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용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매는 다른 물질을 녹여 용액을 만드는 물질을 의미하며, 유기 용매와 무기 용매로 분류된다. 유기 용매는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다양한 물질을 녹이는 데 사용되며, 무기 용매는 물이 대표적이다. 용매는 극성에 따라 극성 용매와 무극성 용매로 나뉘며, 양성자성 용매와 비양성자성 용매로 세분화되기도 한다. 용매의 특성은 극성, 끓는점, 밀도 등으로 나타내며, 끓는점에 따라 저비점, 중비점, 고비점 용매로 분류된다. 용매는 화재, 폭발성 과산화물 형성, 건강 영향, 환경 오염 등 다양한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화학 반응성 및 정제 과정 또한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액 - 염산
    염산은 염화수소 수용액으로, 자비르 이븐 하이얀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르블랑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되었으며, 현재는 유기 화합물 생산의 부산물로 얻어져 산업 전반에 사용되지만 강한 부식성으로 취급에 주의해야 하는 강산성 무기산이다.
  • 용액 - 요소수
    요소수는 디젤 엔진의 질소산화물을 줄이는 선택적 촉매 환원 시스템에 사용되는 표준 물질로, 보통 32.5% 요소 수용액 형태로 사용되며, 배기가스에 분사되어 질소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 용매 - 아세트산
    아세트산(CH₃COOH)은 식초의 주성분인 카르복실산으로, 다양한 화학적 합성법과 발효법으로 대량 생산되며, 산업 및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고농도에서는 부식성이 강해 주의해야 한다.
  • 용매 - 푸르푸랄
    푸르푸랄은 1821년 되베라이너가 폼산 합성 과정에서 분리한 화합물로, 농업 부산물에서 추출하여 석유화학, 윤활유 정제 등에 사용되며, 섭취 또는 흡입 시 독성이 있어 IARC는 인체 발암성 미분류 물질로 분류한다.
  • 화학 반응 - 촉매
    촉매는 화학 반응에서 자신은 소모되지 않으면서 반응 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새로운 반응 경로를 제공하여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며, 균일계, 불균일계, 생체 촉매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화학 반응 - 축합 반응
    축합 반응은 두 작용기가 결합하며 작은 분자를 생성하고 제거되어 새로운 작용기를 형성하는 화학 반응으로, 중축합이나 탈수 축합으로 응용되며 에스터화, 아미드화, 알돌 축합 반응 등이 대표적이다.
용매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다른 물질을 용해하여 용액을 형성하는 물질
분류극성 용매
비극성 용매
종류
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벤젠
에틸 아세테이트
탄소 사염화물
디메틸 설폭사이드
극성 용매
특징높은 유전 상수와 쌍극자 모멘트를 가짐
용해 물질이온성 화합물 및 극성 분자를 잘 용해시킴
예시
에탄올
메탄올
아세토니트릴
디메틸 설폭사이드 (DMSO)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비극성 용매
특징낮은 유전 상수와 쌍극자 모멘트를 가짐
용해 물질비극성 분자를 잘 용해시킴
예시벤젠
톨루엔
헥산
디에틸 에테르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용해 과정
단계용매와 용질 분자 간의 인력 형성
용질 분자 분리
용매 분자 간의 인력 약화
엔탈피 변화용해 과정은 발열 또는 흡열 반응일 수 있음
엔트로피 변화대부분의 경우 엔트로피 증가
용매의 역할
화학 반응반응물 용해 및 반응 속도 조절
추출특정 성분 추출
세척 및 세정오염 물질 제거
건조물 제거
용매 선택 시 고려 사항
용질 용해도용해시키려는 물질과 유사한 극성 또는 비극성 용매 선택
안정성화학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안정적인 용매 선택
가격경제적인 용매 선택
안전성독성 및 인화성이 낮은 용매 선택
용매 사용 시 주의 사항
안전유해한 용매의 흡입, 피부 접촉 및 삼킴 방지
보관적절한 용기에 밀봉하여 안전하게 보관
환경폐용매 처리 시 환경 오염 방지
추가 정보
용매의 종류
알코올 (에탄올, 메탄올, 아이소프로판올)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케톤 (아세톤)
에스터 (에틸 아세테이트)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헥산)
염화 용매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디메틸 설폭사이드 (DMSO),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용매의 특성극성도
끓는점
녹는점
밀도
인화점
독성
참고 문헌

