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역량 강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성 역량 강화는 여성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키고, 교육 기회를 확대하며, 사회적 장벽을 극복하여 여성의 권한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신자유주의 정책은 여성의 경제적 지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비판을 받으며, 여성들은 직업 훈련과 교육 기회를 통해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정치적 권한 강화는 여성의 의사 결정 참여를 확대하고, 문화적 역량 강화는 여성의 목소리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여성 역량 강화는 성별 권한 척도(GEM)와 같은 지표로 측정되며, 문화적 규범, 폭력, 경제적 불평등은 주요 장벽으로 작용한다. 교육은 여성의 역량을 강화하는 핵심 요소이며,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미국, 한국 등 각국의 정책을 통해 여성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권 개념 - 자유, 평등, 우애
자유, 평등, 우애는 프랑스 혁명의 정신을 담은 표어로서 프랑스 공화국의 공식 표어로 채택되었으나 정치적 변동을 겪으며 그 가치가 변화해 왔고, 현재는 세계 여러 국가에서 추구하는 보편적인 가치로 여겨진다. - 인권 개념 - 존엄
존엄은 인간으로서 존중받아야 할 가치와 품위를 뜻하는 말로, 개인의 존중, 사회적 지위, 인간의 본질적 가치를 나타내며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 여성 역량 강화 |
|---|
2. 역사적 배경
여성 역량 강화는 오랜 역사를 통해 발전해 왔다.
2. 1. 서구의 여성 역량 강화 운동
디지털 기술은 여성들이 지방 정부와 교류하고 지역 사회에서 의사 결정 권한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질과 인도의 여성-정부 프로젝트는 여성들이 ICT를 통해 지방 정부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4] 브라질에서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여성 커뮤니티 지도자들이 정부의 건강 서비스에 대한 온라인 데이터에 접근하고 활용하여 지역 사회의 공중 보건 문제에 더 잘 대응하도록 훈련받았다. 인도에서는 이 프로젝트가 여성 단체와 협력하여 여성 운영 인터넷 연결 커뮤니티 정보 센터를 설립하여 정부 지원(복지 및 권리 포함) 신청을 지원했으며, 이는 단체, 지방 당국 및 공공 기관 간의 연계를 개선했다.[35]디지털 기술을 갖춘 여성들은 지역 문제에 대한 목소리를 더 잘 내고 자신과 지역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또한 여성들이 정치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줄 수 있다.[34] 예를 들어, ICT의 익명성은 일부 여성들이 억압적인 사회에서 언론의 자유에 대한 제한을 피할 수 있게 해주는 반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집단 동원은 여성들이 성별 기반 문제에 대해 캠페인을 벌일 수 있게 해준다.[35] 연구에 따르면 이라크 여성 단체는 온라인 구성 요소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캠페인을 사용하여 쿠르드 지역 정부에 성공적으로 로비를 벌여 여성 할례 관행을 불법화했다.[36] 휴대폰으로 촬영하여 소셜 미디어를 통해 배포된 이미지는 중국의 가정 폭력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강제 낙태 관련 법원 사건에 대한 언론의 처리에 영향을 미쳤다.[37]
3. 경제적 역량 강화
여성의 경제적 자립은 여성 역량 강화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여성 역량 강화와 성 평등 달성은 국가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다. 많은 세계 지도자와 학자들은 성 평등과 여성 역량 강화 없이는 지속 가능한 개발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해 왔다.[14] 지속 가능한 개발은 여성 역량 강화를 포함한 환경 보호, 사회 및 경제 개발을 모두 포괄한다. 여성과 개발의 맥락에서 역량 강화는 여성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더 많은 선택지를 포함해야 한다.[19]
최근에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여성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여성들이 지방 정부와 교류하고 지역 사회에서 의사 결정 권한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34] 예를 들어, 브라질과 인도의 여성-정부 프로젝트는 ICT를 통해 여성들이 지방 정부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4] ICT의 익명성은 일부 여성들이 억압적인 사회에서 언론의 자유에 대한 제한을 피할 수 있게 해주는 반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집단 동원은 여성들이 성별 기반 문제에 대해 캠페인을 벌일 수 있게 해준다.[35]
3. 1. 신자유주의와 여성
19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정책 추진은 경쟁과 효율성을 강조하면서 여성의 경제적 지위를 불안정하게 만들었다는 비판을 받는다.[13] 특히, 복지 축소와 노동 시장 유연화는 여성의 저임금, 비정규직 고용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14][15][16][17]신자유주의는 복지 개혁을 통해 여성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복지 의존을 빈곤의 원인으로 보는 보수적 복지 개혁가들은 복지 수혜 기준을 강화하여 복지 의존도를 낮추려 했다.[14] 이들은 근로 요건과 시간 제한을 포함한 기준을 통해 여성들을 노동 시장으로 빠르게 밀어 넣었다.[14][15] 이는 미혼모와 무급 간병인이 비생산적이라는 생각을 강화했고, 여성들은 저임금, 불안정한 직업과 모성적, 가사적 책임을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14][15] 학자들은 복지 개혁의 근본적인 목적이 여성의 주체성과 경제적 독립성을 억압하여 여성의 권한을 약화시키는 것이라고 비판한다.[16][17][15]
이에 대한 대응으로 직업 훈련과 같은 여성 역량 강화 기회 제공이 제안된다.[16][15][14] 정규 교육 기회를 통해 가정 내 협상력을 높이고, 시장에서 더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18]
3. 2. 여성의 경제적 기회 확대 방안
신자유주의는 여성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복지 개혁은 여성의 주체성과 경제적 독립성을 억압하여 여성의 권한을 약화시킨다는 비판을 받았다.[16][17][15] 이에 대한 대응으로 직업 훈련과 같은 여성 역량 강화 기회 창출이 제시되었다.[16][15][14] 정책 입안자들은 여성의 공식 시장 진입을 돕기 위해 직업 훈련을 지원하고, 가정 내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정규 교육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11] 여성이 가정 밖에서 더 높은 임금을 받으면 시장에서 직업을 얻기 쉬워진다.[18]여성의 재산 상속 및 토지 권리 접근성 강화는 협상력과 성 불평등 해소에 필요한 자산 축적에 기여한다.[18]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 국가의 여성들은 성별 때문에 법적으로 토지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지만,[18] 토지 소유권은 여성에게 경제적 독립과 금융 기관 접근 기회를 제공한다.
