엥가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엥가어는 파푸아뉴기니의 엥가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15만 명 이상의 엥가족이 마운트 하겐에서 포르게라에 이르는 산악 지역에 거주하며, 전통적으로 고구마를 주식으로 재배하는 정착 농경 생활을 한다. 엥가어는 5개의 모음을 가지며,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갖춘다. 엥가어는 SOV 어순을 따르며, 명사, 대명사, 동사 등 다양한 품사를 활용한다. 동사는 시제, 상, 법에 따라 활용되며, 복잡한 형태론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랜스뉴기니어족 - 아리어
아리어는 자음(무성/유성 파열음, 전비음화된 파열음, 비음, 마찰음, 설측음, 유음)과 모음(전설, 중설, 후설모음) 음소로 구성된 음운 체계를 가진 언어이다. - 트랜스뉴기니어족 - 오크사프민어
오크사프민어는 마운틴 오크어군의 영향을 받아 텔레폴어에서 유래된 언어로, 트랜스뉴기니어족의 독립된 분파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오크어군과의 관련성을 주장하며, 7개의 모음과 1개의 이중모음, 다양한 자음, 그리고 고조와 저조의 두 가지 성조를 구별하는 음운론적 특징을 지닌다. - 파푸아뉴기니의 언어 - 히리 모투
히리 모투는 파푸아뉴기니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모투족의 전통 무역 방식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공용어로 사용되다 현재는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고령층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 파푸아뉴기니의 언어 - 모투어
모투어는 파푸아뉴기니에서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모음 중심의 음운 체계를 가지며 음절이 항상 모음으로 끝나고, 다섯 개의 단모음과 이중모음을 가지며, /r/과 /l/이 하나의 음소로 취급되고 /f/는 사용되지 않는다.
엥가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엥가어 |
자기 이름 | Enga |
사용 국가 | 파푸아뉴기니 |
사용 지역 | 엥가 주 |
사용자 수 | 230,000명 (2000년 센서스) |
언어 계통 | 트랜스뉴기니어족 |
하위 분류 | 엥가어군 북부 엥가어 |
문자 체계 | 라틴 문자 |
ISO 639-3 | enq |
Glottolog | enga1252 |
Glottolog 명칭 | 엥가 |
엥가 기반 피진 | |
이름 | 아라푼디-엥가 피진 |
사용 국가 | 파푸아뉴기니 |
사용 지역 | 엥가 주 |
사용자 수 | 없음 |
언어 계통 | 엥가 기반 피진 |
ISO 639-3 | enq |
Glottolog | araf1245 |
Glottolog 명칭 | 아라푼디-엥가 피진 |
2. 인구 및 사회
현재 15만 명 이상의 엥가족이 마운트 하겐에서 서쪽 포르게라에 이르는 산악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엥가족은 전통적으로 고구마를 주식으로 재배하며 돼지를 사육하는 농경 생활을 한다. 엥가 씨족은 토지, 결혼, 복수 등을 둘러싼 갈등을 겪기도 한다. 엥가 사회는 단일 추장이 아닌 부유한 남성들이 정치적, 행정적 통제를 한다.[1]
2. 1. 전통 문화
엥가족은 전통적으로 고구마를 주식으로 재배하며 돼지와 가금류를 기르는 정착 농경민이다. 커피와 제충국도 엥가 문화에서 현금 작물로 재배된다. 돼지, 진주, 조개, 도끼, 깃털은 부의 상징이며, 교환되거나 유통될 때 사회적 행사를 나타낸다.[4] 엥가 씨족은 영토 전역에 걸쳐 그들의 농가를 정의하는 경계를 가지고 있으며, 토지, 결혼 교환 또는 복수를 놓고 서로 싸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엥가 신화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에게 불결하고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남성과 여성은 서로 다른 집에 거주한다.[4] 엥가 사회는 단일 추장이나 족장에 의해 조직되지 않고, 부유한 남성들이 정치적, 행정적 통제를 한다.[1]2. 2. 현대 사회
마운트 하겐에서 서쪽 포르게라에 이르는 산악 지역에 15만 명 이상의 엥가족이 거주하고 있다. 엥가족은 전통적으로 정착 농경민으로, 고구마를 주식으로 재배하며 돼지와 가금류를 기른다. 커피와 제충국도 엥가 문화에서 현금 작물로 재배된다.[4] 엥가 사회는 단일 추장이나 족장에 의해 조직되지 않고, 부유한 남성들이 정치적, 행정적 통제를 한다.[1]3. 음운론
엥가어는 다양한 모음과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k/는 저모음과 후설모음 사이에서 마찰음 [x]로 발음된다. /t/는 모음 사이에서 [r]로 발음된다. /ts/는 [s]로 실현될 수도 있다. 모든 종성 모음은 무성음화된다. 치경 파열음 /t, ⁿd/는 권설음 [ʈ, ᶯɖ]로 실현될 수 있다.[2][3]
3. 1. 모음
엥가어는 /i e ɑ o u/ 5개의 모음을 가진다.3. 2. 자음
/k/는 저모음과 후설모음 사이에서 마찰음 [x]로 발음된다. /t/는 모음 사이에서 [r]로 발음된다. /ts/는 [s]로 실현될 수도 있다. 모든 종성 모음은 무성음화된다. 치경 파열음 /t, ⁿd/는 권설음 [ʈ, ᶯɖ]로 실현될 수 있다.[2][3]
3. 3. 정서법
엥가어의 정서법은 21개의 서로 다른 문자를 포함한다.[2][3]양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파열음 | 무성음 | |||||
비음화 | ||||||
파찰음 | 무성음 | ~ | ||||
비음화 | ||||||
비음 | ||||||
탄음 | ||||||
접근음 | plain | |||||
설측음 |
모음은 /i e ɑ o u/가 있다.
