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앤티텀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앤티텀 전투는 1862년 9월 17일 메릴랜드주 앤티텀 크릭 인근에서 벌어진 남북 전쟁의 주요 전투이다. 로버트 E. 리 장군의 남부군과 조지 B. 매클렐런 장군의 북부군 간의 전투로, 북부군이 전술적으로 우위를 점했으나, 리 장군의 북부 침공을 저지하고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노예 해방 선언 발표의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전략적으로 북군의 승리로 평가된다. 이 전투는 남북 전쟁 중 하루 동안 가장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전투로 기록되었으며, 양측 합쳐 22,0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앤티텀 전투는 링컨 대통령이 매클렐런의 신중한 태도를 비판하며 그를 해임하는 결과를 낳았고, 노예 해방 선언을 통해 전쟁의 성격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2년 - 프레더릭스버그 전투
    프레더릭스버그 전투는 1862년 버지니아주 프레더릭스버그에서 벌어진 남북 전쟁의 주요 전투로, 앰브로즈 번사이드가 지휘하는 북군이 로버트 E. 리가 지휘하는 남군의 방어에 막혀 큰 손실을 입고 패배하여 북부 여론이 악화되었다.
  • 1862년 - 반도 전역
    반도 전역은 남북 전쟁 초기에 조지 B. 매클렐런이 이끄는 북군이 리치먼드를 점령하기 위해 버지니아 반도를 따라 진행한 일련의 군사 작전이며, 해군 지원, 요크타운 전투, 7일 전투 등 여러 전투를 거치며 실패로 끝났다.
  • 1862년 9월 - 나마무기 사건
    나마무기 사건은 1862년 나마무기 촌에서 사쓰마 번 행렬과 마주친 영국인들이 무례하다는 이유로 공격받아 사상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막말 정치 혼란 심화, 외국인 배척 운동 격화, 사쓰에이 전쟁의 원인, 대중문화에의 영향 등의 결과를 낳았다.
  • 1862년 9월 - 자계 전투
    1862년 상해 공격 당시, 영국과 프랑스 해군이 청나라 군대와 협력하여 태평천국군을 공격한 자계 전투에서 미국인 용병 워드가 이끄는 상승군이 활약했으나, 워드 전사 후 상승군은 쇠퇴하며 태평천국군 진압 전략에 영향을 주었다.
앤티텀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튀레 데 툴스트룹의 덩커 교회 근처 전투 묘사
튀레 데 툴스트룹의 덩커 교회 근처 전투 묘사
명칭앤티텀 전투, 샤프스버그 전투
일부미국 남북 전쟁
날짜1862년 9월 17일
장소메릴랜드주워싱턴군, 샤프스버그 근처
결과북군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북군
교전국 2남부연합
지휘관
지휘관 1조지 B. 매클렐런
지휘관 2로버트 E. 리
부대
부대 1포토맥군
부대 2북버지니아군
병력 규모
병력 153,632명
포병 1275문
병력 230,646명
포병 2194문
사상자 규모
사상자 112,410명
사망 12,108명
부상 19,549명
포로/실종 1753명
사상자 210,337명
사망 21,567명
부상 27,752명
포로/실종 21,018명

2. 배경

메릴랜드 전역. 1862년 9월 3일부터 15일까지 남군(붉은색)과 북군(푸른색)의 이동 경로.


로버트 E. 리 장군이 이끄는 북버지니아군은 1862년 8월 29일 제2차 불런 전투에서 승리한 후, 9월 3일 메릴랜드로 진입했다. 이는 남부 연합이 전쟁의 무대를 북부 영토로 옮기려는 시도였다. 리는 메릴랜드에서 물자와 병력을 보충하고, 북부의 정치적 여론에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영국이나 프랑스와 같은 외국의 승인을 얻어내기를 기대했다.[93] 또한 이 침공은 켄터키를 침공 중이던 다른 남군 부대와 보조를 맞추고, 전쟁으로 피폐해진 버지니아 북부 지역의 부담을 덜어주려는 목적도 있었다. 그러나 리의 예상과는 달리, 메릴랜드 주민들은 남군을 환영하기보다는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한편, 조지 B. 매클렐런 소장이 지휘하는 포토맥군은 리의 예상을 깨고 빠르게 재정비하여 남군의 진로를 막기 위해 움직였다. 이 과정에서 북군 병사 두 명이 우연히 리의 상세한 작전 계획이 담긴 문서(특별 명령 191)를 발견하는 행운을 얻었다.[94] 이 문서는 리가 군대를 여러 곳으로 분산시켰음을 보여주어, 매클렐런에게 남군을 각개 격파할 좋은 기회를 제공했다. 하지만 매클렐런은 이 정보를 즉각 활용하는 대신 신중한 검토와 준비에 시간을 소요하여 결정적인 기회를 잡지는 못했다.

앤티텀 전투가 벌어지기 직전, 메릴랜드 전역에서는 두 차례의 중요한 교전이 있었다. 스톤월 잭슨 소장이 하퍼스페리 전투에서 북군 수비대를 항복시키면서 남군의 일부 병력이 앤티텀 전투 초반에 합류하지 못하게 되었고, 사우스마운틴 전투에서는 남군이 블루리지 산맥의 고갯길에서 북군의 진격을 효과적으로 지연시켜 리가 샤프스버그에 병력을 집결시킬 시간을 벌었다. 이 두 전투는 앤티텀 크릭에서 양군 주력이 격돌하게 되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95]

2. 1. 남군의 메릴랜드 침공



로버트 E. 리 장군이 이끄는 북버지니아군은 약 55,000명의 병력으로[11] 1862년 8월 30일 제2차 불런 전투에서 승리한 후, 9월 3일 메릴랜드로 진입했다. 리의 메릴랜드 침공은 여러 목적을 가지고 있었는데, 남부에 동조하는 주민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메릴랜드에서 새로운 물자와 병력을 확보하고, 북부의 선거를 앞두고 여론에 영향을 주려는 의도가 있었다. 또한, 켄터키를 침공 중인 브랙스턴 브래그와 에드먼드 커비 스미스 군대와 보조를 맞추고, 식량이 부족해진 북부 버지니아 농장의 부담을 덜려는 물류적인 이유도 포함되었다.[93]

남부 연합의 제퍼슨 데이비스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 지도자들은 북부 영토에서의 군사적 승리가 영국프랑스 등 외국의 승인과 재정 지원을 얻어낼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리 자신이 이러한 외교적 목적을 최우선으로 삼았다는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93][37] 리의 기대와 달리, 메릴랜드 주민들의 반응은 대체로 냉담했다. 북버지니아군 군악대가 "메릴랜드, 마이 메릴랜드"를 연주하며 행진했지만, 주민들은 집 안에 숨거나 조용히 지켜보는 경우가 많았고, 오히려 이후 조지 B. 매클렐런이 이끄는 포토맥군에게는 환호를 보냈다.[36]

리는 제2차 불런 전투에서의 승리와 반도 전역에서의 북군 후퇴를 근거로 매클렐런이 즉각 대응하지 못할 것이라 예상했으나,[38] 이는 리의 오판이었다. 매클렐런은 반도에서의 후퇴 이후 존 포프의 버지니아군을 흡수하여 87,000명[7] 규모의 포토맥군을 빠르게 재정비하고 리의 진로를 막기 위해 움직였다.

이 과정에서 제27 인디애나 의용 보병 연대의 바턴 W. 미첼 상병과 존 M. 블로스 제1상사[94][39]가 우연히 세 개의 담배로 싸여 있던 리의 상세한 작전 계획서인 특별 명령 191 사본을 발견했다. 이 문서는 리가 북버지니아군을 하퍼스페리와 헤이거스타운 등 여러 곳으로 분산시켰음을 보여주었다. 이 정보는 매클렐런에게 분산된 남군을 각개 격파할 절호의 기회를 제공했지만, 그는 정보의 진위 확인과 대응 계획 수립에 약 18시간을 지체했다. 이 결정적인 지연으로 인해 매클렐런은 리의 군대를 완전히 격파할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40]

앤티텀 전투 직전, 메릴랜드 전역에서는 두 개의 중요한 전투가 벌어졌다. 하나는 스톤월 잭슨 소장이 하퍼스페리 전투에서 북군 수비대의 항복을 받아낸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매클렐런이 사우스마운틴 전투에서 블루리지 산맥을 넘어 공격을 감행한 것이다. 하퍼스페리 점령은 잭슨의 부대가 앤티텀 전투 초반에 합류하지 못하게 만들었고, 사우스마운틴 전투에서 남군의 완강한 저항은 매클렐런의 진격을 늦춰 리가 샤프스버그에 병력을 집결시킬 시간을 벌어주었다.[95][41]

2. 2. 북군의 대응과 특무 191호 분실

조지 B. 매클렐런 소장이 이끄는 약 87,000명[7] 규모의 포토맥군은 로버트 E. 리의 북버지니아군을 저지하기 위해 움직였다. 리는 제2차 불런 전투반도 전역의 여파로 매클렐런이 즉각 대응하지 못할 것이라 예상했지만[38], 매클렐런은 예상보다 빠르게 군대를 재정비하고 추격에 나섰다.

