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옹딘은 장 지로두가 프리드리히 드 라 모트 푸케의 소설 《운디네》를 바탕으로 쓴 희곡이다. 물의 정령 옹딘이 인간과의 사랑을 통해 영혼을 얻으려 하지만, 인간 사회의 관습과 배신으로 인해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옹딘, 기사 한스, 한스의 약혼녀 베르타 등이 있으며, 사랑과 배신, 인간과 자연의 갈등, 계급 갈등 등을 주제로 한다. 이 작품은 한국에서 극단 사계에 의해 여러 차례 공연되었으며, 다양한 각색 작품으로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희곡 -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은 30년 전쟁을 배경으로 억척어멈이 전쟁터에서 장사를 하며 세 자녀를 잃는 비극을 그린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희곡이다. - 프랑스의 희곡 - 고도를 기다리며
《고도를 기다리며》는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 두 인물이 고도를 기다리는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고독과 실존적 고뇌, 삶의 부조리함을 드러내는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이다. - 프랑스의 희곡 - 아버지 (희곡)
프랑스 작가 플로리앙 젤레르가 2012년 발표한 희곡 《아버지》는 치매를 앓는 앙드레의 시점에서 환자의 혼란스러운 심리와 가족의 어려움을 묘사하며, 몰리에르상, 로렌스 올리비에상, 토니상 등 여러 연극상을 수상하고 45개국 이상에서 공연되었다. - 소설을 바탕으로 한 작품 - 빌리 버드 (오페라)
빌리 버드는 1951년 런던에서 초연된 벤자민 브리튼의 오페라로, 허먼 멜빌의 소설을 바탕으로 1797년 영국 해군 군함을 배경 삼아 선과 악의 갈등을 다루며, 전원 남성 출연진으로 구성된다. - 소설을 바탕으로 한 작품 - 루덩의 악마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가 작곡한 3막 오페라 루덩의 악마는 17세기 프랑스 루덩에서 벌어진 위르뱅 그랑디에 신부의 악마 빙의 사건을 배경으로 종교적 광신, 정치적 음모, 인간 심리의 복잡성을 다룬다.
옹딘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Ondine |
작가 | 장 지로두 |
장르 | 희곡 |
창작 정보 | |
배경 | 중세 시대; 독일 |
초연 | 1939년 |
초연 장소 | 파리의 아테네 극장 |
원어 | 프랑스어 |
주제 | 물의 요정 옹딘이 인간 기사인 한스와 사랑에 빠져 결혼하는 이야기 |
한국어 번역 | |
번역가 | 내촌직야 (1957년) 이기마리 (2008년) |
2. 등장인물
- 옹딘: 물의 정령. 15세 소녀의 모습을 하고 있다.
- 기사 한스: 왕국의 기사이다.
- 수계의 왕[21]: 물의 세계를 다스리는 왕이자 옹딘의 삼촌이다. 제2막에서는 마술사로 변장한다.
- 오귀스트: 옹딘의 양아버지이자 어부이다.
- 유지니: 옹딘의 양어머니이자 오귀스트의 아내이다.
- 베르타: 후술할 왕의 양녀이다.
- 베르트람[22]: 왕궁의 귀족이다. 제2막에 등장하는 시인은 경우에 따라 베르트람과 동일 인물로 해석되기도 한다.
- 시종: 왕의 시종이다.
- 왕: 왕국의 왕이다.
- 왕비 이졸데: 왕국의 왕비이다.
- 늙은이
- 궁내 대신
- 극장장
- 물개 조련사
- 비올란테
- 안젤리크
- 하인
- 첫 번째 어부
- 첫 번째 판사
- 두 번째 판사
- 주방 시녀
3. 줄거리
숲 속 호숫가 오두막에 사는 어부 부부 오귀스트와 유지니는 물의 정령 옹딘을 딸처럼 키웠다.[1] 어느 날 밤, 기사 한스 폰 비텐슈타인 추 비텐슈타인이 옹딘과 사랑에 빠져 결혼을 약속한다.[1] 그러나 수계의 왕은 옹딘에게 한스가 배신하면 죽게 된다는 계약을 맺게 한다.[1]
왕궁에서 옹딘은 인간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한스의 약혼녀였던 베르타와 갈등을 겪는다. 극중극 구조를 통해, 환술사는 한스가 옹딘과의 결혼을 후회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옹딘은 자신이 물의 정령이며, 한스가 배신하면 죽는다는 계약을 맺었다는 사실을 밝힌다.[23] 환술사는 베르타가 어부 부부의 잃어버린 딸임을 밝히고, 베르타는 추방당했다가 옹딘의 설득으로 용서받는다. 한스는 옹딘과 베르타에게 함께 살 것을 제안한다.
