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마뉘엘 카레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마뉘엘 카레르는 1958년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작가이자 영화감독이다. 파리 정치대학을 졸업하고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며 영화 평론과 소설을 집필했다. 1986년 소설 《콧수염》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나는 살아 있고 너는 죽었다: 필립 K. 딕의 정신 속으로의 여행》, 《겨울 아이》, 《적》, 《러시아 소설》, 《리모노프》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칸 영화제, 베니스 국제 영화제 심사위원을 역임했으며, 르노도 상, 페미나 상, 스트레가 유럽 문학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2. 생애

에마뉘엘 카레르는 1958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러시아사를 전공한 프랑스의 정치역사학자이자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인 헬렌 카레르 드카소세이다.

파리 정치대학을 졸업한 후 2년간 인도네시아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쳤으며, 1981년부터 1986년까지 프랑스 잡지 ''텔레라마''의 저널리스트로 활동했다. 1980년대부터 영화 평론과 소설 집필을 시작했으며, 필립 K. 딕(1993년)과 에두아르드 리모노프(2011년)에 대한 전기를 출판하며 주목받았다.

영화계에서도 활동하여 칸 영화제(2010년)와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2015년)에서 심사위원을 맡았다. 2016년에는 교토의 빌라 큐조야마에 초청되어 머물렀다.

2. 1. 가족

그는 1958년 파리에서 루이 카레르 디카소세(Louis Carrère d'Encausse)와 헬렌 카레르 드카소세(Hélène Carrère d'Encausse)의 아들로 태어났다. 파리 16구의 부유한 가정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 루이 카레르 데캉스는 은퇴한 보험 임원이었으며, 가문의 원래 성은 카레르였으나 어머니의 성인 데캉스를 추가했다. 그의 어머니인 엘렌 카레르 데캉스(본명: 엘렌 주라비슈빌리)는 조지아 이민자의 딸로, 러시아사를 전공한 프랑스의 저명한 정치역사학자이다. 그녀는 프랑스 학사원(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 겸 종신 서기였으며, 전 유럽 의회 의원이었다.[1] 또한 조지아 대통령 살로메 주라비슈빌리의 사촌이기도 하다.[2]

카레르에게는 두 명의 누이가 있다. 변호사인 나탈리와 의사이자 TV 진행자 겸 소설가인 마리나이다.[3] 그는 작곡가 니콜라 주라비슈빌리의 조카이며, 철학자 프랑수아 주라비슈빌리의 사촌이다.[2]

카레르는 두 번 결혼했으며, 딸 하나와 아들 둘을 두고 있다.[4]

2. 2. 학업

카레르는 장송 드 세이이 고등학교와 파리 정치대학에서 공부했다.[4]

2. 3. 경력

파리 정치대학(Sciences Po)에서 공부했다.[4] 군 복무 대신 2년 동안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쳤으며, 이후 잡지 ''텔레라마''와 ''포지티프''의 영화 평론가로 활동했다.[4] 특히 ''텔레라마''에서는 1981년부터 1986년까지 저널리스트로 일했다.

1980년대부터 영화 평론과 소설 집필을 시작했다. 1982년에는 영화 감독 베르너 헤어조크에 관한 단행본을 출판했고,[4] 이듬해 인도네시아 경험을 바탕으로 한 첫 소설 L'amie du jaguar|라미 뒤 자과르프랑스어를 발표했다.[4] 1984년에는 메리 셸리, 퍼시 비시 셸리, 바이런 경, 존 윌리엄 폴리도리와 그들의 1816년 제네바 호수 체류기를 다룬 두 번째 소설 ''Bravoure''를 출판했다. 이 두 초기 소설은 각각 1984년 픽스 파시옹(Prix Passion프랑스어)과 1985년 보카시옹 문학상(Prix littéraire de la Vocation프랑스어)을 수상했다.