2. 용매의 정의 및 종류

용질을 녹여 용액을 만드는 물질을 용매라고 한다. 용매는 크게 유기 용매와 무기 용매로 나눌 수 있다. 유기 용매는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이고, 무기 용매는 탄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용매로, 이 대표적이다.

한 물질이 다른 물질에 용해되면 용액이 생성된다.[3] 용액에서는 모든 성분이 분자 수준에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잔류물이 남지 않는다. 한 화합물이 다른 화합물에 용해될 수 있는 능력을 용해도라고 하며, 모든 비율로 용해될 경우 혼화성이라고 한다.

용매는 목적하는 물질을 잘 녹이고(용해도가 높은 것),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용질과 화학반응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끓는점이 낮아 제거하기 쉬운 것, 가연성, 독성, 환경에 대한 영향 등을 포함한 안전성도 중요하다. 물 이외의 많은 용매는 매우 잘 타고, 독성이 강한 증기를 낸다. 또한, 화학반응에서는 용매의 종류에 따라 반응의 진행이 현저하게 달라지는 용매화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용매로 취급되는 물질은 상온 상압에서 무색의 액체이며, 독특한 냄새를 가진 것도 많다.

2. 1. 유기 용매

외에도 알코올, 아세톤, 헥산과 같은 유기물도 많이 사용되며, 이들은 특히 '''유기용매'''라고 불린다.[1]

유기용매는 드라이클리닝(테트라클로로에틸렌), 신나(톨루엔, 테르펜유), 매니큐어 제거액이나 접착제(아세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얼룩 제거(헥산, 석유 에테르), 합성세제(오렌지 오일), 향수(에탄올) 또는 화학합성이나 수지 제품의 가공, 추출 등에 사용된다.[1]

3. 용매의 특성

용매는 용해도, 극성, 끓는점, 밀도 등에 따라 그 특성이 결정되며, 이는 용매의 활용 분야 및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3]

용매는 크게 극성 용매와 무극성 용매로 나눌 수 있으며, 유전 상수는 용매의 극성을 대략적으로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유전 상수가 15 미만인 용매는 일반적으로 무극성으로 간주된다.[6]

외에도 알코올, 아세톤, 헥세인과 같은 유기물도 많이 사용되며, 이들을 '''유기용매'''라고 부른다. 유기용매는 드라이클리닝(테트라클로로에틸렌), 신나(톨루엔, 테르펜유), 매니큐어 제거액이나 접착제(아세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얼룩 제거(헥세인, 석유 에테르), 합성세제(오렌지 오일), 향수(에탄올) 또는 화학합성이나 수지 제품의 가공, 추출에 사용된다.

용매의 끓는점은 증발 속도와 관련된 중요한 특성이며,[11] 밀도는 층 분리 현상과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유기 용매는 물보다 밀도가 낮아 물 위에 뜨지만, 다이클로로메테인이나 클로로폼과 같은 일부 할로겐계 용매는 물보다 밀도가 높아 가라앉는다.[16]

일반적으로 용매로 취급되는 물질은 상온 상압에서 무색의 액체이며, 독특한 냄새를 가진 것도 많다. 물 이외의 많은 용매는 매우 잘 타고, 독성이 강한 증기를 낸다. 또한, 화학반응에서는 용매의 종류에 따라 반응의 진행이 현저하게 달라지기도 한다(용매화 효과).[4]

3. 1. 극성, 용해도 및 혼화성

용매의 극성은 그 용매가 다른 극성 물질을 얼마나 잘 용해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극성이 비슷한 물질끼리 잘 섞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끼리끼리 녹는다"라고 표현한다. 유전 상수와 쌍극자 모멘트는 용매의 극성을 나타내는 물리적 지표이다. 용해도 파라미터는 용매와 용질 간의 용해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극성 용매는 극성 화합물을, 비극성 용매는 비극성 화합물을 잘 용해한다. 예를 들어, 설탕이나 무기염과 같이 강하게 극성인 화합물은 과 같이 매우 극성인 용매에만 용해된다. 반면, 기름이나 밀랍과 같이 강하게 비극성인 화합물은 헥세인과 같은 매우 비극성인 유기 용매에만 용해된다.

