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목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목어는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과 경상북도 봉화군을 중심으로 서식하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물고기이다. 과거에는 한강, 섬진강, 낙동강 수계에도 분포했으나 현재는 거의 멸종된 상태이다. 1996년부터 환경부에 의해 특정보호어종으로 지정되어 포획, 채취, 가공, 유통이 금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터 지몬 팔라스가 명명한 분류군 - 참수리
참수리는 수리과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로, 러시아 동부에서 번식하고 한국, 일본 등지에서 월동하며, 큰 부리와 흰 꼬리, 짙은 갈색 깃털이 특징이고, IUCN Red List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보호가 필요하다. - 페터 지몬 팔라스가 명명한 분류군 - 마눌
마눌은 중앙아시아 산악지대에 서식하며 짧은 귀와 빽빽한 털을 가진 고양이과 포유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되고, 털가죽 이용과 약용으로도 위협받고 있다. - 정선군의 문화유산 - 정선 용소동굴
정선 용소동굴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위치한 국내 최대 규모의 수중 동굴로, 조선 누층군에 발달하여 총 연장 약 250m, 수심 약 50m에 달하며 학술적, 생태학적 가치가 높아 공개가 제한되고 수중 생물이 서식한다. - 정선군의 문화유산 - 정선 산호동굴
정선 산호동굴은 강원도 정선군에 위치한 약 1.7km 길이의 석회암 동굴로, 동굴산호와 종유석, 석순 등 다양한 동굴 생성물이 존재하며 학술적, 자연유산적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나 보존을 위해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다.
열목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Brachymystax lenok |
명명자 | Pallas(1773) |
몸길이 | 약 70cm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목 | 연어목 |
과 | 연어과 |
속 | 열목어속 |
종 | 열목어 |
보존 상태 | |
IUCN | LC (관심 필요) |
대한민국 환경부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
기타 | |
다른 이름 | 팽팽이 |
2. 분포
대한민국에서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암사의 열목어 서식지와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에 있는 열목어 서식지를 각각 천연기념물 제73호와 제74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특히 경상북도의 열목어 서식지는 열목어가 살 수 있는 남쪽 한계지인데, 멸종되었다가 지역 주민들이 강원도로부터 종자를 들여와 되살렸다. 설악산과 오대산 천연보호구역에서도 보호받고 있다. 경기도, 충청북도의 한강수계, 전라북도 섬진강수계, 경상북도 낙동강수계 및 한강으로 흐르는 가평과 청평의 최상류 계류에 고루 서식했으나 현재는 거의 절멸된 상태다.
몽골, 만주, 북한에서는 여전히 인기 많은 계류 낚시 어종이며, 과거에는 남한에서도 인기있는 계류 낚시 어종 중 하나였다.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암사의 열목어 서식지와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에 있는 열목어 서식지를 각각 천연기념물 제73호와 제74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특히 경상북도의 열목어 서식지는 열목어가 살 수 있는 남쪽 한계지인데, 열목어가 멸종되었다가 지역 주민들이 강원도로부터 종자를 들여와 되살렸다. 열목어는 설악산과 오대산 천연보호구역에서도 보호받고 있다. 경기도, 충청북도의 한강수계, 전라북도 섬진강수계, 경상북도 낙동강수계 및 한강으로 흐르는 가평과 청평의 최상류 계류에 고루 서식했으나 현재는 거의 절멸된 상태다.몽골, 만주, 북한에서는 여전히 인기 많은 계류 낚시 어종이다. 과거에는 남한에서도 인기있는 계류 낚시 어종 중 하나였다고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1996년 1월부터 환경부가 특정보호어종으로 지정하여 열목어를 허가없이 채취, 포획, 가공, 유통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참조
[1]
간행물
"''Brachymystax lenok''"
2022-03-22
[2]
FishBase
[3]
논문
"Chromosomal study of the lenoks, Brachymystax (Salmoniformes, Salmonidae) from the South of the Russian Far East."
[4]
논문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 between two species of Brachymystax in Wusuli River revealed by microsatellites."
[5]
논문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blunt-snouted lenok Brachymystax tumensis (Salmoniformes, Salmonidae)."
https://www.tandfonl[...]
[6]
논문
The evolutionary history of sharp- and blunt-snouted lenok (''Brachymystax lenok'' (Pallas, 1773))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paleo-hydrological history of Siberia.
http://www.biomedcen[...]
[7]
간행물
"Trout's Siberian Siblings"
http://www.ratschan.[...]
[8]
논문
"DNA sequence variation in the mitochondrial control region of lenok (Brachymystax lenok) populations in China."
[9]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0]
웹인용
팽팽이
https://stdict.korea[...]
표준국어대사전
2018-04-08
[11]
웹사이트
열목어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