1986년에 출판된 세 번째 소설 ''수염''(La Moustache프랑스어)은 더 많은 독자에게 카레르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이 소설을 직접 각색하고 감독하여 동명의 영화를 만들었고, 이 영화는 2005년 칸 영화제에서 라벨 유로파 시네마(Label Europa Cinemas프랑스어) 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대체 역사를 다룬 에세이 ''Le Détroit de Behring: Introduction à l'uchronie|르 데트루아 드 베링: 인트로덕션 아 루크로니프랑스어''도 출간했다. 1988년에는 소설 ''Hors d'atteinte?|호르 다르테인트?프랑스어''를 출판했다.

1993년에는 미국의 SF 작가 필립 K. 딕의 전기 소설 ''나는 살아 있고 너는 죽었다''(Je suis vivant et vous êtes morts프랑스어)를 썼다. 1995년에는 프리 페미나(Prix Femina) 상을 수상하고 클로드 밀러 감독이 영화로 각색한 소설 ''클래스 여행''(La Classe de neige프랑스어)을 출판했다.[4]

''클래스 여행'' 이후, 살인자 장클로드 로망 사건에 관심을 가져 그와 편지를 주고받고 재판에 참석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2000년 ''적''(L'Adversaire프랑스어)을 출판했다. 이 책은 프랑스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23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니콜 가르시아 감독에 의해 동명의 영화로 만들어졌다.[4]

2007년에는 러시아 방문과 자신의 러시아계 뿌리를 다룬 책 ''러시아 소설''(Un roman russe프랑스어)을 출판했다.[5] 2009년에는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당시 스리랑카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나의 다른 삶''(D'autres vies que la mienne프랑스어)을 출간했다. 2011년에는 러시아 작가이자 정치적 반체제 인사인 에두아르드 리모노프에 대한 전기 소설 ''리모노프''(Limonov프랑스어)를 발표했다.[6]

2014년에는 초기 기독교의 부상을 다룬 소설 ''왕국''(Le Royaume프랑스어)을 출판했다.[7] 이 책은 미국 스테우벤빌 프란체스코 대학교에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8] 2016년에는 자신의 저널리즘 글들을 모은 ''Il est avantageux d'avoir où aller|일 에 아방타죄 다부아르 우 알레프랑스어''를 출간했다. 이 책의 영문판 ''97,196 Words: Essays''에는 2017년 가디언지에 실린 에마뉘엘 마크롱에 대한 기사 등이 포함되었다.[9] 2020년에는 우울증 경험과 생탄 병원에서의 치료 과정을 다룬 ''요가''(Yoga프랑스어)를 썼다.[10][11]

2021년 9월부터 2022년 6월까지 2015년 파리 테러 재판을 취재하며 프랑스의 ''L'Obs'', 스페인의 ''엘 파이스'', 이탈리아의 ''라 레푸블리카'', 스위스의 ''르 탕'' 등에 주간 기사를 연재했다.[12] 이 기사들을 모아 2022년 9월 ''V13''이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판했고,[13] 이 책으로 2022년 Prix Aujourd'hui|프리 오주르뒤프랑스어를 수상했다.[14]

카레르는 영화계에서도 활동하여 2010년 칸 영화제 국제 심사위원,[15] 2012년 칸 영화제 시네파운데이션 및 단편 영화 부문 심사위원,[16] 그리고 알폰소 쿠아론이 위원장이었던 제7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주요 경쟁 부문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2016년에는 교토의 빌라 큐조야마에 초청되어 머물렀다.

