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티니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액티니딘은 키위에서 처음 발견된 단백질 분해 효소로, 젤리가 굳지 않는 현상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밝혀졌다. 액티니딘은 과실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며, 살충제나 저장 단백질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액티니딘은 파파인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육류 연화제, 치즈 제조, 설태 제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또한, 소화 효소로서의 기능과 키위 알레르기의 주요 원인 물질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액티니딘 | |
---|---|
기본 정보 | |
![]() | |
효소 정보 | |
이름 | 액티니딘 |
EC 번호 | 3.4.22.14 |
CAS 번호 | 39279-27-1 |
GO 코드 | 0008129 |
단백질 정보 | |
이름 | 액티니딘 |
이미지 | Actinidain 1AEC.png |
캡션 | Actinidia chinensis의 액티니딘. 에서 가져옴. |
PDB | 1AEC |
EC 번호 | 3.4.22.14 |
2. 역사
액티니딘은 1959년 A.C. 아르쿠스가 키위로 만든 젤리가 굳지 않는 이유를 연구하면서 처음 발견되었다.[12] 그는 이 현상이 젤라틴을 공격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을 밝혀냈다.[12] 이 효소는 액티니디아 속 과일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액티니딘'으로 명명되었다.[12] 다른 과일에서도 유사한 단백질이 발견되었지만, 이 시스테인 프로테아제는 키위에서만 독특하게 나타난다.[13][12] 효소 활성에 필수적인 티올기가 확인되었으며, 이 때문에 파파인, 브로멜라인과 같은 효소 그룹에 속하게 되었다.[14][15]
액티니딘의 명확한 기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과실 초기에 축적되기 시작하며 과실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16] 액티니딘은 Spodoptera litura 유충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 효소를 살충제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13] 또한 저장 단백질로 사용될 수 있다.[17]
3. 기능
녹색 키위와 다래에 포함된 단백질의 50% 정도를 차지한다. 소화관 내에서 음식 유래 단백질의 분해 촉진 작용이 있지만[28], 키위 알레르기의 알레르겐 중 하나이기도 하다. 키위에 의한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의 경우, 품종에 따라 함유량에 차이가 있어[29], 함유량이 적은 골든 품종의 키위에서는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곤충류의 반날개아과는 꼬리 분비선에서 액티니딘을 분비한다.[30][31]
4. 구조 및 특성
액티니딘의 효소 분류 번호(EC)는 3.4.22.14이다. 여기서 3은 가수분해효소를, 3.4는 펩타이드 결합에 작용하는 펩티데이스를, 3.4.22는 시스테인 엔도펩티데이스를, 3.4.22.14는 그중에서도 액티니딘을 나타낸다.[18] 액티니딘은 키위가 절반 정도 크기일 때 생성되기 시작하여 완전히 익을 때까지 프로테아제 활성과 효소 생산량이 모두 증가한다.[13] 이 효소는 대규모 유전자군에 의해 암호화되어 키위 식물의 과실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조직에서 발현된다.[13]
액티니딘은 크기, 모양, 활성 부위 위치 및 구조, 운동 연구에서 파파인과 유사하지만, 아미노산 유사성은 48%에 불과하다.[2][14] 전자 밀도 매핑 결과 유사한 α-나선과 전반적인 폴리펩타이드 접힘이 나타났다.[2][14] 전자 밀도 맵에서는 218개의 아미노산이 나타났지만, 추가적인 염기서열 분석 연구에서는 C-말단에 2개가 더해진 220개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다.[14][15] 활성 부위에는 과일 펩티데이스 계열의 다른 여러 단백질에서 보존되는 시스테인과 히스티딘 잔기가 포함된다.[15] 전자 밀도 매핑 결과 도메인 1은 AA 19-115 및 214-218, 도메인 II는 AA 1-18 및 116-213으로 구성되는 이중 교차 구조를 가지며,[14] N-말단과 C-말단이 모두 두 도메인에 걸쳐 있다. 도메인 1에는 여러 개의 α-나선이, 도메인 2에는 주로 하나의 역평행 β-시트가 존재한다.[14] 액티니딘은 수확 시 키위 과일 가용성 단백질 함량의 최대 50%를 차지한다.[19] 매우 산성인 조건을 포함하여[20] 넓은 pH 범위(최적 pH 5-7)에서 활성을 보인다.[21] 분자량과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활성은 동일하지만, 등전점은 산성(pI 3.9)에서 염기성(pI 9.3)까지 다양한 최소 10개의 액티니딘 이소형이 확인되었다.[19]
5.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
액티니데인은 소화 촉진 효과가 있지만, 키위 알레르기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19][20] 또한, 곤충류의 반날개아과는 꼬리 분비선에서 액티니딘을 분비한다.[30][31]
5. 1. 소화 촉진
