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눌은 고양이과 삵속에 속하는 소형 고양이로, 벵골삵 계통과 가깝다. 페터 시몬 팔라스가 1776년 처음 발견하여 학명을 명명했으며, 이후 속명이 변경되었다. 털이 길고 빽빽하며 밝은 회색 바탕에 황색 또는 황토색을 띠는 특징을 가지며, 둥근 귀와 독특한 얼굴 생김새를 갖는다. 중앙아시아, 몽골, 티베트 고원 등지에 서식하며, 단독 생활을 한다. 서식지 파괴, 밀렵, 목양견에 의한 포식 등의 위협을 받으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되어 있다. 사육 번식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동물원에서 번식에 성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터 지몬 팔라스가 명명한 분류군 - 참수리
참수리는 수리과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로, 러시아 동부에서 번식하고 한국, 일본 등지에서 월동하며, 큰 부리와 흰 꼬리, 짙은 갈색 깃털이 특징이고, IUCN Red List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보호가 필요하다. - 페터 지몬 팔라스가 명명한 분류군 - 물까치
물까치는 극동아시아에 분포하며 강청색 깃털과 긴 꼬리를 가진 까마귀과의 텃새로, 곤충, 과일, 종자 등을 먹고 일부일처제로 가족군을 이루어 생활한다. - 우즈베키스탄의 포유류 - 사이가산양
사이가산양은 영양족에 속하며 독특한 코를 가진 동물로, 중앙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멸종 위기에 놓였으나 개체수가 회복되는 추세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포유류 - 갑상선가젤
갑상선가젤은 모래와 자갈 평원, 석회암 고원에 서식하며, 과거 근동 지역에 대규모 무리가 존재했으나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고, 일부다처제 짝짓기 행동을 보이는 가젤의 일종으로, 여러 아종이 존재하며 분포 지역 대부분에서 계절에 따라 이동한다. - 고양이아과 - 퓨마
퓨마는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대형 고양잇과 동물로, 넓은 분포와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며 단독 생활을 하는 사냥꾼이지만, 서식지 감소와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여러 문화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고양이아과 - 카라칼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하는 중형 고양잇과 동물인 카라칼은 검은 귀털이 특징적이며, 아프리카황금고양이와 함께 카라칼속을 형성하고 서식지 파괴와 가축 습격으로 위협받고 있다.
| 마눌 | |
|---|---|
| 분포 | |
![]() |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류강 |
| 목 | 식육목 |
| 과 | 고양이과 |
| 아과 | 고양이아과 |
| 속 | 마눌속 |
| 학명 속명 | Otocolobus |
| 속 명명자 | Brandt, 1841 |
| 종 | 마눌 |
| 학명 | Otocolobus manul |
| 학명 명명자 | Pallas, 1776 |
| 이명 | Felis manul Pallas, 1776 |
| 일반 정보 | |
| 이름 | 마눌 |
| 영어 이름 | Manul, Pallas's cat |
| 형태 | |
| 몸길이 | 46~65 cm |
| 꼬리 길이 | 21~31 cm |
| 무게 | 15~20 kg |
| 보존 상태 | |
| IUCN | 취약근접종 |
| CITES | 부속서 II |
2. 계통 분류
마눌은 고양이과 내에서 삵속(''Prionailurus'')에 속하며, 벵골삵 계통과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82] 벵골삵속의 공통 조상과는 590만 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82]
