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열 변색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 변색성은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현상 또는 그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한다. 유기 물질 기반 열 변색은 액정과 백색 염료를 사용하여 구현되며, 백색 염료는 특정 온도에서 분자 구조가 바뀌면서 색이 변하는 유기 염료로, 의류, 장난감, 배터리 잔량 표시기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된다. 무기 물질의 경우, 대부분 미묘한 색상 변화를 보이지만, 상전이를 겪거나 전하 이동 띠를 나타내는 물질은 더욱 극적인 열 변색성을 나타낸다. 열 변색성은 건물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 윈도우 기술 개발에도 적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미즘 - 폴리아닐린
    폴리아닐린은 아닐린 중합으로 얻어지는 전도성 고분자로, 류코에메랄딘, 에메랄딘, 퍼니그라닐린의 산화 상태에 따라 전기적 특성과 색상이 다르며, 특히 에메랄딘은 높은 전도성을 가져 염료에서 전도성 고분자로 재조명되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 및 연구되고 있다.
  • 크로미즘 - 다색성
    다색성은 광물의 결정 구조가 등방성을 띠지 않아 빛의 흡수율이 방향에 따라 달라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광물 식별 및 분석에 활용되며 특정 결정계를 갖는 광물에서 뚜렷하게 관찰된다.
열 변색성
개요
정의온도 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는 물질의 성질
관련 현상무드 링
크로미즘
종류광 크로미즘 ()
열 변색성 ()
전기 크로미즘 (전기)
용매 크로미즘 (용매)
이온 크로미즘 (이온)
할로 크로미즘 (pH)
마찰 크로미즘 (마찰)
압력 크로미즘 (압력)

2. 유기 물질

드라이어의 열로 터키석 색으로 변색된 T셔츠


손의 온도로 변색된 T셔츠


연속 열변색 현상 시연


유기 물질 기반 열변색은 주로 액정과 백색 염료(Leuco dye)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온도 변화에 따라 색을 바꾸는 기법으로 액정과 로이코 염료 두 가지가 알려져 있다.[1]

백색 염료는 특정 온도에서 분자 구조가 바뀌면서 색이 변하는 유기 염료이다. 주로 무색의 백색소 형태와 유색 형태로 존재하며, 온도 변화에 따라 두 형태 사이를 전환한다. 스피로락톤, 플루오란, 스피로피란 등의 염료와 약산, 용매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마이크로캡슐에 넣어 잉크나 페인트 형태로 다양한 제품에 적용된다.[2]

하이퍼컬러(Hypercolor) 의류와 같이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티셔츠, 장난감, 배터리 잔량 표시기 등에 활용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료는 스피로락톤, 플루오란, 스피로피란, 그리고 풀기드이다. 산에는 비스페놀 A, 파라벤, 1,2,3-트리아졸 유도체, 4-하이드록시쿠마린이 포함되며 양성자 공여체 역할을 하여 염료 분자를 백색 색소 형태와 양성자화된 유색 형태 사이에서 변화시킨다. 더 강한 산은 변화를 비가역적으로 만들 수 있다.[2]

백색 색소는 액정보다 온도 반응이 정확하지 않다. 대략적인 온도("너무 차가움", "너무 뜨거움", "괜찮음")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지표나 다양한 참신한 품목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다른 안료와 함께 사용되어 기본 안료의 색상과 백색 색소 염료의 비백색 색상과 결합된 안료의 색상 사이에서 색상 변화를 생성한다. 유기 백색 색소는 약 -5 ℃에서 60 ℃ 사이의 온도 범위에서 다양한 색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색상 변화는 일반적으로 3 ℃ 간격으로 발생한다.[2]

백색 색소는 온도 반응 정확도가 중요하지 않은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참신한 품목, 목욕 장난감, 플라잉 디스크, 그리고 전자레인지로 데운 음식의 대략적인 온도 지표 등이 있다. 마이크로캡슐화는 다양한 재료 및 제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3–5 μm(일반 안료 입자보다 10배 이상 큼)이며, 이는 인쇄 및 제조 공정에 약간의 조정을 필요로 한다.[2]

백색 색소의 응용 분야 중 하나는 듀라셀 배터리 상태 표시기이다. 백색 색소 층이 저항 스트립에 적용되어 가열을 나타내므로 배터리가 공급할 수 있는 전류량을 측정한다. 스트립은 삼각형 모양이며 길이에 따라 저항이 변하므로 이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여 긴 세그먼트가 가열된다. 백색 색소 염료의 임계 온도 이상의 세그먼트 길이는 색상이 나타난다.[2]