3. 작품 세계

카레르는 군 복무 대신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에서 2년간 프랑스어를 가르쳤고, 이 경험은 1983년 첫 소설 L'amie du jaguar프랑스어의 바탕이 되었다.[4] 이후 잡지 ''텔레라마''와 ''포지티프''에서 영화 평론가로 활동했으며,[4] 1982년에는 영화 감독 베르너 헤어조크에 관한 단행본을 출판했다. 1984년에는 메리 셸리, 퍼시 비시 셸리, 바이런 경, 존 윌리엄 폴리도리의 1816년 제네바 호수 체류를 다룬 두 번째 소설 ''Bravoure''를 발표했다. 초기 두 소설 모두 문학상을 수상했지만(각각 1984년 픽스 파시옹, 1985년 픽 리테레르 드 라 보카시옹), 그를 대중에게 알린 것은 1986년 발표한 세 번째 소설 ''콧수염(The Moustache)''이었다. 이 작품은 몽상과 현실을 교묘하게 교차시키는 독특한 스타일로 주목받았으며, 존 업다이크는 "멋지고, 번득이며, 냉혹한 작품"이라고 평했고, 르 몽드는 그를 "문학의 천재"라 칭했다. 카레르는 이 소설을 직접 각색하여 2005년 동명의 영화 ''수염''을 연출했고, 이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라벨 유로파 시네마' 상을 받았다. 같은 해(1986년) 대체 역사를 탐구하는 에세이 Le Détroit de Behring: Introduction à l'uchronie프랑스어도 출간했다. 1988년에는 소설 Hors d'atteinte?프랑스어를, 1993년에는 SF 작가 필립 K. 딕의 전기 소설 ''Je suis vivant et vous êtes morts''를 출판했다.

1995년 발표한 소설 ''겨울 아이(Class Trip)''는 프랑스 3대 문학상 중 하나인 페미나상을 수상하며 카레르를 세계적인 작가 반열에 올렸다.[4] 아이가 어른의 세계에 발을 들일 때 겪는 과정을 그린 이 작품은 "프랑스를 대표하는 젊은 작가"라는 극찬을 받았고, 클로드 밀러 감독에 의해 동명의 영화로 제작되어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

''겨울 아이'' 이후 카레르는 실존 인물인 살인자 장클로드 로망의 사건에 주목했다. 그는 로망과 편지를 주고받고 재판에 참석하는 등 사건을 깊이 파고들었다. 그 결과물인 2000년 작 ''적(L'Adversaire)''은 프랑스에서 베스트셀러가 되고 23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니콜 가르시아 감독이 동명의 영화로 만들었다.[4] 이 작품은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탐구하는 카레르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2007년에는 러시아 방문 경험과 자신의 러시아계 뿌리를 탐구한 ''러시아 소설''을 출간했다. 이 책에서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통역사로 일하다 1944년 실종되었고, 아마도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의해 살해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외할아버지의 이야기를 밝혔다.[5]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당시 스리랑카에 머물렀던 경험은 2009년 작 ''나 아닌 다른 삶''의 집필로 이어졌다. 이 작품은 평범한 이웃의 비극을 통해 타자의 삶을 조명하며 작가적 에고를 내려놓고 문학의 새로운 역할을 모색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르 몽드, 르 피가로, 리베라시옹 등 프랑스 주요 언론의 호평 속에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후에도 카레르는 논픽션과 픽션의 경계를 넘나들며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2011년에는 러시아 작가이자 정치적 반체제 인사인 에두아르드 리모노프의 전기 소설 ''리모노프''를,[6] 2014년에는 초기 기독교의 부상을 다룬 ''왕국(Le Royaume)''을 발표했다.[7] ''왕국''은 미국 스테우벤빌 프란체스코 대학교에서 논란을 일으켜, 해당 도서를 교과 과정에 포함시킨 영어 학과장이 해임되는 사건이 있었다.[8] 2016년에는 자신의 저널리즘 글들을 모은 Il est avantageux d'avoir où aller프랑스어를 출간했다. 2019년 영어판은 ''97,196 단어: 에세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으며, 2017년 가디언지에 실린 에마뉘엘 마크롱에 대한 기사도 포함되었다.[9]

2020년 출간된 ''요가''에서는 자신의 우울증 투병 경험과 파리 생탄 병원에서의 4개월간의 입원 치료 과정, 양극성 II 장애 진단, 케타민, 전기 충격 요법, 리튬 치료 등을 솔직하게 고백했다.[10][11] 2021년 9월부터 2022년 6월까지는 2015년 파리 테러 재판을 취재하며 프랑스의 ''L'Obs'', 스페인의 ''엘 파이스'', 이탈리아의 ''라 레푸블리카'', 스위스의 ''르 탕''에 주간 기사를 연재했다.[12] 이 기사들을 추가 자료와 함께 묶어 2022년 9월 ''V13''이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판했다(프랑스에서는 테러 발생일이 13일의 금요일이었기 때문에 재판을 V13이라 칭한다).[13] 이 책으로 2022년 '프리 오주르뒤(Prix Aujourd'hui)'를 수상했다.[14]

