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은 30년 전쟁을 배경으로, 전쟁터에서 장사를 하며 세 자녀를 잃는 억척어멈의 이야기를 그린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희곡이다. 브레히트는 파시즘과 나치즘에 저항하며 이 작품을 썼으며, 정치 연극 원칙에 따라 전쟁의 비극성을 강조한다. 억척어멈은 전쟁을 통해 이익을 얻으려 하지만, 결국 자녀들을 모두 잃고 혼자 남게 된다. 이 작품은 소외 효과를 통해 관객에게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며, 1941년 취리히 초연 이후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언어로 공연되었다. 한국에서는 1988년 무명학원에서 처음 공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희곡 - 옹딘
장 지로두가 푸케의 소설 《운디네》에서 영감을 받아 창작한 희곡 옹딘은 물의 요정 온딘과 기사 한스의 사랑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 사랑의 본질, 계급 간의 갈등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며, 루이 주베 연출 초연 이후 오드리 헵번 주연 브로드웨이 공연으로 토니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차례 공연되었다. - 반전 희곡 - 리시스트라타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대를 배경으로 아테네 여성 리시스트라타가 그리스 도시 국가 여성들과 연합하여 성 파업을 벌여 전쟁을 종식시키려는 이야기를 다룬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이다. - 반전 희곡 - 트로이아 여인들
『트로이아 여인들』은 에우리피데스가 멜로스 섬 침공 사건에 반발하여 쓴 비극으로, 트로이 전쟁 이후 여성들의 고통을 통해 전쟁의 참혹함을 보여주는 반전 서사이다. -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희곡 - 행맨 올소 다이!
프리츠 랑 감독의 1943년 미국 영화인 행맨 올소 다이!는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암살 사건 이후 게슈타포의 탄압에 맞서는 체코 레지스탕스 이야기를 다루며 브라이언 돈레비, 월터 브레넌, 안나 리, 진 록하트 등이 출연했고,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참여한 유일한 미국 영화이자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특별상 수상 및 아카데미상 음악상 후보에 올랐다. -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희곡 - 아르투로 우이의 출세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파시즘 절정기에 집필한 희곡 《아르투로 우이의 출세》는 알 카포네의 출세와 아돌프 히틀러의 집권 과정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1930년대 시카고 암흑가를 배경으로 히틀러의 권력 장악 과정을 풍자적으로 묘사하며, 정치와 경제의 유착이 파시즘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를 담고 있다.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Mutter Courage und ihre Kinder |
장르 | 서사극 |
배경 | 30년 전쟁 |
초연 | 1941년 4월 19일 |
초연 장소 | 취리히 샤우슈필하우스 |
한국 초연 | 1963년 |
극작가 | 베르톨트 브레히트 |
언어 | 독일어 |
등장인물 | |
어머니 코라주 (안나 피어링) | 전쟁을 따라다니며 장사하는 여인 |
카트린 | 코라주의 벙어리 딸 |
아일리프 | 코라주의 큰 아들 |
스위스 치즈 (슈바이처카스) | 코라주의 둘째 아들 |
줄거리 | |
배경 | 30년 전쟁 시기, 1624년부터 1636년까지 |
주요 사건 | 어머니 코라주와 그녀의 세 자녀가 전쟁을 따라다니며 겪는 고난과 비극 |
주제 | 전쟁의 참혹함과 그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인간의 욕망, 그리고 그로 인한 비극적 결과 |
특징 | |
서사극 이론 |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이 잘 드러나는 작품 |
소격 효과 | 관객의 감정 이입을 막고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게 하는 '소격 효과' 사용 |
노래 | 극 중간에 삽입된 노래를 통해 극의 주제를 강조하고 관객에게 메시지 전달 |
기타 | |
영화 | 어머니 코라주 (감독: 페터 팔리치, 주연: 헬레네 바이겔) |
2. 배경
이 희곡은 30년 전쟁(1618년~1648년) 시기의 독일과 폴란드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안나 피어링, 일명 '억척어멈'은 세 자녀와 함께 포장마차를 끌며 군부대를 따라다니는 종군 상인이다. 그녀는 전쟁을 통해 이익을 얻으려 하지만, 결국 전쟁으로 인해 모든 것을 잃게 된다.