자외선, 용매 및 고온에 노출되면 백색 색소의 수명이 단축된다. 약 200-230 ℃ 이상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백색 색소에 необратимое 손상을 일으키며, 제조 과정에서 특정 유형의 경우 약 250 ℃까지 시간 제한적인 노출이 허용된다.[2]

한국에서는 백색 염료를 이용한 변색 머그컵, 온도 감지 컵, 유아용 목욕 장난감 등 다양한 아이디어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기술을 활용한 제품 개발을 적극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성장을 돕고 있다.

일부 백색 염료는 환경 호르몬 문제나 안전성 논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염료 개발이 필요하다.

액정은 분자 배열의 규칙성에 따라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며, 온도가 변하면 분자 배열이 바뀌면서 반사하는 빛의 파장이 달라져 색이 변한다.[1] 특히 키랄 네마틱 상(콜레스테릭 액정) 또는 꼬임 네마틱 상은 가시 영역에 반사를 갖는 것이 있으며, 그 주기 구조는 온도에 의존하여 변화하므로 색조가 변화한다.

뒤틀린 네마틱상은 분자가 규칙적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층을 이루고 있어 주기적인 간격을 갖는다. 결정을 통과하는 빛은 이러한 층에서 브래그 회절을 겪고, 가장 큰 건설적 간섭을 갖는 파장이 반사되어 스펙트럼 색상으로 인식된다. 결정 온도의 변화는 층 사이의 간격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반사된 파장의 변화로 이어진다. 따라서 열변색 액정의 색상은 온도에 따라 비반사(검정색)에서 스펙트럼 색상을 거쳐 다시 검정색까지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1] 일반적으로 고온 상태는 청자색을 반사하고, 저온 상태는 적-주황색을 반사한다. 파란색은 빨간색보다 파장이 짧기 때문에, 이는 액정 상태를 통해 가열하면 층 간 간격이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낸다.[1]

이러한 물질 중 일부는 콜레스테롤 노나노에이트 또는 시아노비페닐이다.[1] 3–5 °C의 온도 범위와 약 17–23 °C에서 약 37–40 °C까지의 범위의 혼합물은 콜레스테릴 올레일 카보네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 벤조에이트의 다양한 비율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5:25:10의 질량비는 17–23 °C의 범위를, 30:60:10은 37–40 °C의 범위를 생성한다.[1]

염료와 잉크에 사용되는 액정은 종종 현탁액 형태로 마이크로캡슐화되어 제공된다.[1] 액정은 색상 변화를 정확하게 정의해야 하는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실내, 냉장고, 수족관 및 의료용 온도계와 탱크 내 프로판 수준 표시기에 적용된다. 열변색 액정의 인기 있는 응용 분야는 무드 링이다.[1]

액정은 다루기 어려우며 특수 인쇄 장비가 필요하다. 재료 자체도 일반적으로 대체 기술보다 비싸다. 고온, 자외선, 일부 화학 물질 및/또는 용매는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 한국에서는 열변색 액정을 이용한 온도 감지 스티커, 유아용 젖병, 의료용 체온계 등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2. 1. 열변색 액정 (Thermochromic Liquid Crystals)



액정은 분자 배열의 규칙성에 따라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며, 온도가 변하면 분자 배열이 바뀌면서 반사하는 빛의 파장이 달라져 색이 변한다.[1] 특히 키랄 네마틱 상(콜레스테릭 액정) 또는 꼬임 네마틱 상은 가시 영역에 반사를 갖는 것이 있으며, 그 주기 구조는 온도에 의존하여 변화하므로 색조가 변화한다.

뒤틀린 네마틱상은 분자가 규칙적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층을 이루고 있어 주기적인 간격을 갖는다. 결정을 통과하는 빛은 이러한 층에서 브래그 회절을 겪고, 가장 큰 건설적 간섭을 갖는 파장이 반사되어 스펙트럼 색상으로 인식된다. 결정 온도의 변화는 층 사이의 간격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반사된 파장의 변화로 이어진다. 따라서 열변색 액정의 색상은 온도에 따라 비반사(검정색)에서 스펙트럼 색상을 거쳐 다시 검정색까지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1] 일반적으로 고온 상태는 청자색을 반사하고, 저온 상태는 적-주황색을 반사한다. 파란색은 빨간색보다 파장이 짧기 때문에, 이는 액정 상태를 통해 가열하면 층 간 간격이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낸다.[1]