카레르는 '눈속임의 전문가', '괴기담의 대가', '가정법의 소설가'로 불리며, 자기 작품의 주인공들을 극한 상황으로 몰아넣는 냉정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단순한 사디스트적인 면모를 넘어, 허구가 현실을 압도하고 이성이 상상 앞에서 흔들리며, 부조리가 논리를 잠식하는 민감한 경계 지점을 날카롭게 포착하려 한다. 이 때문에 그의 소설 속에서는 가해자와 피해자의 경계마저 모호해진다. 장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정체성, 환상, 현실이라는 주제를 탐구하는[17] 그의 문체는 "절제되고 유연하다"는 평가를 받는다.[18]

카레르는 2010년 칸 영화제 국제 심사위원,[15] 2012년 칸 영화제 시네파운데이션 및 단편 영화 부문 심사위원,[16] 제7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주요 경쟁 부문 심사위원(2015년, 알폰소 쿠아론 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영화계와도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4. 작품 목록


  • 『베르너 헤어조크』(''Werner Herzog'')(1982)

영화 감독 베르너 헤어조크에 관한 단행본이다.[4]

  • 『재규어의 친구』(''L'Amie du jaguar'')(1983)

첫 소설.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쳤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4]

  • 『용기』(''Bravoure'')(1984)

두 번째 소설. 메리 셸리, 퍼시 비시 셸리, 바이런 경, 존 윌리엄 폴리도리와 그들이 1816년 여름 제네바 호수에 머물렀던 이야기를 다룬다.[4] 1984년 파시옹 상(Prix Passion), 1985년 보카시옹 상(Prix littéraire de la Vocation)을 수상했다. 영어로는 ''Gothic Romance''(1990)로 번역되었다.

  • 『베링 해협』(''Le Détroit de Behring: Introduction à l'uchronie'')(1986)

대체 역사를 탐구하는 에세이. 1986년 프랑스 SF 대상(Grand Prix de l'Imaginaire), 발레리 라르보 상(Prix Valery-Larbaud)을 수상했다.

  • 『콧수염』(''La Moustache'')(1986)

세 번째 소설로, 작가의 이름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4] 2005년 카레르 본인이 직접 감독하고 주연을 맡아 영화로 만들었으며, 이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라벨 유로파 시네마(Label Europa Cinemas) 상을 수상했다. 영어로는 ''The Moustache''(1988)로 번역되었다.

:열린책들(2001) 전미연 옮김

  • 『안전 지대』(''Hors d'atteinte ?'')(1988)

자신의 삶을 우연에 맡기는 여성을 그린 소설. 1988년 클레베르 아당스 상(Prix Kléber Haedens)을 수상했다. 영어로는 ''Out of Reach''로 번역되었다.

  • 『나는 살아 있고 당신들은 죽었다: 필립 K. 딕의 전기』(''Je suis vivant et vous êtes morts'')(1993)

미국의 SF 작가 필립 K. 딕의 전기 소설이다.[4] 영어로는 ''I Am Alive and You Are Dead: A Journey into the Mind of Philip K. Dick''(2005)로 번역되었다.

  • 『겨울 아이』(''La Classe de neige'')(1995)

소설. 1995년 페미나상(Prix Femina)을 수상했으며, 클로드 밀러 감독에 의해 동명의 영화로 각색되었다.[4] 영어로는 ''Class Trip: A Novel''(1997)로 번역되었다.

:열린책들(2001) 전미연 옮김

  • 『적』(''L'Adversaire'')(2000)

살인자 장클로드 로망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논픽션. 프랑스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23개 언어로 번역되었다. 니콜 가르시아 감독에 의해 동명의 영화로 각색되었다.[4] 영어로는 ''The Adversary: A True Story of Monstrous Deception''(2002)로 번역되었다.