9월 13일, 북군 제27 인디애나 의용 보병 연대 소속의 바턴 W. 미첼 상병과 존 M. 블로스 제1상사[39]는 우연히 리의 상세한 작전 계획서인 특별 명령 191의 사본을 발견했다. 이 문서는 담배 세 개를 감싸고 버려져 있었다. 이 명령서에는 리가 자신의 군대를 분산시켜 하퍼스페리와 해거스타운 등 지리적으로 떨어진 곳에 배치했다는 중요한 정보가 담겨 있었다. 이는 매클렐런이 신속하게 움직인다면 분산된 남군 부대를 각개 격파할 절호의 기회였다.

그러나 매클렐런은 이 귀중한 정보를 입수하고도 그 진위를 확인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18시간이나 지체했다.[40] 이러한 머뭇거림은 리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줄 기회를 놓치게 만들었으며, 남군에게 방어 태세를 갖출 시간을 벌어주는 결과를 낳았다.

매클렐런이 마침내 움직였을 때, 남군은 사우스 마운틴 전투에서 블루 리지 산맥의 주요 고개들을 완강히 방어하며 북군의 진격을 늦추었다. 이 지연전 덕분에 리는 샤프스버그에 남은 병력을 집결시킬 시간을 벌 수 있었다.[41] 한편, 스톤월 잭슨 휘하 부대는 하퍼스페리 전투에서 북군 수비대의 항복을 받아내느라 앤티텀 전투 초반에는 합류하지 못했다. 결국 매클렐런의 신중함(혹은 우유부단함으로 평가받기도 한다)과 사우스 마운틴에서의 남군의 성공적인 지연 작전은 앤티텀에서 양군 주력이 정면으로 충돌하는 배경이 되었다.

3. 양측 전력

앤티텀 전투에서는 남부연합의 북버지니아군과 미 연방의 포토맥군이 맞붙었다. 로버트 E. 리 장군이 이끄는 남군은 제임스 롱스트리트스톤월 잭슨이 지휘하는 2개의 주요 보병 군단으로 구성되었다.[42] 이에 맞서는 조지 B. 매클렐런 소장의 북군은 존 포프의 버지니아군 병력을 흡수하여 6개 보병 군단을 갖추었다.[12][43] 북군은 병력 면에서 남군에 비해 약 2대 1의 우위를 점하고 있었으며,[97] 역사가 D. 스콧 하트윅의 연구에 따르면 전투 당일 동원 가능한 병력은 72,199명으로 추산된다. 양측 군대의 상세한 편제와 지휘관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설명한다.

3. 1. 남군 (북버지니아군)

로버트 E. 리 장군의 북버지니아군은 두 개의 큰 보병 군단으로 나뉘어 있었다.[42]

  • '''제1군단''' (제임스 롱스트리트 소장)
  • * 라파예트 맥로즈 소장 사단 (여단: 조지프 B. 커쇼 준장, 하우엘 콥 준장, 폴 J. 셈즈 준장, 윌리엄 버크스데일 준장)
  • * 리처드 H. 앤더슨 소장 사단 (여단: 알프레드 커밍 대령, W. A. 파람 대령, 카노트 포지 대령, 루이스 아미스테드 준장, 로저 A. 프라이어 준장, 앰브로스 R. 라이트 준장)
  • * 데이비드 R. 존스 준장 사단 (여단: 로버트 툼스 준장, 토머스 F. 드레이턴 준장, 리처드 브룩 가넷 준장, 제임스 켐퍼 준장, 조지프 T. 워커 대령, 조지 T. 앤더슨 대령)
  • * 존 G. 워커 준장 사단 (여단: 반 H. 매닝 대령, 로버트 랜섬 주니어 준장)
  • * 존 벨 후드 준장 사단 (여단: 윌리엄 T. 워퍼드 대령, 이벤더 로 대령)
  • * 네이선 G. "섕크스" 에반스 준장의 독립 여단

  • '''제2군단''' (스톤월 잭슨 소장)
  • * 알렉산더 로턴 준장 사단 (여단: 마르셀러스 더글라스 대령, 주벌 얼리 준장, 제임스 A. 워커 대령, 해리 T. 헤이즈 준장)
  • * A.P. 힐 소장 사단 (경사단) (여단: 로렌스 오브라이언 브랜치 준장, 맥시 그레그 준장, 제임스 J. 아처 준장, 윌리엄 도르시 펜더 준장, 존 M. 브로켄브로 대령, 에드워드 L. 토머스 대령)
  • * 존 R. 존스 준장 사단 (여단: A.J. 그리그스비 대령, E.T.H. 워렌 대령, 브래들리 T. 존슨 대령, 윌리엄 E. 스터크 준장)
  • * D.H. 힐 소장 사단 (여단: 로스웰 S. 립리 준장, 로버트 E. 로즈 준장, 새뮤얼 가랜드 주니어 준장, 조지 B. 앤더슨 준장, 앨프리드 H. 콜킷 대령)

  • '''기타 부대'''
  • * J.E.B. 스튜어트 소장의 기병 군단
  • * 윌리엄 펜들턴 준장의 예비 포병대


제2군단은 각 사단에 포병대가 배치되었으나, 제1군단은 군단 단위로 포병대를 운용했다.

3. 2. 북군 (포토맥군)

포토맥군 총사령관]]

조지 B. 매클렐런 소장이 이끄는 포토맥군은 존 포프의 버지니아군에서 흡수된 부대들로 강화되어 6개 보병 군단을 포함했다.[12][43] 제1군단과 제12군단은 포프의 부대였으며, 제2군단, 제5군단, 제6군단은 반도 전역에서 매클렐런과 함께 싸웠고, 제9군단은 포토맥군에 새로 추가된 부대였다.[97] 제9군단은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작전을 수행했으며, 일부는 포프와 함께 싸웠다. 제6군단 분견대에는 제4군단의 사단이 포함되었다. 캠페인 초기에 매클렐런은 경험이 부족한 24개의 새로운 연대를 자신의 군대에 배정하여 병력이 감소한 베테랑 부대의 전력을 강화했다. 이 신병들 중 18개 연대, 총 약 15,000~16,000명의 병력이 매클렐런의 군대와 함께 앤티텀으로 진군했다. 수천 명의 새로운 신병이 기존 부대에 추가되었기 때문에 매클렐런 군대의 약 1/4이 전투에 참여하기 전 경험이 부족하고 훈련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다. 제2, 제9, 제12군단은 다른 군단보다 이러한 병력을 더 많이 받았다.

역사가 D. 스콧 하트윅의 2023년 연구에 따르면 매클렐런은 9월 17일 전투에 72,199명의 병력을 투입할 수 있었으며, 약 14,000명의 추가 병력이 증원으로 도착했다. 하트윅은 제1군단의 병력을 9,582명, 제2군단의 병력을 16,475명, 제5군단의 병력을 9,476명(세 번째 사단에 7,000명 추가), 제6군단에는 11,862명, 제4군단 분견대에는 7,219명, 제9군단에는 12,241명, 제12군단에는 8,020명, 기병 사단에는 4,543명으로 추산한다. 이 병력은 293문의 전투 가능한 대포의 지원을 받았다.

군단지휘관사단 및 예하 여단장
제1군단조지프 후커 소장
제2군단에드윈 V. 섬너 소장
제5군단피츠 존 포터 소장
제6군단윌리엄 B. 프랭클린 소장
제9군단앰브로스 번사이드 소장 (명목상)
제이콥 D. 콕스 준장 (실제 지휘)
제12군단조지프 K. 맨스필드 소장
기병 사단알프레드 플레손턴 준장찰스 J. 와이팅 소령, 존 F. 판즈워스 대령, 리처드 H. 러시 대령, 앤드루 T. 맥레이놀즈 대령, 벤저민 F. 데이비스 대령



매클렐런의 계획은 조율이 제대로 되지 않았고, 실행도 미흡했다. 그는 각 부대 지휘관에게 자신의 군단에 대한 명령만 내렸을 뿐, 전체 전투 계획을 설명하는 일반 명령은 내리지 않았다. 전장의 지형은 해당 지휘관들이 각자의 구역 밖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감시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 게다가 매클렐런의 사령부는 시내 동쪽의 필립 프라이 가옥에 위치해 있어 전선에서 약 1.61km 이상 후방에 있었다. 이로 인해 그는 각 군단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것이 다음 날 전투가 북쪽 전장의 아침, 중앙의 정오, 남쪽의 오후, 이처럼 세 개의 분리되고 거의 조율되지 않은 전투로 진행된 주요 원인이었다. 이러한 조정 부족과 매클렐런 군대의 집중력 부족은 북군이 누리던 2대 1의 병력 우세를 거의 완전히 무효화시켰다. 또한, 이로 인해 는 각 공세를 막기 위해 방어 병력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었다.