이러한 물질 중 일부는 콜레스테롤 노나노에이트 또는 시아노비페닐이다.[1] 3–5 °C의 온도 범위와 약 17–23 °C에서 약 37–40 °C까지의 범위의 혼합물은 콜레스테릴 올레일 카보네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 벤조에이트의 다양한 비율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5:25:10의 질량비는 17–23 °C의 범위를, 30:60:10은 37–40 °C의 범위를 생성한다.[1]

염료와 잉크에 사용되는 액정은 종종 현탁액 형태로 마이크로캡슐화되어 제공된다.[1] 액정은 색상 변화를 정확하게 정의해야 하는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실내, 냉장고, 수족관 및 의료용 온도계와 탱크 내 프로판 수준 표시기에 적용된다. 열변색 액정의 인기 있는 응용 분야는 무드 링이다.[1]

액정은 다루기 어려우며 특수 인쇄 장비가 필요하다. 재료 자체도 일반적으로 대체 기술보다 비싸다. 고온, 자외선, 일부 화학 물질 및/또는 용매는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 한국에서는 열변색 액정을 이용한 온도 감지 스티커, 유아용 젖병, 의료용 체온계 등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2. 2. 백색 염료 (Leuco dyes)



백색 염료는 특정 온도에서 분자 구조가 바뀌면서 색이 변하는 유기 염료이다. 주로 무색의 백색소 형태와 유색 형태로 존재하며, 온도 변화에 따라 두 형태 사이를 전환한다. 스피로락톤, 플루오란, 스피로피란 등의 염료와 약산, 용매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마이크로캡슐에 넣어 잉크나 페인트 형태로 다양한 제품에 적용된다.

하이퍼컬러(Hypercolor) 의류와 같이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티셔츠, 장난감, 배터리 잔량 표시기 등에 활용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료는 스피로락톤, 플루오란, 스피로피란, 그리고 풀기드이다. 산에는 비스페놀 A, 파라벤, 1,2,3-트리아졸 유도체, 4-하이드록시쿠마린이 포함되며 양성자 공여체 역할을 하여 염료 분자를 백색 색소 형태와 양성자화된 유색 형태 사이에서 변화시킨다. 더 강한 산은 변화를 비가역적으로 만들 수 있다.[2]

백색 색소는 액정보다 온도 반응이 정확하지 않다. 대략적인 온도("너무 차가움", "너무 뜨거움", "괜찮음")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지표나 다양한 참신한 품목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다른 안료와 함께 사용되어 기본 안료의 색상과 백색 색소 염료의 비백색 색상과 결합된 안료의 색상 사이에서 색상 변화를 생성한다. 유기 백색 색소는 약 -5 ℃에서 60 ℃ 사이의 온도 범위에서 다양한 색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색상 변화는 일반적으로 3 ℃ 간격으로 발생한다.[2]

백색 색소는 온도 반응 정확도가 중요하지 않은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참신한 품목, 목욕 장난감, 플라잉 디스크, 그리고 전자레인지로 데운 음식의 대략적인 온도 지표 등이 있다. 마이크로캡슐화는 다양한 재료 및 제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3–5 μm(일반 안료 입자보다 10배 이상 큼)이며, 이는 인쇄 및 제조 공정에 약간의 조정을 필요로 한다.[2]

백색 색소의 응용 분야 중 하나는 듀라셀 배터리 상태 표시기이다. 백색 색소 층이 저항 스트립에 적용되어 가열을 나타내므로 배터리가 공급할 수 있는 전류량을 측정한다. 스트립은 삼각형 모양이며 길이에 따라 저항이 변하므로 이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여 긴 세그먼트가 가열된다. 백색 색소 염료의 임계 온도 이상의 세그먼트 길이는 색상이 나타난다.[2]

자외선, 용매 및 고온에 노출되면 백색 색소의 수명이 단축된다. 약 200-230 ℃ 이상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백색 색소에 необратимое 손상을 일으키며, 제조 과정에서 특정 유형의 경우 약 250 ℃까지 시간 제한적인 노출이 허용된다.[2]

한국에서는 백색 염료를 이용한 변색 머그컵, 온도 감지 컵, 유아용 목욕 장난감 등 다양한 아이디어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기술을 활용한 제품 개발을 적극 지원하여 중소기업의 성장을 돕고 있다.