헥세인 (또는 식초식용유)은 서로 섞이지 않으며, 잘 흔들어도 두 층으로 빠르게 분리된다. 이는 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극성을 나타내는 여러가지 척도가 있는데, 그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 '''그룬발트-빈슈타인(Grunwald–Winstein) mY척도''': 화학 반응 중 용질의 양전하 축적에 대한 용매의 영향으로 극성을 측정한다.
  • '''코소워(Kosower)의 Z척도''': 염의 자외선 흡수 최대값에 대한 용매의 영향으로 극성을 측정한다.[7]
  • '''주개 수와 주개-받개 척도''': 특정 물질과 용매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 측면에서 극성을 측정한다.[8]
  • '''힐데브란트(Hildebrand) 파라미터''': 응집 에너지 밀도의 제곱근으로, 비극성 화합물에 사용된다.


극성에 따라 색이 변하는 용매변색성 염료인 라이하르트(Reichardt) 염료는 ''ET''(30) 값의 척도를 제공한다.

캠릿-타프트(Kamlet-Taft) 파라미터는 쌍극성/분극률 (''π*''), 수소 결합 산성도 (''α'') 및 수소 결합 염기성도 (''β'')로 극성을 분리하여 나타낸다. 한센(Hansen) 용해도 파라미터는 응집 에너지 밀도를 분산, 극성 및 수소 결합 기여로 분리한다.

다음은 여러 용매들의 극성 관련 수치를 나타낸 표이다.

용매화학식끓는점 (℃)유전 상수밀도 (g/mL)쌍극자 모멘트 (D)
펜테인CH3CH2CH2CH2CH336.11.840.6260.00
헥세인CH3CH2CH2CH2CH2CH3691.880.6550.00
벤젠C6H680.12.30.8790.00
톨루엔C6H5-CH31112.380.8670.36
1,4-다이옥세인C4H8O2101.12.31.0330.45
다이에틸 에터CH3CH2-O-CH2CH334.64.30.7131.15
테트라히드로푸란 (THF)C4H8O667.50.8861.75
클로로포름CHCl361.24.811.4981.04
다이클로로메테인 (DCM)CH2Cl239.69.11.32661.60
초산 에틸CH3-C(=O)-O-CH2-CH377.16.020.8941.78
아세톤CH3-C(=O)-CH356.1210.7862.88
디메틸포름아미드 (DMF)H-C(=O)N(CH3)2153380.9443.82
아세토니트릴 (MeCN)CH3-C≡N8237.50.7863.92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DMSO)CH3-S(=O)-CH318946.71.0923.96
나이트로메테인CH3-NO2100–10335.871.13713.56
프로필렌 카보네이트C4H6O324064.01.2054.9
암모니아NH3-33.3170.674
(-33.3 °C)
1.42
폼산H-C(=O)OH100.8581.211.41
n-부탄올CH3CH2CH2CH2OH117.7180.8101.63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IPA)CH3-CH(-OH)-CH382.6180.7851.66
n-프로판올CH3CH2CH2OH97200.8031.68
에탄올CH3CH2OH78.224.550.7891.69
메탄올CH3OH64.7330.7911.70
아세트산CH3-C(=O)OH1186.21.0491.74
H-O-H100801.0001.85


3. 2. 양성자성 (프로톤성)

