년과 1955년 사이에 발견된 옛 메트로폴리탄 교통공사(Metropolitan Transit Authority) 지도 로고를 연상케 하는 형태이다.[24]
매사추세츠 만 교통국(MBTA)은 여러 차례 PCC 전차를 최신 트롤리 및 버스로의 교체를 제안 받았고, 매번 상당한 지역 반대에 부딪혔다. 2016년 6월에 MassDOT 이사회에서 승인된 FY2017-FY2021 자본 투자 계획에서, 370만 달러를 포함한 비용에서, PCC 차량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9백만 달러를 배정하였다. 이 계획은 또한 "PCC 차량 교체-대체 서비스(PCC Car Replacement-Alternative Service)"에 5백만 달러를 할당하였다.[25]
6. 1. PCC 스트리트카
현재 애슈몬트-매터팬 고속선에서 운행 중인 PCC 차량은 1945~46년에 풀먼 스탠다드(Pullman-Standard)에서 제작된 "전시(Wartime)" 모델이다.[22] 이 차량들은 1955년부터 애슈몬트-매터팬 선에 투입되어 보스턴에서 지속적으로 운행되어 왔다.[22] 1920년대 전차용으로 제작된 선로는 그린 라인에서 사용되는 더 무거운 현대식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재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크게 유지되었다.[22]
1978~83년, 1999~2005년에 두 차례 개조되었으며,[23] 특히 1999~2005년 개조를 통해 밝은 주황색과 크림색으로 재도색되었다.[22] 차량에는 1948년과 1955년 사이에 발견된 옛 메트로폴리탄 교통공사(Metropolitan Transit Authority) 지도 로고를 연상케 하는 독특한 지도 형태의 MBTA 로고가 부착되어 있다.[24]
매사추세츠 만 교통국(MBTA)은 여러 차례 PCC 전차를 신형 차량으로 교체하려 했으나,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2016년, MBTA는 PCC 차량 유지 보수에 9백만 달러, 대체 서비스 연구에 5백만 달러를 배정했다.[25]
2019년 현재 10량의 PCC 차량이 재적되어 있으며, 그중 일부는 부품 수급 문제로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다.[9] 원래는 보스턴 시내의 노면전차망(현: 그린라인)영어용으로 제조된 차량으로, 1955년부터 전속되는 형태로 도입이 시작되어 1958년까지 기존의 차량을 교체했다. 매터팬선의 배틀러역과 도시부의 지하 구간에 섬식 홈이 존재하는 사용 노선의 조건에 맞춰, 우측 통행 대응의 편운전대식임에도 차체 양쪽에 승강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2018년 이후에는 브룩빌・이큅먼트・코퍼레이션영어에 의해 압축 공기를 사용한 제동 장치나 승강문, 와이퍼의 가동을 전기식으로 변경하는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6. 2. 제설 작업
MBTA는 선로 제설을 위해 "스노우질라(Snowzilla)"라는 별명을 가진 제트 엔진 구동 제설기를 운영한다.[26] 스노우질라는 웨스팅하우스 J34 터보제트 엔진으로 구동되며, 약 500갤런의 제트 연료를 사용하여 선로를 제설한다.[26] 이 제설기는 한국 전쟁 당시 전투기용으로 제조된 J34형/J34영어 터보 제트 엔진을 탑재하고 있으며, 152.4 mm 이상의 적설 시 출동하여 엔진에서 방출된 열풍으로 선로의 눈을 날려버린다. 차량의 중량은 11.8 t이며, 1회 사용 시 최대 3406.8리터의 연료가 소비된다. 제조사 포르텍(Portec RMC)의 정식 명칭은 "허리케인 제트 스노우 블로어 RP-3"(Portec RMC Hurricane Jet Snow Blower RP-3)이지만, 매터팬선에서는 일본의 괴수 영화 등에 등장하는 괴수・고질라에서 유래한 스노질라(Snowzilla)라는 애칭으로 불린다.[10][11] 다른 MBTA 노선은 일반 열차로 제설 작업을 하지만, 애슈몬트-매터팬 선은 오래된 차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탈선 위험이 있어 별도의 제설기가 필요하다.[26]
7. 향후 계획
2019년 시점에서 애슈몬트-매터팬 고속선에 재적된 차량은 모두 제조된 지 70년 이상 되었고, 시설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MBTA(매사추세츠만 교통국)는 교량 및 역 등 시설의 개량을 포함한 매터팬선의 갱신 공사를 계획하고 있다. 차량 또한 설계 시 내구 연한을 대폭 초과하고, 운용 비용과 배리어 프리에서도 어려움이 있는 PCC카를 대체하여, 2018년 이후 그린 라인에 도입되었지만, 장래의 100% 초저상 전동차(10형) 도입에 따라 잉여가 확정된 부분 초저상 전동차인 '''9형 전동차'''를 전속하는 형태로 도입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7. 1. 노후화 및 시설 개선
2019년 현재, 차량과 시설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MBTA(매사추세츠만 교통국)는 교량 및 역 시설 개량을 포함한 갱신 공사를 계획하고 있다. 차량은 설계 당시의 내구 연한을 초과하였고, 운용 비용과 배리어 프리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있어, PCC카를 대체할 차량이 필요하다. 2018년 이후 그린 라인에 도입되었지만, 향후 100% 초저상 전동차(10형) 도입으로 잉여가 확정된 부분 초저상 전동차인 9형 전동차를 전속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7. 2. 차량 교체 검토