/k/는 저모음과 후설모음 사이에서 마찰음 [x]로 발음된다. /t/는 모음 사이에서 [r]로 발음된다. /ts/는 [s]로 실현될 수도 있다. 모든 종성 모음은 무성음화된다. 치경 파열음 /t, ⁿd/는 권설음 [ʈ, ᶯɖ]로 실현될 수 있다.[2][3]
4. 어휘 및 문법
엥가어는 명사, 대명사, 동사 등 다양한 품사를 갖는다. 엥가어의 명사 형태론은 접미사를 사용하며, 명사구의 마지막 구성원(한정사 또는 형용사)에 붙어 시제, 양상, 인칭, 수, 성, 법과 같은 명사의 굴절 범주를 표현한다.[1] 엥가어는 접미사를 사용하여 명사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며, 명사 부류에 따라 격의 사용이 달라진다.[4] 엥가어 동사는 복잡한 형태론을 보이며, 시제-상-법 범주와 세 가지 문법적 수(단수, 복수, 이중수)를 가진다.[1]
4. 1. 명사
엥가어 명사는 언어의 명사 계열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식어 ''dóko'' 및 ''méndé''와 함께 사용된다.[4] ''dóko''는 'the'를, ''méndé''는 'a, some, or else'를 의미한다.엥가어의 명사 형태론은 전적으로 접미사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 접미사는 일반적으로 명사구의 마지막 구성원(한정사 또는 형용사)에 붙어 시제, 양상, 인칭, 수, 성, 법과 같은 명사의 굴절 범주를 표현한다.[1] 접미사는 크게 격 접미사와 기타 접미사로 나뉜다. 격 접미사는 명사 및 명사구에서만 나타나는 반면, 기타 접미사는 명사 및 명사구 또는 동사 및 동사구에 나타날 수 있다.[1]
4. 1. 1. 명사 부류
엥가어의 명사 부류는 주로 구문 패턴을 통해 파악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부류는 생물, 무생물, 신체 부위, 장소, 사건, 색상, 내면 상태 및 기타 소규모 부류를 나타낸다. 명사는 또한 행위자(AG), 도구(INST), 소유격(POSS), 장소(LOC), 시간과 같은 격을 굴절시킬 수 있다.[4] 아래 표에는 서로 관련된 격 분포와 명사 부류가 나와 있다.명사 부류 | DET (dóko 또는 méndé) | AG | POSS | INST | LOC |
---|---|---|---|---|---|
생물 | dóko/méndé | O | O | ||
생물 (대명사) | O | O | |||
생물 (신체 부위) | dóko/méndé | O | O | ||
생물 (인공물) | dóko/méndé | O | O | ||
장소 | O | ||||
사건 | dóko/méndé | ||||
색상 | dóko/méndé | ||||
내면 상태 | O |
'''생물'''은 고유 명사와 같은 다양한 하위 부류에서 발생할 수 있다. 생물의 몇 가지 예로는 ''takánge'' (아버지), ''endángi'' (어머니), ''Aluá'' (남성의 이름), ''Pasóne'' (여성의 이름), ''mená'' (돼지)가 있다. 이 모든 것은 지시사 또는 부정사 중 하나인 한정사를 포함하며 행위자 또는 소유격과 함께 사용할 수 있지만, 도구적 또는 장소적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신체 부위'''는 생물 부류에 속하며 ''kíngi'' (팔), ''pungí'' (간), ''yanúngí'' (피부, 신체)와 같은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도구적 또는 장소적으로 한정사를 가질 수 있지만, 행위자 또는 소유격에서는 가질 수 없다는 점에서 이전 부류와 다르다. '''장소''' 명사는 장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 단어에는 ''kákasa'' (수풀), ''Wápaka'' (와바그- 장소), ''Lakáipa'' (라가이파- 강)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부류는 장소 격에서만 한정사를 사용하고 다른 격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4]
4. 1. 2. 격 접미사
엥가어는 접미사를 사용하여 명사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언어이다. 명사구의 마지막 구성원(한정사 또는 형용사)에 붙는 격 접미사는 명사와 명사구를 구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엥가어에는 공식적으로 7가지 격이 표시된다.[1]