극성 용매는 양성자성 용매비양성자성 용매로 더 세분화할 수 있다. 양성자성 용매는 수소 이온(양성자)을 제공할 수 있는 용매이다. 많은 양성자성 용매는 산소 또는 질소 원자에 결합된 비교적 산성도가 높은 수소를 가지며, , 에탄올, 아세트산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10] 이러한 용매들은 음이온(음전하를 띤 용질)을 수소 결합을 통해 강하게 용매화한다.[10] 또한, 산소·질소는 비공유 전자쌍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성자 수용성(루이스 염기성)도 함께 갖는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양성자성 용매는 용매 분자 간에 수소 결합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양성자성 용매는 이온을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어 SN1 반응과 같이 이온 생성이 속도 결정 단계가 되는 반응에 자주 사용된다.[10]

다음은 양성자성 용매의 예시이다.

용매화학식끓는점 (℃)유전 상수밀도 (g/mL)쌍극자 모멘트 (D)
암모니아NH3-33.3170.674 (-33.3 °C에서)1.42
폼산H-C(=O)OH100.8581.211.41
n-부탄올CH3CH2CH2CH2OH117.7180.8101.63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IPA)CH3-CH(-OH)-CH382.6180.7851.66
n-프로판올CH3CH2CH2OH97200.8031.68
에탄올CH3CH2OH78.224.550.7891.69
메탄올CH3OH64.7330.7911.70
아세트산CH3-C(=O)OH1186.21.0491.74
H-O-H100801.0001.85


3. 3. 끓는점

끓는점은 용매가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는 온도로, 증발 속도와 관련된 중요한 특성이다.[11] 다이에틸 에터, 다이클로로메테인, 아세톤과 같이 끓는점이 낮은 용매는 상온에서 쉽게 증발한다. 반면 물이나 다이메틸 설폭사이드와 같이 끓는점이 높은 용매는 증발시키기 위해 가열, 감압 등의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 저비점 용매: 끓는점이 100 °C(물의 끓는점) 미만인 용매
  • 중비점 용매: 끓는점이 100 °C와 150 °C 사이인 용매
  • 고비점 용매: 끓는점이 150 °C 이상인 용매


용매비점 (°C)[11]
1,2-다이클로로에탄83.48
피리딘115.25
메틸 이소부틸 케톤116.5
다이클로로메테인39.75
이소옥탄99.24
이황화탄소46.3
사염화탄소76.75
o-자일렌144.42


3. 4. 밀도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용매의 층 분리 현상과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유기 용매는 물보다 밀도가 낮아 물 위에 뜨지만, 일부 할로겐화 용매(예: 클로로폼, 다이클로로메테인)는 물보다 밀도가 높아 가라앉는다.[16] 이는 화학 합성 과정에서 분배를 통해 용매와 물 사이의 화합물을 분액깔때기를 사용하여 분리할 때 중요하게 기억해야 할 사항이다.

종종 밀도 대신 비중이 사용되는데, 비중은 동일한 온도에서 용매의 밀도를 물의 밀도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비중은 무차원 값이며, 물에 녹지 않는 용매가 물과 섞였을 때 뜨는지 (비중 < 1.0) 가라앉는지 (비중 > 1.0)를 쉽게 알려준다.