4. 전투 경과

9월 15일, 남부 연합의 장군은 메릴랜드주 샤프스버그 인근 앤티텀 크릭 서쪽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북부 연합(북군)의 매클렐런 장군이 이끄는 포토맥군은 다음 날 도착했지만, 매클렐런은 압도적인 병력 우위에도 불구하고 즉각적인 공격을 감행하지 않고 9월 16일 하루를 더 기다렸다. 이 지연은 남부 연합(남군)에게 방어 태세를 강화하고 롱스트리트잭슨의 군단이 합류할 시간을 벌어주었다.[44]

매클렐런의 기본 작전은 북군 좌익(북쪽)을 주력으로 삼아 남군 방어선을 돌파하고, 우익(남쪽)에서는 양동 작전을 펼쳐 남군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작전은 세부적인 연계가 부족했고, 각 군단 지휘관에게 개별적인 명령만 하달되어 통합적인 작전 수행이 어려웠다.[45] 이로 인해 전장의 지형적 특성과 맞물려, 다음 날 벌어진 전투는 사실상 세 개의 분리된 전투처럼 진행되었다. 리는 매클렐런의 의도를 간파하고 이에 맞춰 병력을 효과적으로 재배치하며 방어를 준비했다.

9월 17일의 앤티텀 전투는 크게 세 단계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단계는 시간과 장소가 분리되어 거의 연계 없이 치러졌다. 이러한 분산된 공격은 북군이 가진 2대 1의 수적 우세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 오전 (북쪽 전선): 전투는 새벽 후커 장군이 이끄는 북군 제1군단이 북쪽에서 잭슨 군단의 방어선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옥수수밭과 웨스트 우즈(West Woods), 이스트 우즈(East Woods) 일대에서 남북 전쟁 중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으나, 양측 모두 막대한 사상자만 발생했을 뿐 결정적인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하고 교착 상태에 빠졌다.

  • 정오 (중앙 전선): 전투의 초점은 중앙으로 옮겨갔다. 북군 제2군단은 D. H. 힐 사단이 방어하는 '움푹 꺼진 도로'(Sunken Road)를 공격했다. 이곳은 자연적인 참호 역할을 하여 남군의 강력한 방어 거점이 되었다. 수 시간 동안의 처절한 공방전 끝에 북군은 막대한 희생을 치르고 도로를 점령했지만, 이곳은 이후 '피의 길'(Bloody Lane)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북군은 돌파구를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예비대 투입을 주저하여 전과를 확대하지 못했다.

  • 오후 (남쪽 전선): 마지막 전투는 남쪽에서 벌어졌다. 번사이드 장군의 제9군단은 앤티텀 크릭을 가로지르는 로르바흐 다리(Rohrbach's Bridge, 이후 번사이드 다리로 명명됨)를 건너 남군 우익을 공격하려 했다. 그러나 소수의 조지아 부대가 다리를 효과적으로 방어하면서 북군의 도하는 몇 시간이나 지체되었다. 어렵게 다리를 건넌 후에도 북군의 진격은 더디었고, 결정적인 순간 하퍼스페리에서 강행군해 도착한 A. P. 힐 사단의 기습적인 반격으로 북군의 공세는 좌절되었다.[137]


전투 내내 매클렐런은 포터의 제5군단과 프랭클린의 제6군단 등 상당한 규모의 예비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리의 반격을 지나치게 우려하여 적극적으로 투입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북군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둘 기회를 놓쳤다. 반면, 리는 수적으로 불리한 상황에서도 병력을 효과적으로 운용하며 북군의 공세를 막아내고 전선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4. 1. 전장 배치

앤티텀 전투 전체도


장군은 9월 15일부터 샤프스버그 마을 근처의 낮은 산등성이를 따라 앤티텀 크릭 서쪽에 가용한 부대를 배치했다. 이곳은 방어에 적합했지만, 완벽하게 안전한 곳은 아니었다. 지형은 목책, 돌담, 석회암 바위 등이 흩어져 있어 보병에게 훌륭한 엄폐물을 제공했다. 전방의 앤티텀 크릭은 폭이 약 18.29m에서 약 30.48m (18m~30m) 정도였고 여러 곳에서 걸어서 건널 수 있었으며, 약 약 1.61km (1.6km) 간격으로 3개의 돌다리가 놓여 있어 큰 장애물은 아니었다. 하지만 남군의 등 뒤에는 포토맥강이 흘렀고, 만약 퇴각해야 할 경우 셰퍼즈타운의 보틀러 여울(Boteler's Ford)이 유일한 도하 지점이었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불안한 위치였다. (윌리엄스포트의 여울은 샤프스버그 북서쪽 약 16.09km (16km) 거리에 있었고 잭슨이 하퍼스페리로 행군할 때 사용했지만, 전투 중 북군의 재배치로 인해 이쪽으로의 철수는 불가능해졌다.) 더구나 9월 15일 당시 리가 직접 지휘하는 병력은 18,000명에도 미치지 못해 북군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44]

북군의 첫 두 개 사단은 9월 15일 오후에 도착했고, 나머지 부대 대부분은 그날 밤늦게 도착했다. 만약 북군이 9월 16일 아침 일찍 공격을 시작했다면 수적 우위를 활용할 수 있었겠지만, 매클렐런 장군은 남은 남군 부대의 위치가 불확실하여 리 장군의 특기인 측면이나 후방 기습을 당할 위험을 피하고자 공격을 하루 늦추었다. 이 결정은 결과적으로 남군에게 방어 진지를 강화할 시간을 주었고, 롱스트리트 군단이 헤이거스타운에서, A. P. 힐의 부대를 제외한 잭슨 군단이 하퍼스페리에서 도착하는 것을 허용했다. 잭슨은 좌익(북쪽)을 맡아 포토맥강에 접했고, 롱스트리트는 우익(남쪽)을 맡아 앤티텀 크릭에 접했다. 남군의 전선은 약 약 6.44km (6km) 길이에 걸쳐 형성되었다. (전투가 진행되면서 리가 부대를 이동시켜 군단 간 경계는 상당히 중첩되었다.)

9월 16일 저녁, 매클렐런은 후커의 제1군단에게 앤티텀 크릭을 건너 적의 위치를 정찰하라고 명령했다. 미드 사단은 동쪽 숲 근처에서 후드가 지휘하는 남군 부대를 신중하게 공격했다. 밤이 깊어가는 동안에도 매클렐런이 부대 배치를 계속하면서 포성은 끊이지 않았다. 매클렐런의 작전은 적의 좌익을 압도하는 것이었다. 그는 앤티텀 크릭의 다리 배치를 보고 이러한 결론에 도달했다. 하류 쪽 다리(곧 번사이드 다리로 불리게 됨)는 남군이 내려다보는 절벽 위에 진지를 구축하고 있어 공략이 어려웠다. 분즈보로 도로 연장선상의 중간 다리는 샤프스버그 고지대에서 남군의 포화에 노출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류 쪽 다리는 남군 포병 진지에서 동쪽으로 약 3.22km (3km) 떨어져 있어 비교적 안전하게 건널 수 있었다. 매클렐런은 군대의 절반 이상을 투입하여 우선 2개 군단으로 공격을 시작하고, 세 번째 군단이 지원하며, 필요하다면 네 번째 군단까지 투입할 계획이었다. 동시에 남군 우익에는 제5군단으로 양동 공격을 실시하여, 어느 쪽 공격이든 성공하면 남은 예비 병력으로 남군 중앙을 공격할 생각이었다.[45] 동쪽 숲에서 벌어진 소규모 교전으로 매클렐런의 의도를 파악한 리는 즉시 방어 준비에 착수했다. 그는 부대를 좌익으로 이동시키고, 아직 전장에 도착하지 않은 라파예트 맥로즈의 2개 사단과 A. P. 힐의 1개 사단에게 긴급 전갈을 보냈다.