유색 인종 여성은 직장에서 평등한 접근성과 특권 부족에 직면하며,[20]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의 역량 강화는 통제에 대한 저항, 자기 옹호, 사회적 규범과 기대에 대한 불복종으로 나타난다.[21]
소액 신용 대출은 담보 없이 낮은 이자율의 대출을 제공하여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돕는 방법론이다.[22][23] 소액 금융 기관은 여성 기업가에게 소액 신용 대출을 제공하지만,[23]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24] 비평가들은 소액 신용 대출만으로는 여성이 대출 사용 방식에 대한 통제권을 갖는 것을 보장하지 않으며, 남성이 가계 재정을 통제하는 문화적 장벽을 해결하지 못하고, 가사 의무에서 벗어나게 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23][25]
3. 3. 한국의 여성 경제 활동 현황과 과제
19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추진과 함께 여성의 노동 시장 진출이 적극적으로 장려되었지만, 이는 저임금, 불안정한 직업, 가사노동의 이중 부담으로 이어져 여성의 경제적 독립성을 억압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14][15][16][17]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업 훈련, 정규 교육 기회 제공, 재산 상속 및 토지 권리 강화, 소액 신용 대출 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다.[11][18][22]하지만 여전히 사회에는 성별, 인종, 계급에 따라 여성에게 불평등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으며, 특히 유색 인종 여성은 직장에서 더 많은 불이익에 직면한다.[20][21]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는 성 평등과 여성 역량 강화가 필수적이며,[14] 여성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19]
최근에는 ICT을 활용하여 여성들이 지방 정부와 소통하고 지역 사회 의사 결정에 참여하며, 정치 운동에도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34][35] 예를 들어, 여성 할례 불법화 로비, 가정 폭력 문제 제기, 강제 낙태 관련 법원 사건 보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등 디지털 기술을 통해 여성의 목소리를 높이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36][37]
4. 정치적 역량 강화

정치적 권한 강화는 여성의 성 평등과 주체성을 지원하는 정책 수립에 기여한다. 이를 위해 정책 결정 및 의회 의석에서 여성의 수를 할당하는 할당제를 포함하는 적극적 조치 정책 수립이 제안된다.[18]
여성의 투표권, 의견 개진, 공정한 선거 기회를 가지고 출마할 수 있는 능력 등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가정 내 협상력을 높이는 정책(이혼, 여성 복지 개선, 재산권 등)도 필요하다.[18] 일부 이론가들은 여성이 광범위한 정치 참여에 앞서 가정에서의 협상력과 주체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6]
4. 1. 여성의 정치 참여 현황과 과제
정치적 권한 강화는 공공 및 사적 영역 모두에서 여성의 성 평등과 주체성을 가장 잘 지원하는 정책을 수립하는 것을 돕는다. 2017년 기준으로 하원 및 단원 의회 의석을 가진 여성의 세계 평균은 23.6%이다.[12] 여성은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육아 및 가사 책임을 맡기 때문에 노동 시장에 진출하고 사업을 운영하는 데 할애할 시간이 적다.여성은 의사 결정을 위해 정치에 참여하고 이끌도록 선택될 가능성이 낮다.[27] 재정적, 사회적, 법적 제약으로 인해 여성은 지역 사회의 리더가 되기 어려웠다.[27][28] 조직 및 문화적 제약 또한 남성이 지배적인 분야에서 여성에게 영향을 미친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여성이 사회의 모든 측면에 동등하게 포함될 때만 지식, 지혜 및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여성의 동등한 대표성은 평화에 기여하고, 갈등을 줄이며, 장기적인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원한다.[29]
유엔 개발 계획(UNDP)에 따르면, 여성의 정치 참여를 늘리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30]
- 정책에 성 평등에 관한 진술 포함
- 여성의 참여와 선거에 대한 할당제 도입
- 여성 대표성 목표 설정
- 여성 후보자 수 증가 및 훈련
- 언론 노출 확대를 통한 캠페인에서 여성의 존재감 증대
세계 지식 재산 기구(WIPO) 또한 여성의 권한 강화가 지속 가능한 경제, 사회 및 문화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31]
4. 2. 디지털 기술과 여성의 정치 참여
디지털 기술은 여성들이 지방 정부와 교류하고 지역 사회에서 의사 결정 권한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질과 인도의 여성-정부 프로젝트는 여성들이 ICT를 통해 지방 정부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4] 브라질에서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여성 커뮤니티 지도자들이 정부의 건강 서비스에 대한 온라인 데이터에 접근하고 활용하여 지역 사회의 공중 보건 문제에 더 잘 대응하도록 훈련시켰다. 인도에서는 이 프로젝트가 여성 단체와 협력하여 여성 운영 인터넷 연결 커뮤니티 정보 센터를 설립하여 정부 지원(복지 및 권리 포함) 신청을 지원했으며, 이는 단체, 지방 당국 및 공공 기관 간의 연계를 개선했다.[35]디지털 기술을 갖춘 여성들은 지역 문제에 대한 목소리를 더 잘 내고 자신과 지역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또한 여성들이 정치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줄 수 있다.[34] 예를 들어, ICT의 익명성은 일부 여성들이 억압적인 사회에서 언론의 자유에 대한 제한을 피할 수 있게 해주는 반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집단 동원은 여성들이 성별 기반 문제에 대해 캠페인을 벌일 수 있게 해준다.[35] 연구에 따르면 이라크 여성 단체는 온라인 구성 요소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캠페인을 사용하여 쿠르드 지역 정부에 성공적으로 로비를 벌여 여성 할례 관행을 불법화했다.[36] 휴대폰으로 촬영하여 소셜 미디어를 통해 배포된 이미지는 중국의 가정 폭력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강제 낙태 관련 법원 사건에 대한 언론의 처리에 영향을 미쳤다.[37]
인터넷은 소셜 미디어에서 해시태그의 생성, 배포 및 활용을 통해 여성에게 역량을 부여하는 원천이 되는 경우가 많다. 20세기 후반에 인터넷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여성은 스스로에게 역량을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를 갖게 되었다. 여성은 Facebook, Twitter와 같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를 온라인 활동에 사용하기 시작했다.[71] 온라인 활동을 통해 그들은 캠페인을 조직하고 평등권을 위해 자신의 의견을 표명함으로써 스스로에게 역량을 부여할 수 있다.[72]
블로그는 여성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하나의 도구로 등장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의 연구에 따르면,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읽고 글을 쓰는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훨씬 더 행복한 기분이며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73]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읽음으로써 환자는 스스로를 더 잘 교육하고 동료 블로거들이 제안하는 전략을 적용할 수 있다.[73]
e-러닝(전자 학습)의 용이한 접근성과 경제성으로 여성은 집에서 편안하게 공부할 수 있다.[74] 그들은 경력 발전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배운다.