페터 시몬 팔라스는 1776년 다지다강 근처에서 처음 발견한 마눌에 대해 ''Felis manul''이라는 학명을 사용했다.[2][3][9] 1842년 요한 프리드리히 폰 브란트는 ''Otocolobus''를 속명으로 제안했다.[6][7]
핵 DNA 분석에 따르면, 고양이과의 진화 방산은 약 1445만 년에서 838만 년 전 후기 마이오세 동안 아시아에서 시작되었다.[11][12]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따르면, 약 1676만 년에서 646만 년 전에 방산이 일어났다.[13] 마눌은 핵 DNA 분석에 근거하여 ''Prionailurus''속과 공통 조상으로부터 약 855만 년에서 480만 년 사이에 유전적 분기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1]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따르면, ''Felis''와 공통 조상으로부터 약 940만 년에서 146만 년에 분기되었다.[13]
2. 1. 하위 분류
과거에는 3개의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91] 분자계통학적 근거는 없으며,[83] 2017년부터 고양이 전문가 그룹의 고양이 분류 작업반은 다음 2개의 아종만을 유효명 분류군으로 인정한다.[10]| 아종 | 분포 지역 | 비고 |
|---|---|---|
| Otocolobus manul manul (페터 시몬 팔라스, 1776) | 이란에서 몽골까지 이르는 서부 및 북부 중앙아시아 지역 | 아종 O. m. ferrugineus는 동의어로 간주됨. |
| Otocolobus manul nigripectus (브라이언 호턴 호지슨, 1842) | 카슈미르에서 부탄까지 이르는 히말라야산맥 지역 |
마눌고양이는 집고양이와 비슷한 크기이다.[4] 길고 빽빽한 털과 다부진 자세 때문에 뚱뚱하고 푹신해 보인다. [14]
마눌고양이는 코카서스 산맥에서 동쪽으로 중앙아시아, 몽골, 준가리아, 티베트 고원까지 넓은 지역에 걸쳐 서식한다. 해발 450~5,073m의 바위가 많은 초원, 스텝, 반사막 등지에서 주로 발견된다.[85] 특히 눈이 많이 쌓이지 않는 산악 관목지, 초원, 바위 노두, 너덜 경사지 및 협곡을 선호한다.[14]
3. 형태
구분 수컷 암컷 몸길이 46cm ~ 65cm[16], 50 - 65cm[87] 46cm ~ 65cm[16], 50 - 65cm[87] 꼬리 길이 21cm ~ 31cm[16], 21 - 31cm[87] 21cm ~ 31cm[16], 21 - 31cm[87] 몸무게 3.3 - 5.3kg[85] 2.5 - 5kg[85], 2.5kg ~ 4.5kg[16]
몸은 튼튼하며, 두개골은 짧은 비골, 확대된 두개골 부분 및 둥근 관골궁이 있는 둥근 모양이다. 안와는 크고 앞쪽으로 향해 있다. 다리는 짧고 짧고 날카로운 후퇴 가능한 발톱이 있다.[17] 다른 고양이과 동물에 비해 발과 발톱이 짧고, 엉덩이가 약간 크다.
털은 밝은 회색이며 옅은 황색-황토색 또는 옅은 황적색을 띤다.[4] 일부 털 끝은 흰색이고 일부는 검은색을 띤다. 겨울에는 털이 더 회색이고 더 빽빽하며 여름보다 표식이 적다.[14] 몸은 엷은 회색, 복면은 흰색, 사지는 황토색, 허리에 갈색 가로 줄무늬가 있다.[88] 개체에 따라서는 이 가로 줄무늬가 두꺼운 털 때문에 구별이 안 될 수도 있다.
하모는 40mm 길이이고 19 μm 두께이며, 털의 경호는 최대 69mm 길이이고 등에서 93 μm 두께이다. 털은 부드럽고 빽빽하며 최대 9000/cm2이다.[14] 이 두꺼운 털 덕분에 눈 위나 얼어붙은 땅 위에 배를 대고 있어도 몸이 차가워지지 않는다.[86][88] 계절이 바뀌면 털갈이를 한다. 겨울 털은 여름 털보다 회색빛이 강하고, 무늬가 선명하지 않다.[86]
등에는 5~7개의 어두운 가로 선으로 구성된 좁은 검은 줄무늬가 있다.[4] 꼬리에는 5 - 6개의 검은 줄무늬가 있고, 끝은 검은색이다.[87][88] 회색 꼬리에는 7개의 좁은 검은색 고리와 검은색 팁이 있다.[14]
뺨은 흰색이고 긴 털이 있다.[88] 눈꼬리에서 턱 관절로 이어지는 뺨에 두 개의 검은색 지그재그 선이 있다.[4] 눈가에서 뺨까지 검은 줄무늬가 있다. 턱에서 목까지도 흰색이며, 몸 아랫면에서는 빽빽한 회색 털이 된다.
