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리어 프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리어 프리(barrier free)는 장애가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사회에 참여하는 데 있어 물리적, 사회적, 제도적, 심리적인 장벽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원래는 건축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과 함께 의미가 확장되었다.
배리어 프리는 1974년 유엔 보고서를 통해 처음 알려졌으며,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단차 제거, 점자, 음향 신호기 설치 등 물리적 개선을 포함한다. 또한, 교통 및 도시 조성, 언어 장벽 해소와 관련된 제도적 개선도 배리어 프리의 중요한 부분이다. 각국은 고령자 및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법률 및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언어 배리어 프리 사업을 통해 외국인 관광객의 편의를 증진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축설계 - 유니버설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은 모든 사람이 제품, 환경,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설계하는 개념이며, 7가지 원칙을 통해 공평한 사용을 추구하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건축설계 - 팔라디오 건축
팔라디오 건축은 16세기 이탈리아 건축가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로마 건축과 비트루비우스의 저술에서 영감을 받아 대칭과 비례를 중시하며 고전 고대 건물의 웅장함을 모방하고자 한 건축 양식으로, 특히 빌라 설계에서 주변 환경과의 조화, 신전 파사드, 3층 구조, 수학적 비례, 농업 부지의 중심이자 휴양지라는 이중적인 목적을 추구한 점이 특징이다. - 접근성 - 보호 작업장
보호 작업장은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취업 기회와 기술 습득을 제공하여 자립을 지원하는 시설이지만, 낮은 수익성과 열악한 근로 조건, 사회 통합 부족 등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국가별 운영 현황 및 논쟁점이 존재한다. - 접근성 - 흰지팡이
흰지팡이는 시각 장애인이 보행을 돕고 시각 장애를 상징하는 도구로, 20세기 초 상징으로 등장하여 1931년 프랑스 보급 운동 이후 널리 쓰이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각국 법규에 관련 규정이 존재하며 한국에서는 도로교통법에 따라 휴대하도록 규정된다.
배리어 프리 | |
---|---|
개요 | |
정의 | 본래 의미: 장애인 등의 사회적 약자의 사회 활동 참여를 가로막는 물리적, 제도적 장벽을 제거하는 것 확장된 의미: 사회적 약자뿐 아니라 모든 사람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사회 환경을 개선하는 운동 및 그 결과 |
대체 용어 | 유니버설 디자인, 모두를 위한 디자인, 접근성, 보편적 설계 등 |
역사 및 배경 | |
어원 | 일본에서 만들어진 조어 1970년대 초, 고령자, 장애인을 위한 건축 설계 개념에서 유래 |
개념 확산 | 1980년대, 유럽, 북미 등 서구 사회로 확산 단순한 물리적 장벽 제거를 넘어 차별 해소, 사회 통합 추구 |
국제적 노력 | 국제 연합 장애인 권리 협약 (2006): 모든 영역에서 장애인의 완전하고 동등한 참여와 통합 보장 |
유형 | |
물리적 배리어프리 | 턱 제거, 경사로 설치, 엘리베이터, 휠체어 리프트 설치 등 점자 블록, 음향 신호기, 확대경 등 시각, 청각 장애인 지원 시설 장애인 화장실, 기저귀 교환대 등 편의 시설 |
제도적 배리어프리 | 장애인 관련 법률 및 정책 제정, 차별 금지 정보 접근성 향상: 웹 사이트, 모바일 앱 등 디지털 콘텐츠 접근성 준수 교육, 고용, 문화, 체육 등 사회 모든 영역에서 동등한 기회 보장 |
심리적 배리어프리 |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에 대한 편견 해소, 인식 개선 다문화 가정, 성소수자 등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포용적인 태도 함양 공감 능력 향상 교육, 인권 교육 등을 통해 차별 없는 사회 분위기 조성 |
정보 배리어프리 | 고령자, 장애인 등의 정보 접근 및 이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 쉬운 글쓰기, 대체 텍스트 제공, 자막 방송, 수어 방송 등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 운영 |
