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어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쩌다 어른은 다양한 강연과 토론을 통해 어른들의 삶의 고민과 문제, 그리고 사회 현상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2015년부터 시작하여, 김상중을 비롯한 여러 명의 출연자들이 진행을 맡았으며, 설민석, 최진기, 김경일 등 다양한 분야의 강연자들이 출연하여 강연을 펼쳤다. 2022년에는 시즌3가 시작되어 김경일, 김상욱, 송길영 등의 강연자들이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O TvN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비밀 독서단
비밀 독서단은 여러 출연진이 특정 주제에 따라 책을 추천하고 토론하는 프로그램으로, 시즌 1에서는 단원들이 선정한 책을 소개하고 북 크로싱을 통해 배포했으며, 시즌 2에서는 매주 주제에 맞는 책 100권의 순위를 매겨 1위로 선정된 책을 소개했다. - O TvN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쓸모있는 남자들
- 리얼 버라이어티 텔레비전 프로그램 - 우리 결혼했어요
《우리 결혼했어요》는 MBC에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방영된 가상 결혼 생활 리얼리티 프로그램으로, 여러 시즌과 가상 부부 커플들의 출연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과 시청률 하락으로 종영되었다. - 리얼 버라이어티 텔레비전 프로그램 - 남자의 자격
《남자의 자격》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미션과 도전을 통해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으며, 2013년 MBC의 《아빠! 어디가?》에 밀려 종영되었다. - 2015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마이 리틀 텔레비전
마이 리틀 텔레비전은 실시간 시청률 경쟁 시스템을 도입하여 다양한 출연진이 요리, 마술 등 여러 주제로 방송을 진행했던 대한민국의 예능 프로그램이다. - 2015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디데이 (드라마)
《디데이》는 서울에 대지진이 발생한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DMAT, 구조대, 의사들이 사람들을 치료하며 겪는 인간애와 생명의 소중함을 다룬 드라마이다.
어쩌다 어른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방송명 | 어쩌다 어른 |
시청 등급 | 15 |
장르 | 연예오락 |
방송 시간 | 1기, 2기 : 목요일 밤 8시 10분 3기 : 금요일 밤 10시 40분 |
방송 기간 | 1기 : 2015년 9월 10일 ~ 2018년 12월 19일 2기 : 2019년 2월 28일 ~ 2019년 5월 2일 3기 : 2022년 6월 9일 ~ 2023년 7월 11일 |
방송 횟수 | 174부작 |
방송 시즌 | 3 |
방송 채널 | O tvN (2015-2018) tvN (2019) tvN STORY (2022-2023) |
출연자 | 김상중 |
언어 | 한국어 |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 |
고화질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2. 출연자
'''이전 출연자'''
남희석, 서경석, 양재진, 이휘재, 윤손하, 김일중, 하석진 등이 출연하였다.
2. 1. 현재 출연자
2. 2. 이전 출연자
남희석, 서경석, 양재진, 이휘재, 윤손하, 김일중, 하석진 등이 출연하였다.3. 강연자 및 주제 (시즌 1, 2)
wikitable
시즌 1 | ||||
---|---|---|---|---|
회차 | 방송일 | 강연자 | 출연자 | 주제 |
제1회 | 2015년 9월 10일 | 김혜은, 송길영 | 어쩌다 어른이 된 어른들의 첫번째이야기 | |
