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단전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단전투단은 미 육군의 부대 편성 단위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지휘 통제 및 전력 투사를 위해 2000년대 미군 재편 계획에 따라 도입되었다. 보병 여단전투단(IBCT), 기갑 여단전투단(ABCT),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SBCT)으로 구분되며, 자체적인 제병협동 능력과 후방 지원 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미 육군은 여단전투단의 구성을 지속적으로 변경해 왔으며, 2024년에는 정찰 기병대대 해체, 포병 대대 사단 통제 전환 등의 변화를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여단 - 드래곤여단
드래곤여단은 1983년 창설되어 주둔지와 전개 지역에서 부대 지휘 통제, 전투 지원을 위한 지휘소 설치 및 지원, 그리고 전방 지역 기지 캠프 방호 임무를 수행하다 2006년 해체된 부대이다.
| 여단전투단 | |
|---|---|
| 개요 | |
| 명칭 | 여단전투단 (旅団戦闘団) |
| 영어 명칭 | Brigade Combat Team (BCT) |
| 약칭 | BCT |
![]() | |
| 역할 | 독립적인 작전 수행이 가능한 가장 작은 규모의 연합 전투 부대 |
| 규모 | 여단 |
| 종류 | |
| 기갑 여단전투단 (Armored Brigade Combat Team, ABCT) | 중장비 및 기갑 차량 중심의 전투 부대 |
| 보병 여단전투단 (Infantry Brigade Combat Team, IBCT) | 보병 중심의 경량화된 전투 부대 |
|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 (Stryker Brigade Combat Team, SBCT) | 스트라이커 장갑차를 이용한 기동성을 강조한 전투 부대 |
| 특징 | |
| 독립 작전 능력 | 단독으로 작전 계획 수립 및 수행 가능 |
| 유연성 | 다양한 임무 및 환경에 적응 가능 |
| 모듈화 | 필요에 따라 구성 요소 추가 또는 제거 가능 |
| 화력 | 자체적인 포병, 항공 지원 등의 화력 보유 |
| 구조 | |
| 지휘부 | 여단장 (Colonel) |
| 전투 부대 | 보병 대대 기갑 대대 포병 대대 공병 대대 기병 정찰 대대 |
| 지원 부대 | 군수 지원 대대 통신 대대 의무 대대 헌병대 |
| 운용 | |
| 주요 임무 | 공세 작전 방어 작전 안정화 작전 지원 작전 |
| 작전 환경 | 시가전 산악전 사막전 정글전 |
| 협력 | 다른 군 부대, 정부 기관, 비정부 기구 등과 협력 가능 |
| 역사 | |
| 기원 | 미국 육군의 "Unit of Action" 개념에서 유래 |
| 발전 | 2003년 이라크 자유 작전에서 최초 운용 지속적인 개선 및 발전 |
| 현재 | 미국 육군의 핵심 전투 부대로 운용 중 |
| 참고 | |
| 관련 용어 | 연대 전투단 (Regimental Combat Team) 전투단 (Combat Team) |
| 관련 부대 | 미국 육군 |
2. 역사
여단전투단은 2000년대부터의 미군 재편 계획에 따라 채택된 새로운 전투 단위이다. 미 육군 재편에서는 지휘 통제의 신속화와 전력 투입의 효율화를 위해, 기존에 채택되어 온 여단-사단-군단-군이라는 4단계의 지휘 계통이 재검토되어 UEy-UEx-UA로 재구축되었다. 이 중 전술 계층에서의 실전 부대이자, 가장 소규모의 전력 단위이기도 한 ''UA'' (Unit of Action)를 구체화한 것이 바로 '''여단전투단''' (BCT: Brigade Combat Team)이었다.