:열린책들(2005) 윤정임 옮김

  • 『러시아 소설』(''Un roman russe'')(2007)

러시아 방문 경험과 자신의 러시아계 혈통에 대해 쓴 자전적 성격의 책이다. 외할아버지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점령 하에서 통역사로 일하다 1944년 실종되었는데,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의해 살해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5] 영어로는 ''A Russian Novel''(영국) 또는 ''My Life as a Russian Novel''(미국)이라는 제목으로 2010년 번역되었다.

  • 『나 아닌 다른 삶』(''D'autres vies que la mienne'')(2009)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 당시 스리랑카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쓰인 논픽션이다. 영어로는 ''Other Lives But Mine''(영국) 또는 ''Lives Other Than My Own''(미국)이라는 제목으로 2012년 번역되었다.

:열린책들(2011) 전미연 옮김

  • 『리모노프』(''Limonov'')(2011)

러시아의 작가이자 정치적 반체제 인사인 에두아르드 리모노프에 대한 전기 소설이다.[6] 르노도상(Prix Renaudot), 2011년 프랑스어 작가상(Prix de la langue française), 2012년 글로브 드 크리스탈 문학상(Globe de Cristal Award for Best Novel or Essay)을 수상했으며, 르 푸앵과 리르에서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었다. 영어로는 ''Limonov: The Outrageous Adventures''(2015)로 번역되었다.

  • 『왕국』(''Le Royaume'')(2014)

초기 기독교의 부상을 다룬 소설이다.[7] 영어로는 ''The Kingdom: A Novel''(2017)로 번역되었다.

  • ''Il est avantageux d'avoir où aller''(2016)

저널리즘 글 모음집. 영어로는 ''97,196 Words: Essays''(2019)로 일부 번역 출간되었으며, 가디언지에 실린 에마뉘엘 마크롱에 대한 기사 등이 포함되어 있다.[9]

  • 『요가』(''Yoga'')(2020)

자신의 우울증 경험과 생탄 병원에서의 치료 과정(양극성 II 장애 진단, 케타민, 전기 경련 요법, 리튬 치료 등)에 대해 쓴 자전적 논픽션이다.[10][11] 영어로는 ''Yoga''(2022)로 번역되었다.

  • 『V13』(''V13'')(2022)

2021년 9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진행된 2015년 파리 테러 재판 과정을 기록한 논픽션이다. 재판 기록은 프랑스 ''L'Obs'', 스페인 ''엘 파이스'', 이탈리아 ''라 레푸블리카'', 스위스 ''르 탕'' 등에 연재되었고[12], 추가 자료와 함께 책으로 출간되었다.[13] 이 책으로 2022년 프리 오주르뒤(Prix Aujourd'hui)를 수상했다.[14]

5. 수상 내역

wikitext

연도상 이름비고 (수상작)
1984파시옹 상 (Prix Passion)용기
1985프리 리테레르 드 라 보카시옹용기
1986SF 대상, 발레리 라브로상베링 해협
1987그랑프리 드 라지마지네르 - 특별상
1988클레베르 헤덴스상 (Prix Kléber Haedens)안전 지대
샤를 울몽상 (Prix Charles Oulmont)
1995페미나상겨울 아이
2007뒤메닐 상 (Prix Duménil)
2009마리 클레어 상 (Prix Marie Claire)
크레쉬스 상 (Prix Crésus)
2010프랑스 학술원 앙리 갈 문학 대상
2011르노도상리모노프
2011년 문학 대상리모노프
프랑스어 작가상 (Prix de la langue française)
2012글로브 드 크리스탈 문학상리모노프
말라파르테상
2014르 몽드 문학상 (Prix littéraire du Monde)
"올해의 책" - 《리르》 선정리모노프
2015몬델로상
2016토마시 디 람페두사 문학상
2017로망스 문학상 Prix FIL
2018프랑스 국립도서관(BnF)
2019헤밍웨이상
2021아스투리아스 공주상 문학 부문
비지옹 뒤 레알 명예상
타오북 상 문학적 탁월성 상
나폴리상
2022오늘의 상 (Prix Aujourd'hui)
2023스트레가 유럽 문학상