- 연관 격: ''-pa''(단 두 개)/''-pipa''(두 개 이상)
- 행위 격: ''-me/-mi''
- 도구 격: ''-me/mi''
- 소유 격: ''-nya''
- 장소 격: ''-nya/-sa/-ka''
- 시간 격: ''-sa/-nya/-pa''
- 호격: ''-oo''
명사는 격에 따라 굴절하며, 이는 명사 부류와도 관련이 있다.[4] 예를 들어, 생물 명사는 행위자 격이나 소유격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도구 격이나 장소 격과는 함께 사용될 수 없다.[4] 신체 부위 명사는 도구 격이나 장소 격 한정사를 가질 수 있지만, 행위자 격이나 소유격은 가질 수 없다.[4] 장소 명사는 장소 격에서만 한정사를 사용한다.[4]
명사 부류 | DET (dóko 또는 méndé) | AG (행위 격) | POSS (소유 격) | INST (도구 격) | LOC (장소 격) |
---|---|---|---|---|---|
생물 | dóko/méndé | O | O | ||
생물 (대명사) | O | O | |||
생물 (신체 부위) | dóko/méndé | O | O | ||
생물 (인공물) | dóko/méndé | O | O | ||
장소 | O | ||||
사건 | dóko/méndé | ||||
색상 | dóko/méndé | ||||
내면 상태 | O |
4. 1. 3. 기타 접미사
엥가어에는 격 접미사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하는 접미사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명사에만 붙으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1]- 접속 접미사 '-pi': '그리고' 또는 '조차'를 의미하며, 명사 또는 명사구를 다른 명사구와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엥가어에는 '그리고'에 해당하는 접속사가 없으며, 이 접미사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 '또는'에 해당하는 접속사로는 ''pánde''가 있다.[1]
- 유사성 접미사 '-le', '-yalé': '-le'는 '오히려', '-yalé'는 '~처럼'과 같이 유사성을 나타낸다.[1]
- 강조 접미사 '-mba': '매우'라는 뜻으로 강조를 나타내거나, 논쟁적인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두 가지 형태의 '-mba'는 의미와 음조가 다르다. 논쟁적인 의미로 사용될 때는 강조할 때보다 이전 음절보다 더 높은 음조로 발음된다.[1]
4. 2. 대명사
엥가어의 대명사는 형태통사론적으로 두드러지지만 방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엥가어의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nambá "나"
- émba "너"
- baá "그, 그녀, 그것"
- nalímba "우리 둘"
- nyalámbo "너희 둘"
- dolápo "그들 둘"
- náima "우리(복수)"
- nyakáma "너희(복수)"
- dúpa "그들(복수)"
이러한 대명사는 지시어가 행위자격과 소유격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정물과 유사하지만 도구격이나 처소격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4. 3. 동사
엥가어 동사는 언어의 통사론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매우 복잡한 형태론을 보인다.[1] 엥가어는 주로 접미사를 사용하는 언어이다. 기본적인 어순은 SOV이다.예시:
Akáli dokó-mé mená dóko p-í-á.y | man DET-AG pig DET hit-PAST | 그 남자가 돼지를 쳤다. |
엥가어 동사는 종속 또는 동등과 같은 개념을 표현하며, 이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종종 접속사와 같은 통사론적 수단을 통해 표현되는 것과 다르다. 엥가어 동사는 또한 능력, 가능성, 필요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양상뿐만 아니라 접미사(-pe/-pi)를 통한 의문문 표현도 나타낸다.