마눌고양이의 귀는 뒤쪽에 황색을 띠는 회색이며 더 어두운 테두리가 있지만, 앞쪽과 귀 이개에는 흰색 털이 있다. 둥근 귀는 옆쪽에 낮게 위치해 있어 물체를 넘겨다볼 때 귀를 숙이지 않고 눈 위로 머리의 비교적 작은 부분만 보여줄 수 있다. 이는 얼굴에 사나움과 불안의 모습을 줄 수 있다.[8] 좌우 귓바퀴는 떨어져 있고 낮은 위치에 있다.[86][87] 특징적인 얼굴 생김새로, 눈의 위치가 높은 곳에 있어서 이마가 높고 둥근 귀가 낮고 떨어진 위치에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88] 눈은 얼굴 앞쪽에 위치한다.[86][87] 눈의 위치가 높은 것은 몸을 숨길 장소가 적은 평탄한 사막이나 스텝에서 바위 그늘에 엎드려 바위 위에서 눈만 내밀고 먹이를 노리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88]
눈은 흰색으로 둘러싸여 있다. 홍채는 황색이며 동공은 햇빛 아래에서 작은 원형 디스크로 수축한다.[8] 홍채는 노란색이고, 동공은 둥글게 수축한다.[87][88] 고양이과 동물 중에서는 이러한 둥근 동공 특징을 ''퓨마''(Puma), ''Herpailurus'', ''Acinonyx'' 종과 공유한다.[15]구분 수컷 암컷 두개골 길이 87mm 84mm 두개골 너비 (기저부) 66mm 65mm
아랫부분 carnassial 치아는 강력하며 윗부분 carnassial 치아는 짧고 튼튼하다. 첫 번째 쌍의 위 전구치는 없다. 치열은 앞니가 위아래 6개, 송곳니가 위아래 2개, 작은 어금니가 위아래 4개, 큰 어금니가 위아래 2개로 총 28개이다.[87] 치아 공식은 3.1.2.13.1.2.1이다.[17] 이빨 힘은 송곳니 끝에서 155.4 뉴턴이며, 송곳니 끝에서 물어뜯기 힘 지수는 113.8이다.[18]
마눌고양이의 미토콘드리아 게놈은 16,672 염기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3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 22개의 전령 RNA 및 2개의 리보솜 RNA 유전자와 하나의 비코딩 RNA 조절 영역을 포함한다.[19]
4. 생태



서식지의 기후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남서부 지역은 춥고 건조한 겨울과 따뜻한 여름, 적거나 중간 정도의 강우량을 보인다.[20] 중앙 지역은 건조 스텝 또는 반사막 식생이 덮인 구릉 지형, 높은 고원, 산간 계곡 등이며, 대륙성 기후로 인해 겨울에는 까지 기온이 내려간다.[14]
마눌고양이는 주로 설치류, 조류 등을 먹이로 하며, 굴 입구에서 매복하거나 잠복하여 사냥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얕은 굴에서 앞발로 설치류를 꺼내기도 한다.[14] 알타이 산맥에서는 긴꼬리땅다람쥐, 납작두개땃쥐, 마눌토끼의 잔해와 새 깃털이 발견되기도 했다.[14] 몽골 중부의 후스타이 누루 국립공원 완충지대에서 수집된 마눌고양이의 배설물 샘플에는 주로 다우리아토끼, 몽골저빌, 몽골은빛밭쥐의 잔해와 참새목 새, 딱정벌레, 메뚜기의 잔해가 들어 있었다.[59]
단독 생활을 하는 마눌고양이는[14] 냄새 표시를 통해 영역을 표시한다. 동굴, 바위 틈새, 마멋 굴을 은신처로 사용하며,[14] 몽골 중부에서 연구된 결과에 따르면 겨울과 여름에 각각 다른 굴을 사용하며, 굴의 입구 크기와 거주 기간도 계절에 따라 달랐다.[56] 암컷의 행동권은 7.4km2 에서 125.2km2, 수컷은 20.9km2 에서 207km2로 다양했으며, 겨울에는 행동권 크기가 감소했다.[39]
몽골 중부의 보호되지 않은 지역에서 마눌고양이는 5월에서 8월 사이에는 주로 박명에 활동하고, 9월에서 11월 사이에는 낮에도 활동했다.[57] 몽골 서부 알타이 산맥의 연구에서도 낮 동안 활동했지만, 가축이 있는 지역에서는 빈도가 더 낮았다.[58]
위협을 느끼면 윗입술을 들어 올려 큰 송곳니를 드러내는 독특한 행동을 보인다.[86]

4. 1. 번식
암컷은 약 1세에 성적 성숙에 이른다.[62] 발정기는 26~42시간이다.[63] 임신 기간은 66~75일이다.[62][63]
자연광 조건에서 사육된 수컷 마눌 고양이는 9월부터 12월까지 번식기 시작과 함께 공격적이고 영토적인 행동을 보였다. 혈액에는 비번식기보다 3배 더 많은 테스토스테론이 포함되어 있었고, 정액은 더 농축되었으며, 더 정상적인 정자 형태와 더 높은 운동성을 보였다.[64]
야생에서 암컷은 4월 말에서 5월 말 사이에 2~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 태어난 새끼의 털은 솜털 같고, 눈은 약 2주까지 감겨 있다.[14] 동물원에서 태어난 수컷 새끼는 89g의 무게, 12.3cm의 길이, 5.5cm의 꼬리를 가지고 있었다.[62]
