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순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순 전투는 1894년 청일 전쟁 중 일본 제1군과 제2군이 뤼순을 공격하여 승리한 전투이다. 청나라는 압록강 전투와 황해 해전에서 패배한 후 뤼순에 방어 시설을 강화했다. 일본군은 1894년 10월 24일 랴오둥반도에 상륙하여 진저우와 다롄을 점령한 후, 11월 21일 뤼순 외곽에서 전투를 시작하여 다음 날 주요 방어 진지를 함락시켰다. 이 전투에서 일본군은 승리했지만, 이후 일본군이 민간인을 학살했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외교적으로 큰 문제를 야기했다. 이 사건은 '여순 학살'로 알려져 일본의 이미지를 손상시켰고, 미국과의 불평등 조약 재협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4년 11월 - 여순 대학살
여순 대학살은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 중 일본군이 뤼순에서 자행한 민간인 학살 사건으로, 사망자 수와 학살의 성격을 둘러싼 논란이 있으며, 일본 정부의 축소 시도와 엇갈린 국제 사회의 반응 속에 한일 관계에 깊은 상처를 남기고 동아시아 평화와 역사적 진실 규명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 청일 전쟁의 전투 - 우금치 전투
우금치 전투는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당시 농민군이 공주 점령을 시도했으나 관군과 일본군에게 패배하여 동학 농민 운동의 종결을 가져온 전투이다. - 청일 전쟁의 전투 - 평양 전투 (1894년)
평양 전투는 1894년 청일 전쟁 중 일본군이 평양을 공격하여 승리한 전투로, 청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상실했으며 일본은 한반도 주도권을 장악했다. - 1894년 중국 - 평양 전투 (1894년)
평양 전투는 1894년 청일 전쟁 중 일본군이 평양을 공격하여 승리한 전투로, 청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상실했으며 일본은 한반도 주도권을 장악했다. - 1894년 중국 - 압록강 전투
압록강 전투는 청일전쟁 중 일본군이 압록강을 건너 지우롄청을 점령하고 청군을 격파하여 일본군이 청나라 영토를 처음 점령하고 단둥으로 진격하는 발판을 마련한 전투이다.
여순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정보 | |
전투 | 뤼순커우 전투 |
부분 | 청일 전쟁 |
![]() | |
날짜 | 1894년 11월 21일 |
장소 | 청나라 랴오닝성 뤼순커우 |
결과 | 일본의 승리 |
교전 세력 | |
지휘관 | |
지휘관 1 | 이홍장 |
지휘관 2 | 오야마 이와오 |
병력 규모 | |
병력 1 | 13,000명 |
병력 2 | 15,000명 |
사상자 규모 | |
사상자 1 | 전사 4,000명 |
사상자 2 | 전사 40명 |
2. 배경
압록강 전투와 황해 해전에서 대패한 청군은 요동반도를 따라 여순(뤼순)으로 후퇴해 방어진을 강화하고 일본군에 방어하려 했다. 일본군의 전략적 목적은 요새화가 잘 되어 있고 전략적으로 중요한 해군 기지인 뤼순커우를 점령하는 것이었다.
이 해군 주둔지는 청나라 정부가 16년간 건설해 왔으며, 홍콩보다 시설이 우수하다고 여겨졌다. 언덕진 지형과 강력한 포대로 보강되었으며, 널리 난공불락의 요새로 여겨졌다. 여순은 드라이 도크 시설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곳이었고, 북양함대의 전함을 수리할 수 있는 현대식 장비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곳을 함락한다는 것은 청나라 북양함대가 전투 중 입은 손실을 만회할 수 있는 능력을 빼앗는다는 의미였다.[6] 또한 보하이 만 입구에 자리잡고 있는 여순의 위치는 베이징으로 접근하는 해로를 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했다.