매클렐런의 작전은 세부적인 연계가 부족했고 실행 과정에서 문제점을 드러냈다. 그는 부하 군단장들에게 각자 지휘하는 군단에 대한 명령만 내렸을 뿐, 전군 차원의 통합된 작전 지침은 제시하지 않았다. 전장의 복잡한 지형 때문에 각 지휘관은 자신의 부대 외의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웠고, 매클렐런의 참모 본부는 크릭 동쪽 필립 프라이의 집(Philip Pry House)에 위치하여 전선에서 약 1.61km (1.6km) 이상 떨어져 있어 각 군단에 대한 효과적인 지휘 통제가 어려웠다. 이 때문에 다음 날 전투는 아침에는 북쪽 끝, 낮에는 중앙, 오후에는 남쪽에서 벌어지는 등 사실상 세 개의 분리되고 연계되지 않은 전투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매클렐런에 비판적인 역사가들은 이러한 연계 부족과 포토맥군의 전력 집중 실패가 북군이 가진 2대 1의 수적 우위를 거의 상쇄시켰고, 리가 북군의 공격에 맞춰 방어 부대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했다고 지적한다.

4. 2. 오전: 북쪽에서의 전투 (후커와 잭슨의 격돌)

북쪽에서 연합군의 공격과 남쪽에서 남부군의 공격을 보여주는 지도
후커의 제1군단의 공격, 오전 5시 30분 ~ 7시 30분


앤티텀 전투는 9월 17일 새벽(오전 5시 30분경) 조셉 후커 휘하의 북군 제1군단이 해거스타운 턴파이크를 따라 공격을 시작하면서 막을 열었다. 후커의 목표는 독일 침례교도 신도들의 소박한 흰색 건물인 덩커 교회(Dunker Church)가 있던 고원이었다. 후커는 약 8,6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스톤월 잭슨 휘하의 7,700명의 남군 방어군보다 약간 많았지만, 이러한 약간의 차이는 남군의 강력한 방어 위치로 인해 상쇄되었다. 애브너 더블데이의 사단은 후커의 우익으로, 제임스 리케츠의 사단은 이스트 우즈(East Woods)로, 조지 미드의 펜실베이니아 예비군 사단은 중앙과 약간 후방으로 배치되었다. 잭슨의 방어는 알렉산더 로튼과 존 R. 존스 사단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웨스트 우즈(West Woods)에서 턴파이크를 가로질러 밀러의 옥수수밭 남쪽 끝을 따라 배치되었다. 4개 여단은 웨스트 우즈 내에 예비대로 배치되었다.

최초의 북군 병사들이 노스 우즈(North Woods)에서 옥수수밭으로 나오자 포병전이 벌어졌다. 남군은 서쪽의 젭 스튜어트 휘하 기병 포대와 덩커 교회에서 남쪽으로 턴파이크 건너편 고지에 있는 스티븐 D. 리 대령 휘하의 4개 포대에서 발사했다. 북군의 반격은 노스 우즈 뒤편의 능선에 있는 9개 포대와 앤티텀 크릭에서 동쪽으로 약 3.22km 떨어진 20문의 20파운드 패럿 라이플에서 나왔다. 이 포화는 양측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고, 리 대령은 이를 "포병 지옥"이라고 묘사했다.

후커는 옥수수밭에 숨어 있는 남군의 총검의 섬광을 보고 그의 보병을 멈추고 4개 포대의 포병을 데려와 북군 보병의 머리 위로 포탄과 캐니스터탄을 옥수수밭으로 발사했다. 옥수수 속에서 시야가 좁아 소총 개머리판과 총검을 이용한 상당한 백병전이 벌어지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 장교들은 고함을 질렀지만 소음 때문에 아무도 들을 수 없었다. 소총은 너무 많은 발사로 뜨거워지고 오염되었고, 공기는 총알과 포탄 파편으로 가득했다.

미드의 제1 펜실베이니아 여단은 트루먼 세이무어 준장의 지휘하에 이스트 우즈를 통해 진격하기 시작하여 제임스 워커 대령 휘하의 앨라배마, 조지아, 노스캐롤라이나 부대와 교전을 벌였다. 워커의 부대가 리의 포병 지원을 받아 세이무어를 후퇴시키자 리케츠의 사단이 옥수수밭으로 들어갔고, 포병의 공격을 받았다. 에이브럼 듀리 준장의 여단은 마르셀러스 더글라스 대령의 조지아 여단으로부터 일제 사격을 받았다. 약 228.60m의 거리에서 심한 화력을 견디고 증원군 부족으로 이점을 얻지 못한 듀리는 철수를 명령했다.

듀리가 기대했던 증원군—조지 L. 하트서프 준장과 윌리엄 A. 크리스천 대령 휘하의 여단—은 현장에 도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하트서프는 포탄에 맞아 부상을 입었고, 크리스천은 말에서 내려 공포에 질려 후방으로 도망쳤다. 병사들이 집결하여 옥수수밭으로 진격했을 때, 그들은 선임자들이 겪었던 것과 같은 포병과 보병의 사격을 받았다. 북군의 우세한 병력이 효과를 보기 시작하자, 해리 헤이즈 휘하의 루이지애나 "타이거" 여단(루이지애나 타이거)이 전투에 참여하여 북군 병사들을 이스트 우즈로 후퇴시켰다. 12th 매사추세츠 보병 연대는 그날 어떤 부대보다도 가장 높은 67%의 사상자를 냈다. 북군이 옥수수밭에 포병 포대를 배치했을 때 타이거 여단은 결국 격퇴되었다. 이 과정에서 타이거 여단은 500명 중 323명을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 당시 12th 매사추세츠 보병 연대의 벤자민 F. 쿡 대위는 루이지애나 타이거 여단의 공격에 대해 "전쟁에서 가장 치명적인 화력. 병사들의 손에서 소총이 산산조각 나고, 물통과 탄약 가방이 총알에 뚫리고, 죽거나 부상당한 사람들이 수십 명씩 쓰러진다"고 묘사했다.

옥수수밭이 피비린내 나는 교착 상태에 머물러 있는 동안, 서쪽으로 몇 백 야드 떨어진 북군의 진격은 더 성공적이었다. 더블데이 사단의 존 기번 준장의 제4 여단(아이언 여단으로 최근 명명됨)은 턴파이크를 따라 옥수수밭으로, 웨스트 우즈로 진격하기 시작하여 잭슨의 병사들을 밀어냈다. 그들은 스타르크 여단에서 온 1,150명의 병사들이 약 27.43m 떨어진 거리에서 맹렬한 사격을 가하며 돌격하면서 멈춰 섰다. 남군 여단은 아이언 여단으로부터 격렬한 반격을 받고 철수했고 스타르크는 치명상을 입었다. 덩커 교회에 대한 북군의 진격은 재개되었고 잭슨의 방어선에 큰 틈을 만들어 붕괴 직전에 이르렀다. 그 대가가 컸지만, 후커의 군단은 꾸준히 진격하고 있었다.

휴식을 취하는 듯한 죽은 말
이스트 우즈 근처에서 죽은 남군 대령의 말.


남군의 증원군은 오전 7시 직후에 도착했다. 라파예트 맥로스와 리처드 H. 앤더슨의 사단은 하퍼스 페리에서 밤샘 행군을 마치고 도착했다. 오전 7시 15분경, 리 장군은 조지 T. 앤더슨의 조지아 여단을 군대의 우익에서 잭슨을 돕기 위해 이동시켰다. 오전 7시, 2,300명의 병력을 가진 후드의 사단은 웨스트 우즈를 통해 진격하여 북군 병사들을 다시 옥수수밭으로 밀어냈다. 그들은 옥수수밭 남동쪽에 있는 멈마 농장에서 도착한 D.H. 힐의 세 개 여단과 제브 스튜어트의 기병 포병대를 지원했던 니코데무스 농장에서 웨스트 우즈를 통해 진격해온 주발 얼리 여단의 지원을 받았다. 아이언 여단의 일부 장교들은 제4 미국 포병대 B 포대의 포병을 중심으로 병사들을 소집했고, 기번 자신은 그의 이전 부대가 탄약 상자를 하나도 잃지 않도록 했다. 그러나 후드의 부대는 전투의 주역을 맡았고, 60%의 사상자라는 큰 대가를 치렀지만, 방어선이 무너지는 것을 막고 제1군단을 저지할 수 있었다. 다른 장교가 그의 사단이 어디에 있는지 묻자, 후드는 "전장에 죽어 있다"고 대답했다.