제2회 | 2015년 9월 17일 | 이한위, 이본 | 어른의 외로움 | |
제3회 | 2015년 9월 24일 | colspan="2" | | 부모노릇VS자식노릇, 어느 게 더 힘들까? | |
제4회 | 2015년 10월 1일 | 김대식, 황석정, 김태훈 | 어른이 된 우리, 왜 사는가?(삶의 의미) | |
제5회 | 2015년 10월 8일 | 이연복, 김성경 | 어른이 행복해지기 위한 3가지 방법 | |
제6회 | 2015년 10월 15일 | 박은혜, 김동철 | ||
제7회 | 2015년 10월 22일 | 서지석, 박소현 | 어른이 버려야 할것은? | |
제8회 | 2015년 10월 29일 | 김현숙 | 4050 영희, 철수의 이야기 | |
제9회 | 2015년 11월 5일 | 박소현, 황교익 | 어른에게 밥이란? | |
제10회 | 2015년 11월 12일 | 이지현, 김대수 | 39금 특집 1탄 | |
제11회 | 2015년 11월 19일 | 39금 특집 2탄 '어른에게 정이란?' | ||
제12회 | 2015년 11월 26일 | 김일중, 윤유선, 홍승기 | 어른들에게 묻는 난감한 질문 | |
제13회 | 2015년 12월 3일 | 이종원, 이지애, 김지윤 | 어른에게 결혼이란? | |
제14회 | 2015년 12월 10일 | 한재권, 박해미, 김선진 | 우리는 어른일까, 꼰대일까? | |
제15회 | 2015년 12월 17일 | 신재원, 김형석, 이지현 | 당신의 건강은 안녕하십니까? | |
제16회 | 2015년 12월 24일 | 조민기, 현영, 전미영 | 어른들의 트렌드 | |
2016년 | ||||
---|---|---|---|---|
회차 | 방송일 | 강연자 | 출연자 | 주제 |
제17회 | 2016년 1월 7일 | 설민석 | 김한석, 김효진, 김주희, 조상기 | 특강쇼 1탄 |
제18회 | 2016년 1월 14일 | 두번째 이야기 | ||
제19회 | 2016년 1월 21일 | 서민 | 성대현, 강성진, 김동완, 김일중, 구지성, 박샤론, 신수민, 김명선 | 특강쇼 2탄 |
제20회 | 2016년 1월 28일 | 김대식 | 성대현, 김일중, 구지성, 신수민, 김명선 | 특강쇼 3탄 |
제21회 | 2016년 2월 4일 | 황교익 | 김한석, 김효진, 김주희, 조상기 | 특강쇼 4탄 |
제22회 | 2016년 2월 11일 | 유난희, 김태우, 김지윤 | 어른들의 선택 : '맛벌이vs외벌이' | |
제23회 | 2016년 2월 18일 | 이천수, 정이랑, 박재연, 김태우 | 어른들의 고민 : 욱하는 성질로 손해 보는 영희 | |
제24회 | 2016년 2월 25일 | 유재명, 레이양, 장호일 | 어른들의 선택 : 싱글 라이프 vs 결혼 라이프 | |
제25회 | 2016년 3월 3일 | 변우민, 남재현, 정주리, 레이양 | 어른들의 선택 : 처가 원조받고 근처 이사 vs 안받고 이사 안 간다 | |
제26회 | 2016년 3월 10일 | 권오중, 임정은 | 어른들의 선택 : 누나와 차별하는 엄마, 지원 vs 끊는다 | |
제27회 | 2016년 3월 17일 | 전노민, 안연홍. 정재욱, 예정화 | 육아의 고충과 황혼육아 | |
제28회 | 2016년 3월 24일 | 박탐희, 한영, 이민웅, 허은아 | 돌직구VS당하는가? | |
제29회 | 2016년 3월 31일 | 변진섭, 김동완, 서유리 | 귀농귀촌 | |
제30회 | 2016년 4월 7일 | colspan="2" | | 어쩌다 어른이 된 영희들의 이야기 | |
제31회 | 2016년 4월 14일 | 이휘재 | 어쩌다 어른이 된 철수들의 이야기 | |
제32회 | 2016년 5월 5일 | 최진기, 설민석 | 김혜은 | 삶의 지혜 특강 1 - 가족 |
제33회 | 2016년 5월 12일 | 최진기 | 삶의 지혜 특강 2 - 인문학 | |
제34회 | 2016년 5월 19일 | 최진기 | 삶의 지혜 특강 3 - 미술사 | |
제35회 | 2016년 5월 26일 | 최진기, 설민석 | 삶의 지혜 특강 4 - 미술사 | |
제36회 | 2016년 6월 2일 | 설민석 | 삶의 지혜 특강 5 - 수신제가평천하 | |
제37회 | 2016년 6월 9일 | 설민석 | 삶의 지혜 특강 6 - 수신제가평천하 | |
제38회 | 2016년 6월 16일 | 설민석 | 삶의 지혜 특강 7 - 수신제가평천하 | |