몽골 중부 지역에서 새끼를 둔 암컷 7마리가 20개의 굴을 4~60일 동안 사용했다. 어미 굴은 바위 사이에 있거나, 타르바간 마멋(''Marmota sibirica'')의 이전 굴에 있었으며, 최소 두 개의 입구를 가지고 있었다.[56] 이란에서는 마눌 고양이가 네 마리의 새끼를 낳기 위해 늙은 그리스 노간주나무 (''Juniperus excelsa'')의 구멍을 번식 굴로 사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65]
두 달 된 새끼는 500g~600g의 무게가 나가고, 털은 점차 길어진다. 약 5개월부터 사냥을 시작하고, 6~7개월에 성체 크기에 도달한다.[14]
5. 위협 요인
마눌고양이는 서식지 파괴 및 단절, 밀렵, 목양견에 의한 포식, 살서제 중독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82] 과거 중국, 몽골, 러시아에서는 털가죽을 얻기 위해 매년 10,000마리 이상을 대량으로 사냥했다.[66] 1987년 몽골은 9,185개의 마눌고양이 가죽을 수출했지만, 1988년 이후 국제 거래는 중단되었다.[66] 그러나 몽골에서는 가죽과 신체 부위를 약용으로 국내에서 거래가 계속되고 있으며, 연중 사냥이 가능할 수 있다.[67]
목양견이 마눌고양이를 죽인 사례가 이란, 카자흐스탄, 알타이 공화국에서 보고되었다.[26][33][21] 카자흐스탄과 알타이 공화국에서는 소형 포유류를 잡기 위해 설치된 함정에 마눌고양이가 희생되기도 한다. 자바이칼에서는 밀렵 위협을 받고 있다. 21세기 초, 몽골에서는 설치류 방제 조치의 일환으로 살서제 브로마디올론을 사용하여 육식 동물과 맹금류의 먹이 기반이 중독되었다.[21]
티베트 고원의 싼장위안 지역에서는 2005년부터 2009년 사이에 54147km2의 초원이 중독되었고, 이로 인해 약 50000ton~80000ton의 생물량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68] 채광 및 인프라 프로젝트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 역시 마눌고양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1]
농지 개발, 목초지로의 전환, 과방목, 채굴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및 단절, 불법 사냥, 마멋류와 오인되어 사냥되거나 덫에 의한 혼획, 과방목으로 인해 증가한 양치기 개와 들개에 의한 포식 등으로 인해 서식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82] 본종의 먹이와 굴을 제공하는 우는토끼류, 설치류는 가축과의 경쟁 및 감염증 방지 등의 이유로 제거되고 있으며, 이들의 감소에 따른 영향도 우려되고 있다.[82]
6. 보존
마눌고양이는 2020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되었으며,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있다. 몽골을 제외한 모든 서식 국가에서 사냥이 금지되어 있다. 2009년부터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사냥과 신체 부위 거래가 금지되었다.[1]
2006년부터 몽골 포유류 적색 목록에서는 위기 근접종으로 분류되며,[67] 중국에서는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다.[69]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최근 기록 부족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지정될 것을 제안했다.[70]
1951년부터 1979년까지 베이징 동물원은 16마리의 마눌고양이를 사육했지만, 이들은 3년도 채 살지 못했다.[71] 1984년, 마눌고양이는 미국 동물원 및 수족관 협회의 종 보존 계획에서 우선적인 사육 번식 종으로 지정되었다.[72] 협회 회원 동물원에서 태어난 새끼 고양이의 거의 절반이 태어난 지 30일 이내에 죽었으며, 이는 사육 상태의 어떤 작은 야생 고양이보다도 높은 사망률을 기록했다.[73]
구 소련의 동물원들은 자바이칼 지역에서 포획한 대부분의 야생 마눌고양이와 몽골에서 소수의 고양이를 받았다. 모스크바 동물원은 1997년에 마눌고양이 종 보존 기록을 시작했다. 2004년부터 마눌고양이 국제 종 보존 기록은 스코틀랜드 왕립 동물학회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이곳은 또한 유럽 멸종 위기 종 프로그램 내에서 마눌고양이 사육 번식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있다. 2018년 현재, 유럽, 러시아, 북아메리카, 일본의 60개 동물원에서 177마리의 마눌고양이가 사육되고 있다.[74]
2011년, 신시내티 동물원 수컷의 정액으로 암컷 마눌고양이가 처음으로 인공 수정을 했다. 69일 후, 그녀는 4마리의 새끼를 낳았으며, 그 중 한 마리는 사산되었다.[75]
7. 인간과의 관계
