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압록강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압록강 전투는 1894년 10월 25일, 청일 전쟁 중 일본군과 청나라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평양 전투에서 패배한 청군은 압록강을 방어선으로 삼아 2만 3천 명의 병력과 100개 이상의 요새를 구축했으나, 일본군은 압록강에 배다리를 설치하여 손쉽게 강을 건너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 일본군은 지우롄청과 후산의 요새를 3시간 만에 점령하고, 청군은 무기와 물자를 버리고 도주했다. 이 전투의 승리로 일본군은 청나라 영토를 처음으로 점령했으며, 이후 만주 지역으로 진격하여 랴오둥반도와 봉천을 점령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4년 10월 - 쇼나이 지진
    1894년 야마가타현 쇼나이 평야에서 발생한 쇼나이 지진은 M7.3의 규모로 사카타시를 중심으로 큰 피해를 입혀 '사카타 지진'이라고도 불리며, 당시 도시를 소실시킨 대화재를 야기했고 목조 건축물 내진 설계의 중요성을 부각했다.
  • 청일 전쟁의 전투 - 우금치 전투
    우금치 전투는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당시 농민군이 공주 점령을 시도했으나 관군과 일본군에게 패배하여 동학 농민 운동의 종결을 가져온 전투이다.
  • 청일 전쟁의 전투 - 평양 전투 (1894년)
    평양 전투는 1894년 청일 전쟁 중 일본군이 평양을 공격하여 승리한 전투로, 청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상실했으며 일본은 한반도 주도권을 장악했다.
  • 1894년 중국 - 평양 전투 (1894년)
    평양 전투는 1894년 청일 전쟁 중 일본군이 평양을 공격하여 승리한 전투로, 청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상실했으며 일본은 한반도 주도권을 장악했다.
  • 1894년 중국 - 여순 전투
    여순 전투는 1894년 청일 전쟁 중 일본군이 랴오둥반도의 전략적 요충지인 여순을 점령하기 위해 벌인 전투로, 일본군의 함락으로 청나라의 위신이 실추되고 국제적인 비판을 받았다.
압록강 전투
전투 개요
전투 명칭압록강 전투 (구련성 전투)
시기1894년 10월 24일 - 1894년 10월 25일
장소조선-만주 압록강 유역 일대
원인청일 전쟁의 일부
결과일본 제국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청나라
교전국 2일본 제국
지휘관 및 병력
청나라 지휘관이크탕가, 송경
청나라 병력1만 5000명 (19,750명)
일본 제국 지휘관야마가타 아리토모
일본 제국 병력약 1만 3000명
피해 규모
청나라 사상자2000명 전사 (500명)
일본 제국 사상자4명 전사, 102명 부상 (34명 사망, 111명 부상)
이미지
1894년 10월 압록강 배다리 횡단 ([[후쿠시마 도시미쓰]] 우키요에)
후쿠시마 도시미쓰가 우키요에로 묘사한 1894년 10월 압록강 배다리 횡단
관련 정보
관련 전투평양 전투, 압록강 해전, 뤼순커우 전투, 잉커우 전투
일본어 명칭(오료쿠코 사쿠센)

2. 배경

평양 전투에서 패배한 후, 베이양 군대는 압록강, 즉 조선과 중국의 국경을 건너는 지점에서 다음 방어선을 구축했다. 중국 측에서는 청나라 장군 송경이 요새 도시 지우롄청 (九連城)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압록강 남쪽 제방을 지역 현청 소재지인 단둥까지, 북쪽 제방을 호산 (虎山) 마을까지, 각 방향으로 약 16km에 걸쳐 2만 3천 명의 병력과 100개 이상의 요새와 참호를 구축했다.