일부 백색 염료는 환경 호르몬 문제나 안전성 논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염료 개발이 필요하다.

2. 2. 1. 감열지 (Thermochromic Paper)

감열지는 열전사 프린터에 사용되는 특수 용지로, 플루오란 염료와 옥타데실포스폰산의 고체 혼합물을 함침시켜 만든다. 이 혼합물은 고체 상태에서는 안정적이지만, 옥타데실포스폰산이 녹으면 염료가 액체 상태에서 화학 반응을 일으켜 양성자화된 유색 형태를 띤다. 이 상태는 냉각 과정이 충분히 빠르면 매트릭스가 다시 고화될 때 유지된다. 백색 형태는 낮은 온도와 고체상에서 더 안정적이므로, 감열지에 기록된 내용은 수년에 걸쳐 서서히 사라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에서는 감열지를 사용하는 영수증 대신 전자 영수증 사용을 권장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환경 보호와 자원 낭비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

2. 2. 2. 고분자 (Polymers)

열 변색성은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젤 또는 모든 종류의 코팅에서 나타날 수 있다. 고분자 자체, 내장된 열 변색성 첨가제 또는 고분자가 비열 변색성 첨가제와 상호 작용하여 구축한 고차 구조가 열 변색 효과의 원인이 될 수 있다.[2] 또한, 물리적 관점에서 볼 때, 열 변색 효과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에 따른 빛의 반사, 흡수 및/또는 산란 특성의 변화에서 비롯될 수 있다.[2]

적응형 태양광 보호를 위한 열 변색성 고분자의 적용은 매우 큰 관심사이다.[3] 예를 들어, 온도에 따라 햇빛을 반사하거나 투과하는, 조절 가능한 열 변색성 나노 입자를 가진 고분자 필름은 날씨에 맞게 최적화된 창문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4] 설계 전략에 따른 기능,[5] 예를 들어 무독성 열 변색성 고분자 개발에 적용되어 지난 10년 동안 주목받고 있다.[6]
(한국의 관점) 한국에서는 열변색 고분자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온도 감지 필름, 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에너지 절약 및 효율 증대를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2. 2. 3. 잉크 (Inks)

열변색 잉크 또는 염료는 1970년대에 개발된 온도의 변화에 민감한 화합물로, 에 노출되면 일시적으로 색상이 변한다. 이는 액정과 백색 염료의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된다. 백색 염료는 취급이 더 쉽고 더 광범위한 응용 분야를 허용한다. 이러한 응용 분야에는 평면 온도계, 배터리 테스터, 의류, 메이플 시럽 병의 지표 등이 있으며, 이는 시럽이 따뜻할 때 색상이 변한다. 온도계는 종종 수족관 외부에 사용되거나 이마를 통해 체온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쿠어스 라이트(Coors Light)는 캔에 열변색 잉크를 사용하여 캔이 차가울 때 흰색에서 파란색으로 변경된다.

서모크로믹 잉크 또는 염료는 1970년대에 개발된 온도에 민감한 화합물로, 열에 노출되면 일시적으로 색이 변한다. 액정 및 로이코 염료의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로이코 염료는 취급이 쉽고 광범위한 용도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분야에는 평면 온도계, 배터리 테스터, 의류, 시럽이 따뜻해지면 색이 변하는 메이플 시럽 병의 표시기가 포함된다. 온도계는 종종 피부 외부에 사용되며, 체온을 통해 색이 변한다. 쿠어스 라이트(Coors Light)는 캔에 서모크로믹 잉크를 사용하여, 캔이 차가운 것을 나타내기 위해 흰색에서 파란색으로 변한다.

3. 무기 물질

대부분의 무기 화합물은 어느 정도 열 변색성을 띈다. 하지만 대부분의 예는 미묘한 색상 변화만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이산화 티타늄, 황화 아연산화 아연은 실온에서 흰색이지만 가열하면 노란색으로 변한다. 마찬가지로 산화 인듐(III)은 노란색이며 가열하면 노란 갈색으로 어두워진다. 산화 납(II)도 가열 시 유사한 색상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색상 변화는 이러한 물질의 전자적 특성(에너지 준위, 분포)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더욱 극적인 열 변색성의 예는 상전이를 겪거나 가시광선 영역 근처에서 전하 이동 띠를 나타내는 물질에서 발견된다. 예로는 다음이 있다.