'마눌'이라는 이름은 몽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작은 야생 고양이"라는 뜻이다[86][87]. 몽골과 러시아에서는 마눌고양이의 지방이나 내장이 약용으로 사용된다고 믿어지기도 한다[82].
팔라스고양이는 2008년에 시작된 "고양이 쓰다듬기"로 알려진 러시아 인터넷 밈에 등장하면서 대중적인 인지도가 높아졌다. 이 밈은 독자에게 이미지 캡션에서 고양이를 쓰다듬도록 유도하는 팔라스고양이 사진이다[77][78]. 2012년에는 팔라스고양이가 모스크바 동물원의 마스코트가 되었다[79].
참조
[1]
iucn
"''Otocolobus manul''"
2020
[2]
서적
Reise durch verschiedene Provinzen des russischen Reichs
Kayserliche Academie der Wissenschaften
[3]
서적
Zoographia Rosso-Asiatica, sistens omnium Animalium in extenso Imperio Rossico et adjacentibus maribus observatorum recensionem, domicillia, mores et descriptiones, anatomen atque icones plurimorum
Officina Caes. Acadamiae scientiarum
[4]
논문
"Notice of the Mammals of Tibet, with Description and Plates of some new Species: ''Felis nigripectus'' Illustration"
https://archive.org/[...]
[5]
논문
"On a new form of the steppe cat from the Transcaspian region [''Otocolobus manul ferrugineus'']"
[6]
논문
Observations sur le manoul (''Felis manul'' Pallas)
[7]
논문
"Notice sur la classification multisériale des Carnivores, spécialement des Félidés, et les études de zoologie générale qui s'y rattachent"
https://archive.org/[...]
[8]
논문
"Exhibition of a photograph and the skull of a specimen of the Manul or Pallas' cat (''Felis manul'') that had recently died in the Society's Menagerie with some remarks on the species"
https://archive.org/[...]
[9]
서적
Checklist of Palaearctic and Indian mammals 1758 to 1946
Brit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10]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11]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zenodo.org/r[...]
[12]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Oxford University Press
[13]
논문
Phylogenomic evidence for ancient hybridization in the genomes of living cats (Felidae)
[14]
서적
Mlekopitaiuščie Sovetskogo Soiuza. Vysšaia Škola, Moskva
Smithsonian Institution and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15]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Wild Cats of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논문
Übersicht der russischen Kleinkatzen
https://www.zobodat.[...]
[18]
논문
Bite forces and evolutionary adaptations to feeding ecology in carnivores
[19]
논문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Pallas's cat (''Otocolobus manul'')
[20]
논문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Pallas's cat in the south-west part of its range
http://www.catsg.org[...]
[21]
논문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manul in Central Asia and adjacent areas
https://www.research[...]