이 연극은 30년 전쟁(1618-1648) 시기의 17세기 유럽을 배경으로 한다. 극은 징집 장교와 하사가 전쟁에 사람들을 징병하는 어려움을 토로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이때 주인공 안나 피얼링, 일명 억척어멈(Mutter Couragede)이 군인들에게 팔 물건을 실은 수레를 끌고 세 자녀 아이리프, 슈바이처카스(스위스 치즈), 그리고 벙어리 딸 카트린과 함께 등장한다. 억척어멈은 군부대를 따라다니며 장사를 하는 종군 상인이다. 하사는 억척어멈과 거래하는 척하며 큰아들 아이리프를 군인으로 징집해 간다.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이 작품을 파시즘과 나치즘의 부상에 저항하며 썼다. 특히 1939년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독일의 폴란드 침공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여, 브레히트는 '백열의 열기' 속에서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이 희곡을 완성했다.[4] 랄프 만하임과 존 윌렛은 희곡 전집 서문에서 "유럽 전쟁의 파괴적인 영향과 그것으로 이익을 얻으려는 사람의 무지를 주제로 하는 ''어머니 용기''는 한 달 만에 쓰여졌다고 한다; 초고나 예비 연구의 다른 증거가 거의 없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이는 예외적으로 직접적인 영감의 산물임에 틀림없다"고 언급했다.[5] 브레히트는 자신의 정치 연극 원칙에 따라, 당대가 아닌 30년 전쟁 시대를 배경으로 설정하여 관객이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도록 유도했다. 이 전쟁에는 당시 독일의 여러 국가들과 프랑스, 스웨덴 등이 얽혀 있었다.
3. 줄거리
2년 후, 억척어멈은 거세된 수탉을 두고 개신교 장군의 요리사와 다툰다. 그 사이 아들 아이리프는 농민을 죽이고 가축을 빼앗은 공로로 장군에게 칭찬을 받는다. 억척어멈은 아들이 위험한 행동을 한다며 꾸짖는다.
다시 3년이 지나고, 둘째 아들 슈바이처카스는 군대의 급여 담당관으로 일하고 있다. 진영의 매춘부인 이베트 포티에가 "형제애의 노래"를 부르자, 억척어멈은 이 노래를 이용해 딸 카트린에게 군인과의 관계를 조심하라고 경고한다. 가톨릭 군대가 공격해오기 직전, 요리사와 군목이 아이리프의 소식을 전한다. 슈바이처카스는 연대의 급여 상자를 숨기지만, 가톨릭 군인들에게 붙잡혀 고문을 당한다. 억척어멈은 아들을 구하기 위해 수레를 담보로 뇌물을 주려 하지만, 협상 과정에서 시간을 끌다가 결국 슈바이처카스는 처형당한다. 억척어멈은 자신도 공범으로 몰릴까 두려워 아들의 시신을 알아보지 못하고 버려두게 된다.
이후 억척어멈은 부당한 처우에 항의하려는 젊은 병사에게 "위대한 항복의 노래"를 불러주며, 결국 둘 다 불만을 접는다. 그녀는 장사를 계속하기 위해 부상당한 민간인을 치료할 천을 내어주기를 거부하지만, 군목이 강제로 가져간다.
가톨릭 장군 틸리의 장례식이 다가오자 전쟁이 계속될 것이라는 군목의 말에 억척어멈은 다시 장사 물품을 사들인다. 군목이 청혼하지만 그녀는 거절한다. 술 취한 군인에게 폭행당해 딸 카트린의 얼굴이 흉해지자 억척어멈은 전쟁을 저주한다. 이후 그녀는 다시 개신교 군대를 따라 나선다.