액티니데인은 인체 소화관에서 발견되는 낮은 산도(pH 1-2)에서도 기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위와 소장에서 단백질 소화를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22] 액티니데인은 특히 펩신과 췌장 소화 효소와 함께 작용할 때 인체의 음식 소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이는 인간 소화 효소보다 음식 단백질을 더 효율적으로 가수분해하기 때문이다.[23] 키위의 소화 보조제로서의 유용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 중이다.액티니데인은 키위의 주요 알레르겐이다.[19][20] 키위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연령, 지리적 차이 및 기타 임상의가 알레르겐을 추적하는 데 사용하는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어떠한 경향도 나타나지 않으며, 알레르기는 종종 입안에서 경미한 증상으로 나타난다.[20] 액티니데인은 IgG 및 IgE 항체 반응을 모두 유발하며, IgE 결합 활성은 심각한 반응(아나필락시스)과 관련이 있다.[19] 녹색 키위와 다래에 포함된 단백질의 50% 정도를 차지한다. 소화관 내에서 음식 유래 단백질의 분해 촉진 작용이 있지만[28], 키위 알레르기의 알레르겐 중 하나이기도 하다. 키위에 의한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의 경우, 품종에 따라 함유량에 차이가 있어[29], 함유량이 적은 골든 품종의 키위에서는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는 경우도 있다.
5. 2. 알레르기 유발
액티니데인은 키위의 주요 알레르겐이다.[19][20] 키위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연령, 지리적 차이 및 기타 임상의가 알레르겐을 추적하는 데 사용하는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어떠한 경향도 나타나지 않으며, 알레르기는 종종 입안에서 경미한 증상으로 나타난다.[20] 액티니데인은 IgG 및 IgE 항체 반응을 모두 유발하며, IgE 결합 활성은 심각한 반응(아나필락시스)과 관련이 있다.[19]녹색 키위와 다래에 포함된 단백질의 50% 정도를 차지한다. 소화관 내에서 음식 유래 단백질의 분해 촉진 작용이 있지만[28], 키위 알레르기의 알레르겐 중 하나이기도 하다. 키위에 의한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의 경우, 품종에 따라 함유량에 차이가 있어[29], 함유량이 적은 골든 품종의 키위에서는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는 경우도 있다.
6. 활용
액티니데인은 고급 육류 연화제로 사용된다.[19] 연구에 따르면 액티니데인은 치즈 제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응유 효소인 키모신을 대체할 수 있는 훌륭한 대체 우유 응고제일 수 있다.[26] 또한, 설태 제거제로도 이용된다.[32]
6. 1. 육류 연화제
액티니데인은 고급 육류 연화제로 사용된다.[19] 돼지고기를 재울 때 액티니데인이 근원섬유와 결합 조직에 영향을 미쳐 이를 연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계적 연화 과정을 통해 분해되는 조직과 유사하다.[24][25]액티니데인은 육류 연화 효소[33]로 이용할 때 pH 6에서 작용시키면 근원 섬유의 기본 구조를 유지한 채 근내막을 분해할 수 있지만, pH 3에서 작용시키면 육류 단백질이 가수 분해된다.[34] 따라서 육류 연화 효소로서는 파파인보다 우수하다.[33]
6. 2. 기타 활용
액티니데인은 고급 육류 연화제로 사용된다.[19] 돼지고기를 재울 때 액티니데인이 근원섬유와 결합 조직에 영향을 미쳐 이를 연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계적 연화 과정을 통해 분해되는 조직과 유사하다.[24][25]연구에 따르면 액티니데인은 치즈 제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응유 효소인 키모신을 대체할 수 있는 훌륭한 대체 우유 응고제일 수 있다.[26]
7. 유사 명칭 물질
알칼로이드의 일종과 매우 유사한 이름을 가진 액티니딘(Actinidine)이 있다. 이는 키위와 같은 다래나무과의 개다래에도 포함되어 있으며, 개다래락톤과 함께 고양이과 동물에게 강한 황홀 반응을 일으킨다.[1]
참조
[1]
논문
The specificity of actinidin and its relationship to the structure of the enzyme
1980-11
[2]
논문
Thiol proteases. Comparative studies based on the high-resolution structures of papain and actinidin, and on amino acid sequence information for cathepsins B and H, and stem bromelain
1985-03
[3]
서적
Active Sites of Enzymes
John Wiley and Sons
[4]
논문
Temperature-dependences of the kinetics of reactions of papain and actinidin with a series of reactivity probes differing in key molecular recognition features
2006-05
[5]
논문
Diversity and relative levels of actinidin, kiwellin, and thaumatin-like allergens in 15 varieties of kiwifruit (Actinidia)
2013-01
[6]
논문
Kiwifruit cysteine protease actinidin compromises the intestinal barrier by disrupting tight junctions
https://cherry.chem.[...]