4. 3. 정오: 중앙에서의 전투 (피의 길)

북쪽에서의 치열한 전투 이후, 전장의 초점은 남군 방어선의 중앙으로 이동했다. 남군 방어선의 중앙은 D. H. 힐 사단이 방어하고 있었으며, 특히 '움푹 꺼진 도로'(Sunken Road)는 자연적인 참호 역할을 하며 강력한 방어 거점이 되었다.[44]

오전 9시경, 북군 섬너 소장이 이끄는 제2군단의 윌리엄 H. 프렌치 사단이 이 움푹 꺼진 도로를 향해 공격을 시작했다. 앞서 섬너의 다른 사단인 세지윅 사단은 북쪽 웨스트 우즈(West Woods)에서 남군의 잭슨 군단 예하 부대들의 반격에 큰 피해를 입고 물러난 상태였다.[15][45]

움푹 꺼진 도로에서는 남북 전쟁 중에서도 가장 격렬한 전투 중 하나가 벌어졌다. 도로를 참호 삼아 버티는 남군과 이를 돌파하려는 북군 사이에 치열한 총격전이 수 시간 동안 이어졌다. 특히 아일랜드 여단을 포함한 북군 부대들이 맹렬한 공격을 퍼부었으나, 존 B. 고든 대령이 이끄는 제6 앨라배마 연대 등 남군 부대 역시 완강하게 저항했다. 이 과정에서 고든 대령이 여러 차례 총상을 입고 쓰러지는 등 양측 모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결국 북군은 수적 우세와 반복적인 공격을 통해 남군 방어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지만, 결정적인 승기를 잡지는 못했다. 북군 지휘부는 예비대 투입을 주저하여 남군의 완전한 붕괴를 유도하지 못했고, 남은 남군 병력은 후방으로 철수하여 새로운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었다. 이 끔찍한 전투로 인해 움푹 꺼진 도로는 '피의 길'(Bloody Lane)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4. 4. 오후: 남쪽에서의 전투 (번사이드 다리)

제9군단의 공격.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전투의 초점은 전장의 남쪽 끝으로 이동했다. 매클렐런의 작전 계획상, 앰브로스 번사이드 소장의 제9군단은 북쪽 주 전선에서 남군의 주의를 분산시키기 위한 양동 공격을 수행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번사이드는 공격 개시 전에 명확한 명령을 기다리라는 지시를 받았고, 이 명령은 오전 10시가 되어서야 도착했다.[125][72] 번사이드는 전투 준비 과정에서 이례적으로 수동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매클렐런이 그를 군대의 한쪽 날개 지휘관으로 임명하려던 계획을 철회한 것에 대한 불만 때문이었다. 이전 전투에서 제1군단과 제9군단을 통합 지휘했던 경험과 달리, 이번에는 제9군단만 책임지게 된 것이다. 번사이드는 이러한 권한 축소를 받아들이지 않고, 먼저 제시 L. 레노 소장(사우스 마운틴 전투에서 전사)을, 그 후에는 카노와 사단의 제이콥 D. 콕스 준장을 군단장으로 대우하며 명령을 전달하는 방식을 고수했다.

번사이드는 앤티텀 크릭 동쪽에 4개 사단, 약 12,500명의 병력과 50문의 포를 배치하고 있었다. 반면, 장군이 북쪽 전선을 강화하기 위해 병력을 이동시킨 탓에 남군의 방어선은 상당히 약화된 상태였다. 새벽에는 데이비드 R. 존스와 존 G. 워커 준장의 사단이 방어를 맡았으나, 오전 10시경에는 워커 사단 전체와 조지 T. 앤더슨 대령의 조지아 여단이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이로 인해 존스는 번사이드에 맞서 약 3,000명의 병력과 12문의 포만으로 방어해야 했다. 샤프스버그 마을 근처의 언덕 지대(주로 세메터리 힐로 불림)는 4개의 여단이 성기게 지키고 있었다. 특히 로버트 툼스 준장이 지휘하는 제2 및 제20 조지아 연대의 잔여 병력 약 400명은 2개 포병 대대와 함께 로르바흐 다리(Rohrbach's Bridge)를 방어했다. 이 다리는 3개의 아치로 이루어진 약 38.10m 길이의 석교로, 앤티텀 크릭을 건너는 가장 남쪽의 통로였다.[126][73] 이후 벌어진 치열한 전투로 인해 이 다리는 번사이드 다리라는 이름으로 역사에 남게 되었다. 다리는 공략하기 매우 어려운 목표였다. 다리로 접근하는 도로는 하천을 따라 나 있어 남군의 사격에 그대로 노출되었고, 다리 서쪽에는 나무가 우거진 약 30.48m 높이의 절벽이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었다. 또한 오래된 채석장에서 나온 큰 바위들이 흩어져 있어 남군 보병과 저격수들에게 훌륭한 은폐 및 저격 지점을 제공했다.

번사이드 다리(Burnside's Bridge).


번사이드 다리


이 부근의 앤티텀 크릭은 폭이 약 15.24m를 넘는 곳이 거의 없었고, 일부 지점은 수심이 허리 깊이에 불과해 걸어서 건널 수 있었으며, 남군의 사각지대이기도 했다. 번사이드는 이 사실을 간과하고 다리 정면 공격에만 집중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나[128][74], 실제로는 도하 지점 주변의 지형 역시 북군에게 불리했다. 번사이드는 다리를 정면으로 공격하는 동시에, 매클렐런의 공병이 확인한 약 약 0.80km 하류 지점(스네이블리 여울, Snavely's Ford)으로 우회하여 남군의 측면을 공격하는 작전을 세웠다.[127][75] 조지 크룩 대령의 오하이오 여단이 새뮤얼 스터지스 준장 사단의 지원을 받아 다리 공격을 준비하는 동안, 아이작 로드먼 준장의 사단은 약 3.22km 하류의 스네이블리 여울을 찾아 남군 측면을 공격하기 위해 이동했다.

크룩 여단의 첫 다리 공격은 제11 코네티컷 연대가 선도했다. 이들은 15분간 남군의 집중 사격을 받고 지휘관 헨리 W. 킹스버리 대령이 치명상을 입는 등 부대원의 3분의 1에 달하는 139명의 사상자를 내고 후퇴했다.[76] 크룩의 주력 부대는 지형 파악 미숙으로 다리에서 약 0.40km 상류 지점에서 하천에 도달하는 실수를 범했고, 남군 산병들과 몇 시간 동안 총격전을 벌이는 데 그쳤다.[129][77] 로드먼 사단이 스네이블리 여울을 찾아 헤매는 동안, 번사이드와 콕스는 스터지스 사단의 다른 여단(제2 메릴랜드, 제6 뉴햄프셔 연대)에게 두 번째 다리 공격을 명령했으나, 이 역시 남군의 효과적인 사격으로 실패했다.[130][78]

정오가 지나도록 진전이 없자, 매클렐런은 초조해하며 번사이드에게 진격을 독촉하는 전령을 연이어 보냈다. 그는 한 부관에게 "1만 명의 희생이 따르더라도 지금 당장 가야 한다고 전하라"고 명령했으며, 감찰관 데로스 B. 사켓 대령을 직접 보내 압박했다. 이에 번사이드는 격분하며 "매클렐런은 내가 이 다리를 점령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모양이군. 당신은 오늘 아침 같은 명령을 가지고 온 세 번째 혹은 네 번째 사람이오"라고 응수했다.[131][79]

오후 12시 30분, 스터지스 사단의 에드워드 페레로 준장이 지휘하는 여단(제51 뉴욕, 제51 펜실베이니아 연대)이 세 번째 공격에 나섰다. 이들은 포병 지원과 함께, 공격 성공 시 위스키 배급을 재개하겠다는 약속에 힘입어 돌격했다. 마침내 동쪽 강둑을 확보하고 노획한 남군 곡사포로 다리 쪽을 포격하며 약 22.86m 앞까지 접근했다. 오후 1시경, 남군의 탄약이 거의 소진되었고, 로드먼의 부대가 스네이블리 여울을 건너 측면을 위협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툼스는 마침내 철수를 명령했다. 툼스의 조지아 여단은 400명 남짓한 병력으로 3시간 이상 북군의 공격을 저지하며 500명 이상의 손실을 입혔고, 자신들은 약 160명의 피해를 입었다.[132][80]

그러나 다리를 점령한 후에도 번사이드의 공격은 다시 지체되었다. 탄약 수송이 원활하지 않았고, 다리 자체가 병력과 포, 보급 마차가 뒤엉키면서 심각한 병목 현상을 빚었다. 이로 인해 거의 2시간이 허비되었고, 리는 이 시간을 활용해 우익 방어선을 강화할 수 있었다. 그는 가용한 모든 포병 부대를 이동시켰지만, 좌익의 보병 부대까지 빼내 D.R. 존스의 약화된 부대를 직접 지원하지는 않았다. 대신 하퍼스페리에서 약 27.36km를 강행군해 오고 있는 A. P. 힐 소장의 경보병 사단(Light Division)의 도착을 기다렸다. 오후 2시경 힐의 부대는 포토맥강의 보틀러 여울(Boteler's Ford)에 도착했고, 힐은 오후 2시 30분에 리와 만나 우익의 존스를 지원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33][81]