여단전투단은 겉보기에는 기존의 여단과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미군 전체의 재편성에 따라 큰 변화를 겪었다. 기존의 미국 육군 여단은 전형적인 사단 내의 여단이었으며, 제병 연합 작전을 수행할 능력이 없었고, 또한 각종 후방 지원 부대 등을 거의 갖추지 못했다. 따라서, 여단 단독으로 해외에 파견되는 일은 없었고, 부대를 움직일 때에는 전력을 차례로 추출하여 전투단을 편성하거나, 혹은 사단 전체를 움직여야 했다. 이는 군정상의 사정으로 연대 제도를 폐지한 후, 동등한 기능을 가진 단위가 필요하게 되면서, 여단이 이를 대신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여단전투단(BCT)은, 편제 내에 제병 연합 능력과 최소한의 후방 지원 능력이 부여됨으로써, 최소한의 추가 부대 배속만으로 해외에도 파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BCT는 소규모 사단으로 취급되어, 상위 부대로부터 독립적인 활동이 가능해졌으며, 한편으로는 BCT에 소속된 병사들은 3년간 근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준비 태세가 강화되고 부대의 단결력이 높아졌다.
미국 국방부가 2010년 2월 1일에 발표한 QDR에서는 육군 전체에서 73개의 여단전투단 (현역 45개, 예비역 28개)을 유지하게 되어 있었다.[1] 이후 현역 기갑 여단전투단 17개, 현역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 8개로 변경되었다.
2013년 여단전투단의 현역 부대를 45개에서 33개로 감축하는 계획이 발표되었다.[1] 2017년 4월, 육군은 4/25 (공수) BCT의 감축 제안이 철회되었으며, BCT가 유지될 것이라고 확인했다.[20]
2018년 9월 현재, 미 육군의 현역 부대는 31개의 여단전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22]
| 종류 | 수 |
|---|---|
| 보병 여단전투단 (공수 여단 포함) | 14 |
| 기갑 여단전투단 | 11 |
|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 | 6 |
미 육군 주 방위군 여단전투단은 현역 부대 BCT와 동일한 TOE를 갖는다. 2018년 9월 현재, 미 육군 주 방위군은 27개의 BCT로 구성되어 있다:[22]
| 종류 | 수 |
|---|---|
| 보병 여단전투단 | 20 |
| 기갑 여단전투단 | 5 |
|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 | 2 |
여단전투단은 보병, 기갑,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으로 구분되며, 각 여단전투단은 7개의 대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2024년 2월, 육군은 육군 전력 구조의 예정된 변경 사항을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특정 여단 전투단 조직의 변경 사항도 포함되었다. 여단 전투단의 변경 사항으로는 미국 본토에 주둔하는 보병 여단 전투단 및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의 RSTA 기병대대 해체가 포함되었다. 미국 본토 외부에 주둔하는 IBCT와 SBCT는 RSTA 대대를 유지했다. 동시에, 사단급 기병대대의 창설이 계획되었다. 또한 IBCT 보병 대대의 중화기 중대는 대대 본부 및 본부 중대(HHC) 산하의 화기 소대로 축소되었다.[1] 포병 대대는 BCT 지휘에서 제거되어 DIVARTY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3. 구성



3. 1. 보병 여단전투단 (IBCT)
보병 여단전투단(IBCT)은 험비(HMMWV)로 이동하고 전투 시에는 하차하는 기동 보병의 대대를 기반으로 편성된 것이다. 공중강습 작전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지상, 공중, 수륙 양용 수단을 통해 진입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4]
2014년 기준으로 4,413명의 병력으로 구성되며, 3개의 보병 대대, 1개의 기병(정찰) 대대, 1개의 여단 지원 대대, 1개의 공병 대대, 1개의 야전 포병 대대로 구성된다.[4]
3. 1. 1. 보병대대
보병대대는 본부 및 본부중대, 3개의 소총 중대, 1개의 화기중대로 구성된다.[1] 각 보병 여단전투단(IBCT)은 3개의 보병 대대로 구성된다.[1] 이 3개의 대대는 각각 650명 정도의 병력으로 구성되며, 여단의 주요 작전 행동 요소가 된다.[1]3. 1. 2. 기병대대
정찰, 감시, 표적 획득(RSTA) 임무를 수행하는 기병 대대는 각종 정찰 및 위력 정찰 임무를 수행한다. 또한, BGM-71 TOW 대전차 미사일을 보유하여 주력 부대를 엄호하기도 한다.[1]3. 1. 3. 야전포병대대
3. 1. 4. 여단공병대대
여단공병대대는 본부 및 본부중대, 전투 공병 중대 2개, 통신 지원 중대 1개, 군사 정보 중대 1개로 구성된다.
