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쓰시로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쓰시로해는 구마모토현과 가고시마현에 둘러싸인 면적 1,200제곱킬로미터의 해역이다. 폐쇄성이 높고, 구마강이 유입된다. 과거에는 "시라누이해"로 불렸으며, 1932년부터 일본 질소 비료 공장에서 배출된 수은으로 인해 미나마타병이 발생하여 해양 오염이 심각했다. 2022년에는 간척 유적이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연안에는 여러 자치단체와 항만이 위치하며, 가고시마 본선, 미스미선, 히사츠 오렌지 철도가 해안을 따라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마모토현의 지형 - 아리아케해
아리아케해는 규슈에 위치한 일본 최대 갯벌을 포함하는 폐쇄성 만으로, 조수 간만의 차가 크고 여러 하천이 유입되어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며 김 양식 등 어업이 활발하지만, 간척 사업으로 인한 환경 문제와 생태계 파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구마모토현의 지형 - 미이케 탄광
에도 시대부터 1997년까지 존재했던 미이케 탄광은 미쓰이 재벌이 경영하며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지만, 강제 노역, 노동 분쟁, 대형 사고를 겪었고, 폐광 후 일부 시설이 문화재 및 사적으로 지정,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으나 강제 노역 문제로 논란이 되었다. - 가고시마현의 지형 - 가고시마만
가고시마만(긴코만)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남북 약 80km의 만으로, 사쿠라지마가 중앙부를 구분짓고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며, 지역 경제 및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가고시마현의 지형 - 오스미반도
오스미반도는 가고시마현과 미야자키현에 걸쳐 태평양과 접하고 사타곶을 남쪽 끝으로 하는 반도로, 농업과 축산업이 활발하며 시부시항을 중심으로 해상 교통이 발달했지만 인구 감소가 심각한 지역이다. - 규슈 지방의 만 - 가고시마만
가고시마만(긴코만)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남북 약 80km의 만으로, 사쿠라지마가 중앙부를 구분짓고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며, 지역 경제 및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규슈 지방의 만 - 벳푸만
벳푸만은 일본 오이타현 중부에 위치한 세토나이카이 만으로, 독특한 지형과 풍부한 해양 생물상을 지니고 있으며, 벳푸온센을 비롯한 여러 도시와 공업지대가 연안에 위치하고 시코쿠 및 혼슈와 연결되는 해상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해양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 야쓰시로해 | |
|---|---|
| 지도 정보 | |
| 일반 정보 | |
| 다른 이름 | 시라누이해 (不知火海, Shiranui-kai) |
| 위치 | 일본 규슈 서쪽 연안 |
| 수역 | 동중국해의 일부 |
| 좌표 | 북위 32° 20' ~ 32° 50', 동경 130° 10' ~ 130° 30' |
| 지리 | |
| 면적 | 약 1200 제곱킬로미터 |
| 최대 깊이 | 약 65 미터 |
| 특징 | 복잡한 해안선과 많은 섬 |
| 주요 만 | 야쓰시로만 (八代湾) 미나마타만 (水俣湾) |
| 주요 섬 | 나가시마 (長島) 시오지마 (不知島) 게시마 ( गेट島) |
| 주변 지역 | 구마모토현 가고시마현 |
| 해양학적 특징 | |
| 수온 | 계절에 따라 변화 (여름철 최고) |
| 염분 | 외해와 연결되어 비교적 높음 |
| 조류 | 복잡한 해안선으로 인해 다양한 조류 패턴 |
| 환경 | |
| 주요 문제 | 과거 미나마타병 발생 지역, 현재 수질 개선 노력 중 |
| 생태계 | 다양한 해양 생물 서식 (어류, 갑각류, 해조류 등) |
| 역사 | |
| 미나마타병 | 1950년대 ~ 1960년대 미나마타시 주변에서 발생한 수은 중독 사건 |
| 현재 | 환경 복원 및 피해자 지원 사업 진행 중 |
2. 지리
wikitext
2. 1. 특징
구마모토현과 가고시마현에 둘러싸인 총 면적 1200km2의 해역이다.[3] 폐쇄도 지수는 32.5이며[3], 비슷한 규모의 다른 내만과 비교해도 폐쇄성이 높은 편이다.[3]큰 조수 때의 조위차는 만 안쪽의 야쓰시로항에서 약 4m에 달한다.[3] 구마강 하구부에서 만 안쪽부에 걸쳐 동쪽 해안에는 넓은 간석지가 있으며, 문절망둑이나 가리맛조개 등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3]
2. 2. 유입 하천
2. 3. 연안 자치단체
wikitext
야쓰시로해는 "시라누이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고대 히고국 등 불의 나라 지역에서는 시라누이에 대한 전설이 전해진다[4]. 『일본서기』에 따르면, 게이코 천황이 구마소를 정벌하기 위해 아시키타에서 출항했을 때 바다에 나타난 신비한 불빛을 따라가 도착한 곳이 불의 나라 야쓰시로군 히노무라(火邑)였다고 한다[4].