압록강의 한국 측에서는 일본군 장군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1894년 10월 23일 일본 제1군의 약 1만 명의 병력, 즉 제3사단과 제5사단을 이끌고 의주 요새 도시를 점령했다. 야마가타와 일본군의 주력 부대는 10월 23일에 도착했지만, 일본군 정찰대와 공병대는 그 달 초부터 강을 정찰하고 평양까지 전신선을 가설하는 등 활동을 시작했다.[1]

3. 전투 과정

1894년 9월 17일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지휘하는 일본군 1만 명은 황해 해전에서 청군의 북양함대를 격파하고 압록강 유역에 상륙해 남만주로 건너갔다.

조선의 국경 지대인 의주 맞은편에는 청군이 약 16km에 걸친 방어선과 100개의 보루를 설치하고 북양 군벌까지 합해 총병력 2만 3000명으로 대응했다.

10월 24일 밤, 일본군은 압록강에 배다리를 설치하고 손쉽게 강을 건넜다. 10월 25일 3시간에 걸친 전투 끝에 청군을 완전히 물리쳤다. 야마가타의 전략은 지우롄청의 북양군 주둔지에 대한 정면 공격을 가짜로 시도하고, 주력 부대는 후산에서 중국군의 측면을 공격하는 것이었다.

같은 날 밤, 일본군은 중국 요새 바로 앞에서 압록강에 부교를 성공적으로 설치했다. 가쓰라 타로 장군 휘하의 일본 제3사단은 1894년 10월 25일 밤, 후산에 야간 기습을 감행했지만, 중국 수비대의 대부분이 전날 밤 요새를 버리고 도주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노즈 미치쓰라 장군 휘하의 일본 제5사단은 지우롄청으로 건너가, 후방 경비병들만 형식적인 저항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진지가 비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3시간도 채 되지 않아 지우롄청과 후산의 요새는 일본군의 손에 들어갔다.

마찬가지로, 다둥도 다음날 저항 없이 점령되었고, 북양군은 다량의 무기와 물자를 남겨두고 도주했다.

1894년 10월 25일 새벽,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이끄는 제1군 주력 부대는 도하 작전을 개시했다. 일본군의 맹렬한 공격에 겁을 먹은 청나라군은 앞다투어 도주했고, 일본군은 지우롄청을 무혈 입성했다. 이 작전의 성공으로 일본군은 처음으로 청나라 영토점령했다.

4. 결과 및 영향

이후 일본군은 단둥에 무혈 입성하고 그곳에서 일본 육군 제1군은 2개 진로로 나뉘었다. 가쓰라 다로 중위가 이끄는 군대는 11월 ~ 12월 여러 소규모 전투를 치르고 전략적 요충지인 여순항에 접근하고, 오쿠 야스카타 중위가 이끄는 군대는 만주의 중심지 봉천으로 진군하기로 했다.

일본이 장악한 랴오둥반도 지역에는 고무라 주타로 남작(후에 후쿠시마 야스마사 중장으로 교체)이 이끄는 임시 일본 민간 행정부가 설치되었다.

일본 제1군은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가쓰라 다로 중장이 지휘하는 한 그룹은 도주하는 안둥 수비대(녜스청 장군 포함)를 북쪽으로 추격하여 10월 30일 일본군에 함락된 펑황청, 11월 15일에 점령된 펑황청 서쪽의 시우옌까지 진격했다. 이는 전략적 항구인 뤼순커우(Port Arthur)로 가는 육로를 차단하는 데 기여했다.[1]

오쿠 야스카타 중장 휘하의 두 번째 그룹은 혹독한 겨울 날씨 속에서 북쪽으로 진격하여 펑톈(奉天)현의 중심지인 무크덴을 위협했다. 쑹(宋) 장군과 지우롄청 수비대는 일본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랴오양을 점령했고, 양군은 겨울 주둔지에 들어갔다.

1894년 10월 25일 새벽,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이끄는 제1군 주력 부대는 도하 작전을 개시했다. 일본군의 맹렬한 공격에 겁을 먹은 청나라군은 앞다투어 도주했고, 일본군은 지우롄청을 무혈 입성했다. 이 작전의 성공으로 일본군은 처음으로 청나라 영토점령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