3. 1. 5. 여단지원대대
여단지원대대는 본부 및 본부중대, 수송중대, 야전정비중대, 의무중대, 그리고 여러 전방지원중대로 구성된다. 의무중대는 본부 소대, 치료 소대, 의무 후송 소대로 나뉜다.[1]
여단지원대대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1]
| 구분 | 구성 |
|---|---|
| 본부 및 본부중대 | |
| 수송중대 | |
| 야전정비중대 | |
| 의무중대 | 본부 소대, 치료 소대, 의무 후송 소대 |
| 전방지원중대 | 정찰 병과, 공병 병과, 보병 (3개), 야전 포병 |
3. 2.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 (SBCT)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Stryker Brigade combat team; SBCT영어)은 스트라이커 8륜 장갑차를 중심으로 편성된 미국 육군의 기계화보병부대이다. 네트워크 중심전 교리를 구현하며, 미국의 고기동 경보병과 중무장 기갑보병 간의 격차를 메운다.[6]
스트라이커 여단은 C-130 허큘리스 수송기로 96시간 이내에 전 세계 어느 지역으로든 신속하게 전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사단급 부대는 120시간 이내에 수송할 수 있다.[6]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은 3개의 보병대대, 1개의 기병(정찰)대대, 1개의 화력(포병)대대, 1개의 여단지원대대, 1개의 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1개의 여단공병대대로 구성된다.[7][8] 2015년부터 대전차 중대가 여단 공병 대대에서 기병 기동대로 재편성되어 무기 소대를 편성했으며, 여기에는 보병 대대의 이동식 포 시스템도 포함되었다.[9] 스트라이커 여단은 300대 이상의 스트라이커 차량과 4,500명 가량의 병력으로 구성된다.[7][8]
3. 2. 1. 보병대대
여단전투단의 보병대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부 및 본부중대
- 3개 보병 중대(스트라이커)
각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SBCT)은 3개의 보병 대대(스트라이커)로 구성된다.
3. 2. 2. 기병대대
기병대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 본부 및 본부중대
- 기병중대(스트라이커) 3개
- 화기중대 (대전차 미사일 9개 장비)
3. 2. 3. 야전포병대대
- 본부 및 본부포대[1]
- M777A2 155mm 견인 곡사포 포대 3개[1]
- 표적 획득 소대[1]
3. 2. 4. 여단지원대대
여단지원대대는 본부 및 본부중대, 보급중대, 의무중대, 그리고 다수의 전방지원중대로 구성된다. 전방지원중대는 정찰, 공병, 보병, 야전 포병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로 구성된다.3. 2. 5. 여단공병대대
여단공병대대는 본부 및 본부중대, 전투공병중대 1개, 공병지원중대 1개, Signal Corps|통신병|통신중대영어 1개, 군사정보중대 1개로 구성된다.