[22]
논문
"No longer regionally extinct: a review of Pallas's Cat ''Otocolobus manul'' records from the Caucasus with a new record from Armenia (Mammalia: Felidae)"
[23]
논문
First Record of Pallas's Cat in Northwest Iran
[24]
논문
First Pallas's Cat Photo-trapped in Khojir National Park, Iran
https://www.research[...]
[25]
논문
First record of Pallas's cat in Kavdeh No-hunting Area, Iran
https://www.research[...]
[26]
논문
Baseline information and status assessment of the Pallas's cat in Iran
http://www.catsg.org[...]
[27]
논문
First record of Pallas's Cat from Fars Province, Southern Iran
https://www.research[...]
[28]
간행물
Birds and mammals in Dash-e Nawar, Afghanistan: occurrence and hunting pressure, 2007 surveys
http://stephane.ostr[...]
Wildlife Conservation Society
[29]
논문
"Pallas's cat photographed in Qurumber National Park, Gilgit-Baltistan, Pakistan"
https://www.research[...]
[30]
논문
Die Säugethiere Transkaspiens
https://archive.org/[...]
[31]
간행물
Rapid assessments of wildlife in Turkmenistan 2018
https://www.research[...]
Norwegian Institute for Nature Research
[32]
논문
"First record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oxocara cati'' in a Pallas' cat ''Otocolobus manul'' from Kyrgyzstan"
[33]
논문
Pallas's cat in the Altai Republic, Russia
https://www.research[...]
[34]
논문
Significance of Protected Areas for the Pallas's Cat (''Otocolobus manul'' Felidae) Conservation in Russia
https://www.research[...]
[35]
논문
Discovery of manul in eastern Sayan
[36]
논문
Detection of seasonal weight loss and a serologic survey of potential pathogens in wild Pallas's cats (''Felis [Otocolobus] manul'') of the Daurian steppe, Russia
[37]
논문
New findings of the Pallas's cat in Vitim Plateau (Transbaikalia)
https://www.biotaxa.[...]
[38]
논문
Pallas' Cat ecology and Conservation in the Semi-desert Steppes of Mongolia
https://www.research[...]
[39]
논문
Determinants of mesocarnivore range use: relative effects of prey and habitat properties on Pallas's cat home-range size
[40]
논문
Examining the past and current distribution of Pallas's cat in Southern Mongolia
[41]
논문
Manul sighting in Qinghai
[42]
논문
High elevation record for occurrence of the manul or Pallas' Cat on the northwestern Tibetan plateau, China
[43]
논문
A communal sign post of Snow Leopards (''Panthera uncia'') and other species on the Tibetan Plateau, China
https://downloads.hi[...]
[44]
논문
Pallas's cat in disturbed habitat on the Tibetan Plateau
[45]
논문
Chinese mountain Cat and Pallas's Cat co-existing on the Tibetan Plateau in Sichuan
http://savemanul.org[...]
[46]
논문
Status and Conservation of Large Mammals in Ladakh
https://www.research[...]
[47]
논문
Recent records of the Pallas's Cat in Changthang Wildlife Sanctuary, Ladakh, India
https://www.research[...]
[48]
논문
First record of Pallas's cat in Uttarakhand, Nelang valley, Gangotri National Park, India
https://www.research[...]
[49]
논문
Sighting of a Manul or Pallas Cat in North Sikkim, India
[50]
논문
Nepal's first Pallas's cat
https://www.research[...]
[51]
논문
Eurasian lynx and Pallas's cat in Dolpa district of Nepal: genetics, distribution and diet
https://www.research[...]
[52]
간행물
Near threatened Pallas' Cat found in WCP
http://www.wwfbhutan[...]
Wangchuck Centennial Park and WWF
2012
[53]
논문
First photographic evidence of a Pallas's cat in Jigme Dorji National Park, Bhutan
https://www.research[...]
[54]
논문
First report of Pallas's cat in Sagarmatha National Park – Mount Everest Region, Nepal
https://www.research[...]
