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정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엄정주는 일제강점기 강원도 영월군 출신으로 일본대학 경제과를 졸업했다. 영월경찰서 서장, 한국광업진흥주식회사 부참사, 신신약품 주식회사 지배인을 거쳐 제6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강원 제5지구당 위원장, 중앙상임위원, 대한광업진흥공사 부사장, 한국포도당 사장, 대한민국 헌정회 서화위원장을 역임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월군 출신 - 장기영 (1903년)
장기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제헌 국회의원, 외무부 차관보, 체신부 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측근으로 활동하다 결별 후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 영월군 출신 - 장승태
장승태는 일제강점기 강원도 영월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제7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4선 의원, 체신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97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 대한민국의 경찰 - 정석모
경찰 출신 행정가이자 정치인인 정석모는 치안국장, 도지사, 차관, 6선 국회의원, 내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충청권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고, 정계 은퇴 후에는 건양대학교 이사장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경찰 -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은 1986년 부천경찰서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권인숙이 성고문을 당하고 문귀동 형사를 고소했으나 공안 당국의 은폐 시도와 불공정한 재판 끝에 문귀동에게 징역 5년이 선고되었으며, 군사독재 정권의 인권 유린과 여성 인권, 언론 자유에 대한 논의를 촉발한 사건이다. - 영월 엄씨 - 엄현경
엄현경은 2005년 '레인보우 로망스'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드라마 '두 번째 남편'을 통해 만난 차서원과 결혼하여 슬하에 아들을 두고 있으며, 드라마와 예능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KBS와 MBC 연기대상에서 수상하였다. - 영월 엄씨 - 엄기영
엄기영은 MBC 기자, 앵커, 사장을 역임하며 대중적 신뢰를 얻었으나, 정치 입문 후 낙선했고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한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다.
엄정주 | |
---|---|
기본 정보 | |
한자 표기 | 嚴廷柱 |
출생 | 1900년 10월 25일 |
사망 | 1950년 9월 28일 (향년 49세) |
본관 | 영월(寧越) |
배우자 | 정부인 연일 정씨 |
가족 관계 | |
부 | 엄주찬(嚴柱瓚) |
모 | 숙부인 밀양 박씨(淑夫人 密陽 朴氏) |
형제자매 | 3남 2녀 중 막내 |
자녀 | 3남 |
주요 경력 | |
직업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
주요 활동 | 제헌 국회의원 민주국민당 중앙집행위원 |
2. 학력
日本大学 경제학부를 졸업했다.
엄정주는 일제강점기 강원도 영월군 출신으로, 일본 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했다. 영월경찰서 서장[2], 한국광업진흥주식회사 부참사, 신신약품 주식회사 지배인, 민주공화당 강원 제5지구당 위원장·중앙상임위원을 역임했다.[2] 1963년 제6대 총선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3][4] 이후 대한광업진흥공사 부사장, 한국포도당 사장, 대한민국 헌정회 서화위원장 등을 역임했다.[3][4]
3. 경력
3. 1. 경찰 경력
일본 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1949년 6월 12일부터 1950년 3월 9일까지 영월경찰서 서장을 역임했다.[2]
3. 2. 기업 경력
3. 3. 정치 경력
민주공화당 강원 제5지구당 위원장 및 중앙상임위원을 역임했다.[2]
1963년 제6대 총선에서 영월·정선 선거구에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 제6대 국회의원을 1기 역임했다.[3][4]
3. 4. 기타 경력
4. 생애
엄정주는 일제강점기 강원도 영월군 출신으로, 일본 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했다. 해방 후 영월경찰서 서장(1949년 6월 12일 ~ 1950년 3월 9일)[2]을 지냈고, 한국광업진흥주식회사 부참사, 신신약품 주식회사 지배인을 역임했다. 민주공화당 강원 제5지구당 위원장과 중앙상임위원을 역임했으며, 1963년 제6대 총선에서 영월·정선 선거구에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이후 대한광업진흥공사 부사장, 한국포도당 사장, 대한민국 헌정회 서화위원장 등을 역임했다[3][4]。
4. 1. 초기 생애 및 교육
日本大学|니혼대학일본어 경제학부를 졸업했다.[2] 일제강점기 강원도 영월군 출신이다.4. 2. 사망
엄정주는 2000년 4월 8일 서울대 병원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81세였다.[4][5] 영월군 주천면 신일리에는 공덕비가 있다.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50년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민주국민당 | 11,800표 (31.19%) | 3위 | 낙선 | |
1954년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자유당 | 10,947표 (28.87%) | 2위 | 낙선 | |
1960년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무소속 | 11,988표 (27.77%) | 2위 | 낙선 | |
1963년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민주공화당 | 23,313표 (38.56%) | 1위 | 당선 | 초선 |
참조
[1]
웹사이트
(69)영월 엄씨(寧越嚴氏)-124,697명
http://www.seoulecon[...]
2024-03-04
[2]
웹사이트
영월경찰서>역대서장
https://www.gwpolice[...]
2024-03-04
[3]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4-03-04
[4]
웹사이트
[부음] 엄정주 제6대 국회의원 별세 .. 향년 81세
https://www.hankyung[...]
2024-03-04
[5]
웹사이트
[부음]엄정주 前국회의원 별세
https://www.donga.co[...]
2024-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