5년 후, 한스는 베르타와 다시 가까워지고 옹딘은 사라진다.[3] 한스와 베르타의 결혼식 날, 옹딘은 재판을 받는다.[3] 옹딘은 한스를 살리기 위해 거짓 증언을 하지만, 결국 한스는 죽음을 맞이한다.[3] 옹딘은 인간 세상의 기억을 잃고 슬퍼하며 극이 끝난다.[3]
3. 1. 제1막: 만남
숲 속 호숫가 오두막에 사는 어부 부부 오귀스트와 유지니는 물의 정령 옹딘을 딸처럼 키운다.[1] 어느 날 밤, 폭풍우를 피해 오두막에 찾아온 기사 한스 폰 비텐슈타인 추 비텐슈타인은 옹딘의 아름다움과 순수함에 매혹되어 사랑에 빠진다.[1] 옹딘 역시 한스에게 맹목적인 사랑을 맹세하고, 둘은 결혼을 약속한다.[1]한스는 옹딘에게 송어 요리를 대접하려 하지만, 옹딘은 송어를 밖으로 던져 버리는 등 초자연적인 행동을 보인다. 오귀스트 부부는 한스에게 옹딘이 물의 정령이며, 친딸 대신 키우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다. 그럼에도 한스는 옹딘과의 결혼을 결심한다.[1]
그러나 수계의 왕은 옹딘에게 한스가 그녀를 배신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만약 배신하면 한스는 죽게 된다는 계약을 맺는다.[1]
3. 2. 제2막: 궁정
왕궁의 대강당에서 한스가 자신의 신부 옹딘을 소개하는 날, 영주 실장은 왕립 극장 감독, 물개 조련사, 그리고 환술사(사실은 옹딘의 왕)와 회의를 한다.[23] 옹딘과 한스의 결혼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옹딘은 인간 사회의 관습과 예절에 적응하지 못하고 갈등을 겪는다. 특히 한스의 약혼녀였던 베르타와 긴장 관계를 형성한다.극중극 구조를 통해, 환술사는 한스가 자신이 잘못된 여자와 결혼했다는 것을 깨닫는 장면을 보여준다. 베르타는 비텐슈타인 가족의 역사를 잘 알고, 류트를 연주하고, 시를 낭송하고, 필사본에 삽화를 그리는 등 완벽한 여자로 묘사된다. 반면 옹딘은 수영을 잘하는 것 외에는 궁정 생활에 기여하는 바가 없어 한스와의 갈등을 야기한다.
왕과의 만남에서 옹딘은 베르타가 한스를 빼앗으려 한다고 비난하며, 왕의 코에 있는 사마귀에 대해 언급하는 실수를 저지른다. 왕비 이졸데와의 대화를 통해 옹딘은 자신이 물의 정령이며, 한스가 자신을 배신하면 죽게 된다는 계약을 맺었다는 사실을 밝힌다.[23]
환술사는 마지막 장면에서 베르타가 사실 어부 오귀스트와 유지니의 잃어버린 딸임을 밝힌다. 베르타는 자신의 진짜 부모를 인정하지 않고, 왕은 그녀를 추방한다.[23] 옹딘의 설득으로 베르타는 용서를 받고, 한스는 옹딘과 베르타에게 자신의 성에서 함께 살 것을 제안한다.
3. 3. 제3막: 배신과 죽음
5년이 흘러 한스는 베르타와 다시 가까워졌고, 옹딘은 두 사람 앞에서 사라졌다.[3] 한스와 베르타의 결혼식 날 아침, 한스는 옹딘을 그리워하며 불안해한다.[3] 어부들에 의해 발견된 옹딘은 한스를 배신했다는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된다.[3] 옹딘은 한스를 살리기 위해 자신이 먼저 베르트람과 바람을 피웠다고 거짓 증언을 하지만, 수계의 왕과의 계약 때문에 결국 한스는 죽음을 맞이한다.[3] 옹딘은 인간 세상에 대한 기억을 잃고, 한스의 죽음을 슬퍼하며 극이 마무리된다.[3]4. 주제
중세 시대의 물의 요정[1]과 기사의 사랑 이야기로, 그들의 결합에서 비롯되는 어리석음을 다룬다.[2] 극작가는 매력적인 우화가 고전 비극의 엄격함과 어우러지는 연극적 판타지 속에서 이 비극적인 관계의 이야기를 전한다.
