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황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황기는 청나라 팔기 중 하나로, 황제가 직접 통솔했으며 만주, 몽골, 한군으로 구성되었다. 청나라 말기에는 약 13만 명의 인구를 수용했으며, 황제와 황족, 후궁 등이 소속되었다. 옹정제 시기에 팔기도통아문이 설치되었고, 건륭제 시기에는 도통아문의 위치가 변경되었다. 양황기 출신 인물로는 만주족의 액역도, 오배, 푸캉안, 문수 등이 있으며, 한족 출신으로는 연갱요, 장용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기군 - 팔기제
    팔기제는 17세기 초 누르하치가 여진족을 통일하며 만든 군사·행정 조직으로, 8개의 기로 확장되어 만주족, 몽골족, 한족 등으로 구성되었고 청나라 통치 기반 확립에 기여했으며 현대 만주족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팔기군 - 청-러시아 국경 분쟁
    청-러시아 국경 분쟁은 17세기 중반 러시아의 시베리아 진출로 인해 청나라와 러시아 간에 발생한 아무르강 유역의 국경 및 영토 분쟁으로, 나선정벌을 통해 조선도 간접적으로 관여했으며, 네르친스크 조약으로 일단락되었으나 이후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가 외만주를 획득했다.
양황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양황기 깃발
양황기 깃발
존속 기간1615년~1912년
소속 국가후금
지휘관황제
군사 구조팔기군
병종기병
총병
명칭
한어 병음xiānghuángqí
만주어ᡴᡠᠪᡠᡥᡝ ᠰᡠᠸᠠᠶᠠᠨ ᡤᡡᠰᠠ (kubuhe suwayan gūsa)
다른 만주어 표기ᡶᡝᡵᡝ ᡤᡡᠰᠠ (fere gūsa)
몽골어Хөвөөт Шар Хошуу (Höwööt Shar Hoshuu)

2. 역사

양황기는 만주, 몽골, 한군으로 구성되었으며, 황제가 직접 통솔하였다. 청나라 말기 양황기에는 84개의 정좌령과 2개의 반분좌령이 있었고, 기적(旗籍) 인구는 약 2만 6천 명, 가족을 포함하면 약 13만 명이었다. 《광서회전사례》에는 종실 1개, 각라 4개, 신만주 4개, 몽골 9개, 러시아 1개, 만주 65개 반으로 기록되어 있다.[1]

건륭 연간 양황기 관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 건륭 2년 (1737년), 만주도통아문은 안정문거리 교차로인 동관미국으로 옮겨 36칸의 가옥을 지었다.[1]
  • 건륭 7년 (1742년), 관아 뒷집 31칸을 사들였다.[1]
  • 건륭 35년 (1770년), 23칸 반을 증축했다.[1]
  • 건륭 19년 (1754년), 몽골도통아문은 신교 남족으로 이전하였고, 건물은 41칸이었다. 한군도통아문은 여전히 안정문 거리에 있었다.[1]

2. 1. 청나라 초기

양황기는 만주, 몽골, 한군 세 부분으로 나뉘며, 별도의 기주(旗主) 없이 황제가 직접 통솔한다. 황제와 후비, 선조의 비빈, 분가하지 않은 황자와 시집가지 않은 공주도 양황기에 소속되었다.

옹정 원년 (1723년), 옹정제의 명에 따라 베이징성에 팔기도통아문을 처음 설치하였다. 양황기 만주, 몽골, 한군의 도통아문은 지팡이 골목에 설치되어 "이관기관공소(该管旗官公所)"였다.

옹정 6년 (1728년), 안정문 내 큰길의 관방 한 곳을 만몽한도통아문(滿蒙漢都統衙門)으로 삼아 면적을 57칸으로 지었다.

옹정 7년 (1729년), 주준만주도통아문은 동직문 내대로에 이설되었고, 총 면적은 75칸이었다.

건륭 2년 (1737년), 만주도통아문은 안정문거리 교차로인 동관미국으로 옮겨 36칸의 가옥을 지었다.

건륭 7년 (1742년), 관아 뒷집 31칸을 사들였다.

건륭 35년 (1770년), 23칸 반을 증축했다. 건륭 19년 (1754년), 몽골도통아문은 신교 남족으로 이전하였고, 건물은 41칸이었다. 한군도통아문은 여전히 안정문 거리에 있었다.

광서부터 선통 연간, 만주도통아문은 안정문 거리로 돌아왔고, 한군도통아문은 만주도통아문의 가장 북쪽에 있고, 몽골도통아문은 동직문거리 북신교길에 있었다.

중국 제1역사기록보관소에 소장된 민국시대 조사자료에 따르면, 만주도통아문은 동성 교도구 동39번지였다. 당시에는 대중학교(大中學校) 사유지에 있어서 출입할 수 없었고, 외관 또한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사진이나 그림을 남길 수 없었다. 몽골도통아문은 동쪽 직문초장 16번지에 있다. 중원은 닫혔고, 옆 뜰에는 잡인들이 거처하여 외규를 하고 초도를 그렸다. 한군도통아문은 동성교차로 남길 79번지에 있다. 군경감찰처 제4지점이어서 들어갈 수 없고, 외부에서도 안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진이나 그림이 없다.