2. 1. 청군의 방어 시설
청군은 압록강 전투와 황해 해전에서 패배한 후, 요동반도를 따라 뤼순으로 후퇴하여 방어 시설을 강화했다. 청군은 랴오둥반도에 상당한 요새를 건설하여 일본군의 공격에 대비했다.[6]진저우에는 240mm 포 4문, 210mm 포 2문, 150mm 포 2문과 1,500명의 병력이 주둔했다.[2] 다른 자료에는 2,700명으로 기록되어 있다.[3]
다롄의 5개 요새/포대에는 240mm 포 8문, 210mm 포 4문, 150mm 포 6문, 120mm 후장포 2문과 약 3,500명의 병력이 있었다.[4]
뤼순의 방어 시설은 다음과 같이 광범위하게 구축되었다.[2]
위치 | 24cm 크루프 포 | 20cm 공성포 | 21cm 크루프 포 | 9cm 야전포 | QF (속사포) | 16cm 크루프 포 | 15cm 크루프 포 | 12cm 크루프 포 | 기타 포 또는 특징 |
---|---|---|---|---|---|---|---|---|---|
호랑이 꼬리 | 3 | 2 | 24 | 4 | 6 | 4 | 수색등 2개 | ||
얼롱 언덕 | 10 | 13 | 1 | 2 | 12cm 암스트롱 포 4문 | ||||
소나무 언덕 | 2 | 2 | 1 | 1 | 산포 4문 | ||||
황금 언덕 | 3 | 2 | 8 | 18cm 포 2문, 9cm 공성포 4문 | |||||
합계 | 6 | 2 | 4 | 44 | 14 | 4 | 7 | 7 |
오야마 이와오가 지휘하는 일본 제국 육군 제1군은 두 갈래로 나뉘었다. 한 부대는 심양을 위협하기 위한 북진 부대였고, 다른 한 부대는 요동반도에서 여순으로 남진하는 부대였다. 야마지 모토하루 중장과 노기 마레스케 장군이 이끄는 일본 제국 육군 제2군은 1894년 10월 24일에 피저우(오늘날의 랴오닝성 푸란뎬 시 피커우)에 상륙했다.[6]
여순 함락 후, 일본군이 비전투원, 부녀자, 유아 등을 학살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타임스》(1894년 11월 28일자)와 《뉴욕 월드》(1894년 12월 12일자)는 여순 함락 다음 날부터 4일간 일본군이 학살을 자행했다고 보도했다.[2] 학살의 유무와 규모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종군 기자였던 아리가 나가오는 청나라 민간인의 피해가 있었음을 시사했다.[2]
또한, 75-88mm 구경의 위치포 및 야전포를 포함한 포 및 박격포 50문 이상이 있었다. 이는 15문의 미트라유즈와 경량 리볼버 캐논 외에도 추가된 것이다. 뤼순에는 해군 기뢰 78기도 있었다.[4]
요새와 육상 방어 시설에는 총 22,000명의 병력이 주둔했어야 했지만, 랴오둥반도에서 전투가 벌어졌을 때에는 최대 14,000명만이 배치되었다.[4]
3. 전투
1894년 11월 6일, 노기 부대는 진저우를 거의 저항 없이 점령했다. 랴오둥반도는 진저우를 지나면서 폭이 좁아져 뤼순은 육지로부터 고립되었다.[6] 11월 7일, 노기는 다롄 항구 도시로 진군하여 저항 없이 입성했다. 청나라 군은 급하게 철수하면서 지뢰밭 계획과 뤼순 방어의 세부 사항까지 두고 도주했다.[6] 설상가상으로, 북양함대는 톈진에 주둔하고 있는 이홍장으로부터 일본 제국 해군과의 교전을 피하고 웨이하이웨이로 철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더욱이, 뤼순에서 철수할 때 북양함대의 기함 진원이 웨이하이웨이 항구 입구의 암초에 부딪혀 좌초되었고, 수리할 수 있는 유일한 도크가 뤼순에 있었기 때문에 전쟁 기간 동안 사용 불능 상태가 되었다.[6]
1894년 11월 20일, 뤼순 외곽에서 충돌이 시작되었고, 청나라 군은 혼란에 빠져 약탈과 파괴를 일삼았다. 대부분의 청나라 관리들은 병사들을 버리고 도주했다.