어떤 관점에서 보면 옹딘과 한스의 이야기는 계급 드라마이다. 모리스 발렌시는 "명문가의 젊은 남자가 자신의 계급에 속하는 여자와 약혼한다. 그는 갑자기 하위 계급의 금발 여성에게 반하게 되어 충동적으로 그녀와 결혼한다. 그러나 그녀는 그를 행복하게 해주지 못하고, 이러한 부적절한 결혼에서 흔히 나타나는 우여곡절을 겪은 후, 젊은 남자는 사회적으로 가장 용인되는 갈색 머리의 첫사랑으로 돌아간다. 그는 이제 곤경에 처한다. 금발 없이 살 수 없고, 갈색 머리는 그의 행복에 필수적이며, 이 두 가지 사랑에 찢겨 죽는다."라고 말한다.[3]
장 지로두는 이 이야기를 독일 낭만주의자 프리드리히 드 라 모트 푸케의 1811년 소설 ''운디네''를 바탕으로 했다. 인간의 모습으로 영혼을 얻고자 하는 물의 요정의 주제는 전형적인 동화이며, 켈트족 신화의 멜뤼진에서도 발견된다. 지로두는 ''옹딘''의 주제가 "인간과 자연의 결합, 자연 세계와 인간 왕국의 애정 행각"이라고 설명한다.[4] 이 이야기는 드 라 모트 푸케의 원작 소설과 상당히 유사하지만, "영혼을 얻기 위해 인간과 결혼하는 물 요정의 이야기가 아니라, 자연과 분리되고 엄격한 인간 영역에 갇혀 둔해진 인간의 비극이 된다."[5]
도로시 놀스는 "옹딘은 자연의 힘이자 사랑 그 자체이며, 한스의 비극은 옹딘이 가져다주는 자연의 계시만큼이나 그러한 사랑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라고 언급했다.[5]
로랑 르사주의 말에 따르면, "어떤 원소 정령도 아닌 그녀[옹딘]는 더 낫고 순수한 세계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인간이 삶을 낙원으로 바꾸는 그런 사랑을 꿈꾼다면, 그는 그 현실을 견딜 수 없다."고 덧붙이며, 마지막 장면이 "놀랍도록 감동적인 연인의 작별... 이 연극은 아름다운 사랑 시로 끝을 맺는다."라고 하였다.[6]
도널드 인스키프는 "''옹딘''에는 완전함, 완전히 완결된 성취감이 있으며, 청중과 배우 모두를 사로잡는 부드럽지만 만연한 우울함이 동반되어 이 연극을 특별한 범주에 넣는다... 순진함과 매우 세련됨이 여기에서 인간 경험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청중을 완전히 초월하게 할 정도로 혼합되어 있다."라고 썼다.[7] 드라마 역사학자 필립 조지 힐은 1954년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을 "매우 아름다운 작품"이라고 칭했다.[8]
"지라도의 대사는 모리스 발렌시에 의해 상상력이 풍부하게 각색되어 낭만적인 보석처럼 빛나며... 이국적인 언어적 덩어리...를 보여준다." (밀턴 슐먼, ''이브닝 스탠다드'', 1961년 1월 13일)[12]
"지라도의 서정적인 통찰력과 애가조의 어구로 그의 희곡은 서사시와 헨리 제임스 소설의 조합처럼 읽힌다. 등장인물과 상황은 과장되고, 신화적이며, 성경적이고, 정경적이지만, 텍스트는 혼란스러운 심리적 통찰력을 담고 있다." (2004년 리뷰에서 줄리아 조나스)[2]
"충동적이고, 솔직하며, 경이로움으로 가득 찬 온딘은 물과 공기의 존재로, 밤에 폭풍을 타고, 즉흥적으로 작은 마법의 묘기를 부린다... 거의 3시간 동안 순수한 마법과 철학을 선사한다." (1993년 리뷰에서 실비 드레이크)[9]
5. 한국에서의 수용
극단 사계는 1958년 《옹딘》을 한국 초연한 이후 이 작품을 주요 레퍼토리로 삼아 여러 차례 재공연했다.[34][35] 아사리 케이타 연출의 《옹딘》은 한국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으며, 특히 2003년 자유극장 개관 기념 공연으로 상연되기도 했다.[35][36] 2022년에는 호시다 료코 연출, 나카무라 요네키치 주연의 《옹딘》이 상연되어 화제를 모았다.[38][39]
6. 각색
- 요시하라 사치코의 시집 《옹딘》은 이야기 속 옹딘에게 말을 거는 듯한 문체로 쓰여졌다. 이후 키노시타 마키코가 이 시를 사용한 합창곡을 제작했다.
- 테즈카 오사무의 만화 《무지개 잉꼬》 20화 "옹딘"은 물의 정령 옹딘을 자칭하는 소녀와 주인공 배우 무지개 잉꼬의 대화를 그린 에피소드다. 작품 내에서 본작의 내용에 언급하는 장면도 있다.
- 쿠라모토 소의 희곡 《옹딘을 찾아서》는 한때 같은 극단에 소속되었던 두 여배우가 무대 "옹딘"의 주역 오디션 장소에서 오랜만에 재회하여 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그려진다. 전 1막.