2016-03
[7]
논문
The effect of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cysteine protease actinidin on the occludin tight junction network in T84 intestinal epithelial cells
2014-10
[8]
논문
Exogenous proteases for meat tenderization
[9]
논문
Antibacterial effects of natural tenderizing enzymes on different strains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beef
2014-04
[10]
논문
Production of novel dairy products using actinidin and high pressure as enzyme activity regulator
2010-01
[11]
서적
Ingredients in meat products properties, functionality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8
[12]
논문
Proteolytic enzyme of Actinidia chinensis
1959-05
[13]
논문
Effects of kiwifruit ( Actinidia deliciosa ) cysteine protease on growth and survival of Spodoptera litura larvae (Lepidoptera: Noctuidae) fed with control or transgenic avidin‐expressing tobacco
http://www.tandfonli[...]
2005-06
[14]
논문
Structure of actinidin: details of the polypeptide chain conformation and active site from an electron density map at 2-8 A resolution
1977-09
[15]
논문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tryptic peptides from actinidin, a proteolytic enzyme from the fruit of Actinidia chinensis
1978-07
[16]
논문
Molecular analysis of actinidin, the cysteine proteinase of Actinidia chinensis
1988-05
[17]
논문
Proteolytic activities of kiwifruit actinidin (Actinidia deliciosa cv. Hayward) on different fibrous and globular proteins: a comparative study of actinidin with papain
2014-04
[18]
웹사이트
Information on EC 3.4.22.14 - actinidain
https://www.brenda-e[...]
2023-10-03
[19]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allergenic potential of proteins: an assessment of the kiwifruit allergen actinidin
2014-05
[20]
논문
The nutritional and health attributes of kiwifruit: a review
2018-12
[21]
논문
Anionic proteinase from Actinidia chinensis.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the crystalline enzyme
1970-06
[22]
논문
Actinidin enhances gastric protein digestion as assessed using an in vitro gastric digestion model
2010-04
[23]
논문
Actinidin enhances protein digestion in the small intestine as assessed using an in vitro digestion model
2010-04
[24]
논문
Injection of marinade with actinidin increases tenderness of porcine M. biceps femoris and affects myofibrils and connective tissue
2009-07
[25]
논문
Nature-derived ingredients as sustainable alternatives for tenderizing meat and meat products: an updated review
2023-04-03
[26]
논문
Actinidin: A Promising Milk Coagulating Enzyme
https://journalejnfs[...]
2011-03-22
[27]
논문
マタタビ属果実における果汁中アクチニジン濃度およびプロテアーゼ活性の品種間差異
https://doi.org/10.3[...]
日本食品科学工学会
2004
[28]
논문
キウイフルーツの消化促進効果に関する研究動向
https://doi.org/10.5[...]
日本栄養改善学会
2014
[29]
웹사이트
果汁中アクチニジン濃度および活性の品種による違い
http://kiwi.main.jp/[...]
[30]
논문
F34 ハネカクシ亜科の尾部分泌腺からのアクチニジン(生理活性物質)
日本応用動物昆虫学会
1988-03
[31]
간행물
兼久勝夫:アクチニジンを含有する昆虫類(生理活性物質)
https://cir.nii.ac.j[...]
1990-03-15
[32]
논문
舌苔を有する高齢者へのアクチニジン含有洗口液による口腔清拭の効果
https://hdl.handle.n[...]
2012-07-03
[33]
논문
精製アクチニジンによる筋原線維タンパク質分解作用のpH依存性
https://doi.org/10.1[...]
日本家政学会
2001
[34]
논문
食肉に対する精製アクチニジン処理の影響
https://doi.org/10.1[...]
2001-03
[35]
뉴스
色으로 먹는다, 키위
https://biz.heraldco[...]
헤럴드경제
2015-07-02
[36]
뉴스
겨울 다이어트는 먹어서? ‘다이어트 돕는 과일 6가지’
https://www.asiatoda[...]
2014-1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