2. 2. 옹정제 시기

옹정 원년 (1723년), 옹정제의 명에 따라 베이징성에 팔기도통아문을 처음 설치하였다. 그중에서도 양황기 만주, 몽골, 한군의 도통아문은 지팡이 골목에 설치되어 "이관기관공소(该管旗官公所)”라 불렸다.[1]

옹정 6년 (1728년), 안정문 내 큰길의 관방 한 곳을 만몽한도통아문(滿蒙漢都統衙門)으로 삼아 면적을 57칸으로 지었다.[1]

옹정 7년 (1729년), 만주도통아문을 동직문 내대로로 이전하고, 관방 1개소, 총 면적 75칸을 배정하였다.[1]

2. 3. 건륭제 이후

건륭제 이후, 양황기에는 84개의 정좌령과 2개의 반분좌령이 있었다. 기적에 있는 인구는 대략 2만 6천명 정도였고, 가족을 모두 포함하면 약 13만 명이었다. 《광서회전사례》에는 종실 1개, 각라 4개, 신만주 4개, 몽골 9개, 러시아 1개, 만주 65개 반으로 기록되어 있다.[1]

광서부터 선통 연간, 만주도통아문은 안정문 거리로 돌아왔고, 한군도통아문은 만주도통아문의 가장 북쪽에 있었으며, 몽골도통아문은 동직문거리 북신교길에 있었다.[1]

중국 제1역사기록보관소에 소장된 민국시대 조사자료에 따르면, 만주도통아문은 동성 교도구 동39번지였다. 당시에는 대중학교(大中學校) 사유지에 있어서 출입할 수 없었고, 외관 또한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사진이나 그림을 남길 수 없었다. 몽골도통아문은 동쪽 직문초장 16번지에 있었다. 중원은 닫혔고, 옆 뜰에는 잡인들이 거처하여 외규를 하고 초도를 그렸다. 한군도통아문은 동성교차로 남길 79번지에 있었다. 군경감찰처 제4지점이어서 들어갈 수 없고, 외부에서도 안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사진이나 그림이 없다.[1]

3. 구성

양황기는 만주, 몽골, 한군으로 구성되며, 황제가 직접 통솔한다. 청나라 말기 양황기에는 84개의 정좌령과 2개의 반분좌령이 있었고, 기적(旗籍) 인구는 약 2만 6천 명, 가족을 포함하면 약 13만 명이었다.[1]

3. 1. 세부 구성

양황기는 만주, 몽골, 한군의 세 부분으로 나뉘며, 별도의 기주(旗主)를 두지 않고 황제가 직접 통솔한다. 청나라 말기 양황기에는 84개의 정좌령과 2개의 반분좌령이 있었고, 기적(旗籍)에 있는 인구는 대략 2만 6천 명, 가족을 모두 포함하면 약 13만 명이었다. 《광서회전사례(光緖會典事例)》에는 종실 1개, 각라 4개, 신만주 4개, 몽골 9개, 러시아 1개, 만주 65개 반으로 기록되어 있다.[1]

황제와 후비, 선조의 비빈, 분가하지 않은 황자와 시집가지 않은 공주도 양황기에 소속되었다.[1]

옹정 원년 (1723년), 옹정제의 명에 따라 베이징성에 팔기도통아문을 처음 설치하였다. 양황기 만주, 몽골, 한군의 도통아문은 지팡이 골목에 설치되어 "이관기관공소(该管旗官公所)"라 불렸다.[1]

옹정 6년 (1728년), 안정문 내 큰길의 관방 한 곳을 만몽한도통아문(滿蒙漢都統衙門)으로 삼아 면적을 57칸으로 지었다.[1]

옹정 7년 (1729년), 주준만주도통아문은 동직문 내대로에 이설되었으며, 관방 1개소, 총 면적은 75칸이었다.[1]

건륭 2년 (1737년), 만주도통아문은 안정문거리 교차로인 동관미국으로 옮겨 36칸의 가옥을 지었다.[1]

건륭 7년 (1742년), 관아 뒷집 31칸을 사들였다.[1]

건륭 35년 (1770년), 23.5칸을 증축했다. 건륭 19년 (1754년), 몽골도통아문은 신교 남쪽으로 이전하였고, 건물은 41칸이었다. 한군도통아문은 여전히 안정문 거리에 있었다.[1]

광서부터 선통 연간, 만주도통아문은 안정문 거리로 돌아왔고, 한군도통아문은 만주도통아문의 가장 북쪽에 있었으며, 몽골도통아문은 동직문거리 북신교길에 있었다.[1]

중국 제1역사기록보관소에 소장된 민국시대 조사자료에 따르면, 만주도통아문은 동성 교도구 동39번지였다. 당시에는 대중학교(大中學校) 사유지에 있어서 출입할 수 없었고, 외관 또한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사진이나 그림을 남길 수 없었다. 몽골도통아문은 동쪽 직문초장 16번지에 있었다. 중원은 닫혔고, 옆 뜰에는 잡인들이 거처하여 외규를 하고 초도를 그렸다. 한군도통아문은 동성교차로 남길 79번지에 있었다. 군경감찰처 제4지점이어서 들어갈 수 없고, 외부에서도 안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진이나 그림이 없다.[1]

3. 2. 소속 인물

양황기에는 황제와 후비, 선조의 비빈, 분가하지 않은 황자와 시집가지 않은 공주도 소속되었다.[1] 다음은 양황기 소속 인물 목록이다.