3. 2. 6. 스트라이커 차량
스트라이커 여단에서 운용되는 스트라이커 장갑차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M1126 보병수송차량
- M1127 수색차량
- M1128 MGS - 105mm 직사포 장착
- M1129 자주박격포 - 120mm 또는 81mm 박격포 무장
- M1130 지휘차량
- M1131 화력지원차량 - 조준 및 관측 센서 장착
- M1132 공병지원차량
- M1133 의무후송차량
- M1134 대전차유도탄차량 - TOW 미사일 무장
- M1135 화생방정찰차량
3. 3. 기갑 여단전투단 (ABCT)
기갑여단전투단(ABCT)은 M1 에이브람스 전차와 M2 브래들리 보병전투차(IFV)를 중심으로 편성되며, 3개의 제병협동대대(2023년 개편 이후 2개의 기갑대대와 1개의 기계화보병대대), 1개의 기병(정찰)대대, 1개의 야전포병대대, 1개의 여단공병대대, 1개의 여단지원대대로 구성된다.[4] 2014년 기준으로 기갑여단전투단은 4,743명의 병력으로 가장 큰 여단전투단 편성이었다.ABCT는 87대의 에이브람스, 152대의 브래들리 IFV, 18문의 M109 자주포 및 45대의 무장 M113 차량을 포함한다.[10] 이러한 전투 시스템의 운영 비용은 1마일당 66735USD이다. 에이브람스의 항속거리는 330km로 제한되어 12시간마다 연료 보급이 필요하다. 여단은 738100L의 연료를 자체적으로 수송할 수 있으며, 이는 15대의 19000L M969A1 유조차와 48대의 9500L M978 유조차에 의해 수송된다.[11]
2021년 미 육군은 대규모 전투 작전(LSCO)에 중점을 둔 Waypoint 2028 프로그램을 발표했다.[13] 2022년 1월에는 Army 2030으로 브랜드를 변경하고,[14] 2023년 4월에 새로운 BCT 조직을 발표했다.[15]
2023년 개편 이후, 기갑 여단은 자체적인 기병 기동대를 잃게 될 것이며, 이는 새로운 기병 연대에서 사단 수준으로 이관될 것이다. 대신 여단 본부는 6개의 브래들리 정찰 소대를 받게 될 것이다. 기갑 여단은 또한 자체적인 포병을 사단 수준으로 이동시켜 전체 교전 전선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집중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체적인 공병 대대는 사단 수준의 공병 여단으로 이동된다.
3. 3. 1. 기갑대대(2023년 개편 이후)
기갑 여단전투단은 육군의 주력 기갑부대이다. M1 에이브람스 전차와 M2 브래들리 보병전투차량(IFV)을 포함한 제병과 연합대대로 설계되었다. HMMWV과 M113 장갑 병력 수송차의 변형 등의 여러 차량은 지원 역할을 맡아 작전에 임한다. 미래에는 BCT 지상 전투 차량 프로그램에 의해 차량도 포함하게 된다.
2012년에 기갑 여단 전투단(Armored Brigade Combat Team영어)으로 편제명이 바뀌었다. 기갑 여단전투단은 두 개의 제병연합대대(전차 + 기계화 보병)와 각각 하나의 기갑수색(기병), 화력(포병), 특수 병력, 그리고 지원 대대로 이루어져 있다.
- 본부 및 본부중대
- 의무소대
- 수색소대
- 저격반
- 박격포소대
- 전차중대 (x 2)
- 전차소대 (x 3)
- 기계화보병중대 (x 2)
- 기계화보병소대 (x 3)
- 본부 및 본부 중대
- 전차 중대
- 기계화 보병 중대 (×2)
3. 3. 2. 기계화보병대대 (2023년 개편 이후)
기갑 여단전투단은 육군의 주력 기갑부대이다. M1 에이브람스 전차와 M2 브래들리 보병전투차량(IFV)을 포함한 제병과 연합대대로 설계되었다. HMMWV과 M113 장갑 병력 수송차의 변형 등 여러 차량이 지원 역할을 맡아 작전에 임한다. 미래에는 BCT 지상 전투 차량 프로그램에 의해 차량도 포함될 예정이다.