제39회 | 2016년 6월 23일 | 설민석 | 삶의 지혜 특강 8 - 수신제가평천하 | |
제40회 | 2016년 7월 7일 | 정재찬 | 성(性)특집 1 - 감성(感性) | |
제41회 | 2016년 7월 14일 | 정재찬 | 성(性)특집 1 - 감성(感性) | |
제42회 | 2016년 7월 21일 | 김범준 | 성(性)특집 2 - 지성(知性) | |
제43회 | 2016년 7월 28일 | 김경일 | 성(性)특집 3 - 본성(本性) | |
제44회 | 2016년 8월 4일 | 김경일 | 성(性)특집 3 - 본성(本性) | |
제45회 | 2016년 8월 11일 | 김산하 | 성(性)특집 4 - 다양성(多樣性) | |
제46회 | 2016년 8월 18일 | 박진영 | 성(性)특집 5 - 야성(野性) | |
제47회 | 2016년 8월 25일 | 박형주 | 성(性)특집 6 - 이성(理性) | |
제48회 | 2016년 9월 1일 | 김대수 | 성(性)특집 7 - 특성(特性) | |
제49회 | 2016년 9월 8일 | 김대수 | 성(性)특집 7 - 특성(特性) | |
제50회 | 2016년 9월 15일 | 김창옥 | 소통 1 - 너와 나의 연결고리 | |
제51회 | 2016년 9월 22일 | 김미경 | 나 데리고 사는 법 | |
제52회 | 2016년 9월 29일 | 김미경 | 나 데리고 사는 법 | |
제53회 | 2016년 10월 6일 | 김경일 | 인간에 대해 잘 모르는 세 가지 | |
제54회 | 2016년 10월 13일 | 김경일 | 인간에 대해 잘 모르는 세 가지 | |
제55회 | 2016년 10월 20일 | 최민준 | 미칠 것 같은 엄마들에게 | |
제56회 | 2016년 10월 27일 | 김창옥 | 소통 2 - 그 남자, 그 여자 | |
제57회 | 2016년 11월 3일 | 김대식 | 현실이란 무엇인가? | |
제58회 | 2016년 11월 10일 | 이경제 | 양재진, 서재걸, 김태훈 | 건강에 대한 4가지 솔루션 1탄 |
제59회 | 2016년 11월 17일 | 김태훈, 서재걸 | 건강에 대한 4가지 솔루션 2탄 | |
제60회 | 2016년 11월 24일 | 조윤범 | 클래식계의 비하인드 스토리! (음악) | |
제61회 | 2016년 12월 1일 | 심용환 | 연말특집 1탄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비밀 | |
제62회 | 2016년 12월 8일 | 조승연 | 영어가 도대체 뭐길래! | |
제63회 | 2016년 12월 15일 | 문성욱 | 살아내는 것과 살아지는 것 (철학) | |
제64회 | 2016년 12월 22일 | 혜민스님 | 진정한 나는 누구인가? | |
제65회 | 2016년 12월 29일 | 김성은 | 삶은 리듬이다 | |
2017년 | ||||
---|---|---|---|---|
회차 | 방송일 | 강연자 | 출연자 | 주제 |
제66회 | 2017년 1월 7일 | 설민석 | "식史를 합시다" 1탄 - 선사시대, 고조선 | |
제67회 | 2017년 1월 14일 | 설민석 | "식史를 합시다" 2탄 - 삼국시대 | |
제68회 | 2017년 1월 28일 | 설민석 | "식史를 합시다" 3탄 - 통일신라 | |
제69회 | 2017년 2월 4일 | 설민석 | "식史를 합시다" 4탄 - 발해, 후삼국시대 | |
제70회 | 2017년 2월 11일 | 설민석 | "식史를 합시다" 5탄 - 고려 | |
제71회 | 2017년 2월 18일 | 허태균 | 대한민국 철수 영희의 심리 - 제 1 강 죽도록 했는데? | |
제72회 | 2017년 2월 25일 | 허태균 | 대한민국 철수 영희의 심리 - 제 2 강 내가 누군지 알아? | |
제73회 | 2017년 3월 4일 | 허태균 | 대한민국 철수 영희의 심리 - 제 3 강 하나만 보고 달렸는데 | |
제74회 | 2017년 3월 11일 | 김경일 | 대한민국 철수 영희의 심리 - Sixth Sense 1탄 (시각) 편 | |
제75회 | 2017년 3월 18일 | 김경일 | 대한민국 철수 영희의 심리 - Sixth Sense 2탄 (촉감각,청각,미각,후각) | |
제76회 | 2017년 3월 22일 | 최진기 | 함께 인문학 1강 - 미래의 우리에게 ‘노동’이란 무엇인가? | |
제77회 | 2017년 3월 29일 | 최진기 | 함께 인문학 2강 - 우리에게 미래란 무엇인가? (VR & AR) | |