스웨덴 왕의 죽음으로 평화가 찾아왔다는 소식이 들리자, 요리사가 나타나 억척어멈과 군목 사이에서 갈등을 일으킨다. 억척어멈이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아이리프가 군인들에게 끌려온다. 그는 평화 시기에 농민을 죽이고 가축을 훔친 죄로 처형당하는데, 이는 전쟁 중에는 영웅적인 행위로 칭찬받았던 행동이었다. 억척어멈은 이 소식을 듣지 못한다. 전쟁이 다시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자, 억척어멈은 요리사와 함께 다시 수레를 끌고 떠난다.
전쟁 17년째, 식량과 물품이 모두 부족해진다. 요리사는 위트레흐트에 있는 여관을 상속받게 되어 억척어멈에게 함께 가자고 제안하지만, 카트린의 흉한 외모 때문에 손님들이 꺼릴 것이라며 카트린을 데려가는 것은 거부한다. 결국 억척어멈은 요리사와 헤어져 카트린과 단둘이 수레를 끈다.
억척어멈이 개신교 도시 할레에서 장사를 하는 동안, 카트린은 농가에서 하룻밤을 묵게 된다. 그때 가톨릭 군인들이 농부들을 위협하여 도시를 기습 공격하려 한다. 위험을 감지한 카트린은 수레에서 북을 가져와 지붕 위로 올라가 힘껏 두드려 마을 사람들에게 위험을 알린다. 그러나 카트린은 결국 군인들의 총에 맞아 죽는다. 다음 날 아침, 억척어멈은 딸의 시신 앞에서 자장가를 불러주고, 농부들에게 딸을 묻어달라고 부탁한 뒤, 다시 혼자서 수레에 몸을 묶고 전쟁터를 따라 길을 떠난다. 그녀는 마지막까지 '전쟁은 사업'이라는 신념을 버리지 못하고 돈을 벌겠다는 생각을 놓지 않는다.
극은 총 12개의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624년부터 1636년까지 12년 동안의 이야기를 다룬다. 각 장면은 비교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관객이 등장인물에게 감정적으로 깊이 몰입하기보다는 사건과 상황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도록 유도한다. 이는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추구한 서사극의 특징 중 하나이다.
4. 등장인물
5. 주제
30년 전쟁(1618-1648)이라는 참혹한 시대를 배경으로, 전쟁이 개인의 삶과 사회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주인공 억척어멈 안나 피어링은 세 자녀와 함께 포장마차를 끌고 전쟁터를 따라다니며 군인들에게 물건을 파는 종군 상인이다. 그녀는 '전쟁은 사업'이라는 신념으로 생계를 유지하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전쟁 때문에 세 자녀 모두를 비극적으로 잃게 된다. 장남 아이리프는 전쟁 중 영웅시되던 약탈 행위 때문에 평화 시기에 처형되고, 회계병이 된 차남 슈바이처카스는 군자금을 지키려다 적군에게 붙잡혀 살해당하며, 말을 못하는 딸 카트린은 기습 공격을 알리려다 총에 맞아 죽는다. 이처럼 작품은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는 어떠한 미덕도 보상받지 못하며, 오히려 파멸로 이어질 수 있음을 고발한다.[7]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이 희곡을 파시즘과 나치즘의 부상에 저항하는 의미를 담아 집필했으며, 특히 아돌프 히틀러의 폴란드 침공 직후인 1939년, "백열의 열기" 속에서 불과 한 달여 만에 완성했다고 전해진다.[4][5] 이는 전쟁의 파괴적인 본질과 전쟁을 통해 이익을 얻으려는 행위의 어리석음을 폭로하려는 작가의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5]
작품은 극한의 전쟁 상황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억척어멈의 생존 본능과 모성애, 그리고 이윤 추구 사이의 도덕적 딜레마를 중요한 주제로 다룬다. 그녀는 자식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위험한 전쟁터에서 장사를 계속하지만, 동시에 전쟁이라는 비극을 자신의 사업 기회로 삼는 모순적인 태도를 보인다. 아들 슈바이처카스를 구하기 위해 수레를 담보로 뇌물을 주려 하지만 결국 흥정에 실패하고 아들의 시신조차 외면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며, 부상당한 민간인을 돕기 위해 필요한 천을 내어주기를 거부하는 등 이윤 추구 앞에서 인간적인 연민이 갈등하는 모습을 보인다. 결국 모든 것을 잃고 혼자 남겨진 뒤에도 전쟁을 저주하면서 포장마차를 끌며 장사를 계속하려는 억척어멈의 모습은, 전쟁이 인간성을 어떻게 왜곡하고 파괴하는지를 강렬하게 보여준다.