기갑 여단전투단은 두 개의 제병연합대대(전차 + 기계화 보병)와 각각 하나의 기갑수색(기병), 화력(포병), 특수 병력, 그리고 지원 대대로 구성된다. 2012년에 기갑 여단 전투단(Armored Brigade Combat Team영어)으로 편제명이 바뀌었다.
기계화보병대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본부 및 본부 중대
- * 의무소대
- * 수색소대
- * 저격반
- * 박격포소대
- 전차 중대 (x 2)
- * 전차 소대 (x 3)
- 기계화 보병 중대 (x 2)
- * 기계화 보병 소대 (x 3)
3. 3. 3. 기병부대(2023년 개편 이후)
기갑 여단전투단은 육군의 주력 기갑부대이다. M1 에이브람스 전차와 M2 브래들리 보병전투차량 (IFV)을 포함한 제병과 연합대대로 설계되었다. HMMWV와 M113 장갑 병력 수송차의 여러 변형 차량들은 지원 역할을 맡아 작전에 임한다.
기갑 여단전투단은 두 개의 제병연합대대(전차 + 기계화 보병), 그리고 각각 하나의 기갑수색(기병), 화력(포병), 특수 병력, 지원 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에 기갑 여단 전투단(Armored Brigade Combat Team영어)으로 편제명이 바뀌었다.
- 본부 및 본부대 (Troop)
- 수색중대 (x 3)
- * 정찰소대 (x 2)
- ** M3 브래들리 기병 전투차 (x 3)
- ** M1114 장갑 강화 HMMWV와 장거리 개량정찰장비 (LRAS3) (x 5)
- 전차중대 (2015년 신설)
- * 120mm 박격포반
3. 3. 4. 야전포병대대
- 본부 및 본부포대
- 155mm 자주포 사격포대 (x 3)
- 표적확보반
2012년에 기갑 여단 전투단(Armored Brigade Combat Team영어)으로 편제명이 바뀌었다.
3. 3. 5. 여단지원대대
여단지원대대는 본부 및 본부중대, 보급중대, 정비중대, 의무중대, 그리고 다수의 전방지원중대로 구성된다.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본부 및 본부중대
- 보급중대
- 야전 정비중대
- 의무중대
- 본부 소대
- 치료 소대
- 의무 후송 소대
- 전방지원중대 (제병) (x 3)
- 전방지원중대 (화력)
- 전방지원중대 (수색 및 관측)
- 전방 지원 중대 (기병)
- 전방 지원 중대 (합동 참모) (x3)
4. 현대화
미국 육군은 여단전투단 현대화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전투 시스템 (FCS) 프로그램의 일부 요소를 활용하여 여단전투단을 현대화할 계획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2009년 초에 취소되었지만, 초기 보병 여단 전투단 능력 패키지와 후속 점증적 능력 패키지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시행될 예정이었다.[16][17][18][19]
2013년 개편으로 여단전투단의 수가 감축되었으며, 2015년에는 추가적인 감축이 발표되었다. 2017년 4월, 4/25 (공수) BCT의 감축 제안이 철회되고 BCT가 유지됨이 확인되었다.[20]
2018년 9월, 미 육군은 텍사스주 포트 블리스의 제1기갑사단 제1여단전투단(1/1 AD)을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SBCT)에서 기갑 여단전투단(ABCT)으로, 콜로라도주 포트 카슨의 제4보병사단 제2여단전투단(2/4 ID)을 보병 여단전투단(IBCT)에서 SBCT로 전환한다고 발표했다. 전환은 각각 2019년 봄과 2020년 봄에 시작될 예정이었다.[21][22] 2022년 제25보병사단 알래스카가 제11공수사단으로 변경되면서 육군은 스트라이커 여단 1개가 줄고 보병 여단 1개가 늘어날 것이다.[23]
2018년 9월 현재, 미 육군의 현역 부대는 31개의 여단전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22]
| 유형 | 수 |
|---|---|
| 보병 여단전투단 (공수 여단 포함) | 14 |
| 기갑 여단전투단 | 11 |
|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 | 6 |
미 육군 주 방위군 여단전투단은 현역 부대 BCT와 동일한 TOE를 갖는다. 2018년 9월 현재, 미 육군 주 방위군은 27개의 BCT로 구성되어 있다:[22]
| 유형 | 수 |
|---|---|
| 보병 여단전투단 | 20 |
| 기갑 여단전투단 | 5 |
| 스트라이커 여단전투단 | 2 |
2024년 2월, 육군은 육군 전력 구조 변경을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특정 여단 전투단 조직 변경도 포함되었다. 변경 사항으로는 미국 본토 주둔 IBCT 및 SBCT의 RSTA 기병대대 해체, 사단급 기병대대 창설, IBCT 보병 대대 중화기 중대의 화기 소대로 축소 등이 있었다.[1] 포병 대대는 BCT 지휘에서 제거되어 DIVARTY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Document
https://www.army.mil[...]