온라인 활동이 영향을 미친 사례로는, 2013년 여성에 대한 혐오를 퍼뜨리는 다양한 페이지를 Facebook이 삭제하도록 한 온라인 캠페인이 있다. 이 캠페인은 100명의 여성 옹호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75] 2017년, #AintNoCinderella 해시태그가 등장했을 때, 8월 4일 자정 이후 인도에서 29세 여성 바르니카 쿤두가 SUV에 탄 두 남자의 스토킹과 괴롭힘을 당하면서 바이럴 현상이 되었다.[76] 쿤두는 특히 BJP 정부 부회장 란비르 바티에 의해 밤늦게 밖에 있었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로 인해 인도와 전 세계의 여성들은 "#AintNoCinderella" 해시태그와 함께 밤늦게 밖에 있는 자신의 사진을 공유하며, 여성에게 따라야 할 특정 통금 시간이 없음을 보여주었다.[77]
4. 3. 한국의 여성 정치 참여 현황과 과제
한국 여성의 국회의원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2017년 기준 하원 및 단원 의회 의석을 가진 여성의 세계 평균은 23.6%[12]로, 여전히 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를 위해 당내 여성 할당제, 여성 정치인 육성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5. 문화적 역량 강화
여성의 문화적 역량 강화는 여성의 창의성과 표현의 자유를 증진하고, 사회 다양성을 확대하는 데 기여한다. 파리다 샤히드는 여성의 문화적 권리 인정이 여성이 인권을 동등하게 누릴 수 있는 조건을 만든다고 주장했다. 샤히드는 여성의 관점과 기여가 전 세계 문화를 창조하고 형성하는 과정의 중심으로 이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39] 말랄라 유사프자이는 저서를 통해 자신의 문화적 전통을 고려하고 평가하며 문해력에 대한 대안적 이해를 제시, 언어와 문해력이 식민주의적, 제국주의적 관점에 저항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41]
5. 1. 문화와 여성의 권리
문화는 여성의 권리를 제약하는 요인이 될 수 있지만, 동시에 여성의 역량 강화를 위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진보적인 사회는 문화를 여성의 권리에 대한 장벽으로만 보지 않고, 다양성의 중요한 부분이자 여성에게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는 매개체로 여긴다.[40] 여성은 자신의 가치관에 자부심을 가질 자유가 있으며, 이는 전통적이든 현대적이든 상관없다. 그러나 문화라는 이름으로 자행된 학대를 옹호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일부 연구에 따르면 여성 작가의 저작물이 동료 심사를 거치는 저널에 게재되려면 심사자가 저자의 성별을 알 수 없어야 한다.[40] 이는 역사적으로 습관화된 문화의 결과이며, 문학 분야에서 여성의 대표성이 부족하게 된 이유를 보여준다.여성의 동등한 문화적 권리를 인정하고 시행하는 것은 여성의 열등감과 종속성을 극복하는 방식으로 성(gender)을 재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문화적 권리 분야의 UN 전문가인 파리다 샤히드(Farida Shaheed)는 여성들이 전반적으로 인권을 완전히 그리고 동등하게 누릴 수 있는 조건을 크게 개선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샤히드는 여성의 관점과 기여가 문화 생활의 주변부에서 오늘날 전 세계 문화를 창조하고 형성하는 과정의 중심으로 넘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39] 여성은 지역 사회의 어떤 전통을 존중하고 보호하며 미래 세대에 전달할지를 결정할 권한을 부여받은 동등한 대변인으로 인정받고 지원받아야 한다.[39]
말랄라 유사프자이는 언어와 문해력이 식민주의적이고 제국주의적인 관점에 저항하는 데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시이다.[41] 서구 언론은 그녀를 교육 영웅, 테러와 탈레반에 의한 폭력의 대상, 여성에 대한 적대감의 희생자로 우상화했다.[41] 그녀는 자신의 저서에서 자신의 문화적 전통을 고려하고 평가하며 문해력에 대한 대안적 이해를 제시하는 강력한 목소리로 자신을 재정립한다.[41]
5. 2. 한국의 여성 문화 예술 활동 현황과 과제
진보적인 사회로서 여성의 권리와 역량 강화를 옹호하는 우리는, 문화를 여성의 권리에 대한 장벽이자 장애물로만 바라보는 것을 멈춰야 한다.[39] 문화는 다양성의 필수적이고 거대한 부분이며, 여성의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려는 매개체이다.[40] 문화는 여성들이 그들의 가치관에 자부심을 갖도록 하는 자유를 인정하며, 그 가치관이 정통적이든 현대적이든 상관없다. 그렇다고 해서 수 세기 동안 문화의 이름으로 자행된 학대를 계속 허용하거나 심지어 옹호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역량 강화라는 개념으로 포장된 전통은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반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연구에 따르면 여성 작가의 저작물이 동료 심사를 거치는 저널에 게재될 기회를 동등하게 얻으려면, 심사자가 저자의 성별을 전혀 알 수 없어야 한다.[40] 이는 역사적으로 습관화된 문화의 결과이며, 문학 분야에서 여성의 대표성이 부족하게 되었고, 따라서 모든 문화적 유산을 옹호하거나 장려해서는 안 되는 이유를 강력하게 보여준다.여성의 동등한 문화적 권리를 인정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여성의 열등감과 종속성을 극복하는 방식으로 성(gender)을 재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는 문화적 권리 분야의 UN 전문가인 파리다 샤히드가 주장한 바와 같이, 여성들이 전반적으로 그들의 인권을 완전히 그리고 동등하게 누릴 수 있는 조건을 크게 개선할 것이다.