3. 역사
이 바다는 20세기 중반 비극적인 역사의 현장이 되기도 했다. 미나마타만에 위치한 짓소(당시 일본 질소 비료) 공장에서 1932년부터 배출한 메틸수은으로 인해 미나마타병이 발생하여 큰 피해를 낳았다[5]. 이 문제는 1968년에 이르러서야 원인이 공식적으로 규명되고 관련 공정이 중단되었다[5].
한편, 2022년 3월 15일에는 야쓰시로해 간척 유적이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6].
3. 1. 미나마타병
미나마타만에 면한 지역에서는 1932년부터 지소 주식회사(당시 일본 질소 비료)가 수은을 촉매로 사용하는 아세트알데히드 공장을 가동했다.[5] 이 공장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공장 폐수를 통해 독성이 강한 메틸수은과 같은 수은 화합물을 야쓰시로해로 배출했고, 이는 심각한 오염을 유발했다.[1][5] 배출된 메틸수은은 야쓰시로해의 조개류와 어류에 생물 농축되었고, 이를 섭취한 지역 주민들에게 미나마타병이 집단적으로 발생했다.[1][5] 이 질병으로 인해 야쓰시로해 주변의 수천 명에 달하는 주민이 목숨을 잃거나 평생 장애를 안게 되었으며, 해양 생태계 역시 광범위하게 파괴되는 결과를 낳았다.[1] 미나마타병의 원인이 공장 폐수에 포함된 메틸수은이라는 사실이 공식적으로 인정되고 해당 공정이 중단된 것은 사건 발생 후 오랜 시간이 지난 1968년이었다.[5]
3. 2. 야쓰시로해 간척 유적
2022년 (레이와 4년) 3월 15일, 야쓰시로해 간척 유적이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6].
4. 교통
야쓰시로해 연안 지역은 해상 교통과 육상 교통이 서로 연계되어 발달했다. 연안에는 미스미항, 야시로항, 미나마타항 등 여러 항만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들 항구를 중심으로 규슈 본토와 아마쿠사 제도 등을 연결하는 다양한 여객선 및 화물선 항로가 운영되고 있다. 또한, 해안선을 따라 가고시마 본선, 미스미선, 히사츠 오렌지 철도와 같은 철도 노선이 운행되어 육상 교통망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다.
4. 1. 연안 항만
- 미스미항 (동항)
- 야시로항
- 사시키항
- 미나마타항
- 다나조코항
- 혼도항
4. 2. 주요 항로
- 삼각항-다나소코항 (야마하타 운수)
- 야쓰시로항-마쓰시마항 (마쓰시마 페리, 아마쿠사 페리라인)
- 야쓰시로항-혼도항 (아마쿠사 관광 기선)
4. 3. 연안 철도
참조
[1]
논문
Yoshida 2006
[2]
간행물
森·川·海の自然連鎖系を重視した有明海·八代海の再生
https://doi.org/10.3[...]
2005
[3]
웹사이트
委員会報告
https://www.env.go.j[...]
環境省有明海・八代海総合調査評価委員会
2024-11-05
[4]
웹사이트
佐賀市史
https://www.city.sag[...]
佐賀市
2024-11-05
[5]
웹사이트
第16章 水俣湾
https://www.env.go.j[...]
環境省
2024-11-05
[6]
문서
令和4年3月15日文部科学省告示第24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