2016-10-22
[2]
웹사이트
DIVARTY - Division Artillery
http://sill-www.army[...]
2016-10-19
[3]
usurped
Agile and lethal: 4-27 Field Artillery conducts Table XVIII gunnery training May 7
https://web.archive.[...]
2019-08-11
[4]
웹사이트
MCOE Supplemental Manual 3-90 (2015)
U.S. Army
2015-01-01
[5]
서적
FM 3-90.6 : Brigade Combat Team
https://armypubs.arm[...]
Department of the Army
2010-09-01
[6]
웹사이트
Army unit trains to handle CBRNE threats
BioPrepWatch
2014-02-12
[7]
웹사이트
Stryker crews find ways to defeat armored enemy
2014-02-17
[8]
웹사이트
FM 3-21.31 Chapter 1 Overview of the Stryker Brigade Combat Team
https://www.globalse[...]
[9]
웹사이트
2-1 Cav. stands up new weapons troop
http://www.fortcarso[...]
2015-07-01
[10]
문서
The U.S. Military's Force Structure: A Primer
https://www.cbo.gov/[...]
Congressional Budget Office
2016-07-01
[11]
뉴스
Abrams Dieselization Project: Doing the Math
http://www.defenseme[...]
Defensemedianetwork.com
2013-11-07
[12]
웹사이트
Cavalry Brigade Combat Team assumes new design, transition nearly complete
https://www.army.mil[...]
U.S. Army
2016-02-17
[13]
웹사이트
Impact of Large-Scale Combat Operations (LSCO) on Operations
https://www.armyupre[...]
2023-04-09
[14]
웹사이트
Waypoint 2028 becomes Army 2030 {{!}} InsideDefense.com
https://insidedefens[...]
2023-04-09
[15]
간행물
How the Army 2030 Divisions Fight
2023-02-02
[16]
웹사이트
Brigade combat teams cut at 10 posts will help other BCTs grow
http://www.army.mil/[...]
[17]
웹사이트
Archived Document
http://www.carson.ar[...]
2014-08-26
[18]
웹사이트
1st BCT inactivates as 2nd ID marks 50 years in Korea
http://www.armytimes[...]
2017-08-07
[19]
웹사이트
2nd ID unit in Korea to deactivate, be replaced by rotational force
http://www.stripes.c[...]
[20]
웹사이트
Army intends to retain entire 4-25 brigade, deploy troops overseas
http://www.ktuu.com/[...]
2017-04-07
[21]
문서
2nd Brigade Combat Team Conversion Ceremony
https://www.dvidshub[...]
2020-06-15
[22]
웹사이트
Army announces conversion of two brigade combat teams
https://www.army.mil[...]
U.S. Army
2018-09-20
[23]
웹사이트
New Alaska Light Infantry Brigade Will Replace Army's Scrapped Strykers
https://www.military[...]
2022-06-06
[24]
웹인용
Brigade Unit of Action
http://www.globalsec[...]
2011-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