샤히드는 여성의 관점과 기여가 문화 생활의 주변부에서 오늘날 전 세계 문화를 창조하고 형성하는 과정의 중심으로 넘어가야 한다고 덧붙인다.[39] "여성은 지역 사회의 어떤 전통을 존중하고 보호하며 미래 세대에 전달할지를 결정할 권한을 부여받은 동등한 대변인으로 인정받고 지원받아야 한다."[39]
말랄라 유사프자이는 언어와 문해력이 식민주의적이고 제국주의적인 관점에 저항하는 데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예시이다.[41] 서구 언론은 그녀를 교육 영웅, 테러와 탈레반에 의한 폭력의 대상, 여성에 대한 적대감의 희생자로 우상화했다.[41] 그녀의 저서에서, 그녀는 자신의 문화적 전통을 고려하고 평가하며 문해력에 대한 대안적 이해를 제시하는 강력한 목소리로 자신을 재정립한다. [41]
6. 페미니스트적 접근
페미니즘은 여성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는 운동으로 정의된다.[42] 페미니스트들이 여성 역량 강화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은 의식 고양과 여성 참여자들과 그들을 억압하는 외부 세력과의 관계 구축이다.[17][43]
"I Live Here Project"라는 조직은 전 세계 지역 사회에서 기본적인 인권이 충족되도록 노력한다. 이 조직의 목표는 "우리" 대 "그들"이라는 구분을 없애고 통합된 목소리를 만들어 "대변하기"보다는 "함께 이야기하기"이다. 이들은 서구 여성주의적 이상을 강요하는 대신, 여성들에게 필요한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48]
서구 여성주의적 이상을 강요하는 것은 문화적 차이와 관점을 고려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관점을 통해 사람들의 지식을 넓히고,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정확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48]
6. 1. 의식 고양
페미니스트들은 여성 역량 강화를 위해 의식 고양을 활용한다.[17] 의식 고양을 통해 여성들은 개인적인 어려움뿐만 아니라, 이러한 어려움이 정치적, 경제적 문제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알게 된다.[44][17] 의식 고양은 소외된 개인들이 더 큰 사회 구조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억압의 근본 원인을 정확히 찾아내도록 돕는다.[44][17]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인식은 자기 동기 부여를 시작하게 하며, 이는 곧 역량 강화로 이어진다.하지만 학자 셰인 브래디(Shane Brady)와 메리 오코너(Mary O'Connor)는 '의식 고양'이라는 용어가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참여자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45] '의식 고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소외된 공동체가 자신들의 억압과 대처 방법에 대해 알지 못한다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45]
6. 2. 관계 형성
여성주의 조직가들은 여성 역량 강화를 이끌어내는 수단으로 관계 형성에 주목한다.[45][46][43] 학자들은 사회 내 권력 격차 증가의 원인을 관계 부족으로 보고, 관계 형성이 역량 강화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47] 관계를 맺고 유지하려면 양측의 협력과 갈등이 모두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44][47] 갈등은 주로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정부 대표와 같은 외부 권력자들과 관계를 맺으려 할 때 발생한다.[47][46]의견 충돌을 해소하면 당사자 간 신뢰가 형성되므로, 협력 공간을 만들고 갈등하는 아이디어를 논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47][45] 또한 갈등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주고,[47] 사회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관점을 열어주어 여성 참여자들에게 개별적인 이익을 준다.[47] 한편, 학자들은 관계 형성이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억압적 구조에 직접 맞서지 않기 때문에 탈정치화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47] 이러한 탈정치화 경향의 예로 스토리텔링을 들 수 있다. 여성주의자들은 관계를 형성할 때, 여성 참여자들이 억압적인 시스템에 접근하는 전략을 고민하기보다 성별 억압과 관련된 개인적인 경험을 나누도록 유도한다.
7. 측정 및 평가
여성 역량 강화는 다양한 지표를 통해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다. 여성의 참여와 상대적 평등을 계산하는 척도로는 성별 격차 지수(GPI)가 있다.[8]
1995년 잠비아 루사카의 젠더 및 개발 컨설턴트 사라 흘루페킬레 롱웨는 롱웨 여성 역량 강화 프레임워크(WEF)를 개발했다. UN에서 채택된 WEF는 전 세계 여성 관련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의 개발, 계획, 모니터링을 위한 도구이다.[51] 이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정책 및 계획에서 여성 역량 강화를 평가하고 강화할 수 있다. WEF는 계획자가 여성 역량 강화와 평등의 실제적 의미를 질문하도록 돕는다. 여성 역량 강화와 성 평등에 대한 약속을 강조하는 WEF의 다섯 가지 차원은 복지, 접근성, 양심, 참여, 통제이다.[51]
여성 역량 강화를 평가하는 질적인 방법으로는 행동 제약 조건을 파악하는 것이 있다. 이를 통해 성별 간 권력 관계를 알 수 있다. 이는 참여적 과정이므로 성차별에 대한 대화를 촉진한다.[2] 여성에 대한 제약 조건을 비교하면 변화나 확장을 더 잘 식별할 수 있다. 여성 주체성 개발 평가는 취해진 조치에 대한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이 평가는 외부 그룹이 아닌 여성의 행동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외부 그룹은 여성 역량 강화를 돕지만, 역량을 부여할 수는 없다.[2]
7. 1. 성별 권한 척도 (GEM)
성별 권한 척도(GEM)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주어진 국가에서 여성의 참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이다. GEM은 여성이 보유한 의회 의석 비율, 여성 입법자, 고위 관리자 및 관리자, 여성 전문직 및 기술직 종사자 비율, 그리고 경제적 독립성을 반영하는 소득 격차를 추적하여 계산한다.[8] 이 정보를 바탕으로 국가의 순위가 매겨진다.GEM에 대한 비판으로는 성별, 종교, 문화적 맥락, 법적 맥락 및 여성 인권 침해와 같은 사회 관련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49] 성별 권한 척도는 여성 역량 강화를 측정하기 위한 일관된 표준화된 접근 방식을 시도하지만, 역사적 요인, 여성의 자율성, 성별 분리, 여성의 투표권 변화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받는다.[50]
7. 2. 성 관련 개발 지수 (GDI)
성 관련 개발 지수(GDI)는 유엔 개발 계획(UNDP)이 한 국가 내 성별 불평등을 측정하는 방식이다.[8] GDI는 여성의 건강, 교육, 소득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 측정에 대한 몇 가지 비판은 GDI 계산이 인구의 남성과 여성 간의 성과 분포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GDI가 성별 불평등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소득, 교육, 건강의 절대 수준을 측정한다는 것이다.[49]7. 3. 기타 척도 및 평가 방법
여성 역량 강화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주어진 국가에서 여성의 참여를 계산하는 성별 권한 척도(GEM)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GEM은 여성이 보유한 의회 의석 비율, 여성 입법자, 고위 관리자 및 관리자, 여성 전문직 및 기술직 종사자 비율, 그리고 경제적 독립성을 반영하는 소득 격차를 추적하여 계산한다.[8] 이 정보를 바탕으로 국가의 순위를 매긴다.GEM에 대한 몇 가지 비판은 성별, 종교, 문화적 맥락, 법적 맥락 및 여성 인권 침해와 같은 사회 관련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다.[49] 성별 권한 척도는 여성 역량 강화를 측정하기 위한 일관된 표준화된 접근 방식을 시도하지만, GEM이 역사적 요인, 여성의 자율성, 성별 분리, 여성의 투표권 변화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50]
1995년 잠비아 루사카에 거주하는 젠더 및 개발 컨설턴트인 사라 흘루페킬레 롱웨는 롱웨 여성 역량 강화 프레임워크(WEF)를 개발했다. UN에서 채택된 WEF는 전 세계적으로 여성 관련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의 개발을 달성하고 계획하며 모니터링하기 위한 툴킷이다.[51] 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정책 및 계획에서 여성 역량 강화를 평가하고 강화하는 것이 유익하다. 이 프레임워크는 여성 역량 강화와 평등이 실제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계획자가 질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여성 역량 강화와 성 평등에 대한 약속을 강조하는 WEF의 다섯 가지 차원은 복지, 접근성, 양심, 참여, 통제이다.[51]
여성의 참여와 상대적 평등을 계산하는 다른 척도에는 성별 격차 지수(GPI) 또는 성 관련 개발 지수(GDI)가 있다.[8] GDI는 유엔 개발 계획(UNDP)이 한 국가 내 성별 불평등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 측정에 대한 몇 가지 비판은 GDI 계산이 인구의 남성과 여성 간의 성과 분포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GDI가 성별 불평등을 측정하지 않고 소득, 교육 및 건강의 절대 수준을 측정한다는 것이다.[49]
여성 역량 강화를 평가하는 보다 질적인 형태는 행동에 대한 제약 조건을 식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성별 간의 권력 관계를 식별할 수 있다. 이는 참여적 과정이므로 성 차별에 대한 대화를 촉진한다.[2] 나중에 여성에 대한 제약 조건을 비교하면 변경 사항이나 확장을 더 잘 식별할 수 있다. 여성의 주체성 개발에 대한 평가는 취해진 조치에 대한 평가를 허용한다. 이러한 평가는 외부 그룹이 아닌 여성의 행동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외부 그룹은 여성의 역량 강화를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그들에게 역량을 부여할 수는 없다.[2]
8. 장벽
여성 역량 강화는 사회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이지만, 여전히 많은 장벽에 직면해 있다.