제78회 | 2017년 4월 5일 | 최진기 | 함께 인문학 3강 - 미래의 우리에게 성과 권력이란 무엇인가? | |
제79회 | 2017년 4월 12일 | 최진기 | 함께 인문학 4강 - 우리에게 ‘복지’란 무엇인가? | |
제80회 | 2017년 4월 19일 | 최진기 | 함께 인문학 5강 - 우리에게 ‘정의’란 무엇인가? | |
제81회 | 2017년 4월 26일 | 조승연 | 어른들의 생각과 신념 1탄 - 창의성이 뭐길래 | |
제82회 | 2017년 5월 3일 | 서천석 | 어른들의 생각과 신념 2탄 - 겸손한 육아 | |
제83회 | 2017년 5월 10일 | 김태훈 | 어른들의 생각과 신념 3탄 - 시대가 선택한 스타 | |
제84회 | 2017년 5월 17일 | 유수진 | 어른들의 생각과 신념 4탄 - | |
제85회 | 2017년 5월 24일 | 강원국 | 어른들의 생각과 신념 5탄 - | |
제86회 | 2017년 5월 31일 | 이동진 | 어른들의 생각과 신념 6탄 - | |
제87회 | 2017년 6월 7일 | 이동진 | 어른들의 생각과 신념 7탄 - | |
제88회 | 2017년 6월 14일 | 허진모 | 어른들의 생각과 신념 8탄 - | |
제89회 | 2017년 6월 21일 | 심용환 | 어른들의 생각과 신념 9탄 - | |
제90회 | 2017년 6월 28일 | 윤홍균 | 어른들의 생각과 신념 10탄 - | |
제91회 | 2017년 7월 6일 | 설민석 | 리더의 조건 1탄 - "식史를 합시다" 조선시대 | |
제92회 | 2017년 7월 13일 | 설민석 | 리더의 조건 2탄 - "식史를 합시다" 조선시대 | |
제93회 | 2017년 7월 20일 | 최태성 | 역사 전쟁 1탄 | |
제94회 | 2017년 7월 27일 | 최태성 | 역사 전쟁 2탄 | |
제95회 | 2017년 8월 3일 | 유현준 | 소문난 대학 명강의 1탄 - 뜨는 도시의 법칙 | |
제96회 | 2017년 8월 10일 | 하지현 | 소문난 대학 명강의 2탄 - 고단한 하루를 버티게 하는 힘 | |
제97회 | 2017년 8월 17일 | 양정무 | 소문난 대학 명강의 3탄 - 중세인의 상상력을 훔쳐라 | |
제98회 | 2017년 8월 24일 | 황농문 | 소문난 대학 명강의 4탄 - 천재성을 깨워줄 몰입의 힘 | |
제99회 | 2017년 8월 31일 | 한순구 | 소문난 대학 명강의 5탄 - 인생을 경제적으로 사는 법 | |
제100회 | 2017년 9월 7일 | 채사장 | 국민소환 특집 1탄 - 성장 | |
제101회 | 2017년 9월 14일 | 허지웅 | 국민소환 특집 2탄 - 할리우드를 구한 청년들 그리고 우리들의 이야기 | |
제102회 | 2017년 9월 21일 | 배상훈 | 국민소환 특집 3탄 - 아는 자만이 살아남는다 | |
제103회 | 2017년 9월 28일 | 정봉주 | 국민소환 특집 4탄 - 봉주 진화론 | |
제104회 | 2017년 10월 5일 | 김창옥 | 국민소환 특집 5탄 - 어쩌다 어른 | |
제105회 | 2017년 10월 12일 | 이상민 | 이상민 | 국민소환 특집 6탄 - 두려움을 느끼는 어른들에게 |
제106회 | 2017년 10월 19일 | 강성태 | 국민소환 특집 7탄 - 당신의 자녀가 공부를 못하는 진짜 이유 | |
제107회 | 2017년 10월 26일 | 장유정 | 업 시리즈 1탄 - 도전을 멈춘 그대에게 | |
제108회 | 2017년 11월 2일 | 남궁인 | 업 시리즈 2탄 - 지독한 삶의 현장 | |
제109회 | 2017년 11월 9일 | 문경수 | 업 시리즈 3탄 - 잃어버린 호기심을 찾아서 | |
제110회 | 2017년 11월 16일 | 문경수 | 업 시리즈 3탄 - 잃어버린 호기심을 찾아서 2 | |
제111회 | 2017년 11월 23일 | 하상욱 | 업 시리즈 4탄 - 영업비밀 | |
제112회 | 2017년 11월 30일 | 양태오 | 업 시리즈 5탄 - 한옥세 사는 즐거움 | |
제113회 | 2017년 12월 7일 | 이재명 | 업 시리즈 6탄 - 주인으로 산다는 것 | |
제114회 | 2017년 12월 14일 | 박나래 | 업 시리즈 7탄 - 이번 생은 한 번뿐이라 | |
제115회 | 2017년 12월 21일 | 최현석 | 업 시리즈 8탄 - 미쳐야 즐긴다 | |
{| class="wikitable"