11월 21일 자정 이후, 일본군의 공격이 시작되었다. 격렬한 포격 속에 일본군은 다음 날 정오까지 육상의 주요 방어 진지를 모두 점령했다. 해안 진지는 좀 더 오래 버텼지만, 오후 5시경에는 최후의 보루가 함락되었다. 11월 22일 밤, 살아남은 청나라 수비군은 57구경 대형포와 163구경 소형포를 버리고 남은 진지를 포기했다. 요새, 조병창, 대규모 석탄 공급은 대체로 고스란히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일본군이 시내에 진입하면서 청나라 병사들은 민간인 복장을 하고 숨어 저항했고, 일본군은 가택 수색을 통해 저항하는 성인 남성을 즉각 사살했다.
중국 측 사상자는 공식적으로 4,000명으로 추산되었고, 일본군은 29명 전사, 233명 부상, 행방불명 7명으로 기록되었다.
4. 여순 대학살
일본의 승리는 일본군이 도시의 중국인 거주자들을 광범위하게 학살했다는 보고로 인해 훼손되었다. 이는 중국군이 평양 전투 등지에서 일본군 포로에게 가한 고문과 살해 행위에 대한 보복이었다고 한다. 이 보고는 매우 논란이 되었는데, 다른 특파원들은 일본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처음에는 그러한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을 부인했다.[2]
이 사건은 '여순 학살'(Port Arthur Massacre)로 알려져 있으며, 국제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2]
4. 1. 외교적 영향
여순 대학살 사건은 당시 미국과 일본 간의 불평등 조약 개정 협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미국 상원은 조약 개정이 시기상조라는 목소리가 커졌고, 일본은 중요한 외교 현안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2] 무쓰 무네미쓰는 이 때문에 《뉴욕 월드》에 변명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2]
5. 결과 및 영향
뤼순커우에서 일본군의 신속한 승리는 당시 서방 관찰자들에게 청일전쟁의 전환점으로 여겨졌으며, 청나라 정부의 위신에 큰 타격을 입혔다.[1] 중국 정부는 해군 기지가 함락된 것을 부인하고, 이홍장의 관직을 박탈하는 것으로 대응했다.[1]
하지만 일본의 승리에 대한 위신은 승리한 일본군이 도시의 중국인 거주자들을 광범위하게 학살했다는 보고로 인해 훼손되었다.[1] 이는 중국군이 평양 등지에서 일본군 포로에게 가한 고문과 살해 행위에 대한 보복이었다고 한다.[1] 이 보고는 매우 논란이 되었는데, 다른 특파원들은 일본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처음에는 그러한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을 부인했다.[1] 학살 소식은 곧 서방 대중에게 퍼져나가 일본의 이미지를 손상시켰고, 일본이 불평등 조약을 미국과 재협상하려는 노력을 거의 물거품으로 만들 뻔했다.[1] 이 사건은 일반적으로 여순 대학살로 알려지게 되었다.[1]
참조
[1]
서적
The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Perception, Power, and Prim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Japan-China War : on the regent's sword : Kinchow, Port Arthur, and Talienwan
Kelly and Walsh Ltd
[3]
서적
Sino-Japanese naval war : 1894-1895
https://www.worldcat[...]
2014
[4]
서적
Sino-Japanese naval war : 1894-1895
https://www.worldcat[...]
2014
[5]
서적
China's Wars : Rousing the Dragon, 1894-1949
https://www.worldcat[...]
2013
[6]
서적
Arizo''The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Perception, Power, and Prim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