19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의 추진은 여성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복지 개혁은 여성의 경제적 독립성을 억압하는 결과를 초래했다.[13][14][15][16][17]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위해 정책 입안자들은 직업 훈련, 정규 교육 기회, 재산 상속 및 토지 권리 접근성 강화를 제안한다.[11][18] 소액 신용 대출도 한 가지 방법으로 제시되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22][23][24][25]
성 평등의 추구는 여전히 세계적인 과제이며, 사회 및 경제 생활의 모든 부문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성별 격차가 계속되고 있다. 파리에서 열린 여성 포럼에서는 '성 평등의 추구: 고된 싸움'이 발표되었으며(OECD의 글로벌 보고서에 따르면),[58] 성 불평등을 이해하고 특정 장벽을 제거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관리를 구축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한다.[59]
지속 가능한 환경 관리에 있어 중요한 세 가지 성 불균형은 다음과 같다.[59][60]
- 토지 권리: 여성은 식량, 소득 및 가계 자원을 위해 토지를 사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전 세계 토지의 13.8%만을 차지하며, 토지 권리의 모든 측면에서 수많은 법적, 사회적 장애에 직면한다.[59][60] 2023년 FAO 연구에 따르면,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지표 5.a.2를 보고한 국가의 절반이 여성의 토지 권리에 대한 법적 보호가 취약하다.[10]
- 리더십 및 의사 결정: 가정에서의 여성의 책임은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관여하기 어렵게 만든다.[59] 이는 자원 관리 및 의사 결정 시 여성의 필요, 우선 순위 및 기술이 무시되고 있음을 나타낸다.[58][59]
8. 1. 문화적 규범과 고정관념
19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 추진과 함께, 여성의 역량 강화와 성 평등 달성은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필수 요소로 여겨지지만, 여러 문화적 규범과 고정관념이 이를 저해하고 있다.[14]많은 사회에서 여성들은 전통적인 성 역할에 갇혀 차별적인 인식을 받는다. 이러한 고정관념은 여성의 교육 기회, 경제 활동 참여, 사회적 지위 향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성별 임금 격차는 여성이 남성과 동일한 직무를 수행하더라도 더 적은 임금을 받는 불평등한 현실을 보여준다. 2014년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이 1달러를 벌 때 0.79달러를 벌었으며,[56] 일하는 어머니의 경우 이 격차는 더 커져 0.71달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57]
유색 인종 여성은 직장 환경에서 더 많은 불이익에 직면하며, 이는 성별, 인종, 계급에 따른 복합적인 차별을 보여준다.[21] 이러한 차별은 사이버 스토킹, 괴롭힘, 온라인 포르노, 플레임 등 온라인 공간으로 확장되어 여성의 안전과 권리를 위협한다.[54]
국제 노동 기구(ILO)는 직장 내 성희롱을 성별에 따른 명백한 차별이자 불평등한 권력 관계의 표출로 규정하고, 여성 차별 철폐 협약(CEDAW)은 직장 내 성희롱과 폭력으로부터 여성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55]
이러한 문화적 규범과 고정관념은 여성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참여를 제한하고, 여성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회 전체의 발전을 저해한다.
8. 2. 여성에 대한 폭력
여성 역량 강화와 형평성에 대한 많은 장벽은 문화 규범의 결과이다. 많은 여성들이 성 불평등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만, 일부는 이에 익숙해져 있다.[52] 권력을 가진 남성들은 여성에게 불공평한 사회적 규범을 깨는 것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53]휴먼 라이츠 워치(Human Rights Watch)는 전 세계 많은 여성들이 직장에서 다양한 원치 않는 성적 행위를 경험하는 유해한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61] 이는 여성에게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서 공적 참여에 이르기까지 장기적인 영향을 미친다.[59] 직장에서 폭력을 견뎌야 한다는 두려움은 여성의 성장 가치에 대한 장벽이며 성별에 따른 직업 차별의 요인이다.[61]
연구에 따르면 인터넷 접근성이 증가하면 여성에 대한 착취가 증가할 수도 있다.[71] 웹사이트에 개인 정보를 공개하면 일부 여성의 개인 안전이 위험해진다. 2010년, 온라인 학대 중단을 위한 노력(Working to Halt Online Abuse)은 여성의 73%가 이러한 사이트를 통해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피해 유형에는 사이버 스토킹, 괴롭힘, 온라인 포르노, 플레임,[54] 특히 직장 내 성희롱이 포함된다. 이는 비즈니스, 무역, 은행 및 금융, 판매 및 마케팅, 접객업, 공무원, 강사, 교직 및 교육 분야에서 가장 자주 발생한다.[55] 국제 노동 기구(ILO)에 따르면 성희롱은 성별에 따른 명백한 형태의 성 차별이며, 남성과 여성 간의 불평등한 권력 관계의 표출이다. 여성 차별 철폐 협약(CEDAW)은 직장 내 성희롱과 폭력으로부터 여성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강화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직장인 54%(272명)가 직장 내 성희롱의 어떤 형태를 경험했다. 피해자의 79%는 여성이고, 21%는 남성이었다.[55]
8. 3. 경제적 불평등
신자유주의는 경쟁력과 자립을 중시하며, 이러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개인과 공동체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13] 특히, 복지 개혁 정책은 여성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4] 복지 의존을 빈곤의 원인으로 보는 보수적인 복지 개혁가들은 근로 요건과 시간 제한을 포함한 엄격한 기준을 통해 여성들을 노동 시장으로 빠르게 밀어 넣었다.[14][15] 이는 미혼모와 무급 간병인이 비생산적이라는 생각을 강화하고, 여성들이 저임금의 불안정한 직업과 모성적, 가사적 책임을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했다.[14][15] 학자들은 복지 개혁의 근본적인 목적이 여성의 주체성과 경제적 독립성을 억압하여 여성의 권한을 약화시키는 것이라고 비판한다.[16][17][15]정책 입안자들은 여성의 공식 시장 진입을 돕기 위해 직업 훈련을 지원하고, 가정 내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정규 교육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11][18] 여성의 재산 상속 및 토지 권리 접근성 강화는 여성의 협상력을 높이고 경제적 독립과 공식적인 금융 기관에 대한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제시된다.[18]