브레히트는 이 작품에서 자신이 창안하고 발전시킨 서사극(Epic theatre) 이론을 효과적으로 구현한다. 각 장면이 시작되기 전에 그 내용을 요약하여 알려주거나, 극 중간에 파울 데사우가 작곡한 노래들을 삽입하는 등의 기법을 사용한다. 이는 관객이 등장인물의 감정에 깊이 몰입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방해하고, 극의 내용과 인물의 행동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도록 유도하는 소외 효과(Verfremdungseffekt)를 목적으로 한다. 브레히트는 관객이 억척어멈의 비극에 감상적으로 동화되기보다는, 그녀의 삶을 통해 전쟁의 본질, 자본주의 사회의 비인간성 등의 문제를 이성적으로 성찰하고 비판하기를 원했다.[8] 따라서 억척어멈은 동정이나 모방의 대상이 아닌, 사회 구조적 문제점을 드러내는 복합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은 브레히트의 가장 유명한 희곡 중 하나이자 20세기 연극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7] 작품의 주인공 '억척어멈'(Mutter Courage)이라는 이름은 17세기 독일 작가 한스 야코프 크리스토펠 폰 그리멜스하우젠의 피카레스크 소설 《방랑하는 용기》(The Runagate Courageeng)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야기의 구체적인 내용은 브레히트와 그의 동료 작가 마르가레테 슈테핀이 새롭게 창작한 것이다.[6] 이 작품은 후대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예를 들어 1970년대 독일의 페미니스트 신문 Courage는 억척어멈을 "자율적인 여성이자 현 상태에 만족하지 않는 인물"로 보고 그 이름을 따왔으며,[36] 미국의 극작가 린 노티지는 콩고 내전을 배경으로 한 자신의 퓰리처상 수상 희곡 Ruined를 쓰는 데 이 작품으로부터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37][38]
6. 공연
이 연극은 1941년 취리히 극장에서 레오폴트 린트베르크의 연출로 처음 무대에 올랐다. 음악은 대부분 스위스 작곡가 파울 부르크하르트가 작곡하거나 편곡했으며, 연주자들은 관객에게 보이도록 배치되었다. 이는 서사극에서 브레히트가 사용한 기법 중 하나였다. 당시 유명 배우였던 테레제 기에제가 주인공 억척 어멈 역을 맡았고, 테오 오토가 무대 디자인을 담당했다.[9][10]
두 번째 주요 공연은 1949년 당시 동베린에서 이루어졌는데, 브레히트의 아내이자 배우인 헬레네 바이겔이 억척 어멈 역을 맡았다. 브레히트가 직접 연출했으며, 파울 데사우가 브레히트와 긴밀히 협력하여 새로운 음악을 작곡했다. 이 공연은 브레히트의 극단인 베를리너 앙상블 창설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브레히트는 이 극단에서 자신의 여러 작품을 연출했다. 브레히트는 취리히 초연 당시 일부 평론가들이 억척 어멈의 모성애에만 공감하는 것을 보고, 동베를린 공연에서는 그녀의 전쟁 가담과 문제점을 더 부각시키고자 연극 내용을 수정했다. 하지만 그는 베를린 관객들 역시 억척 어멈의 고통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기록했다.[11]
1950년에는 뮌헨 캄머슈필레에서 브레히트 연출로 다시 공연되었으며, 초연 배우였던 테레제 기에제가 다시 억척 어멈 역을 맡고 테오 오토가 무대 디자인을 담당했다.[10]