효과 및 중요성 | |
사회적 효과 | 사회 참여 확대: 장애인, 고령자 등 사회적 약자의 사회 활동 참여 증진 삶의 질 향상: 모든 사람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사회 통합 촉진: 차별 없는 사회, 공동체 의식 함양 |
경제적 효과 | 관광 산업 활성화: 고령층, 장애인 등 관광 약자의 여행 기회 확대 제품 개발 및 서비스 혁신: 유니버설 디자인 제품 개발을 통한 새로운 시장 창출 사회 복지 비용 절감: 예방적 투자를 통해 장기적인 사회 복지 비용 감소 |
법적 의무 | 대한민국 장애인차별금지법: 장애인에 대한 차별 금지 및 정당한 편의 제공 의무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교통 약자의 이동권 보장 관련 법규 준수를 통해 기업 이미지 제고 및 사회적 책임 완수 |
사례 | |
공공 시설 |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의 저상 버스, 휠체어 리프트 설치 공원, 박물관, 미술관 등의 경사로, 점자 안내판 설치 공공 화장실의 장애인 화장실 설치 |
건축물 | 아파트, 주택 등의 문턱 제거, 미끄럼 방지 바닥재 시공 호텔, 병원 등의 장애인 객실 운영 자동문, 높낮이 조절 세면대 설치 |
정보 통신 | 웹 사이트 접근성 지침 준수, 스크린 리더 호환성 확보 모바일 앱의 음성 안내, 자막 기능 제공 공공 기관의 수어 상담 서비스 제공 |
제품 및 서비스 | 유니버설 디자인 제품 개발 (예: 손잡이가 큰 컵, 미끄럼 방지 젓가락) 고령자, 장애인을 위한 여행 상품, 문화 강좌 개발 온라인 쇼핑몰의 음성 검색, 확대 기능 제공 |
과제 및 전망 | |
인식 개선 | 배리어프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 예산 부족 등의 문제점 존재 정부, 기업, 시민 사회의 협력을 통해 인식 개선 및 투자 확대 필요 |
기술 발전 |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배리어프리 환경 구축 가상 현실,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체험형 배리어프리 교육 개발 |
국제 협력 | 선진 국가의 배리어프리 정책 및 기술 벤치마킹 개발 도상국에 대한 기술 지원 및 노하우 전수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배리어프리 환경 조성 노력 |
2. 정의
원래는 건축 용어로, 장애가 있는 사람이 생활하는 데 있어 장벽이 되는 것을 제거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1] 이후 배리어 프리의 의미는 확장되어, 모든 사람이 사회에 참여하는 데 있어 물리적, 사회적, 제도적, 심리적인 장벽을 제거한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1]
1974년 6월, 유엔 장애인 생활 환경 전문가 회의에서 보고서 『배리어 프리 디자인』이 작성되면서 배리어 프리라는 말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 시점에서는 단순한 건축 용어로, 건물 등의 하드웨어를 지칭했다[2])
배리어 프리(barrier free)는 건축물 등에 존재하는 장벽을 제거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로널드 메이스에 의해 처음부터 많은 사람이 이용하기 쉽게 만드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제창되었고, 역 등의 촉지 안내판이나 음성 안내, 컴퓨터의 읽어주기 기능 등도 유니버설 디자인에 포함된다.[1]
"설비나 시스템이 널리 장애인이나 고령자 등에게 대응 가능하다는 것"을 가리켜 "배리어 프리"라고 하는 것은 주로 아시아나 유럽 등 비영어권에서 보이는 용법으로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Barrierefreiheit"라고 불린다), 미국이나 영국 등 영어권에서는 "접근성" (accessibility)이라고 부른다. 그에 비해 영어권에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영어)"라고 하면, 단순히 건물의 단차를 제거하는 것 등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3. 역사
1982년, 전년도에 실시된 국제 장애인의 해를 맞아 유엔 총회에서 『장애인에 관한 세계 행동 계획』이 채택되었다.[3][4]
1987년, 이탈리아 정부가 유엔에서 장애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국제 조약 제안을 했다.
1989년, 스웨덴 정부가 유엔에 장애인 권리 보호 국제 조약 제안을 했고, 이 제안이 『장애인의 기회 균등화에 관한 기준 규칙』으로 채택되었다.
2001년, 멕시코 정부가 유엔에서 국제 조약 제안을 했다.
2001년, 유엔 총회에서 장애인의 권리 조약 설치가 이루어졌다.
2006년, 유엔 총회에서 「장애인 권리 협약」이 채택되었다.