소액 신용 대출은 담보 없이 낮은 이자율의 대출을 제공하여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돕는 방법으로 제시되지만,[22][23]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24] 일부 비평가들은 소액 신용 대출이 여성의 대출 사용 통제권을 보장하지 않고, 가계 재정을 남성이 통제하는 문화적 장벽을 해결하지 못하며, 여성이 가사 의무에서 벗어나지 못해 시장 활동에 참여할 시간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23][25]
여성은 직장에서 성희롱, 불공정한 채용 관행, 경력 발전, 불평등한 임금 등 성별 관련 장벽에 직면한다.[56] 2014년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이 1달러를 벌 때 0.79달러를 벌었으며, 일하는 어머니의 경우 0.71달러로 성별 임금 격차가 더 컸다.[57]
9. 교육의 역할
교육은 여성 역량 강화의 핵심적인 수단이다. 교육을 통해 여성들은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결정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특히 문해력은 가능성과 힘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잘못된 사회적 통념은 소외와 무력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교육자와 활동가들은 사회적 성별 신화와 이야기를 고려해야 한다.[68]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더 많이 문해력이 높을수록 더 성공할 것이다"라는 주된 이야기를 연관시키는데,[69] 이는 언어 습득과 문해력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으며, 문해력에 대한 문화적으로 정해진 생각을 확증할 수 있다.[69][70]
9. 1. 교육의 중요성
교육은 여성들이 자녀의 건강, 웰빙, 생존 기술 습득 기회를 향상하는 선택을 하도록 돕는다.[63][13]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질병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교육은 여성들이 아동기 이후의 결혼과 더 적은 수의 자녀를 갖는 것을 포함하여 복지를 향상할 수 있는 선택을 하도록 돕는다. 교육은 여성의 권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자존감을 높이며, 권리를 주장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64]교육은 보편적으로 제공되지 않으며 성 불평등은 여전히 존재한다. 많은 국가에서 주요 관심사는 학교에 다니는 소녀의 수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교실에 들어가는 소녀들을 위한 교육 경로의 수이다. 과학, 기술, 공학 및 수학(STEM) 교육에서 소녀들의 낮은 참여율과 학습 성과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65]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소녀와 여성들이 학교에 다니는 것 때문에 공격을 받으며,[66] 이를 막기 위한 사회적 노력은 부족할 수 있다.[67]
교육은 문해력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교육자와 활동가들은 사회적 성별 신화와 이야기를 고려해야 한다.[68] 문해력은 가능성과 힘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소외와 무력감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68]
9. 2. STEM 분야 여성 교육
STEM 분야 여성의 낮은 참여율과 학습 성과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65]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소녀와 여성들이 학교에 다니는 것 때문에 공격을 받으며,[66] 이를 막기 위한 사회적 노력은 부족할 수 있다.[67]
9. 3. 인터넷 활용
디지털 기술은 여성들이 지방 정부와 교류하고 지역 사회에서 의사 결정 권한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질과 인도의 여성-정부 프로젝트는 여성들이 ICT를 통해 지방 정부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4] 브라질에서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여성 커뮤니티 지도자들이 정부의 건강 서비스에 대한 온라인 데이터에 접근하고 활용하여 지역 사회의 공중 보건 문제에 더 잘 대응하도록 훈련시켰다. 인도에서는 이 프로젝트가 여성 단체와 협력하여 여성 운영 인터넷 연결 커뮤니티 정보 센터를 설립하여 정부 지원(복지 및 권리 포함) 신청을 지원했으며, 이는 단체, 지방 당국 및 공공 기관 간의 연계를 개선했다.[35]디지털 기술을 갖춘 여성들은 지역 문제에 대한 목소리를 더 잘 내고 자신과 지역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또한 여성들이 정치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줄 수 있다.[34] 예를 들어, ICT의 익명성은 일부 여성들이 억압적인 사회에서 언론의 자유에 대한 제한을 피할 수 있게 해주는 반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집단 동원은 여성들이 성별 기반 문제에 대해 캠페인을 벌일 수 있게 해준다.[35] 연구에 따르면 이라크 여성 단체는 온라인 구성 요소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캠페인을 사용하여 쿠르드 지역 정부에 성공적으로 로비를 벌여 여성 할례 관행을 불법화했다.[36] 휴대폰으로 촬영하여 소셜 미디어를 통해 배포된 이미지는 중국의 가정 폭력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강제 낙태 관련 법원 사건에 대한 언론의 처리에 영향을 미쳤다.[37]
블로그는 여성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하나의 도구로 등장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의 연구에 따르면,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읽고 글을 쓰는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훨씬 더 행복한 기분이며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73]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읽음으로써 환자는 스스로를 더 잘 교육하고 동료 블로거들이 제안하는 전략을 적용할 수 있다.[73]
e-러닝(전자 학습)의 용이한 접근성과 경제성으로 여성은 집에서 편안하게 공부할 수 있다.[74] 그들은 경력 발전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배운다.