이후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프로덕션이 공연되었다. 주요 공연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장소/극단 | 주요 내용 |
---|---|---|
1955 | 런던 (시어터 워크숍) | 조안 리틀우드 주연, 런던 초연.[12] |
1958 | 클리블랜드 플레이 하우스 | 해리엇 브레이저(Harriet Brazier) 주연, 벤노 프랑크(Benno Frank) 연출. 미국 초연.[13] |
1959 | BBC 텔레비전 | 플로라 롭슨 주연, 루돌프 카르티에 제작.[14] |
1961 | 스트랫퍼드어폰에이번 아마추어 플레이어스 | 엘리자베스 커츠(Elizabeth "Libby" Cutts) 주연, 키스 파울러 연출. 두 번째 영국 공연.[15] |
1963 | 브로드웨이 (마틴 벡 시어터) | 앤 밴크로프트 주연, 제롬 로빈스 연출. 바바라 해리스, 진 와일더 출연.[16] |
1971 | 멜버른 (멜버른 시어터 컴퍼니, 프린세스 시어터) | 글로리아 던 주연, 요아힘 텐셔트(Joachim Tenschert) 연출 (베를린 앙상블 프로덕션 기반).[18] |
1980 | 뉴욕 (더 퍼블릭 시어터) | 글로리아 포스터 주연, 윌포드 리치 연출. 노토자케 샹지 각색 (미국 재건 시대 배경).[19][20] |
1982 | 런던 (인터내셔널리스트 극단) | 마가렛 로버트슨(Margaret Robertson) 주연. 다민족 프로덕션.[21][22][23][24] |
1984 | 런던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 바비칸 센터) | 주디 덴치 주연, 하니프 쿠레이시 번역.[25] |
1995 | 런던 (로열 내셔널 시어터) | 다이애나 리그 주연, 조나단 켄트 연출, 데이비드 헤어 번역. 리그는 이 역할로 이브닝 스탠다드 극장상 수상.[26][27] |
2006 | 뉴욕 (더 퍼블릭 시어터) | 메릴 스트립 주연, 조지 C. 울프 연출, 토니 쿠슈너 번역, 자닌 테소리 음악.[28] |
2009 | 런던 (로열 내셔널 시어터) | 피오나 쇼 주연, 데보라 워너 연출, 듀크 스페셜 라이브 음악.[29] |
2013 | 브리즈번 (퀸즐랜드 공연 예술 센터) | 폴라 나자르스키(Paula Nazarski) 주연 및 번역, 웨슬리 에녹 연출. 호주 원주민 배우들로 구성.[30] |
2024 | 슬라이고, 아일랜드 (블루 레인코트 극단) | 팩토리 공연 공간에서 공연.[31] |
스페인어로는 1953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테아트로 IFT에서 치페 린코프스키 주연으로 처음 공연되었다.[32] 1972년에는 헨리 자예세나가 이 연극을 싱할라어로 각색하여 ''디리야 마와 사하 아게이 다루워''(용감한 어머니와 그녀의 아이들)라는 제목으로 공연했다.[33]
6. 1. 한국에서의 공연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부재함)7. 브레히트의 관점
브레히트는 파시즘과 나치즘의 부상에 저항하는 의미에서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을 포함한 아홉 편의 희곡을 썼다.[4] 특히 1939년 아돌프 히틀러의 독일군에 의한 폴란드 침공에 충격을 받아, 망명지인 스웨덴에서 한 달 남짓한 짧은 기간에 이 작품을 완성했다.[4][5] 그는 자신의 정치 연극 원칙에 따라, 동시대가 아닌 30년 전쟁(1618–1648)을 배경으로 설정하여 관객들이 역사적 거리를 두고 극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도록 유도했다.
