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원도 (일제강점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원도 (일제강점기)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강원도의 역사, 인구, 행정 구역, 역대 도지사, 사법, 경찰, 세무, 기상, 교통, 광업, 신사, 기업, 미디어, 출신 유명인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1925년부터 1944년까지 인구가 증가했으며, 1945년 당시 20개 군, 7개 읍, 185개 면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철도 노선으로는 경원선, 동해선, 경춘선 등이 있었으며, 춘천세무서, 강릉 측후소 등이 설치되었다. 강원도에는 여러 광산과 신사가 있었으며, 금강산전기철도와 강원식산과 같은 기업이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도의 역사 - 백담사
    백담사는 647년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이름 변경과 소실 및 재건을 거쳐 1783년 현재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내설악의 대표 사찰이자 만해 한용운의 저술 활동 장소,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은둔 생활 장소로 알려져 있고,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기본선원이자 목조아미타불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강원도의 역사 - 함경남도 (일제강점기)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강점기 함경남도는 조선총독부의 지배 아래 경제 수탈과 자원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해방 후 소련군정 관할을 거쳐 한국 전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토가 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전라북도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제국의 지배 아래 놓인 전라북도 지역으로, 조선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일본인이 소수를 이루었으며, 부, 군, 면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과 전주지방법원, 전주형무소 등의 사법 및 치안 기관, 그리고 전주지방전매국, 군산세무서 등의 경제 기관이 설치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활동과 철도, 도로, 항만을 중심으로 교통이 발달하고 일본어 신문과 라디오 방송국이 운영되었으며,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전주신사를 비롯한 여러 신사가 설치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도 - 경상남도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경상남도는 인구가 증가하고 농림수산업, 광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으며, 철도와 항만이 주요 교통 시설로 이용되었고, 부산, 마산 등지에 신사가 있었으며, 조선방송협회 방송국이 운영되었다.
강원도 (일제강점기)
지도
강원도 (1945년 8월 15일)
강원도 (1945년 8월 15일)
일반 정보
행정 구역 명칭강원도
로마자 표기Gangwon-do
매큔-라이샤워 표기법Kangwŏn-do
한글 표기강원도
한자 표기江原道
약칭없음
국가j
상위 행정 구역없음
하위 행정 구역없음
통계
통계 연도없음
면적없음
총 인구없음
남자 인구없음
여자 인구없음
인구 밀도없음
세대수없음
상징
도목(道木)없음
도화(道花)없음
도조(道鳥)없음
기타
ISO 3166-2없음
행정 구역 분류 코드없음
공식 웹사이트없음

2. 역사

2. 1. 일제강점기 이전

2. 2. 일제강점기 강원도

2. 3. 3.1 운동과 강원도

2. 4. 해방과 분단

3. 인구

1925년부터 1944년까지 강원도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인구비고
1925년1,332,352명
1930년1,487,715명
1935년1,605,274명
1940년1,764,649명
1944년1,858,230명



194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 1,858,230명 중 조선인은 1,837,807명, 일본인은 19,386명, 그 외의 민족은 1,037명이었다. 1936년 현주 호구 조사에서는 총 인구 1,529,071명 중 내지인 15,019명, 조선인 1,513,276명, 기타 776명이었다.

4. 행정 구역

1945년 당시 강원도는 20개 군(郡), 7개 읍(邑), 185개 면(面)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춘천군 : 춘천읍, 신동면, 동면, 동산면, 남면, 서면, 사내면, 사북면, 신북면, 북산면
  • 인제군 : 인제면, 남면, 북면, 기린면, 서화면, 내면
  • 양구군 : 양구면, 북면, 남면, 방산면, 해안면, 동면, 수입면
  • 회양군 : 회양면, 상북면, 하북면, 난곡면, 사동면, 안풍면, 내금강면
  • 통천군 : 고저읍, 통천면, 송전면, 학일면, 흡곡면, 벽양면, 임남면
  • 고성군 : 고성읍, 장전읍, 간성면, 거진면, 현내면, 수동면, 외금강면, 서면
  • 양양군 : 속초읍, 양양면, 강현면, 토성면, 죽왕면, 서면,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 강릉군 : 강릉읍, 주문진읍, 묵호읍, 성산면, 경포면, 사천면, 연곡면, 성덕면, 강동면, 구정면, 왕산면, 옥계면
  • 삼척군 : 삼척읍, 북평읍, 근덕면, 원덕면, 상장면, 하장면, 소달면, 노곡면, 미로면
  • 울진군 : 울진면, 북면, 서면, 근남면, 원남면, 기성면, 평해면, 온정면
  • 정선군 : 정선면, 동면, 남면, 북면, 임계면, 신동면
  • 평창군 : 평창면, 미탄면, 방림면, 대화면, 봉평면, 진부면, 도암면
  • 영월군 : 영월면, 하동면, 상동면, 북면, 서면, 남면, 주천면, 수주면
  • 원주군 : 원주읍, 소초면, 호저면, 지정면, 문막면, 부론면, 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 횡성군 : 횡성면, 우천면, 안흥면, 둔내면, 갑천면, 청일면, 공근면, 서원면
  • 홍천군 : 홍천면, 화촌면, 두촌면, 내촌면, 서석면, 동면, 남면, 서면, 북방면
  • 화천군 : 화천면, 간동면, 하남면, 상서면
  • 김화군 : 김화읍, 근남면, 서면, 근동면, 근북면, 원동면, 원남면, 임남면, 금성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
  • 철원군 : 철원읍, 동송면, 갈말면, 어운면, 묘장면, 신서면, 인목면, 북면, 내문면, 마장면
  • 평강군 : 평강읍, 남면, 현내면, 서면, 목전면, 유진면, 세포면
  • 이천군 : 이천면, 용포면, 동면, 안협면, 서면, 학봉면, 산내면, 낙양면, 판교면, 방장면, 웅탄면