인터넷은 소셜 미디어에서 해시태그의 생성, 배포 및 활용을 통해 여성에게 역량을 부여하는 원천이 되는 경우가 많다. 20세기 후반에 인터넷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여성은 스스로에게 역량을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를 갖게 되었다. 여성은 Facebook, Twitter와 같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를 온라인 활동에 사용하기 시작했다.[71] 온라인 활동을 통해 그들은 캠페인을 조직하고 평등권을 위해 자신의 의견을 표명함으로써 스스로에게 역량을 부여할 수 있다.[72]
온라인 활동이 영향을 미친 사례로는, 2013년 여성에 대한 혐오를 퍼뜨리는 다양한 페이지를 Facebook이 삭제하도록 한 온라인 캠페인이 있다. 이 캠페인은 100명의 여성 옹호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75] 2017년, #AintNoCinderella 해시태그가 등장했을 때, 8월 4일 자정 이후 인도에서 29세 여성 바르니카 쿤두가 SUV에 탄 두 남자의 스토킹과 괴롭힘을 당하면서 바이럴 현상이 되었다.[76] 쿤두는 특히 BJP 정부 부회장 란비르 바티에 의해 밤늦게 밖에 있었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로 인해 인도와 전 세계의 여성들은 "#AintNoCinderella" 해시태그와 함께 밤늦게 밖에 있는 자신의 사진을 공유하며, 여성에게 따라야 할 특정 통금 시간이 없음을 보여주었다.[77]
10. 진행 중인 프로젝트
유엔은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발표하고, 여성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78]
10. 1.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유엔은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발표했다.[78]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총 17개인데, 그 중 네 번째 목표는 모든 사람에게 교육 접근성을 보장하는 것이고, 다섯 번째 목표는 여성과 소녀들이 건강 관리, 교육, 직업 등 다양한 기회에 동등하게 접근하여 성 평등을 달성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79][80] 여성의 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교에 여성을 포함시키려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졌다.[79]10. 2. 미국의 여성 역량 강화 지원

미국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해외 원조의 일환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의회에는 소녀들의 교육 접근성 보호법 등 소녀들의 교육을 보장하기 위한 법안이 상정되어 있다. 이러한 법안은 적절한 교육이 소녀들을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고 착취를 줄일 것이라는 믿음으로 제정되었다.[83]
2003년 부시 행정부는 PEPFAR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미국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14억달러 이상을 지원했다. PEPFAR는 전 세계적인 HIV/AIDS 위기에 대응하여 시행되었으며, 어린 소녀와 여성의 금욕을 장려했다.[84] DREAM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PEPFAR는 소녀와 여성이 Determined(결단력), Resilient(회복력), Empowered(역량 강화), AIDS-free(에이즈로부터 자유), Mentored(멘토링), Safe(안전)한 여성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85] 그러나 이 프로그램이 HIV 위험 행동을 줄이는 데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으며, 존 디트리히와 같은 비평가들은 원조가 결혼 전 금욕을 선택하라는 서구적 신념을 강요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86][87]
10. 3. 한국의 여성 역량 강화 정책
디지털 기술은 여성들이 지방 정부와 교류하고 지역 사회에서 의사 결정 권한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질과 인도의 여성-정부 프로젝트는 여성들이 ICT를 통해 지방 정부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4] 브라질에서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여성 커뮤니티 지도자들이 정부의 건강 서비스에 대한 온라인 데이터에 접근하고 활용하여 지역 사회의 공중 보건 문제에 더 잘 대응하도록 훈련받았다. 인도에서는 이 프로젝트가 여성 단체와 협력하여 여성 운영 인터넷 연결 커뮤니티 정보 센터를 설립하여 정부 지원(복지 및 권리 포함) 신청을 지원했으며, 이는 단체, 지방 당국 및 공공 기관 간의 연계를 개선했다.[35]디지털 기술을 갖춘 여성들은 지역 문제에 대한 목소리를 더 잘 내고 자신과 지역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또한 여성들이 정치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줄 수 있다.[34] 예를 들어, ICT의 익명성은 일부 여성들이 억압적인 사회에서 언론의 자유에 대한 제한을 피할 수 있게 해주는 반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집단 동원은 여성들이 성별 기반 문제에 대해 캠페인을 벌일 수 있게 한다.[35]
참조
[1]
논문
"Gender equality and women'empoverment: A critical analysis o the third millennium development goal 1."
2005
[2]
논문
Assessing women's empowerment: towards a conceptual framework
2005-03-01
[3]
논문
The role of empowering women and achieving gender equality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Ethiopia
2016-01
[4]
간행물
"Women's Economic Empowerment Conceptual Framework"
Oxfam
Forthcoming
[5]
논문
Who Needs [Sex] When You Can Have [Gender]? Conflicting Discourses on Gender at Beijing
1997-07
[6]
논문
From unheard screams to powerful voices: a case study of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in the Philippines
2013
[7]
웹사이트
Innovation for women's empowerment and gender equality
https://www.icrw.org[...]
2021-05-20
[8]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Human Development and Capability Approach: Freedom and Agency
https://idl-bnc.idrc[...]
Earthscan
2016-09-01
[9]
논문
Evidence of women's empowerment in India: a study of socio-spatial disparities
2006
[10]
서적
The status of women in agrifood systems - Overview
https://doi.org/10.4[...]
FAO
[11]
논문
"Contextualising the Economic Pathways of Women's Empowerment: Findings from a Multi-Country Research Programme."
2011
[12]
서적
Regional organizations, gender equality and the political empowerment of women
https://www.undp.org[...]
International IDEA
2018-04-08
[13]
논문
Addressing Recognition Gaps: Destigmatization and the Reduction of Inequality
http://journals.sage[...]
2021-05-12
[14]
논문
How welfare reform is affecting women's work
2000
[15]
논문
Welfare Reform in the United States: gender, race and class matter
http://dx.doi.org/10[...]
2006-05
[16]
논문
Social Provisioning as a Starting Point for Feminist Economics
http://dx.doi.org/10[...]
2004-11
[17]
논문
Community Organizing with Women of Color:: A Feminist Approach
http://www.tandfonli[...]
1994-07-07
[18]
논문
Women Empower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https://dspace.mit.e[...]
2012
[19]
논문
Women, Empower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1997-11
[20]
논문
Empowerment: A Framework to Develop Advocacy in African American Grandmothers Providing Care for Their Grandchildren
2011-02
[21]
논문
Control, Resistance, and Empowerment in Raced, Gendered, and Classed Work Contexts: The Case of African American Women
2003
[22]
보고서
Women's Control over Economic Resources and Access to Financial Resources, including Microfinance
https://www.un.org/w[...]
United Nations
2017-06-29
[23]
논문
"Microfinance and the politics of empowerment: a critical cultural perspective."
2014
[24]
논문
Microcredit, Empowerment, and Agency: Re-evaluating the Discourse
[25]
서적
Gender and economic growth in Kenya: Unleashing the power of women
World Bank Publications
2007
[26]
서적
Women and Human Development: The Capabilities to Approach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Gender equality in leadership, empowerment and cultural change
https://www.vic.gov.[...]
[28]
뉴스
Political Empowerment
https://wappp.hks.ha[...]
2022-10-10
[29]
웹사이트
Women's Empowerment in the Political Process – UNA-USA
https://unausa.org/w[...]
2020-03-13
[30]
웹사이트
Empowering Women for Stronger Political Parties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https://www.undp.org[...]
2022-10-31
[31]
웹사이트
WIPO Policy on Gender Equality
https://www.wipo.int[...]
2014-08-05
[32]
웹사이트
WIPO Intellectual Property (IP) and Gender Action Plan. The Role of IP in Support of Women and Girls
https://www.wipo.int[...]
2023
[33]
웹사이트
World Intellectual Property Day 2023: Message from WIPO Director General Daren Tang
https://www.youtube.[...]
2023-04-26
[34]
웹사이트
I'd blush if I could: closing gender divides in digital skills through education
https://unesdoc.unes[...]