북군은 3,000명의 새로운 적군이 도착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 번사이드의 목표는 약화된 남군 우익을 돌파하여 샤프스버그로 진격하고, 리의 북버지니아군이 포토맥강을 건너 후퇴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인 보틀러 여울을 차단하는 것이었다. 오후 3시, 번사이드는 스터지스 사단을 예비대로 남겨두고 8,000명 이상의 병력(대부분 전투 경험이 적은 부대)과 22문의 지원 포를 이끌고 서쪽으로 진격을 시작했다.[134][82]

제79 뉴욕 연대("캐머론 하이랜더스")가 이끈 초기 공격은 수적으로 열세였던 존스 사단을 성공적으로 밀어내, 세메터리 힐 너머 샤프스버그 외곽 약 182.88m 지점까지 접근했다. 좌측에서는 로드먼 사단이 하퍼스페리 도로를 따라 진격했다. 해리슨 페어차일드 대령이 이끄는 선두 여단(화려한 주아브 복장의 제9 뉴욕 연대 포함)은 전방 능선의 남군 포 12문의 맹렬한 포격에도 불구하고 계속 전진했다. 샤프스버그 시내는 후퇴하는 남군 병력으로 혼란에 빠졌고 공황 상태가 감돌았다. 존스 사단의 5개 여단 중 툼스 여단만이 건재했지만, 병력은 700명에 불과했다.[135][83]

바로 그때, 오후 3시 30분, A.P. 힐의 사단이 전장에 도착했다. 힐은 즉시 부대를 나누어 2개 여단을 남동쪽으로 보내 측면을 방어하게 하고, 나머지 3개 여단 약 2,000명을 툼스 여단의 오른쪽에 배치하여 반격을 준비했다. 오후 3시 40분, 맥시 그레그 준장의 사우스캐롤라이나 여단이 존 오토 농장의 옥수수밭에서 로드먼 사단 좌익의 제16 코네티컷 연대를 급습했다. 불과 3주 전에 입대한 신병들로 구성된 코네티컷 연대는 순식간에 무너지며 185명의 사상자를 냈다. 우측의 제4 로드아일랜드 연대는 키 큰 옥수수 때문에 시야가 제한되었고, 하퍼스페리에서 노획한 북군 군복을 입은 남군 병사들 때문에 혼란에 빠져 역시 붕괴하고 말았다. 너무 앞서 나갔던 제8 코네티컷 연대는 고립되어 포위당한 채 언덕 아래 앤티텀 크릭 쪽으로 밀려났다. 카노와 사단 연대들의 반격 시도도 실패로 돌아갔다.[136][84]

제9군단은 약 20%의 사상자를 냈지만, 여전히 남군보다 두 배나 많은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측면 붕괴에 충격을 받은 번사이드는 모든 부대에 앤티텀 크릭 서쪽 강둑으로 후퇴하라고 명령하고 매클렐런에게 긴급히 증원과 포병 지원을 요청했다. 매클렐런은 단 1개 포대만을 보내주며 "더 이상 지원할 병력이 없다. 보병이 없다"고 답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포터의 제5군단과 프랭클린의 제6군단이라는 두 개의 신선한 군단을 예비대로 보유하고 있었으나, 매클렐런은 지나치게 신중한 나머지 리의 대규모 반격을 우려하여 투입을 주저했다. 결국 번사이드의 부대는 막대한 희생을 치르고 점령했던 다리를 지키는 것으로 그날의 전투를 마감해야 했다.[137][85]

5. 전투 결과 및 영향

전투는 1862년 9월 17일 오후 5시 30분에 끝났으며, 양측 모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다음 날 가 이끄는 남군은 포토맥강을 건너 버지니아로 철수했다.

링컨 대통령은 매클렐런 장군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한 것에 실망하여, 전투 후 리의 군대를 추격하지 않은 것을 문제 삼아 1862년 11월 그를 포토맥군 사령관 직에서 해임했다[140][88][141][89].

전술적으로는 무승부였으나, 리의 북부 침공을 저지했다는 점에서 앤티텀 전투는 북군의 중요한 전략적 승리로 평가된다. 이는 남북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는데, 링컨 대통령이 전투 결과를 바탕으로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 선언은 전쟁의 성격을 바꾸고, 영국프랑스 등 유럽 열강의 남부동맹 인정을 막는 데 기여했다[142][90]. 역사가들은 앤티텀 전투가 전쟁 전체의 향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한다[142][90].

현재 전투가 벌어졌던 장소는 앤티텀 국립 전장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5. 1. 막대한 사상자 발생

전투는 오후 5시 30분에 끝났으며, 이날 하루 동안 양측 모두 막대한 사상자를 냈다. 북군은 12,410명의 사상자(전사 2,108명 포함)를 기록했고[9], 남군은 10,316명의 사상자(전사 1,547명 포함)를 냈다.[10][19] 이는 북군 전체 병력의 25%, 남군 전체 병력의 31%에 해당하는 손실이었다.[138] 총 22,727명의 사상자가 단 하루 만에 발생했는데, 이는 5개월 전 실로 전투에서 이틀 동안 발생한 사상자 수와 거의 맞먹는 규모로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20] 1862년 9월 17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6월 6일의 디 데이나 2001년 9월 11일의 911 테러보다도 더 많은 미국인이 사망한 날로 미국 군사 역사에 기록되었다.[139][87]



특히 전투 중 '피의 골목(Bloody Lane)'이라 불리게 된 함몰 도로에서의 전투는 치열했으며,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1시까지 약 약 731.52m 길이의 이 도로를 따라 벌어진 교전에서 양측 합쳐 약 5,600명(북군 3,000명, 남군 2,6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전투로 인해 여러 장군들이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입었다. 북군에서는 조지프 K. 맨스필드 소장, 이스라엘 B. 리처드슨 소장, 아이작 P. 로드먼 준장이 전사했고, 남군에서는 로렌스 O. 브랜치 준장과 윌리엄 E. 스타크 준장이 전사했다. 남군의 조지 B. 앤더슨 준장은 피의 골목 방어 중 발목에 총상을 입고 전투에서는 살아남았으나, 결국 절단 수술 후 10월에 사망했다. 이 외에도 양측에서 각각 6명의 장군이 부상을 입었다.[21]

앤티텀 전투는 미국 남북 전쟁 중 단일 전투일 기준으로 가장 많은 사상자를 낸 전투이자, 미국 역사상 '가장 피비린내 나는 날'로 묘사된다.[22] 남북 전쟁 전체 전투 중 총 사상자 수 기준으로도 상위권에 속하는데, 자료에 따라 게티즈버그 전투, 치카모가 전투, 챈슬러즈빌 전투, 스폿실베이니아 코트 하우스 전투에 이어 5위를 차지하기도 하고[23], 와일더니스 전투, 실로 전투, 스톤스 강 전투보다 낮아 8위로 기록되기도 한다.[24] 전투 중과 후에 의료 물품 부족으로 고통받는 군의관들을 돕기 위해 클라라 바턴은 직접 의료 물품을 실은 마차를 끌고 전장에 나타나 부상병들을 돌보았는데[25], 이는 훗날 그녀가 미국 적십자사를 설립하는 계기가 되었다.[26]

9월 18일 아침, 리의 군대는 북군의 추가 공격에 대비했으나 공격은 없었다. 양측은 부상병을 수습하고 교환하기 위해 임시 휴전을 맺었고, 그날 밤 리의 군대는 포토맥 강을 건너 버지니아 주로 철수하기 시작했다.

5. 2. 전술적 무승부, 전략적 북군 승리

전투는 오후 5시 30분에 끝났으며, 양측 모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북군의 손실은 12,401명(전사 2,108명)이었고, 남군은 10,318명(전사 1,546명)의 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북군 전체 병력의 25%, 남군 전체 병력의 31%에 해당하는 규모였다[138][86]. 1862년 9월 17일은 제2차 세계대전의 디 데이(1944년 6월 6일)나 911 테러(2001년 9월 11일)보다도 더 많은 미국인이 사망한 날로 미국 군사 역사에 기록되었다[139][87]. 다음 날인 9월 18일, 의 남군은 북군의 공격에 대비했으나 공격은 없었다. 양측은 부상자 수습 및 교환을 위한 임시 휴전을 가졌고, 그날 밤 남군은 포토맥강을 건너 버지니아로 철수하기 시작했다.

링컨 대통령은 매클렐런 장군의 소극적인 전투 지휘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한 결과에 크게 실망했다. 링컨은 매클렐런의 지나친 신중함과 부대 간의 비효율적인 연계 때문에 남군을 격파할 기회를 놓치고 무승부에 그쳤다고 판단했다. 역사가 스티븐 시어스 역시 매클렐런이 가용 병력의 상당 부분(약 1/3, 약 50,000명의 보병과 포병)을 전투에 투입하지 않았으며, 여러 차례 남군을 붕괴 직전까지 몰아붙였음에도 불구하고 패배를 피하는 것 이상의 적극적인 목표를 설정하지 않아 결정적인 승리를 놓쳤다고 비판했다[140][88].