MBTA(매사추세츠만 교통국)는 차량 및 시설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교량 및 역 등 시설 개량을 포함한 매터팬 선의 갱신 공사를 계획하고 있다. 2019년 시점에서 재적 차량이 모두 제조된 지 70년 이상 되었고, 설계 시 내구 연한을 대폭 초과하였다. 운용 비용과 배리어 프리에서도 어려움이 있는 PCC카를 대체하여, 2018년 이후 그린 라인에 도입되었지만, 장래의 100% 초저상 전동차(10형) 도입에 따라 잉여가 확정된 부분 초저상 전동차인 '''9형 전동차'''를 전속하는 형태로 도입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The MBTA Vehicle Inventory Page
http://www.transithi[...]
NETransit
2019-11-15
[2]
서적
世界のLRT(Light Rail Transit) 環境都市に復権した次世代交通
JTBパブリッシング
2008-06-10
[3]
웹사이트
MATTAPAN TROLLEY Info & Maps
https://www.mbta.com[...]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2019-11-15
[4]
서적
The Rail Lines of Southern
Branch Line Press
[5]
서적
Boston's Red Line: Bridging the Charles from Alewife to Braintree
Arcadia Publishing
[6]
웹사이트
Mattapan Trolley Re-opens
https://www.mbta.com[...]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2019-11-15
[7]
웹사이트
Mattapan trolley schedule PDF
https://cdn.mbta.com[...]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2019-11-15
[8]
웹사이트
MBTA Mattapan-Ashmont Line
https://www.nycsubwa[...]
www.nycsubway.org
2019-11-15
[9]
웹사이트
After breakdown, T vows to keep Mattapan trolleys running
https://www.patriotl[...]
The Patriot Ledger
2019-11-15
[10]
웹사이트
Snowzilla vs. winter's fury
http://www.boston.co[...]
Boston.com
2019-11-15
[11]
간행물
Snowzilla clearing snow from the #MBTA Mattapan Line this morning
2019-11-15
[12]
웹인용
Ridership and Service Statistics
http://www.mbta.com/[...]
매사추세츠 만 교통공사
2014-11-26
[13]
웹인용
Changes to Transit Service in the MBTA district
http://www.transithi[...]
NETransit
2014-11-26
[14]
서적
The Rail Lines of Southern New England
https://archive.org/[...]
Branch Line Press
[15]
서적
Boston's Commuter Rail: The First 150 Years
Boston Street Railway Association
[16]
서적
Boston's Red Line: Bridging the Charles from Alewife to Braintree
https://archive.org/[...]
Arcadia Publishing
[17]
서적
Fourth Annual Report (Covering the period October 1, 1967 - October 31, 1968) of the Board of Directors of the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https://archive.org/[...]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18]
웹인용
Mattapan Trolley to Re - Open
http://www.mbta.com/[...]
Massachusetts Bay Transportation Authority
2007-12-24
[19]
웹인용
3260, inbound to Ashmont
http://carter.gamers[...]
2012-12-16
[20]
웹인용
The new station signs are green
http://carter.gamers[...]
2012-12-16
[21]
웹인용
Capen Street Station
http://flickr.com/ph[...]
Flickr
2012-12-16
[22]
웹인용
MBTA Mattapan-Ashmont Line
http://www.nycsubway[...]
NYCsubway.org
2016-03-21
[23]
웹인용
The MBTA Vehicle Inventory Page
http://www.transithi[...]
NETransit
2016-03-21
[24]
서적
Boston Transit Equipment 1979-2009
Boston Street Railway Association
2009-10-11
[25]
뉴스
State budget plan locks in trolley, Fairmount spending
http://www.dotnews.c[...]
2016-07-13
[26]
웹인용
Snowzilla vs. winter’s fury
http://www.boston.co[...]
Boston.com
2015-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