5. 역대 도지사

1910년 10월 1일부터 1945년 8월 15일 광복까지 강원도 도지사(1919년 8월 이전에는 도 장관)를 역임한 인물들의 명단이다. 조선인 도지사와 내지인(일본인) 도지사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호적이름한자 표기취임퇴임비고
조선인이규완李圭完1910년 10월 1일1918년 9월 23일강원도 장관
조선인원응상元應常1918년 9월 23일1921년 8월 5일장관, 1919년 8월부터 강원도지사
조선인신석린申錫麟1921년 8월 5일1923년 2월 26일
조선인윤갑병尹甲炳1923년 2월 26일1924년 12월 1일
조선인박영철朴榮喆1924년 12월 1일1926년 8월 14일
조선인박상준朴相駿1926년 8월 14일1927년 5월 18일
조선인유성준兪星濬1927년 5월 18일1929년 11월 28일
조선인이범익李範益1929년 11월 28일1935년 4월 1일
조선인손영목孫永穆1935년 4월 1일1937년 4월 1일
조선인김시권金時權1937년 4월 1일1939년 5월 17일
조선인윤태빈尹泰彬1939년 5월 17일1940년 9월 2일
내지인다카오 진조다카오 진조/高尾 甚造일본어1940년 9월 2일1941년 11월 19일
내지인야규 시게오야규 시게오/柳生 繁雄일본어1941년 11월 19일1943년 12월 1일
조선인나카하라 고준나카하라 고준/中原 鴻洵일본어1943년 12월 1일1945년 6월 16일유홍순(劉鴻洵)에서 개명
조선인손영목孫永穆1945년 6월 16일1945년 8월 15일광복


6. 사법

1941년 당시 강원도에는 경성지방법원 춘천지청, 철원지청, 원주지청이 있었다.

7. 경찰

1927년 당시 강원도 경찰부는 춘천경찰서를 비롯한 21개 경찰서로 구성되어 있었다. 1915년 당시에는 헌병경찰제도에 따라 춘천 헌병대와 산하 10개 헌병 분대가 강원도 지역을 관할하였다.

1927년 강원도 경찰부 및 경찰서
경찰부 및 경찰서
강원도 경찰부
춘천경찰서, 인제경찰서, 양구경찰서, 회양경찰서, 통천경찰서, 고성경찰서, 양양경찰서, 강릉경찰서, 삼척경찰서, 울진경찰서, 정선경찰서, 평창경찰서, 영월경찰서, 원주경찰서, 횡성경찰서, 홍천경찰서, 화천경찰서, 김화경찰서, 철원경찰서, 평강경찰서, 이천경찰서, 김성경찰서



1915년 강원도 헌병대 및 헌병 분대
헌병대 및 헌병 분대
춘천 헌병대
춘천 헌병 분대, 원주 헌병 분대, 영월 헌병 분대, 울진 헌병 분대, 삼척 헌병 분대, 인제 헌병 분대, 간성 헌병 분대, 화천 헌병 분대, 김화 헌병 분대, 철원 헌병 분대


8. 세무

1941년 당시 춘천세무서가 있었다.

9. 기상

1942년 당시 강릉 측후소가 있었다.

10. 교통

10. 1. 철도

1945년 당시 강원도에는 다음과 같은 철도 노선이 있었다.

10. 2. 도로

1927년 당시 강원도에는 다음과 같은 도로들이 있었다.

  • 1등 도로:
  • * 경성원산선
  • * 경주양양선
  • * 금화충주선
  • * 금화남천점선
  • * 통천신안역선
  • * 금화고성선

  • 2등 도로:
  • * 충주강릉선
  • * 영천울진선
  • * 경성오리진선
  • * 경성강릉선
  • * 원산양양선

10. 3. 항만

1931년 당시 강원도에는 고저항, 장전항, 주문진항, 정라항, 봉수항, 거진항, 속초항, 대포항, 묵호항, 죽변항, 후포항이 있었다.

11. 광업

강원도에는 여러 광산이 있었다. 수출금광산, 천포금광산, 정곡(세이코)금광산, 중천창도광산, 금강광산, 삼화철산 등이 있었다. 정곡금광산과 삼화철산은 시카와 광업이 광업권을 소유하고 개발을 진행한 광산이다. 시카와 광업의 사주는 훗날 마지막 시세 조종사로 불리는 시카와 긴조였다.

12. 신사

일제강점기 강원도에는 강원 신사, 강릉 신사, 철원 신사, 원주 신사, 인제 신사 등이 있었다.

13. 기업

1940년 당시 강원도에 본사를 둔 자본금 50만 원 이상 기업은 다음과 같다.


  • 금강산전기철도
  • 강원식산

14. 미디어

14. 1. 라디오 방송국

1945년 8월 당시 조선방송협회 춘천방송국(호출 부호: JBMK), 조선방송협회 강릉방송국(호출 부호: JBRK), 조선방송협회 장전 보조 방송소가 있었다.

15. 출신 유명인


  • 장성택: 북한의 정치인이다.
  • 김영춘(金英春): 북한의 정치인, 군인이다.
  • 정주영: 통천군 출신으로, 현대그룹을 창업하여 한국 경제 발전에 큰 기여를 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 이효석: 소설가이다.

16.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