  • 아이오딘화 제일 구리 수은(Cu2[HgI4])은 67 °C에서 상전이를 겪으며, 저온에서는 밝은 붉은색 고체 물질에서 고온에서는 어두운 갈색 고체로 가역적으로 변하고, 중간에 붉은 자줏빛 상태를 띤다. 색상은 강렬하며 Cu(I)–Hg(II) 전하 이동 복합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7]
  • 아이오딘화 은 수은(Ag2[HgI4])은 저온에서 노란색이고 47–51 °C 이상에서는 주황색이며, 중간에 노란-주황색 상태를 띈다. 색상은 강렬하며 Ag(I)–Hg(II) 전하 이동 복합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7]
  • 아이오딘화 수은(II)는 결정성 물질로, 126 °C에서 붉은색 알파상에서 옅은 노란색 베타상으로 가역적인 상전이를 겪는다.
  • 비스(디메틸암모늄) 테트라클로로니켈레이트(II) ([(CH3)2NH2]2NiCl4)는 라즈베리 붉은색 화합물로, 약 110 °C에서 파란색으로 변한다. 냉각되면 이 화합물은 옅은 노란색의 준안정상으로 변하고, 2~3주에 걸쳐 원래의 붉은색으로 돌아간다.[8] 다른 많은 테트라클로로니켈레이트도 열 변색성을 띤다.
  • 비스(디에틸암모늄) 테트라클로로구프레이트(II) ([(CH3CH2)2NH2]2CuCl4)는 밝은 녹색 고체 물질로, 52–53 °C에서 가역적으로 노란색으로 변한다. 색상 변화는 수소 결합의 이완과 그에 따른 구리-염소 복합체의 기하학적 구조가 평면에서 변형된 사면체로 바뀌면서 구리 원자의 d-궤도 배치가 적절하게 바뀌면서 발생한다. 안정적인 중간 상태는 없으며, 결정은 녹색이거나 노란색이다.[7]
  • 산화 크롬(III)과 산화 알루미늄(III)을 1:9 비율로 혼합하면 실온에서는 붉은색, 400 °C에서는 회색으로 변하며, 이는 결정장의 변화 때문이다.[9]
  • 이산화 바나듐은 적외선 투과를 차단하고 창문을 통해 건물 내부의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한 "스펙트럼 선택적" 창 코팅으로 사용하기 위해 연구되었다.[10] 이 물질은 저온에서는 반도체처럼 동작하여 더 많은 투과를 허용하고, 고온에서는 도체처럼 동작하여 훨씬 더 큰 반사율을 제공한다.[11][12] 투명한 반도체상과 반사적인 전도상 사이의 상 변화는 68 °C에서 발생한다. 이 물질에 1.9%의 텅스텐을 도핑하면 전이 온도가 29 °C로 낮아진다.
  • 페로브스카이트형 Mn 산화물(R0.5A0.5MnO3; R=La,Pr,Nd,Sm,A=Sr,Ca[24]) : 이중 교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특정 온도에서 금속-절연체 전이가 일어나고, 반사 스펙트럼이 변화한다. 전이 온도를 경계로 열 방사를 증가시킴으로써 네거티브 피드백을 통해 온도를 일정 값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하야부사와 레이메이의 라디에이터에 La0.775Sr0.115Ca0.11MnO3가 사용되었으며, 장기간에 걸쳐 열화가 보이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25]。이 경우 Ca를 도핑하여 저온에서의 방사율을 감소시켰으며, La, Sr의 비율을 조정하여 전이 온도를 150-380K 사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26]


다른 열 변색성 고체 반도체 물질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Cd''x''Zn1−''x''S''y''Se1−''y'' (''x'' = 0.5–1, ''y'' = 0.5–1),
  • Zn''x''Cd''y''Hg1−''x''−''y''O''a''S''b''Se''c''Te1−''a''−''b''−''c'' (''x'' = 0–0.5, ''y'' = 0.5–1, ''a'' = 0–0.5, ''b'' = 0.5–1, ''c'' = 0–0.5),
  • Hg''x''Cd''y''Zn1−''x''−''y''S''b''Se1−''b'' (''x'' = 0–1, ''y'' = 0–1, ''b'' = 0.5–1).[13]


일부 광물도 열 변색성을 띤다. 예를 들어, 일부 크롬이 풍부한 석류석은 일반적으로 붉은 자줏빛이지만 약 80 °C로 가열하면 녹색으로 변한다.[15]