브레히트는 주인공 억척어멈이 전쟁이라는 비극적인 상황 속에서도 이익을 추구하는 모습을 통해, 전쟁의 참혹함과 그 속에서 이윤을 얻으려는 행위의 모순과 위험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그러나 1941년 취리히에서의 초연 이후, 많은 관객들이 억척어멈에게 연민과 동정심을 느끼자 브레히트는 자신의 의도가 오해받고 있다고 판단했다.[34] 그는 관객들이 억척어멈의 강인함 이면에 있는 전쟁에 대한 무지와 상황 판단 착오, 그리고 전쟁을 통해 이익을 얻으려는 태도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기를 원했다.
한스 마이어에 따르면, 이러한 오해를 바로잡기 위해 브레히트는 1949년 동독의 도이체스 테아터에서 자신의 아내 헬레네 바이겔 주연으로 직접 연출한 공연에서는 억척어멈에 대한 동정심을 줄이도록 희곡 내용을 일부 수정했다.[34] 이 공연의 성공은 이후 베를리너 앙상블 창립의 기초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의 동정적인 반응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마이어는 지적했다.[34]
극작가이자 비평가인 케이티 베이커는 브레히트의 관객들이 그의 핵심적인 연극 이론인 소외 효과(Verfremdungseffekt)의 의도를 놓쳤다고 분석했다. 소외 효과는 관객이 극중 인물과 감정적으로 동화되는 것을 막고, 거리를 두어 비판적 사고를 하도록 유도하는 기법이다.[35] 브레히트 자신도 "1949년 (동베를린) 관객들은 어머니 쿠라주의 범죄, 그녀의 참여, 그녀의 전쟁 사업 이윤을 나누려는 욕망을 보지 못했다. 그들은 단지 그녀의 실패와 고통만 보았다"고 아쉬움을 토로한 바 있다.[35]
이러한 이유로 브레히트는 연출가들에게 억척어멈의 행동을 감상적으로 미화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묘사할 것을 강조했으며, 자신의 연출 의도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공연 기록을 상세히 담은 '모델 북'(Modellbuch)을 출판하기도 했다. 이는 후대의 연출가들이 브레히트의 연극 원칙에 따라 작품을 올릴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었다.
8. 한국적 맥락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희곡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은 30년 전쟁(1618-1648)이라는 유럽의 특정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하지만, 그 내용은 한국의 역사적 경험, 특히 6.25 전쟁이 남긴 깊은 상처와 공명하는 지점이 많다. 주인공 억척어멈은 세 자녀와 함께 포장마차를 끌고 전쟁터를 따라다니며 군부대를 상대로 장사하는 종군주보상인이다. 이는 6.25 전쟁 당시 폭격과 전투를 피해 피난길에 올라야 했고, 그 과정에서 가족을 잃거나 헤어지고 생존을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해야 했던 수많은 한국인들의 모습과 겹쳐 보인다.
억척어멈은 '전쟁은 사업이다'라는 신념으로 장사에 임하지만, 결국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세 자녀를 모두 잃고 자신 또한 빈털터리가 된다. 이는 전쟁이 개인의 삶과 가족 공동체를 얼마나 철저히 파괴하는지를 보여주는 비극적 서사이다. 한국 사회 역시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이산가족 문제, 오랜 기간 지속된 경제적 어려움 등 치유되지 않은 상처를 안고 있다. 이러한 한국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억척어멈의 이야기는 단순한 외국의 고전 희곡을 넘어, 전쟁의 참혹함과 그 속에서도 이어지는 인간의 생존 본능, 그리고 전쟁이 남긴 상흔을 되돌아보게 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마지막까지 돈을 벌겠다는 억척어멈의 집념은 전쟁의 비인간성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이 작품은 브레히트의 희곡 중 가장 많이 공연되는 작품 중 하나이며, 단행본으로도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어 한국 독자들에게도 깊은 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
참조
[1]
서적
Brecht Chronik
Suhrkamp Verlag
1998
[2]
간행물
Program Note for the New York Shakespeare Festival production of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New York Shakespeare Festival
2006-08
[3]
논문
Review of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2007-05
[4]
서적
Brecht Chronicle
Seabury Press
1975
[5]
기타
Introduction
Vintage Books
1972
[6]
웹사이트
Die Lebensbeschreibung der Erzbetrügerin und Landstörzerin Courasche
http://gutenberg.spi[...]