4. 물리적 개선
물리적 개선은 주로 공공시설에서 휠체어 사용자나 시각 장애인 등 다양한 이용자들의 시설 접근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단, 일반적인 올라타기 블록은 도로법상 위법)
(오스토메이트・유아에도 대응)
(고령자・아이 동반에도 대응)
(오물 씻어내기 샤워형)
(파우치 시빈 세척 수도꼭지 사용형)
(홋카이도아사히카와시의 헤이와도리 쇼핑 공원)
(이시카와현가나자와시의 가나자와시청사 주차장)
5. 제도적 개선
"배리어 프리 디자인" 보고서는 장벽을 "물리적 장벽"과 "사회적 장벽"으로 분류하고, 사회적 의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장벽이 "미스터 에버리지"라는 가상의 인물, 즉 육체적으로 가장 잘 적응할 수 있는 장년기 남성의 요구에 맞춰 만들어졌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지적한다. 이는 장애인이나 고령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배리어의 존재를 전제로 하지도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한다.
5. 1. 교통 배리어 프리
교통 배리어 프리는 고령자나 장애인 등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겪는 물리적, 심리적 장벽을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스웨덴과 미국에서는 고령자와 장애인의 교통 이동 제약을 인권 문제로 간주한다.[7] 반면 영국에서는 교통 문제로 보고, 교통 사업자가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하면서 행정의 지도와 지원을 받아 인권 문제를 고려한 대책을 추진해 왔다.[7]
일본에서는 1976년 가와사키시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노선 버스 승차를 거부당한 사건이 발생했다.[8] 1977년 4월 12일에는 장애인 단체가 가와사키역 앞 버스 정류장에서 휠체어 탑승 허용을 요구하며 항의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8] 이후 1983년 3월 "공공 교통 터미널에서의 신체 장애인용 시설 정비 가이드라인"이 발표되는 등 교통 배리어 프리를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7]
각국의 대응은 다음과 같다.
- 스웨덴: 1979년 "공공 교통 기관의 신체 장애인용 시설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대중교통 배리어 프리를 의무화했다.[7]
- 영국: 1984년 「런던 지역 운송법」 등으로 런던 지역의 버스와 지하철에서 장애인 요구 대응을 의무화했다.[7]
- 독일: 1970년 연방 정부 차원에서 "장애인 재활 촉진을 위한 행동 계획"을 발표하고 배리어 프리화를 추진하고 있다.[7]
- 프랑스: 1975년 장애인 기본법 등을 통해 이동 제약자의 이동성 확보를 위한 법령을 마련했다.[7]
5. 1. 1. 각국의 기본 이념과 방침
스웨덴이나 미국에서는 고령자나 장애인의 교통상의 이동 제약을 인권 문제로 여긴다.[7] 반면, 영국에서는 고령자나 장애인의 교통상의 이동 제약을 교통 문제로 간주하여, 교통 사업자가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하면서 행정의 지도와 원조를 얻어 인권을 고려한 대책을 추진해 왔다.[7]5. 1. 2. 버스 승차 문제 (일본)
1976년 말, 가와사키시에서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노선 버스 승차를 거부당했다. 당시에는 휠체어를 탄 채 버스에 타는 것이 안전상 허용되지 않아, 운전기사는 휠체어에서 내려 좌석에 앉을 것을 요구했고, 장애인은 이를 거부했다. 1977년 4월 12일, "휠체어에 앉은 채 버스 탑승을 허용하라"고 주장하는 장애인 단체가 가와사키역 앞 버스 정류장에 집결, 간병인 등의 도움을 받아 잇따라 버스에 탑승하는 항의 운동을 시작했다. 버스 운전기사는 휠체어에서 내려 좌석에 앉도록 촉구했지만, 장애인 측은 이를 거부했다. 결국 운행을 중단하는 버스가 속출했고, 당일 버스 운행은 크게 혼란에 빠졌다. 일부 장애인은 망치로 버스 창문을 깨고 소화기를 뿌리는 등 저항했고, 소란에 혐오감을 느낀 일반 승객이 장애인을 차 밖으로 내쫓는 사건도 발생했다.[8]5. 1. 3. 각국의 대응
일본에서는 1983년 3월 "공공 교통 터미널에서의 신체 장애인용 시설 정비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었고, 1990년 3월에는 "심신 장애인·고령자를 위한 공공 교통 기관의 차량 구조에 관한 모델 디자인"이 발표되어 교통 사업자에 대한 지도가 이루어졌다.[7]스웨덴에서는 1979년에 "공공 교통 기관의 신체 장애인용 시설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택시를 제외한 공공 교통 기관의 배리어 프리화를 의무화했다.[7]