|-
! colspan="5" | 2018년
|-align=center
!rowspan=1|회차
!rowspan=1|방송일
!강연자
! rowspan="1" |출연자
(철수와 영희)
!rowspan=1|주제
|-align=center
!제116회
|2018년 1월 3일
|강신주
|
|신년특집 1탄 - 나는 노예로 살지 않기로 했다
|-align=center
!제117회
|2018년 1월 10일
|강신주
|
|신년특집 2탄 - 나는 늙기로 했다
|-align=center
!제118회
|2018년 1월 17일
|조승연
|
|신년특집 3탄 - 인문학이 뭐길래
|-align=center
!제119회
|2018년 1월 24일
|문경수
|
|잃어버린 호기심을 찾아서 <제주도 1편>
|-align=center
!제120회
|2018년 1월 31일
|문경수
|
|잃어버린 호기심을 찾아서 <제주도 2편>
|-align=center
!제121회
|2018년 2월 7일
|박영선
|
| 품격 시리즈 1탄 - 하루하루가 모여 역사가 된다
|-align=center
!제122회
|2018년 2월 14일
|강형욱
|
|품격 시리즈 2탄 -
그럼에도 개를 키우는 사람들을 위해서
|-align=center
!제123회
|2018년 2월 21일
|장동선
|
|품격 시리즈 3탄 - 뇌가 길을 찾는 법
|-align=center
!제124회
|2018년 2월 28일
|남경필
|
|소년과 어른 사이
|-align=center
!제125회
|2018년 3월 7일
|이용섭
|이용섭
|습관이 운명을 바꾼다
|-align=center
!제126회
|2018년 3월 14일
|김미경
|
|천 번을 미안해도 난 엄마다
|-align=center
!제127회
|2018년 3월 21일
|박재희
|
|고전(苦戰)하는 어른들에게 고전(古典)을
|-align=center
!제128회
|2018년 4월 4일
|손경이
|
|누가 성범죄를 멈춰야 하는가
|-align=center
!제129회
|2018년 4월 4일
|손경이
|
|누가 성(性)을 배워야 하는가
|-align=center
!제130회
|2018년 4월 11일
|이수정
|
|위드유 특집 - 누가 범죄를 막아야 하는가
|-align=center
!제131회
|2018년 4월 18일
|김경일
|
|우리가 거꾸로 하는 것들 1
|-align=center
!제132회
|2018년 4월 25일
|김경일
|
|우리가 거꾸로 하는 것들 2
|-align=center
!제133회
|2018년 5월 2일
|조승연
|
|오리진(origin) 시리즈 1탄 - 돈이 사라졌다 1
|-align=center
!제134회
|2018년 5월 9일
|조승연
|
|오리진(origin) 시리즈 1탄 - 돈이 사라졌다 2
|-align=center
!제135회
|2018년 5월 16일
|심용환
|
|오리진(origin) 시리즈 2탄 - 인권이 외친다
|-align=center
!제136회
|2018년 5월 23일
|최진기
|
|청춘과 통일
|-align=center
!제137회
|2018년 5월 30일
|명욱
|
|오리진(origin) 시리즈 3탄 - 술이 춤춘다
|-align=center
!제138회
|2018년 6월 6일
|이원영
|
|오리진(origin) 시리즈 4탄 - 펭귄이 아프다
|-align=center
!제139회
|2018년 6월 13일
|오찬호
|
|오리진(origin) 시리즈 5탄 - 차별이 죽어야 산다
|-align=center
!제140회
|2018년 6월 20일
|이정모
|
|오리진(origin) 시리즈 6탄 - 과학 참 만만하다
|-align=center
!제141회
|2018년 6월 27일
|손경이
|
|관계학개론 특집 1탄 - 이대로 괜찮아
3. 1. 2015년
시즌 1 | ||||
---|---|---|---|---|
회차 | 방송일 | 강연자 | 출연자 | 주제 |
제1회 | 2015년 9월 10일 | 김혜은, 송길영 | 어쩌다 어른이 된 어른들의 첫번째이야기 | |
제2회 | 2015년 9월 17일 | 이한위, 이본 | 어른의 외로움 | |
제3회 | 2015년 9월 24일 | colspan="2" | | 부모노릇VS자식노릇, 어느 게 더 힘들까? | |
제4회 | 2015년 10월 1일 | 김대식, 황석정, 김태훈 | 어른이 된 우리, 왜 사는가?(삶의 의미) | |