3. 1. 비가역적 무기 열변색

일부 무기 물질은 특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비가역적으로 색이 변하는 성질을 보인다.[16] 이러한 물질은 레이저 마킹 등에 사용될 수 있다.[16]

아이오딘화 구리(I)는 옅은 황갈색 고체 물질로, 60–62 °C에서 주황색으로 변한다.[17] 메타바나듐산 암모늄은 백색 물질이며, 150 °C에서 갈색으로, 170 °C에서 검은색으로 변한다.[17] 망가니즈 바이올렛(Mn(NH4)2P2O7)은 보라색 안료로, 400 °C에서 흰색으로 변한다.[17]

3. 2. 가역적 무기 열변색

4. 건물에의 응용

한국에서는 건물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열변색 스마트 윈도우 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부 주도의 에너지 절약 정책과 함께 열변색 기술을 활용한 건축 자재 개발 및 보급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열 변색성 재료는 코팅 형태로 건물에 수동 에너지 개조 기술로 적용될 수 있다.[18] 열 변색성 코팅은 외부 자극, 일반적으로 온도에 따라 광학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동적이며 적응형 재료로 특징지어진다. 열 변색성 코팅은 온도에 따라 반사율을 조절하여 겨울철 건물의 단열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냉방 부하를 줄이는 데 적합한 솔루션이 된다.[18]

열 변색성 재료는 염료 기반 및 비 염료 기반 열 변색성 재료의 두 가지 하위 그룹으로 분류된다.[19]

참조

[1] 웹사이트 Preparation of Cholesteryl Ester Liquid Crystals http://education.mrs[...]
[2] 서적 Thermochromic and Thermotropic Materials Pan Stanford Publishing Pte.Ltd., Singapore 2014
[3] 논문 Thermotropic and Thermochromic Polymer Based Materials for Adaptive Solar Control 2010
[4] 웹사이트 Solutions https://www.american[...] 2024-02-08
[5] 논문 Thermochromic Polymers - Function by Design 2014
[6] 논문 First example of a non-toxic thermochromic polymer material – based on a novel mechanism 2013
[7] 웹사이트 Thermochromism of Transition Metal Compounds http://www3.amherst.[...] Amherst College 2008
[8] 논문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a Spectacular Thermochromic Solid 2009
[9] 서적 Chromic Phenomena: 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Colour Chemistry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0
[10] 논문 How smart windows save energy https://knowablemaga[...] 2022-07-15
[11] 웹사이트 Sol-Gel Vanadium oxide http://www.solgel.co[...] Solgel.com 2010-07-12
[12] 웹사이트 Intelligent Window Coatings that Allow Light In but Keep Heat Out – News Item http://www.azom.com/[...] Azom.com 2010-07-12
[13] 특허 Optical temperature indicator using thermochromic semiconductors
[14] 서적 The Chemistry of Organic Arsenic, Antimony, and Bismuth Compounds Wiley
[15] 웹사이트 Thermochromic Garnets http://minerals.gps.[...] Minerals.gps.caltech.edu 2010-07-12
[16] 특허 Method of laser marking
[17] 서적 Thermochromic and Thermotropic Material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3-12-23
[18] 논문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rmochromic dye-based roof coatings for Greek climatic conditions https://www.scienced[...] 2024-05-01
[19] 논문 Using advanced thermochromic technologies in the built environment: Recent development and potential to decrease the energy consumption and fight urban overheating https://www.scienced[...] 2019-03-01
[20] 논문 A review of microencapsulated thermochromic coatings for sustainable building applications https://doi.org/10.1[...] 2021-01-01
[21] 웹사이트 rosap https://rosap.ntl.bt[...] 2017-01
[22] 논문 A Systematic Analysis of Phase Change Material and Optically Advanced Roof Coatings Integration for Athenian Climatic Conditions 2023-01
[23] 웹사이트 偽造防止用紙が変わります。 http://www.city.hach[...] 2008-10-25
[24] 논문 ペロブスカイト型マンガン酸化物における電荷整列相転移 https://doi.org/10.2[...] 日本金属学会
[25] 논문 宇宙機のふく射制御の最前線 (特集 宇宙機の熱制御フロンティア) https://www.htsj.or.[...] 日本伝熱学会
[26] 논문 ペロブスカイト型Mn酸化物におけるスピン電荷軌道整列と磁場効果 (強相関伝導系の物理 若手秋の学校(1997年11月21日-24日)) https://hdl.handle.n[...] 物性研究刊行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