[7]
간행물
Program Note for N.Y.S.F. production of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New York Shakespeare Festival
2006-08
[8]
서적
Brecht on Theatre
[9]
서적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https://doi.org/10.1[...]
Macmillan Education UK
2024-07-15
[10]
학술지
Through the Minefield of Ideologies: Brecht and the Staging of Mutter Courage und ihre Kinder.
https://go.gale.com/[...]
1999-06-22
[11]
기타
Brecht, Collected Plays: Five (Life of Galileo,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Metheuen
1980
[12]
뉴스
Joan Littlewood's Revelations
https://slate.com/hu[...]
2024-07-15
[13]
웹사이트
'Mother Courage' at The Cleveland Play House
https://clevelandmem[...]
2024-07-16
[14]
웹사이트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http://bufvc.ac.uk/s[...]
2024-07-15
[15]
뉴스
Shout it from the Rooftops
1961-04
[16]
웹사이트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1963 production)
https://www.ibdb.com[...]
Internet Broadway Database
[17]
뉴스
"Larry King Live" – Interview With Gene Wilder.
http://transcripts.c[...]
2008-03-18
[18]
뉴스
An 'authentic' version of 'Mother Courage'?
Fairfax Media
1973-07-02
[19]
서적
American Theatre: A Chronicle of Comedy and Drama, 1969-2000
Oxford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http://www.iobdb.com[...]
2024-07-15
[21]
웹사이트
easydb.archive
https://archiv.adk.d[...]
[22]
학술지
Drama: The Quarterly Theatre Review
https://archive.org/[...]
1982
[23]
웹사이트
Mother Courage review by 'The Standard', Christopher Hudson
https://archive.org/[...]
[24]
웹사이트
Production of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https://theatricalia[...]
2024-07-15
[25]
뉴스
Mother Courage on the long road to Manchester – in pictures
http://www.theguardi[...]
2024-07-15
[26]
뉴스
Review: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https://variety.com/[...]
2016-11-23
[27]
웹사이트
Evening Standard theatre awards 1955-2002
https://www.standard[...]
2002-11-12
[28]
뉴스
Mother, Courage, Grief and Song
https://www.nytimes.[...]
2024-07-15
[29]
뉴스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https://www.theguard[...]
2024-07-15
[30]
뉴스
Aboriginal viewpoint gives two classic plays an intense colour
http://www.theaustra[...]
2013-05-18
[31]
웹사이트
Upcoming Events - BLUE RAINCOAT
https://www.bluerain[...]
2024-11-06
[32]
웹사이트
Cipe Lincovsky: la actriz que marcó una época
https://www.lanacion[...]
2024-07-19
[33]
웹사이트
Artscope
https://archives.dai[...]
2024-07-19
[34]
기타
Brecht on stage
https://www.worldcat[...]
BBC Two and Open University
1989
[35]
뉴스
Brecht's Mercenary Mother Courage Turns 75
https://www.thedaily[...]
2014-09-10
[36]
서적
Encyclopedia of Social Movement Media
SAGE Publications
[37]
뉴스
Lynn Nottage: a bar, a brothel and Brecht
https://www.theguard[...]
2010-04-26
[38]
뉴스
Lynn Nottage's 'Ruined' Adapts Brecht's 'Mother Courage and Her Children'
https://www.nytimes.[...]
2018-05-17
[39]
뉴스
The many moving parts of ''Mother Courage''
https://www.washingt[...]
2014-01-30
[40]
뉴스
仲代亡き妻遺影も登場 能登演劇堂ロングラン6回目
https://www.nikkansp[...]
2018-03-18
[41]
뉴스
札幌座の斎藤歩、「肝っ玉おっ母とその子どもたち」で“日本の今”に迫る
https://natalie.mu/s[...]
2018-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