제5회 | 2015년 10월 8일 | 이연복, 김성경 | 어른이 행복해지기 위한 3가지 방법 | |
제6회 | 2015년 10월 15일 | 박은혜, 김동철 | ||
제7회 | 2015년 10월 22일 | 서지석, 박소현 | 어른이 버려야 할것은? | |
제8회 | 2015년 10월 29일 | 김현숙 | 4050 영희, 철수의 이야기 | |
제9회 | 2015년 11월 5일 | 박소현, 황교익 | 어른에게 밥이란? | |
제10회 | 2015년 11월 12일 | 이지현, 김대수 | 39금 특집 1탄 | |
제11회 | 2015년 11월 19일 | 39금 특집 2탄 '어른에게 정이란?' | ||
제12회 | 2015년 11월 26일 | 김일중, 윤유선, 홍승기 | 어른들에게 묻는 난감한 질문 | |
제13회 | 2015년 12월 3일 | 이종원, 이지애, 김지윤 | 어른에게 결혼이란? | |
제14회 | 2015년 12월 10일 | 한재권, 박해미, 김선진 | 우리는 어른일까, 꼰대일까? | |
제15회 | 2015년 12월 17일 | 신재원, 김형석, 이지현 | 당신의 건강은 안녕하십니까? | |
제16회 | 2015년 12월 24일 | 조민기, 현영, 전미영 | 어른들의 트렌드 | |
제17회 | 2016년 1월 7일 | 설민석 | 김한석, 김효진, 김주희, 조상기 | 특강쇼 1탄 |
3. 2. 2016년
2016년 1월 7일, 설민석의 특강쇼 '행복의 키워드 초심'을 시작으로, 서민, 김대식, 황교익 등 다양한 강연자들이 특강쇼를 진행했다. 2월 11일에는 유난희, 김태우, 김지윤이 출연하여 '어른들의 선택'과 '어른들의 고민'을 주제로 방송을 진행했다. 이천수, 정이랑, 박재연, 김태우는 '욱하는 성질'과 '효도'에 대한 고민과 선택을 다루었고, 유재명, 레이양, 장호일은 '싱글 라이프'와 '결혼 라이프'에 대한 선택, 그리고 '세일, 이월 상품만 찾는 아내'에 대한 고민을 나누었다.3월에는 변우민, 남재현, 정주리, 레이양이 '처가 원조'와 '속옷을 아무데나 벗어놓는 아내'에 대한 고민을, 권오중, 임정은은 '누나와 차별하는 엄마'와 '각방쓰는 부부'에 대한 선택과 고민을 다루었다. 전노민, 안연홍, 정재욱, 예정화는 육아의 고충과 황혼육아에 대해 이야기했고, 박탐희, 한영, 이민웅, 허은아는 돌직구에 대한 주제를 다루었다. 변진섭, 김동완, 서유리는 귀농귀촌에 대해 강연했다.
4월에는 '어쩌다 어른'이 된 영희들과 철수들의 이야기가 방송되었고, 5월부터는 최진기와 설민석이 '삶의 지혜' 특강을 진행했다. 6월에는 설민석이 '수신제가평천하'를 주제로 특강을 이어갔다.
7월부터 9월 초까지는 정재찬, 김범준, 김경일, 김산하, 박진영, 박형주, 김대수 등이 '성(性)특집' 강연을 진행했다. 9월 중순부터는 김창옥, 김미경, 김경일, 최민준 등이 '소통'과 '인간', '엄마'를 주제로 강연을 이어갔다.
11월에는 김대식, 이경제, 김태훈, 서재걸, 조윤범 등이 '현실', '건강', '클래식'을 주제로 강연했다. 12월에는 심용환, 조승연, 문성욱, 혜민스님, 김성은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영어', '철학', '나는 누구인가', '삶'을 주제로 연말특집 강연을 진행했다.
3. 3. 2017년
2017년 1월 7일부터 설민석은 "식史를 합시다"라는 주제로 선사시대와 고조선, 삼국시대, 통일신라, 발해와 후삼국시대, 고려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2월 11일부터 허태균은 대한민국 철수와 영희의 심리에 대한 강의를 3회에 걸쳐 진행했다. 3월 11일과 18일에는 김경일이 대한민국 철수와 영희의 심리에 대한 Sixth Sense를 주제로 강의했다.3월 22일부터 최진기는 "함께 인문학" 시리즈를 통해 미래의 노동, 미래(VR & AR), 미래의 성과 권력, 복지, 정의에 대해 강의했다. 4월 26일부터는 조승연이 "어른들의 생각과 신념" 시리즈 1탄으로 창의성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다.
5월에는 서천석의 겸손한 육아, 김태훈의 시대가 선택한 스타, 유수진의 돈 관리, 강원국의 글쓰기 강연이 있었다. 6월에는 이동진의 책과 영화 읽기, 허진모의 영웅(진시황&유방) 강의, 심용환의 헌법 강의, 윤홍균의 자존감 강의가 진행되었다.