2022
[55]
서적
How animals communicate
Indiana University Press
[56]
논문
Den-site selection is critical for Pallas's cat (''Otocolobus manul'')
[57]
논문
Density and activity patterns of Pallas's cats, ''Otocolobus manul'', in central Mongolia
[58]
논문
Spatio-temporal occurrence and sensitivity to livestock husbandry of Pallas's cat in the Mongolian Altai
[59]
논문
Dietary composition, plasticity, and prey selection of Pallas's Cats
[60]
논문
Diet of the Pallas's cat (''Otocolobus manul'') in Mongolian steppe habitat during a population peak of Brandt's voles
null
[61]
논문
Vertebrate prey composition analysis of the Pallas's cat (''Otocolobus manul'') in the Gongga Mountain Nature Reserve, based on fecal DNA
[62]
PhD thesis
Reproductive behavior of small captive cats (''Felis'' ssp.)
University of California
[63]
논문
Note sur la reproduction du manul ''Otocolobus manul'' (Pallas, 1776)
[64]
논문
Influence of seasonality on reproductive traits of the male Pallas' cat (''Felis manul'') and implications for captive management
https://repository.s[...]
[65]
논문
Maternal habitat use of ''Juniperus excelsa'' woodland by Pallas's cat ''Otocolobus manul'' in Iran
https://www.research[...]
[66]
서적
Wild Cat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SSC Cat Specialist Group
[67]
간행물
Silent steppe: the illegal wildlife trade crisis in Mongolia
https://www.research[...]
World Bank and Wildlife Conservation Society
[68]
논문
Poisoning the pika: Must protection of grasslands be at the expense of biodiversity
https://www.research[...]
[69]
서적
A Guide to the Mammals of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70]
서적
Aktual'nyye voprosy zoologii, ekologii i okhrany prirody
ЗооВетКнига
[71]
논문
The smaller felids of China. Pallas's cat
[72]
서적
Felid Action Plan
Felid Taxon Advisory Group, National Zoological Park
[73]
논문
Pallas' Cat PMP
http://nationalzoo.s[...]
2010
[74]
논문
Ex-situ conservation of manul
[75]
서적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Zoo Veterinarians
American Association of Zoo Veterinarians
[76]
서적
Mammalia
https://archive.org/[...]
Taylor & Francis
[77]
웹사이트
Кот манул – новая звезда Рунета
http://aif.ru/societ[...]
2008
[78]
웹사이트
Манул стал культовым котом Рунета
http://rus.postimees[...]
2008
[79]
웹사이트
Подведены итоги голосования «Талисман зоопарка»
http://www.moscowzoo[...]
2024-06-26
[80]
문서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8 August 2020)
https://www.cites.or[...]
[81]
간행물
"''Otocolobus manul''"
https://www.speciesp[...]
UNEP
2020
[82]
논문
"''Otocolobus manul''"
https://doi.org/10.2[...]
2020
[83]
문서
ネコ科分類リスト
[84]
간행물
Genus ''Otocolobus''
IUCN SSC Cat Specialist Group
2017
[85]
서적
マヌルネコ
[86]
서적
Manul ''Otocolobus manul'' (Pallas, 1776)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87]
문서
ネコ科の分類
1991年
[88]
서적
マヌルネコ
データハウス
2004年
[89]
서적
標準原色図鑑全集 20 動物 II
保育社
[90]
논문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https://doi.org/10.1[...]
2006
[91]
서적
Family Felidae (Cats)
http://zenodo.org/re[...]
Lynx Edicions
2009
[92]
서적
Longevity of Mammals in Captivity; from the Living Collections of the World
2005
[93]
문서
動物園を100倍楽しむ!飼育員が教えるどうぶつのディープな話
緑書房
2023-07-10
[94]
웹사이트
希少動物 マヌルネコ ロシアから“婿入り”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16-09-04
[95]
웹사이트
マヌルネコ誕生記録 : 王国タウン : オフィシャル・ブログ : 那須どうぶつ王国
https://www.nasu-ouk[...]
那須どうぶつ王国(2019年6月28日)
2021-05-24
[96]
웹사이트
マヌルネコの子ども、神戸にお引っ越し ふさふさで人気: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1-05-24
[97]
웹사이트
マヌルネコの繁殖 2021/06/10(08/23更新)
https://www.tokyo-zo[...]
2021-10-25
[98]
웹사이트
マヌルネコの繁殖
https://www.tokyo-zo[...]
2021-10-25
[99]
논문
"''Otocolobus manul''"
http://www.iucnredli[...]
"[[IUCN]]"
2016
[100]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101]
논문
http://sehrg.at.ua/_[...]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