2020-03-05
[35]
뉴스
"The chatbot will see you now"
New Yorker
2016-12-25
[36]
간행물
Alexa, should we trust you?
The Atlantic
2018-11
[37]
뉴스
Designing a chatbot: male, female or gender neutral?
Mercury News
2017-01-05
[38]
서적
Gender-responsive digitalization: A critical component of the COVID-19 response in Africa
https://doi.org/10.4[...]
FAO
[39]
웹사이트
Women's cultural rights: Empowering and transformative
https://www.ohchr.or[...]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12-11-08
[40]
웹사이트
Culture, Gender Equality and Development Co-operation
https://www.oecd.org[...]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21-09-10
[41]
논문
Forwarding Literacy in I Am Malala: Resisting Commodification through Cooperation, Context, and Kinship
https://publications[...]
2019-01-01
[42]
논문
Re-theorizing feminist community development: towards a radical democratic citizenship
https://academic.oup[...]
2011-07-01
[43]
논문
Women's Community Organizing and Identity Transformation
[44]
논문
Toward a Hybrid Model for Effective Organizing in Communities of Color
https://doi.org/10.1[...]
1994-01
[45]
논문
Understanding How Community Organizing Leads to Social Change: The Beginning Development of Formal Practice Theory
http://www.tandfonli[...]
2014-04-03
[46]
논문
Challenging Community Organizing: Facing the 21st Century
http://www.tandfonli[...]
2000-11-28
[47]
논문
Public relationship building in grassroots community organizing: relational intervention for individual and systems change
http://doi.wiley.com[...]
2010-08-03
[48]
논문
I Live Here: One Organization's Gendered Perspective on Humanitarian Aid and Social Justice
https://search.ebsco[...]
2011
[49]
논문
Measuring women's empowerment: an assessment of the gender-related development index and the gender empowerment measure
[50]
논문
Human Development and Gender Empowerment: Methodological and Measurement Issues
1998-06-01
[51]
논문
Women Empowerment and Work-Life Balance of Women Engineers in the Malaysian Energy Sector: A Conceptual Framework
https://www.shs-conf[...]
2021
[52]
서적
Women, Culture, and Development: A Study of Human Capabilities
Clarendon Press
[53]
보고서
Women's Control over Economic Resources and Access to Financial Resources, including Microfinance
https://www.un.org/w[...]
United Nations
2017-06-29
[54]
논문
Women and the Internet: Promise and Perils
[55]
웹사이트
Statistics
http://www.aware.org[...]
AWARE
2016-05-19
[56]
논문
Women Lawyers Blog for Workplace Equality: Blogging as a Feminist Legal Method
http://digitalcommon[...]
2016-06-22
[57]
웹사이트
'Motherhood Penalty' Can Affect Women Who Never Even Have a Child
https://www.nbcnews.[...]
2016-06-22
[58]
웹사이트
Legal and social barriers holding back women's empowerment in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 OECD
https://www.oecd.org[...]
2022-10-31
[59]
웹사이트
Gender and the environment: What are the barriers to gender equality in sustainable ecosystem management?
https://www.iucn.org[...]
2022-10-31
[60]
웹사이트
Remove the barriers
https://www.unwomen.[...]
2022-10-31
[61]
웹사이트
Four Barriers to Women's Economic Empowerment in Emerging Economies %
https://www.technose[...]
2022-10-31
[62]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The Rise of the South. Human Progress in a Diverse World
UNDP
[63]
간행물
EFA Global Monitoring Report 2013/2014: Teaching and Learning
UNESCO
[64]
서적
Mobile phones and literacy: Empowerment in Women's Hands; A Cross-Case Analysis of Nine Experiences
http://unesdoc.unesc[...]
UNESCO
2017-05-10
[65]
서적
Cracking the code: girls' and women's education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UNESCO
[66]
웹사이트
One Girl's Courage Leads Women to Equal Education Opportunities
https://www.proliter[...]
2021-04-05
[67]
웹사이트
Malala Yousafzai Wins Nobel Peace Prize: Education Empowers Girl's to Make Smart Choices in Family Planning
http://womenatthecen[...]
2021-04-05
[68]
논문
Cross-Cultural Perceptions of Literacies in Literacy Narratives
https://licsjournal.[...]
2022-11-15
[69]
논문
Successes, Victims, and Prodigies: ``Master'' and ``Little'' Cultural Narratives in the Literacy Narrative Genre
https://www.jstor.or[...]
2011
[70]
논문
At the "Ends of Kinship": Women Re(kin)figuring Literacy Practices in Protracted Displacement
https://licsjournal.[...]
2023-05-17
[71]
간행물
Online Activism for Women's Rights
[72]
간행물
The Question of Empowerment: Women's Perspective on Their Internet Use
[73]
간행물
Breast cancer patients blog their blues away
http://breastcancer.[...]
2015-09-17
[74]
간행물
The new alternative women's entrepreneurship education: E-learning and virtual universities
http://wojde.org/Fil[...]
2015-09-17
[75]
웹사이트
Online Feminist activists of the digital age
http://www.taipeitim[...]
2015-09-17
[76]
뉴스
"#AintNoCinderella: Why Indian women are posting midnight photos"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2-15
[77]
뉴스
Ain't no Cinderella: Women hit out at BJP leader for blaming Chandigarh stalking victim
https://www.thenewsm[...]
The News Minute
2018-10-01
[78]
뉴스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United Nations
http://www.un.org/su[...]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2018-03-14
[79]
뉴스
Education –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http://www.un.org/su[...]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2018-03-14
[80]
뉴스
United Nations: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http://www.un.org/su[...]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2018-03-14
[81]
웹사이트
Kamala Harris: The Vice President
https://www.whitehou[...]
2022-10-16
[82]
웹사이트
'Detailed Timeline {{!}} National Women''s History Project'
http://www.nwhp.org/[...]
2018-04-28
[83]
웹사이트
H.R.2408 – 115th Congress (2017–2018): Protecting Girls' Access to Education Act
https://www.congress[...]
2018-03-14
[84]
간행물
Bush Boosts AIDS Relief: Cause for Applause and Pause
2007-06-15
[85]
웹사이트
Working Together for an AIDS-Free Future for Girls and Women
https://www.pepfar.g[...]
2018-05-04
[86]
간행물
Abstinence Funding Was Not Associated With Reductions In HIV Risk Behavior In Sub-Saharan Africa
2016-05
[87]
뉴스
U.S. Spent $1.4 Billion To Stop HIV By Promoting Abstinence. Did It Work?
https://www.npr.org/[...]
NPR.org
2018-05-04
[88]
문서
Gender equality and women'empoverment: A critical analysis o the third millennium development goal 1.
[89]
간행물
Assessing women's empowerment: towards a conceptual framework
2005-03-01
[90]
간행물
The role of empowering women and achieving gender equality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Ethiopia
201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