예시:
Akáli dokó-mé mená dóko p-i-á-pe? | man DET-AG pig DET hit-PAST | 그 남자가 돼지를 쳤니? |
4. 3. 1. 시제-상-법
엥가어에는 다섯 가지의 시제-상 범주와 세 가지의 문법적 수가 있다. 시제-상에는 미래 시제, 현재 시제, 그리고 세 가지의 다른 과거 시제가 포함된다. 수는 단수, 복수, 그리고 이중수 (접두사 ''na-''로 표현)가 있다.[1]오늘 일어난 일은 현재 완료 시제에 해당한다. 가까운 과거는 전날 일어난 일, 화자가 기억하지 못하는 시간, 또는 전날 이전의 시간으로, 과거의 다른 사건과 비교하려는 경우에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먼 과거는 전날 이전에 일어난 일을 나타낸다.[1]
접미사 ''-la''는 동일한 주어를 가진 문장 간의 연속성을 나타낸다. ''-pa'' 표시는 주어가 다르지만 연속성을 포함하는 문장을 연결한다.
Baa-mé kalái pé-ta-la yólé ny-í-á.영어
그는 일을 하고 임금을 받았다.
4. 3. 2. 통사적 조정
엥가어는 두 개의 다른 주어 또는 두 개의 다른 행동을 집합적으로 표현할 때 동사에 조정 접미사를 사용한다.[1] 예를 들어, '그는 가서 일했다'와 같은 문장은 엥가어에서 첫 번째 동사에 조정 접미사(-o)를 사용하여 표현된다.접미사 ''-o'' (고모음이 있는 동사에서는 변이음 -u)는 또한 동일한 기간 동안 발생하는 행동, 존재 또는 발생을 표현한다.[1]
4. 3. 3. 인과적 접미사
엥가어에는 ''-pa''와 ''-sa''라는 두 가지 인과적 접미사가 있다. 동사가 과거에 관한 접미된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이 두 접미사가 함께 추가되어 동사를 완전히 활용한다.[1]4. 3. 4. 조건적 접미사
엥가어는 '실제' 조건과 '비현실적' 조건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조건적 접미사를 포함한다. 실제 조건은 실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인 반면, 비현실적 조건은 표현되는 행동과 그 결과의 현실을 부정하는 조건이다. 미래 시제에서 실제 조건절을 표현하기 위해 접미사 ''-mo/-no''가 동사에 추가되고 그 뒤에 즉시 ''kandao dóko''가 추가된다. 예를 들어, 다음 두 문장을 연결할 때:[1]:Akáli dóko p-é-á. (남자 DET 가-과거: 그 남자는 갔다.)
:Énda dóko p-á-a-'''mo'''. (여자 DET 가-과거-'''AUG''': 그 여자는 갔다.)
함께 조건절로, 다음과 같이 형성될 것이다.
:Akáli dóko alémbo pá-t-a-'''mo''' '''kanda-ó''' '''dóko''' énda dóko {wámba andípu} p-á-a-'''mo'''. (남자 DET {그저께} 가-FUT-'''AUG''' '''보다-O''' '''DET''' 여자 DET {오늘 전에} 가-과거-'''AUG''': 그 남자가 그저께 갔다면, 그 여자는 오늘 일찍 갔다.)
5. 통사론
엥가어는 주로 후치 수식어를 사용하는 SOV 언어이다.[1]
Akáli dokó-mé mená dóko p-í-á.y | man DET-AG pig DET hit-PAST | 그 남자가 돼지를 쳤다. |
엥가어 동사는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종종 ‘그리고’ 또는 ‘왜냐하면’과 같은 접속사를 통해 표현되는 종속 또는 동등과 같은 개념을 나타낸다. 엥가어 동사는 또한 능력, 가능성, 필요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양상뿐만 아니라 접미사(-pe/-pi)를 통한 의문문 표현도 나타낸다.
Akáli dokó-mé mená dóko p-i-á-pe? | man DET-AG pig DET hit-PAST | 그 남자가 돼지를 쳤니? |
참조
[1]
서적
Enga Dictionary with English Index
https://archive.org/[...]
Linguistic Circle of Canberra
[2]
서적
Organised Phonology Data: Enga Language [ENQ] Enga Province
http://www-01.sil.or[...]
[3]
서적
A phonemic statement of Mai Enga
[4]
서적
Semantics of Classificatory Verbs in Enga (And Other Papua New Guinea Languages)
https://archive.org/[...]
Linguistics Circle of Canber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