7. 원작과의 차이점
지로두의 희곡 《옹딘》은 푸케의 소설 《운디네》를 바탕으로 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소설 속 웅디네는 결혼 후 인간의 영혼을 얻고 성격이 변하지만, 희곡 속 옹딘은 처음부터 끝까지 순수함을 유지한다.[26][27] 희곡은 비극적인 이야기 속에 웃음과 풍자, 패러디를 삽입하여 비극과 희극이 교차하는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한다.[25] 지로두는 등장인물 옹딘의 모습에 배우 마들렌 오제레이Madeleine Ozeray|마들렌 오제레이영어의 개성을 투영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매력적인 캐릭터를 창조했다.[28]
참조
[1]
문서
variously called a [[Naiad]], an [[Ondine (mythology)|Ondine]], or a [[Neck (water spirit)|Nix]]
[2]
웹사이트
Ondine reviewed by Julia Jonas
http://www.offoffonl[...]
2010-08-26
[3]
서적
Four Plays
Hill and Wang, Inc.
[4]
서적
Giraudoux, Three Faces of Destin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
서적
French Drama of the Inter-War Years, 1918-39
Barnes & Noble, Inc.
[6]
서적
Jean Giraudoux, His Life and Work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7]
서적
Jean Giraudoux, The Making of a Dramatist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Our Dramatic Heritage: Expressing the inexpressible
Fairleigh Dickinson
[9]
뉴스
A Fearless, Massive 'Ondine' Enchants Despite Complexity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93-08-18
[10]
서적
20th Century French Drama
Columbia University Press
[11]
서적
Jean Giraudoux, The Making of a Dramatist
Oxfo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Sam Shammas productions
http://www.samshamma[...]
2010-08-20
[13]
뉴스
Rostislav Doboujinsky
https://www.lemonde.[...]
2000-06-28
[14]
서적
Plays: Amphitryon. Intermezzo. Ondin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Ondine by Jean Giraudoux in a new translation by Dan O'Brien
http://people.umass.[...]
[16]
웹사이트
Internet Broadway Database
http://www.ibdb.com/[...]
2010-08-20
[17]
웹사이트
Tony Award Winning Actresses
http://broadwayworld[...]
2021-09-13
[18]
웹사이트
"Ondine: Production by the UMass Amherst Arts Council"
http://www.umass.edu[...]
2016-03-19
[19]
웹사이트
"Ondine At Sutro, 2015"
http://www.weplayers[...]
2021-09-13
[20]
웹사이트
Ondine
https://data.bnf.fr/[...]
BnF
2023-01-04
[21]
문서
[[二木麻里]]訳版では「水の精の王」。
[22]
문서
[[二木麻里]]訳版では「ベルトラン」。
[23]
문서
第2幕の冒頭で、王立劇場の監督が侍従に『サランボー』の劇を提案するものの、悲恋の物語であるため儀式にふさわしくないとして却下されるというくだりがある。
[24]
서적
オンディーヌ
光文社古典新訳文庫
[25]
서적
オンディーヌ
光文社古典新訳文庫
[26]
서적
オンディーヌ
光文社古典新訳文庫
[27]
서적
オンディーヌ
光文社古典新訳文庫
[28]
서적
オンディーヌ
光文社古典新訳文庫
[29]
웹사이트
Ondine - Broadway Play - Original
https://www.ibdb.com[...]
Internet Broadway Database
2023-01-04
[30]
웹사이트
New York Drama Critics' Circle Awards
https://www.infoplea[...]
Infoplease
2023-01-04
[31]
웹사이트
Winners / 1954
https://www.tonyawar[...]
Tony Awards
2023-01-04
[32]
웹사이트
Mel Ferrer - Broadway Cast & Staff
https://www.ibdb.com[...]
Internet Broadway Database
2023-01-04
[33]
웹사이트
Happy Birthday オードリー・ヘプバーン。心に響く5つの言葉。
https://www.vogue.co[...]
Vogue Japan
2018-05-04
[34]
웹사이트
劇団四季60年の上演作品 1958年
https://www.shiki.jp[...]
劇団四季
2023-01-04
[35]
웹사이트
浅利慶太氏、独立舞台公開「演出だけやりたかった」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5-04-08
[36]
웹사이트
【更新】浅利慶太プロデュース公演・第一弾『オンディーヌ』 いよいよ発売開始!
https://www.shiki.jp[...]
劇団四季
2015-04-01
[37]
웹사이트
沿革
[38]
웹사이트
「オンディーヌ」主演の中村米吉、ビジュアルの反響を明かす「グループLINEが動いた」
https://natalie.mu/s[...]
ステージナタリー
2022-10-29
[39]
웹사이트
中村米吉、宇野結也ほか出演 舞台『オンディーヌ』が愛知にて開幕 舞台写真&キャストコメント公開
https://spice.eplus.[...]
SPICE
2022-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