알렉산더 가드너가 1862년 10월 3일 앤티텀 전장 근처에서 촬영한 링컨과 매클렐런의 사진


링컨 대통령과 전쟁부는 전투 이후에도 매클렐런이 리의 군대를 추격하지 않는 것에 더욱 불만을 가졌다. 매클렐런은 장비 부족과 병력의 피로를 이유로 9월 17일부터 10월 26일까지 포토맥강을 넘지 않았다. 당시 총사령관이었던 헨리 할렉은 이를 두고 "패배한 적을 앞에 두고, 또한 급속한 이동과 활발한 작전 행동에 최적인 계절에, 이렇게 많은 군대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는 것은 큰 실망과 후회의 사태이다"라고 공식 보고서에 기록했다[141][89]. 결국 링컨은 1862년 11월 7일(혹은 11월 5일[89]) 매클렐런을 포토맥군 사령관에서 해임했으며, 이는 사실상 매클렐런의 군 경력의 종지부를 찍는 결정이었다. 그는 11월 9일 번사이드 장군으로 교체되었다.

앤티텀 전투의 성격에 대해서는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의가 있다. 사상자 수는 양측이 비슷했지만, 병력 대비 손실률은 남군(31%)이 북군(25%)보다 높았고, 남군이 먼저 전장에서 철수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남군의 전술적 패배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전투 자체만 보면 어느 한쪽의 압도적인 승리가 아니었기에 전술적 무승부로 평가되기도 한다. 리 장군은 수적으로 우세한 적을 상대로 군대를 잘 지휘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그러나 전략적인 관점에서 앤티텀 전투는 명백한 북군의 승리이자 남북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가장 큰 이유는 이 전투를 통해 리 장군의 첫 번째 북부 침공이 좌절되었고, 남부동맹의 공세적인 전략이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또한, 앤티텀에서의 북군 승리는 링컨 대통령이 1862년 9월 22일에 예비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할 수 있는 정치적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링컨은 이전부터 노예 해방을 선언하고자 했으나, 국무장관 윌리엄 H. 수어드를 비롯한 각료들은 군사적 패배 속에서 발표할 경우 절망적인 조치로 비칠 것을 우려하여 북군의 승리를 기다리라고 조언했다. 이 선언은 남부 연합 주들에게 1863년 1월 1일까지 연방에 복귀하지 않으면 노예를 해방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앤티텀 전투의 결과와 노예 해방 선언은 국제 정세에도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영국은 남부동맹을 국가로 승인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었으나, 북군의 승리와 노예 해방이라는 전쟁 목표의 변화는 이러한 움직임을 저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미 노예제를 폐지했던 유럽 국가들이 노예제 유지를 위해 싸우는 남부동맹을 공식적으로 지지하기는 정치적으로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역사가 제임스 맥퍼슨은 그의 저서 《자유의 교차로》(Crossroads of Freedom: Antietam)에서 앤티텀 전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 전투가 남북전쟁의 다른 어떤 사건보다도 중대하고 다면적인 결과를 낳았다고 평가했다. 그는 1862년 가을, 남부동맹이 미시시피, 켄터키, 그리고 메릴랜드에서 시도했던 세 방향의 공세가 앤티텀 전투를 계기로 좌절되지 않았다면, 이후 게티스버그와 빅스버그에서의 결정적인 북군 승리(1863년)나 셔먼의 애틀랜타 점령(1864년)과 같은 전쟁의 향방을 가른 사건들도 일어나지 못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42][90].

전투 후 사진작가 알렉산더 가드너와 제임스 F. 깁슨 등은 9월 17일 혹은 18일에 전장에 도착하여 9월 19일부터 22일 사이에 전장의 참혹한 모습을 사진으로 남겼다. 이 사진들은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전투 직후 제거되지 않은 시신들의 모습이 담긴 것으로, 당시 북부 대중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현재 앤티텀 전투가 벌어졌던 장소는 앤티텀 국립 전장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5. 3. 노예 해방 선언의 계기

앤티텀 전투는 전술적으로는 결정적인 승패를 가리지 못한 무승부였지만, 남부 동맹의 장군이 이끌던 북버지니아군의 북부 침공을 저지했다는 점에서 북군의 중요한 전략적 승리로 평가받는다.[142] 리의 군대는 먼저 전장에서 철수했으며, 이는 기술적으로 남군의 전술적 패배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 전투의 결과는 링컨 대통령에게 오랫동안 기다려온 기회를 제공했다. 그는 이전부터 노예 해방을 선언하고자 했으나, 국무장관 윌리엄 H. 수어드를 비롯한 각료들은 북군이 연이어 패배하는 상황에서 선언할 경우, 연방 정부가 절망 속에서 마지막 수단을 쓰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며 만류했다. 따라서 링컨은 북군의 의미 있는 군사적 승리를 기다렸고, 앤티텀에서의 전략적 성공은 그에게 절호의 시점을 마련해주었다.[142][90]

앤티텀 전투 닷새 후인 1862년 9월 22일, 링컨은 예비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은 반란 상태에 있는 남부 주들에게 1863년 1월 1일까지 연방에 복귀하지 않으면 그들의 노예를 해방시킬 것이라고 경고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42][90] 이 선언은 미국 남북 전쟁의 성격을 단순히 연방을 보존하기 위한 전쟁에서 노예 제도를 폐지하기 위한 전쟁으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노예 해방 선언은 국제 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당시 영국프랑스는 남부 동맹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었으며, 특히 남부의 면화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 때문에 남부 지지 여론도 존재했다. 그러나 두 나라는 이미 노예 제도를 폐지한 상태였고, 자국 내에서도 노예제에 대한 반대 여론이 강했다. 링컨의 노예 해방 선언은 남북 전쟁을 노예제 찬반의 대립 구도로 명확히 함으로써, 영국과 프랑스 정부가 노예제를 옹호하는 남부 동맹을 공식적으로 지지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어떤 유럽 국가도 노예제를 지키려는 세력을 공개적으로 지원하는 데 따르는 정치적 부담을 감당할 수 없었다.[142][90]

역사가 제임스 M. 멕퍼슨은 그의 저서 《자유의 갈림길》(Crossroads of Freedom)에서 앤티텀 전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 전투만큼 중대하고 다면적인 결과를 낳은 작전이나 전투는 없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1863년의 게티즈버그와 빅스버그에서의 승리, 1864년 셔먼애틀랜타 점령 등 다른 전환점들도 중요했지만, 1862년 가을 남부 연합의 미시시피, 켄터키, 메릴랜드에서의 공세가 앤티텀 전투를 포함한 일련의 전투에서 저지되지 않았다면 이후의 결정적인 승리들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142][90]