6. 영화 (일부)

카레르는 군 복무 대신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친 후, 잡지 ''텔레라마''와 ''포지티프''에서 영화 평론가로 활동했다.[4] 또한 1982년에는 영화 감독 베르너 헤어조크에 관한 단행본을 출판하기도 했다.[4]

그의 소설 중 일부는 영화로 각색되었다. 1986년에 출간된 소설 ''수염''은 카레르 자신이 직접 감독과 각본을 맡아 영화로 만들었으며, 이 영화는 2005년 칸 영화제에서 '라벨 유로파 시네마' 상을 받았다. 1995년작 소설 ''클래스 여행''은 클로드 밀러 감독에 의해 영화로 만들어졌고,[4] 2000년작 논픽션 ''적''은 니콜 가르시아 감독이 다니엘 오퇴유와 함께 각본을 써 동명의 영화로 각색했다.[4]

카레르는 영화 감독으로도 활동하여 2003년 다큐멘터리 영화 Retour à Kotelnitch프랑스어를 연출했다. 또한 플로랑스 오베나의 책을 각색한 영화 ''두 개의 세상''(2021)의 각본 작업에 참여했다.

주요 영화제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했는데, 2010년 칸 영화제 국제 심사위원,[15] 2012년 칸 영화제 시네파운데이션 및 단편 영화 부문 심사위원을 맡았고,[16] 2015년에는 알폰소 쿠아론 감독이 심사위원장을 맡은 제7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주요 작품'''


  • 1996: ''설원의 교실'' (감독: 클로드 밀러, 원작: 카레르의 소설 ''클래스 여행'')
  • 2002: '''' (감독: 니콜 가르시아, 공동 각본: 다니엘 오퇴유, 원작: 카레르의 논픽션 ''적'')
  • 2003: Retour à Kotelnitch프랑스어 (감독: 에마뉘엘 카레르)
  • 2005: ''내 남자친구의 수염'' (감독/각본: 에마뉘엘 카레르, 원작: 카레르의 소설 ''수염'')
  • 2009: ''엄마가 살아있어서 다행이야'' (감독: 클로드 밀러, 원작: 카레르의 기사)
  • 2011: ''우리들의 갈망'' (감독: 필리프 리오레, 원작: 카레르의 책 ''내 삶은 아니지만'')
  • 2021: ''두 개의 세상'' (각본: 에마뉘엘 카레르, 올리비에 아담, 원작: 플로랑스 오베나의 책 ''청소부'')