용매비중[16]
펜탄0.626
석유 에터0.656
헥산0.659
헵탄0.684
다이에틸아민0.707
다이에틸 에터0.713
트라이에틸아민0.728
tert-부틸 메틸 에터0.741
시클로헥산0.779
tert-부틸 알코올0.781
아이소프로필 알코올0.785
아세토니트릴0.786
에탄올0.789
아세톤0.790
메탄올0.791
메틸 이소부틸 케톤0.798
이소부틸 알코올0.802
1-프로판올0.803
메틸 에틸 케톤0.805
2-부탄올0.808
이소아밀 알코올0.809
1-부탄올0.810
다이에틸 케톤0.814
1-옥탄올0.826
p-자일렌0.861
m-자일렌0.864
톨루엔0.867
다이메톡시에테인0.868
벤젠0.879
부틸 아세테이트0.882
1-클로로부탄0.886
테트라히드로푸란0.889
에틸 아세테이트0.895
o-자일렌0.897
헥사메틸포스포러스 트리아미드0.898
2-에톡시에틸 에터0.909
N,N-다이메틸아세트아미드0.937
디글림0.943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0.944
2-메톡시에탄올0.965
피리딘0.982
프로판산0.993
1.000
2-메톡시에틸 아세테이트1.009
벤조니트릴1.01
1-메틸-2-피롤리디논1.028
헥사메틸포스포르아미드1.03
1,4-다이옥세인1.033
아세트산1.049
무수 아세트산1.08
다이메틸 설폭사이드1.092
클로로벤젠1.1066
중수1.107
에틸렌글라이콜1.115
다이에틸렌글라이콜1.118
프로필렌 카보네이트1.21
폼산1.22
1,2-다이클로로에테인1.245
글리세린1.261
이황화탄소1.263
1,2-다이클로로벤젠1.306
다이클로로메테인1.325
나이트로메테인1.382
2,2,2-트라이플루오로에탄올1.393
클로로폼1.498
1,1,2-트라이클로로트라이플루오로에테인1.575
사염화탄소1.594
테트라클로로에틸렌1.623



많은 유기 용매는 물보다 밀도가 작아 물 위에 뜨는 경우가 많다. 예외적으로 다이클로로메테인이나 클로로폼 등 할로겐계 용매의 일부와 아세트산 등은 물보다 비중이 크다.

4. 용매의 분류

용매는 극성 및 비극성 용매로 분류할 수 있으며, 유전 상수는 용매의 극성을 나타내는 척도 중 하나이다. 유전 상수가 15 미만인 용매는 일반적으로 비극성으로 간주된다.[6] 극성 용매는 양성자성 및 비양성자성으로 더 세분화할 수 있다.

화학 반응에서 극성 양성자성 용매는 SN1 반응 메커니즘을 선호하는 반면,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는 SN2 반응 메커니즘을 선호한다.

일반적으로 극성 용매는 극성 화합물을, 비극성 용매는 비극성 화합물을 잘 용해시킨다. ("같은 것은 같은 것을 용해한다".) 설탕과 같이 강한 극성 화합물이나 소금과 같은 이온성 화합물은 과 같이 매우 극성인 용매에만 용해된다. 반면 기름이나 왁스처럼 비극성인 화합물은 헥세인과 같은 매우 비극성 유기 용매에 잘 용해된다. 물과 헥세인은 서로 섞이지 않으며, 잘 섞어도 빠르게 두 층으로 분리된다.

극성 용매는 프로톤성 극성 용매와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로 분류할 수 있다. 프로톤성 용매는 수소 이온(프로톤)을 제공할 수 있는 용매로, 수소 결합을 형성한다. , 에탄올, 아세트산 등이 그 예이다.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로는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등이 있다.

유전 상수 외에도 극성을 측정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그룬발트-빈슈타인 mY척도, 코소워의 Z척도, 주개 수와 주개-받개 척도, 힐데브란트 파라미터, 라이하르트 염료의 ''ET''(30) 값, 그레고리의 용매 ϸ 파라미터 등이 있다. 캠릿-타프트 파라미터는 쌍극성/분극률 (''π*''), 수소 결합 산성도 (''α'') 및 수소 결합 염기성도 (''β'')를 포함한다. 한센 용해도 파라미터는 응집 에너지 밀도를 분산, 극성 및 수소 결합 기여로 분리한다.

외에도 알코올, 아세톤, 헥산과 같은 유기물이 많이 사용되며, 이들은 특히 '''유기용매'''라고 불린다.

용매에 녹는 것을 용질이라 하고, 용매와 용질을 합쳐 용액이라고 한다. 용매는 목적하는 물질을 잘 녹이고(용해도가 높은 것),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용질과 화학반응하지 않아야 한다. 목적에 따라 끓는점이 낮아 제거하기 쉬운 것, 가연성, 독성, 환경 영향 등을 포함한 안전성도 중요시된다.