결론적으로 앤티텀 전투는 군사적 결과 자체뿐만 아니라, 노예 해방 선언 발표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어 남북 전쟁의 향방과 도덕적 명분을 바꾸고 국제적인 지형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웹사이트 Battle Detail - The Civil War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2-02-15
[2] 서적 McPherson 2002, p. 155
[3] 웹사이트 A Short Overview of the Battle of Antietam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2-02-15
[4] 웹사이트 Antietam Battle Facts and Summary | American Battlefield Trust https://www.battlefi[...] 2022-02-10
[5] 웹사이트 "Further information: Official Records, Series I, Volume XIX, Part 1, pp. 169–80" http://ebooks.librar[...]
[6] 웹사이트 "Further information: Official Records, Series I, Volume XIX, Part 1, pp. 803–10" http://ebooks.librar[...]
[7] 웹사이트 "Further information: Reports of Maj. Gen. George B. McClellan, U. S. Army, commanding the Army of the Potomac, of operations August 14 – November 9" http://ebooks.librar[...]
[8] 서적 Eicher, p. 363, cites 75,500 Union troops. Sears, p. 173, cites 75,000 Union troops, with an effective strength of 71,500, with 300 guns; on p. 296, he states that the 12,401 Union casualties were 25% of those who went into action and that McClellan committed "barely 50,000 infantry and artillerymen to the contest"; p. 389, he cites Confederate effective strength of "just over 38,000," including [[A.P. Hill]]'s division, which arrived in the afternoon. Priest, p. 343, cites 87,164 men present in the Army of the Potomac, with 53,632 engaged, and 30,646 engaged in the Army of Northern Virginia. Luvaas and Nelson, p. 302, cite 87,100 Union engaged, 51,800 Confederate. Harsh, ''Sounding the Shallows'', pp. 201–02, analyzes the historiography of the figures, and shows that Ezra A. Carman (a battlefield historian who influenced some of these sources) used "engaged" figures; the 38,000 excludes Pender's and Field's brigades, roughly half the artillery, and forces used to secure objectives behind the line.
[9] 웹사이트 "Further information: Official Records, Series I, Volume XIX, Part 1, pp. 189–204" http://ebooks.librar[...]
[10] 서적 "Union: 12,410 total (2,108 killed; 9,549 wounded; 753 captured/missing); Confederate: 10,316 total (1,546 killed; 7,752 wounded; 1,018 captured/missing) according to Sears, pp. 294–96; Cannan, p. 201. Confederate casualties are estimates because reported figures include undifferentiated casualties at [[Battle of South Mountain|South Mountain]] and [[Battle of Shepherdstown|Shepherdstown]]; Sears remarks that 'there is no doubt that a good many of the 1,771 men listed as missing were in fact dead, buried uncounted in unmarked graves where they fell.' McPherson, p. 129, gives ranges for the Confederate losses: 1,546–2,700 dead, 7,752–9,024 wounded. He states that more than 2,000 of the wounded on both sides died from their wounds. Priest, p. 343, reports 12,882 Union casualties (2,157 killed, 9,716 wounded, 1,009 missing or captured) and 11,530 Confederate (1,754 killed, 8,649 wounded, 1,127 missing or captured). Luvaas and Nelson, p. 302, cite Union casualties of 12,469 (2,010 killed, 9,416 wounded, 1,043 missing or captured) and 10,292 Confederate (1,567 killed, 8,725 wounded for September 14–20, plus approximately 2,000 missing or captured)."
[11] 서적 Sears, p. 69 "perhaps 50,000".
[12] 서적 Welcher, pp. 786–88; Eicher, p. 338.
[13] 간행물 O.R. Series 1, Vol. XIX part 2 (S# 28), p. 621; Luvaas and Nelson, pp. 294–300; Esposito, map 67; Sears, pp. 366–72. Although most histories, including the [[Official Records of the American Civil War|Official Records]], refer to these organizations as Corps, that designation was not formally made until November 6, 1862, after the Maryland Campaign. Longstreet's unit was referred to as the Right Wing, Jackson's the Left Wing, for most of 1862. (General Lee referred in official correspondence to these as "commands". See, for instance, Luvaas and Nelson, p. 4. Lee used this term because a Confederate law forbade the creation of army corps. It had been intended as a states' rights measure to ensure that governors would retain some control over the troops from their state, and Lee lobbied strongly for repeal of this law.) Harsh, ''Sounding the Shallows'', pp. 32–90, states that D.H. Hill was temporarily in command of a "Center Wing" with his own division commanded initially by Brigadier General [[Roswell S. Ripley]], and the divisions of Major General [[Lafayette McLaws]] and Brigadier General [[John G. Walker (general)|John G. Walker]]. The other references list him strictly as a division commander.
[14] 서적 Harsh, ''Taken at the Flood'', pp. 366–67
[15] 서적 Kennedy, p. 120.
[16] 간행물 Jamieson, p. 94. McClellan issued the order at 9:10, ''after'' the repulse of Hooker's and Mansfield's assaults, having waited for the VI Corps to reach the battlefield and take up a reserve position.
[17] 서적 Tucker, p. 87.
[18] 서적 Site identified by Frassanito, pp. 105–108.
[19] 웹사이트 "10,291 Confederate casualties: 1,567 killed and 8,724 wounded for the entire Maryland Campaign" http://ebooks.librar[...]
[20] 웹사이트 Casualties - Antietam National Battlefield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2-02-15
[21] 웹사이트 Six Generals Killed at Antietam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4-02-10
[22] 웹사이트 Antietam: A Savage Day in American History https://www.npr.org/[...] NPR 2024-01-28
[23] 웹사이트 Statistics on the Civil War and Medicine https://ehistory.osu[...] 2024-01-30
[24] 웹사이트 Civil War Casualties 2012-11-16
[25] 웹사이트 Clara Barton at Antietam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4-02-10
[26] 웹사이트 Clara Barton Biography https://www.womenshi[...] National Women's History Museum 2024-02-14
[27] 뉴스 Preservationists see victory at Antietam 150 years later https://www.latimes.[...] 2015-08-10
[28] 웹사이트 Short History of the Park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0-04-13
[29] 웹사이트 Key to the Battlefield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15-08-10
[30] 웹사이트 Antietam National Battle Field Maryland Basic Information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4-01-21
[31] 웹사이트 Antietam Battlefield https://www.battlefi[...] American Battlefield Trust 2024-01-26
[32] 뉴스 "Critical Piece of Antietam Battlefield Preserved," https://www.heraldma[...] Hagerstown (Md.) Herald Mail 2015-09-30
[33] 웹사이트 Antietam Rebirth https://www.historyn[...] HistoryNet LLC 2017-06-20
[34] 서적 McPherson, p. 3.
[35] 웹사이트 NPS http://www.cr.nps.go[...]
[36] 서적 メリーランドは合衆国に残ったものの奴隷州であり、南軍が侵攻して北軍を追い出す事ができればメリーランドを南部連合に引き込む事ができる可能性すらあるとリー自身ディヴィス大統領に説明していた。
[37]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39] 서적
[40] 서적 敵軍が12万もの大軍だと思っていたせいと、この書類が実はリーの罠ではないかと疑っていたせいだと言われている。
[41] 서적
[42] 서적 公式記録を含み大半の歴史書はこれらの組織を軍団と呼ぶが、その呼び方はメリーランド方面作戦の終わった後の1862年11月6日までは、正式なものではなかった。ロングストリートの部隊は右翼と呼ばれ、ジャクソン部隊は左翼と呼ばれた。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7] 서적
[57]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문서 Bailey, p. 141.
[72] 문서 Jamieson, p. 94. マクレランは、フッカーとマンスフィールドの攻撃が撃退された後の9時10分に命令を発しており、第6軍団が戦場に達し予備隊の配置に付くまで待たせた。
[73] 문서 Wolff, p. 64.
[74] 문서 Douglas, p. 172.
[75] 문서 Eicher, 359-60; Sears, p. 260; Wolff, p. 64.
[76] 문서 Tucker, p. 87.
[77] 문서 Sears, p. 263.
[78] 문서 Bailey, p. 120.
[79] 문서 Sears, pp. 264-65.
[80] 문서 Sears, pp. 266-67; Bailey, pp. 125-26.
[81] 문서 Sears, p. 276.
[82] 문서 Bailey, p. 131.
[83] 문서 Bailey, pp. 133-36.
[84] 문서 Bailey, pp. 136-37.
[85] 문서 Sears, pp. 291-92.
[86] 문서 Sears, pp. 294-96. 南軍の損失は推計; McPherson, p. 129. マクファーソンは南軍の損失を、戦死が1,546名から2,700名の間、損失計は7,752名から9,024名の間としている。また両軍の負傷者のうち2,000名以上がその傷が故で死んだと報告した。
[87] 문서 アンティータムは時に全アメリカ史の中でも最も流血の多かった日とされるが、[[1900年]]のガルベストン・ハリケーンの死者はかなり多かった。アメリカ史で最も損失が大きかった戦闘は[[ゲティスバーグの戦い]]であったが、その46,000名以上の損失は3日間にわたるものであった。アンティータムは南北戦争の中での損失数でいうと5番目にあたり、その上位には[[チカマウガの戦い]]、[[チャンセラーズヴィルの戦い]]および[[スポットシルバニア・コートハウスの戦い|スポットシルバニアの戦い]]が来る。
[88] 문서 Sears, p. 296.
[89] 문서 Bailey, p. 67.
[90] 문서 McPherson, p. 155.
[91] 문서 McPherson, p. 3.
[92] 웹사이트 NPS http://www.cr.nps.go[...] 2014-10-11
[93] 문서 Sears, pp. 65-66; McPherson, pp. 88-95.
[94] 문서 Sears, p. 112; McPherson, p. 108.
[95] 문서 McPherson, pp. 110-12.
[96] 문서 Eicher, p. 337. 공식기록을 포함한 대부분의 역사서는 이 조직을 군단이라고 불렀으나, 불렀던 측은 메릴랜드 전역이 종료된 후인 1862년 11월 6일까지는 정식적인것은 아니었다. 롱스트리트의 부대는 우익이라고 불렀고, 잭슨의 부대는 좌익이라고 불렀다
[97] 문서 Eicher, p. 338.
[98] 문서 Bailey, p. 60.
[99] 문서 Bailey, p. 63.
[100] 문서 Sears, p. 181.
[101] 문서 Wolff, p. 60.
[102] 문서 Sears, p. 190.
[103] 문서 Wolff, p. 61.
[104] 문서 Bailey, pp. 71, 73.
[105] 문서 Bailey, p. 71.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문서
[140] 서적
[141] 서적 Bailey
[142] 서적 McPher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