이름설명
유셴
효현순 황후
부항
푸캉안
문수선통제의 후궁
온희귀비
롱코도
효덕현 황후
효신성 황후
효목성 황후
효철의 황후
일리부
오보이
푸종 왕
녠겅야오한족
가오어한족
효의순 황후
타치부
방비
톈빈
원비
돈숙황귀비
공순황귀비
경공황귀비
순비동치제의 후궁
신귀인


4. 양황기 출신 인물

양황기 출신 인물은 다음과 같다.

양황기 출신 인물
만주족한족


4. 1. 만주족

양황기 출신 주요 인물
만주족한족


4. 2. 한족

한족


4. 3. 주요 가문

양황기 주요 가문
만주한족


5. 현대 연구

양황기는 만주, 몽골, 한군으로 나뉘며, 별도의 기주(旗主) 없이 황제가 직접 통솔했다. 청나라 말기 양황기에는 84개의 정좌령과 2개의 반분좌령이 있었고, 기적(旗籍) 인구는 약 2만 6천 명, 가족을 포함하면 약 13만 명이었다. 《광서회전사례》에는 종실 1개, 각라 4개, 신만주 4개, 몽골 9개, 러시아 1개, 만주 65개 반으로 기록되어 있다.[1]

황제와 후비, 선조의 비빈, 분가하지 않은 황자와 시집가지 않은 공주도 양황기에 소속되었다.[1]

5. 1. 주요 연구 자료


  • 마크 C. 엘리엇 (Mark C. Elliott, 馬克·C·艾略特|마크 C. 엘리엇중국어, 마크 엘리엇)의 저서, 《만주족의 길: 후기 제국 시대 중국의 팔기군과 민족 정체성》, 스탠퍼드 대학교 출판부, 2001년, ISBN 9780804746847, https://books.google.com/books?id=_qtgoTIAiKUC
  • 프레데릭 와크먼 (Frederic Wakeman Jr., 魏斐德|위페이더중국어, 프레데릭 와크먼)의 저서, 《위대한 사업: 17세기 중국의 만주족에 의한 제국 질서 재건》,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버클리, 1985년, ISBN 0520048040, https://books.google.com/books?id=8nXLwSG2O8AC

5. 2. 유적

옹정 원년(1723년), 옹정제의 명에 따라 베이징성에 팔기도통아문이 처음 설치되었다. 양황기 만주, 몽골, 한군의 도통아문은 지팡이 골목에 설치되어 "이관기관공소(该管旗官公所)”였다.[1]

옹정 6년(1728년), 안정문 내 큰길의 관방 한 곳을 만몽한도통아문(滿蒙漢都統衙門)으로 삼아 면적을 57칸으로 지었다.[1]

옹정 7년(1729년), 주준만주도통아문은 동직문 내대로에 이설되었다. 관방 1개소, 총 면적은 75칸이었다.[1]

건륭 2년(1737년), 만주도통아문은 안정문거리 교차로인 동관미국으로 옮겨 36칸의 가옥을 지었다.[1]

건륭 7년(1742년), 관아 뒷집 31칸을 사들였다.[1]

건륭 35년(1770년), 23칸 반을 증축했다. 건륭 19년(1754년), 몽골도통아문은 신교 남족으로 이전하였고, 건물은 41칸이었다. 한군도통아문은 여전히 안정문 거리에 있었다.[1]

광서부터 선통 연간, 만주도통아문은 안정문 거리로 돌아왔고, 한군도통아문은 만주도통아문의 가장 북쪽에 있고, 몽골도통아문은 동직문거리 북신교길에 있었다.[1]

중국 제1역사기록보관소에 소장된 민국시대 조사자료에 따르면, 만주도통아문은 동성 교도구 동39번지였다. 당시에는 대중학교(大中學校) 사유지에 있어서 출입할 수 없었고, 외관 또한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사진이나 그림을 남길 수 없었다. 몽골도통아문은 동쪽 직문초장 16번지에 있다. 중원은 닫혔고, 옆 뜰에는 잡인들이 거처하여 외규를 하고 초도를 그렸다. 한군도통아문은 동성교차로 남길 79번지에 있다. 군경감찰처 제4지점이어서 들어갈 수 없고, 외부에서도 안을 볼수 없기 때문에 사진이나 그림이 없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