7월에는 설민석이 리더의 조건으로 조선시대 역사 강의를 두 차례 진행했고, 최태성은 역사 전쟁을 주제로 강의했다. 8월에는 유현준의 뜨는 도시의 법칙, 하지현의 고단한 하루를 버티게 하는 힘, 양정무의 중세인의 상상력, 황농문의 천재성을 깨워줄 몰입의 힘, 한순구의 인생을 경제적으로 사는 법 등 소문난 대학 명강의가 이어졌다.
9월부터는 국민소환 특집으로 채사장의 성장, 허지웅의 할리우드를 구한 청년들, 배상훈의 생존, 정봉주의 진화론, 김창옥의 어쩌다 어른, 이상민의 두려움, 강성태의 공부 강연이 있었다.
10월 26일부터는 "업" 시리즈가 시작되어 장유정의 도전, 남궁인의 삶의 현장, 문경수의 잃어버린 호기심, 하상욱의 영업비밀, 양태오의 한옥, 이재명의 주인으로 산다는 것, 박나래의 인생, 최현석의 열정 강연이 진행되었다.
3. 4. 2018년
2018년 1월 3일 강신주의 "나는 노예로 살지 않기로 했다"를 시작으로, 조승연의 신년특집 3탄 "인문학이 뭐길래"(1월 17일), 문경수의 "잃어버린 호기심을 찾아서 <제주도 1편>"(1월 24일)과 <제주도 2편>(1월 31일)이 방송되었다.2월에는 박영선의 "하루하루가 모여 역사가 된다"(2월 7일), 강형욱의 "그럼에도 개를 키우는 사람들을 위해서"(2월 14일), 장동선의 "뇌가 길을 찾는 법"(2월 21일), 남경필의 "소년과 어른 사이"(2월 28일) 강연이 있었다.
3월에는 이용섭의 "습관이 운명을 바꾼다"(3월 7일), 김미경의 "천 번을 미안해도 난 엄마다"(3월 14일), 박재희의 "고전(苦戰)하는 어른들에게 고전(古典)을"(3월 21일) 강연이 진행되었다.
4월에는 손경이의 "누가 성범죄를 멈춰야 하는가"(4월 4일)와 "누가 성(性)을 배워야 하는가"(4월 11일), 이수정의 "위드유 특집 - 누가 범죄를 막아야 하는가"(4월 11일), 김경일의 "우리가 거꾸로 하는 것들 1"(4월 18일)과 "우리가 거꾸로 하는 것들 2"(4월 25일) 강연이 있었다.
5월에는 조승연의 "오리진(origin) 시리즈 1탄 - 돈이 사라졌다 1"(5월 2일)과 "돈이 사라졌다 2"(5월 9일), 심용환의 "오리진(origin) 시리즈 2탄 - 인권이 외친다"(5월 16일), 최진기의 "청춘과 통일"(5월 23일), 명욱의 "오리진(origin) 시리즈 3탄 - 술이 춤춘다"(5월 30일) 강연이 방송되었다.
6월에는 이원영의 "오리진(origin) 시리즈 4탄 - 펭귄이 아프다"(6월 6일), 오찬호의 "오리진(origin) 시리즈 5탄 - 차별이 죽어야 산다"(6월 13일), 이정모의 "오리진(origin) 시리즈 6탄 - 과학 참 만만하다"(6월 20일) 강연이 있었다.
7월에는 손경이의 "관계학개론 특집 1탄 - 이대로 괜찮아?"(6월 27일), 김지윤의 "관계학개론 특집 2탄 - 말해도 괜찮아"(7월 4일), 진중권의 "소문난 명강의 1탄 - 예술의 기원"(7월 11일), 권수영의 "소문난 명강의 2탄 - 인간 관계가 왜 그럴까"(7월 18일) 강연이 진행되었다. 최강창민이 출연한 김대수의 "소문난 명강의 3탄 - 당신은 왜 탐하는가"(7월 25일)가 방송되었다.
8월에는 유성호의 "소문난 명강의 4탄 - 죽은 자에게 배우다"(8월 1일), 임동근의 "소문난 명강의 5탄 - 도시 읽는 법 : 인구"(8월 8일), 유영만의 "소문난 명강의 6탄 - 잠든 지식을 깨우다"(8월 15일) 강연이 있었다. 대도서관의 "개척자 시리즈 1탄 - 세상에 쓸모없는 일이란 없다"(8월 22일), 손이천의 "개척자 시리즈 2탄 - 예술로 시간을 읽다"(8월 29일) 강연이 이어졌다.
9월에는 김영철의 "개척자 시리즈 3탄 - 지치지 말고 꾸준히! 안되나용?"(9월 5일), 박찬일의 "개척자 시리즈 4탄 - 어른의 맛"(9월 12일) 강연이 방송되었다.