7. 번역


  • ''베르너 헤어초크'' (1982)
  • ''재규어의 친구''(L'Amie du jaguarfra) (1983)
  • ''브라부르''(Bravourefra) (1984) (영역: ''고딕 로맨스''(Gothic Romanceeng), 1990)
  • ''베링 해협''(Le Détroit de Behringfra) (1984) (독역: ''클레오파트라의 코. 유크로니의 작은 역사.'' Gatza, 베를린 1993.)
  • ''수염''(La Moustachefra) (1986) (영역: ''수염''(The Moustacheeng), 1988; 일역: 『수염을 깎는 남자』jpn, 번역: 다나카 치하루, 가와이데 쇼보 신샤 모던&클래식, 2006, ISBN 4-309-20460-0)
  • ''닿을 수 없는 곳''(Hors d'atteintefra) (1988)
  • ''나는 살아 있고 당신은 죽었다''(Je suis vivant et vous êtes mortsfra) (1993) (영역: ''나는 살아 있고 당신은 죽었다: 필립 K. 딕의 정신 속으로의 여행''(I Am Alive and You Are Dead: A Journey into the Mind of Philip K. Dickeng), 번역: 티모시 벤트, 2005)
  • ''눈 덮인 교실''(La Classe de neigefra) (1995) (영역: ''클래스 여행: 소설''(Class Trip: A Noveleng), 번역: 린다 커버데일, 1997; 일역: 『겨울 소년』jpn, 번역: 다나카 치하루, 가와이데 쇼보 신샤, 1999, ISBN 4-309-20327-2). 페미나 상 수상작. 1998년 클로드 밀러 감독이 동명 영화로 각색.
  • ''적''(L'Adversairefra) (2000) (영역: ''적: 끔찍한 기만의 진실한 이야기''(The Adversary: A True Story of Monstrous Deceptioneng), 번역: 린다 커버데일, 2002; 일역: 『거짓말쟁이』jpn, 번역: 다나카 치하루, 가와이데 쇼보 신샤, 2000, ISBN 4-309-20341-8)
  • ''어떤 러시아 소설''(Un roman russefra) (2007) (영역: ''러시아 소설''(A Russian Noveleng)(영국)/''나의 삶은 러시아 소설과 같다''(My Life as a Russian Noveleng)(미국), 번역: 린다 커버데일, 2010)
  • ''나의 다른 삶''(D'autres vies que la miennefra) (2009) (영역: ''나의 다른 삶''(Other Lives But Mineeng)(영국) / ''나의 삶 외의 삶''(Lives Other Than My Owneng)(미국), 번역: 린다 커버데일, 2012)
  • ''리모노프''(Limonovfra) (2011) - 에두아르드 리모노프의 전기 (영역: ''리모노프: 터무니없는 모험''(Limonov: The Outrageous Adventureseng), 번역: 존 램버트, 2015)
  • ''왕국''(Le Royaumefra) (2014) (영역: ''왕국: 소설''(The Kingdom: A Noveleng), 번역: 존 램버트, 2017)
  • ''가야 할 곳이 있는 것이 유리하다''(Il est avantageux d'avoir où allerfra) (2016) (영역: ''97,196 단어: 에세이''(97,196 Words: Essayseng), 존 램버트 부분 번역, 2019)
  • ''요가''(Yogafra) (2020) (영역: 존 램버트 번역, 2022)
  • ''V13''(V13fra) (2022)

참조

[1] 간행물 Emmanuel Carrère writes his way through a breakdown https://www.newyorke[...] 2022-07-04
[2] 서적 Deleuze: A philosophy of the event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2
[3] 웹사이트 Mediator : Nathalie et Marina Carrère, les sœurs "ennemies" de l'affaire https://www.lemonde.[...] Le Monde 2015-09-28
[4] 간행물 Emmanuel Carrère https://www.theparis[...] The Paris Review 2013
[5] 웹사이트 Emmanuel Carrère: Betraying confidences https://www.theguard[...] 2010-10-19
[6] 웹사이트 Julian Barnes on Limonov by Emmanuel Carrère review – portrait of a political punk https://www.theguard[...] 2014-10-24
[7] 간행물 The Radical Origins of Christianity https://www.newyorke[...] 2019-04-09
[8] 뉴스 Banning a Book, in the Name of 'True Academic Freedom' https://www.insidehi[...] 2019-04-14
[9] 학술지 Orbiting Jupiter: my week with Emmanuel Macron https://www.theguard[...] 2018-12-06
[10] 웹사이트 'There are no words for the horror': the story of my madness https://www.theguard[...] 2022-05-19
[11] 웹사이트 Continuing not to die https://www.commonwe[...] Commonweal 2023-02-17
[12] 웹사이트 Procès du 13-Novembre : Emmanuel Carrère publiera en septembre ses chroniques judiciaires https://www.ouest-fr[...] ouest-france 2022-05-17
[13] 뉴스 Carrère sort le premier livre sur le procès des jihadistes https://www.lematin.[...] 2022-09-01
[14] 웹사이트 Emmanuel Carrère, lauréat du prix Aujourd’hui 2022 https://www.lepoint.[...] Le Point 2022-10-13
[15] 뉴스 Hollywood Reporter: Cannes Lineup http://www.hollywood[...] 2010-04-15
[16] 웹사이트 The Jury for the Cinéfondation and Short Films http://www.festival-[...] 2012-03-29
[17] 웹사이트 They were like us and we were like them https://thenewinquir[...] The New Inquiry 2012-07-20
[18] 웹사이트 97,196 Words by Emmanuel Carrère review – essays from a French superstar writer https://www.theguard[...] 2019-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