영국에서는 1984년 「런던 지역 운송법」으로 런던 지역의 버스와 지하철에서 장애인 요구에 대한 대응이 의무화되었으며, 1985년의 「1985년 운송법」으로 런던 이외의 주나 군에도 비슷한 배려를 의무화했다.[7] 1989년에는 「런던 경시청 규칙」으로 런던의 택시에 휠체어 이용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도록 의무화했다.[7]
독일에서는 1970년에 연방 정부가 "장애인 재활 촉진을 위한 행동 계획"을 발표했으며, 1985년에는 교통부 장관과 주 정부에서 "노면 전차, 도시 철도 및 지하철에 관한 건설·사용 규칙"의 개정이 합의되어 배리어 프리화가 추진되고 있다.[7]
프랑스에서는 1975년 장애인 기본법이나 1980년 국내 교통 기본법 등 이동 제약자에 대한 이동성 확보에 관한 법령이 제정되어 있다.[7]
5. 2. 도시 조성
국토교통성에서 고령자와 신체 장애인을 배려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쾌적하고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는 시설 정비 등을 실시하는 사업이다.[9]지방 공공 단체는 시가지의 도로 공간 등과 연결된 이동 네트워크 정비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움직이는 통로, 경사로, 엘리베이터 등 고령자와 신체 장애인의 쾌적하고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는 시설을 정비할 때 일정 부분 보조를 받을 수 있다.[10]
5. 3. 언어 배리어 프리
언어 배리어 프리는 이 개념을 광의로 적용한 것으로, 방일 외국인 여행의 편리성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교통기관 게시판을 여러 언어로 표시하려는 사업이다.[11] 주로 영어, 중국어, 한국어로 표시된다. 다만 영어권, 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상호주의에 따라 유사한 게시가 일본어로 표시되지는 않는다. 동일본 대지진의 부흥 예산이 피재지 이외의 언어 배리어 프리화에 사용된 것이 밝혀져 문제가 되었다.[12]5. 4. 관련 법규
- 미국 장애인법
- 장애인 기본법
- 고령자, 장애인 등의 이동 등의 원활화의 촉진에 관한 법률(배리어 프리 신법)
- 고령자, 신체 장애인 등이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특정 건축물의 건축의 촉진에 관한 법률(하트 빌법)
- 고령자, 신체 장애인 등의 공공 교통 기관을 이용한 이동의 원활화의 촉진에 관한 법률(교통 배리어 프리법)
참조
[1]
웹사이트
ユニバーサルデザインの考え方の整理について
https://www.city.fuc[...]
府中市
2021-11-08
[2]
웹사이트
神奈川県立生命の星・地球博物館、博物館検討シリーズ(II)―生命の星・地球博物館開館三周年記念論集―ユニバーサル・ミュージアムをめざして―視覚障害者と博物館―、博物館のより良きバリアフリー施策を目指して
http://nh.kanagawa-m[...]
2017-09-06
[3]
웹사이트
「障害者に関する世界行動計画」についての国連総会決議
http://www.jfd.or.jp[...]
一般財団法人全日本ろうあ連盟
2013-11-04
[4]
웹사이트
障害者に関する世界行動計画と国連障害者の10年
http://www.dinf.ne.j[...]
エンパワメント研究所
2013-11-04
[5]
웹사이트
ベビーキープ対応トイレのご案内
https://fng.or.jp/sh[...]
一般財団法人国民公園協会
2022-03-13
[6]
웹사이트
障害のある人を理解し、配慮のある接し方をするためのガイドブック
https://www.city.nag[...]
名古屋市
2022-03-13
[7]
웹사이트
ヨーロッパにおける交通のバリアフリー
https://www.iatss.or[...]
2021-11-08
[8]
뉴스
車イス乗車 また大もめ バス35台が運休 乗客ら実力排除も
朝日新聞
1977-04-13
[9]
웹사이트
人にやさしいまちづくり事業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3-11-04
[10]
웹사이트
事業の目的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3-11-04
[11]
웹사이트
内閣府<言語バリアフリー化調査事業>
http://ogb.go.jp/oki[...]
内閣府
2013-11-04
[12]
웹사이트
復興へ付け替え横行 省益優先 予算奪い合い
http://www.tokyo-np.[...]
東京新聞
2013-11-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연극 '십이야' 한다는데 왜 시비야? 나갔다 와도, 애착인형 와도 OKㅣ연출가 임도완 [커튼콜 273]
양손으로 즐기는 뇌 균형 스포츠, ‘태극민턴’ 전 세계를 잇다
일 잘하는 직원에 ‘돈쭐’ 낸다는 이 기업...“충분한 포상이 성공 비결”
[MK히든챔피언] "확실한 포상이 R&D 역량 강화 비결"
대형 건설사도 뛰어드는 '시니어 레지던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