10월에는 홍혜걸의 "개척자 시리즈 5탄 - 하마터면 모르고 살 뻔했다"(10월 3일), 정재환의 "한글날 특집 - 한글, 위대한 유산"(10월 10일), 이시원의 "공부의 참맛 시리즈 1탄 - 영어는 잘못이 없다"(10월 17일), 차길영의 "공부의 참맛 시리즈 2탄 - 수학은 잘못이 없다"(10월 24일) 강연이 진행되었다.
10월 31일부터는 이무영의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삶을 살아가는 '영화인' 특집 첫번째 '네 멋대로 해라'"를 시작으로 영화인 특집이 방송되었다. 11월에는 정두홍의 "아직도 내 싸움은 끝나지 않았다"(11월 7일), 임하룡의 "이 나이에 나도 한다"(11월 14일), 추상미의 "누구에게나 스토리는 있다"(11월 21일)가 방송되었다.
11월 28일부터는 연말특집 '뜨거운 2018' 시리즈가 방송되었다. 다니엘 린데만의 "통일에 반대한다?"(11월 28일), 황선미의 "세상의 모든 가족"(12월 5일), 이수정의 "누가 범죄를 막아야 하는가"(12월 12일), 김진영의 "밥맛 없는 세상, 살맛나게 먹자!"(12월 19일) 강연이 있었다.
3. 5. 2019년
2019년 2월 28일 설민석의 '나의 소원' 강연을 시작으로, 3월 7일과 3월 14일, 총 3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3월 21일에는 혜민이 '고요할수록 알게 되는 나'를 주제로 강연했다. 3월 28일에는 조원재가 '미술관은 살아있다'를 주제로 강연을 이어갔다.4월 4일 정혜신은 '마음은 언제나 옳다'는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4월 11일에는 김웅이 '우리는 법의 노예다'라는 주제로 법에 대한 강연을 했다. 4월 18일 유현준은 '천재를 죽이는 도시'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4월 25일에는 한순구가 '인생은 게임이다'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5월 2일에는 강헌이 '스스로 운명을 읽다'를 주제로 강연을 마무리했다.
4. 강연자 및 주제 (시즌 3)
wikitable
회차 | 방송일 | 강연자 | 게스트 | 주제 |
---|---|---|---|---|
제1회 | 2022년 6월 9일 | 김경일 | 허영지, 윤소희, 정찬 | 나도 모르게 악인을 끌어들이고 있었다? |
제2회 | 2022년 6월 16일 | 김상욱 | 재찬, 김재우, 윤소희, 정찬 | 물리학자 김상욱의 잃어버린 물리를 찾아서 |
제3회 | 2022년 6월 23일 | 송길영 | 스스로를 어른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
제4회 | 2022년 6월 30일 | 송길영 | 서경석, 설수현, 신아영, 김호영 | |
제5회 | 2022년 7월 7일 | 양정무 | 김소현, 손준호, 미자, 유재환 | |
제6회 | 2022년 7월 14일 | 이대열 | 이지현, 김한석, 이현이, 안현모 | |
제7회 | 2022년 7월 21일 | 류한수, 윤형빈, 이현이, 다니엘 린데만, 백지헌 | 당신에게 역사란 | |
제8회 | 2022년 7월 28일 | 이익주, 이재용, 이혜정, 이은지, 이성종 | ||
제9회 | 2022년 8월 4일 |
4. 1. 2022년
wikitable회차 | 방송일 | 강연자 | 게스트 | 주제 |
---|---|---|---|---|
제1회 | 2022년 6월 9일 | 김경일 | 허영지, 윤소희, 정찬 | 나도 모르게 악인을 끌어들이고 있었다? |
제2회 | 2022년 6월 16일 | 김상욱 | 재찬, 김재우, 윤소희, 정찬 | 물리학자 김상욱의 잃어버린 물리를 찾아서 |
제3회 | 2022년 6월 23일 | 송길영 | 스스로를 어른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
제4회 | 2022년 6월 30일 | 송길영 | 서경석, 설수현, 신아영, 김호영 | |
제5회 | 2022년 7월 7일 | 양정무 | 김소현, 손준호, 미자, 유재환 | |
제6회 | 2022년 7월 14일 | 이대열 | 이지현, 김한석, 이현이, 안현모 | |
제7회 | 2022년 7월 21일 | 류한수, 윤형빈, 이현이, 다니엘 린데만, 백지헌 | 당신에게 역사란 | |
제8회 | 2022년 7월 28일 | 이익주, 이재용, 이혜정, 이은지, 이성종 | ||
제9회 | 2022년 8월 4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