유기용매는 드라이클리닝(테트라클로로에틸렌), 신나(톨루엔, 테르펜유), 매니큐어 제거액이나 접착제(아세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얼룩 제거(헥산, 석유 에테르), 합성세제(오렌지 오일), 향수(에탄올), 화학합성, 수지 제품 가공, 추출 등에 사용된다.

4. 1. 극성 용매와 비극성 용매

극성 용매는 높은 유전 상수를 가지며, 이온 화합물이나 극성 분자를 잘 용해한다. 비극성 용매는 낮은 유전 상수를 가지며, 비극성 분자를 잘 용해한다.

용매는 크게 극성 용매와 무극성 용매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매의 유전 상수는 용매의 극성을 대략적으로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유전 상수가 15 미만인 용매는 일반적으로 무극성으로 간주된다.[6]

극성은 유전율이나 쌍극자 모멘트 등으로 평가된다. 경험적으로 고극성 물질은 고극성 용매에 잘 녹고, 저극성 물질은 저극성 용매에 잘 녹는다. 이것은 "비슷한 것끼리 녹는다"(Like dissolves like영어)라고 표현된다. 구체적으로 무기염(예: 식염)이나 당류(예: 설탕) 등 극성이 큰 물질은 과 같은 고극성 용매에 잘 녹고, 기름이나 밀랍 등 극성이 작은 물질은 헥세인과 같은 저극성 용매에 잘 녹는다. 또한, 고극성 용매와 저극성 용매(예: 물과 헥산, 식초식용유)는 서로 섞이지 않고, 잘 흔들어도 곧 두 층으로 분리되는 경우가 많다.

용매화학식끓는점 (℃)유전 상수밀도 (g/mL)쌍극자 모멘트 (D)
펜테인CH3CH2CH2CH2CH336.11.840.6260.00
헥세인CH3CH2CH2CH2CH2CH3691.880.6550.00
벤젠C6H680.12.30.8790.00
톨루엔C6H5-CH31112.380.8670.36
1,4-다이옥세인C4H8O2101.12.31.0330.45
다이에틸 에터CH3CH2-O-CH2CH334.64.30.7131.15
테트라히드로푸란 (THF)C4H8O667.50.8861.75
클로로포름CHCl361.24.811.4981.04
다이클로로메테인 (DCM)CH2Cl239.69.11.32661.60
초산 에틸CH3-C(=O)-O-CH2-CH377.16.020.8941.78
아세톤CH3-C(=O)-CH356.1210.7862.88
디메틸포름아미드 (DMF)H-C(=O)N(CH3)2153380.9443.82
아세토니트릴 (MeCN)CH3-C≡N8237.50.7863.92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DMSO)CH3-S(=O)-CH318946.71.0923.96
나이트로메테인CH3-NO2100–10335.871.13713.56
프로필렌 카보네이트C4H6O324064.01.2054.9
암모니아NH3-33.3170.6741.42
폼산H-C(=O)OH100.8581.211.41
n-부탄올CH3CH2CH2CH2OH117.7180.8101.63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IPA)CH3-CH(-OH)-CH382.6180.7851.66
n-프로판올CH3CH2CH2OH97200.8031.68
에탄올CH3CH2OH78.224.550.7891.69
메탄올CH3OH64.7330.7911.70
아세트산CH3-C(=O)OH1186.21.0491.74
H-O-H100801.0001.85


4. 2. 양성자성 용매와 비양성자성 용매

일반적으로 극성 용매는 극성 화합물을, 비극성 용매는 비극성 화합물을 잘 용해시킨다. ("같은 것은 같은 것을 용해한다".) 설탕과 같이 강한 극성 화합물이나 소금과 같은 이온성 화합물은 과 같이 매우 극성인 용매에만 용해된다. 반면 기름이나 왁스처럼 비극성인 화합물은 헥세인과 같은 매우 비극성 유기 용매에 잘 용해된다. 물과 헥세인은 서로 섞이지 않으며, 잘 섞어도 빠르게 두 층으로 분리된다.

유전상수가 15보다 큰 극성 용매는 다시 양성자성 용매비양성자성 용매로 나눌 수 있다.[10] 양성자성 용매는 수소 결합을 통해 음이온(음전하를 띤 용질)을 강하게 용매화한다. 아세톤이나 다이클로로메테인과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는 큰 쌍극자 모멘트(같은 분자 내에서 부분 양전하와 부분 음전하가 분리된 상태)를 가지며, 음의 쌍극자를 통해 양전하를 띤 종을 용매화한다.[10] 화학 반응에서 극성 양성자성 용매는 SN1 반응 메커니즘을,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는 SN2 반응 메커니즘을 선호한다.

극성 용매는 프로톤성 극성 용매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로 분류할 수 있다. 프로톤성 용매는 수소 이온(프로톤)을 제공할 수 있는 용매이다. 많은 프로톤성 용매는 산소질소 원자에 결합된 산성도가 높은 수소를 가지며, 수소 결합을 형성한다. (H2O), 에탄올(CH3CH2OH), 아세트산(CH3C(=O)OH) 등이 그 예이다.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로는 아세토니트릴(CH3C≡N), 아세톤(CH3C(=O)CH3) 등이 있다. 프로톤성 극성 용매는 이온을 안정화시켜 SN1 반응에,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는 양이온만 안정화시키고 음이온의 반응성을 높여 SN2 반응에 주로 사용된다.

양성자성 용매비양성자성 용매


5. 일반적인 용매의 물리적 특성

일반적인 용매는 다음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 극성: 용매는 분자 내 전하 분포에 따라 극성 용매와 무극성 용매로 나뉜다. 극성 용매는 쌍극자 모멘트를 갖는 반면, 무극성 용매는 쌍극자 모멘트가 거의 없다.
  • 유전 상수: 용매의 극성을 나타내는 척도 중 하나로, 유전 상수가 클수록 극성이 크다. 물의 유전 상수는 0 °C에서 88로 매우 높으며, 15 미만인 용매는 일반적으로 무극성으로 간주된다.[5][6]
  • 끓는점: 용매의 증발 속도를 결정하는 특성이다. 끓는점이 낮으면 상온에서 빠르게 증발하고, 높으면 증발에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 밀도: 대부분의 유기 용매는 물보다 밀도가 낮아 물 위에 뜨지만, 클로로포름, 다이클로로메테인 등 일부 할로겐계 용매는 물보다 밀도가 크다.
  • 용해도: "같은 것은 같은 것을 용해한다"는 원리에 따라 극성 용매는 극성 화합물을, 무극성 용매는 무극성 화합물을 잘 용해한다.
  • 분류: 용매는 무극성, 극성 비양성자성, 극성 양성자성 용매로 분류된다.
  • 기타: ACS 녹색화학연구소(Green Chemistry Institute)는 주성분 분석을 기반으로 용매 선택 도구를 제공한다.[13]


용매의 종류에 따라 화학 반응의 진행 속도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용매화 효과)

5. 1. 일반 용매 특성 표

대표적인 용매의 물성[38][39]
용매구조식끓는점 (°C)유전 상수밀도 (g/mL)쌍극자 모멘트 (D)
무극성 용매
펜테인
191x191px

Pentane|펜테인영어
36.11.840.6260.00
헥세인
241x241px

Hexane|헥세인영어
691.880.6550.00
벤젠

Benzene|벤젠영어
80.12.30.8790.00
헵테인
286px

Heptane|헵테인영어
98.381.920.6800.0
톨루엔

Toluene|톨루엔영어
1112.380.8670.36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1,4-다이옥세인

1,4-Dioxane|1,4-다이옥세인영어
101.12.31.0330.45
다이에틸 에터
203x203px

Diethyl ether|다이에틸 에터영어
34.64.30.7131.15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Tetrahydrofuran|테트라하이드로푸란영어
667.50.8861.75
클로로포름
145x145px

Chloroform|클로로포름영어
61.24.811.4981.04
다이클로로메테인 (DCM)
138x138px

Dichloromethane|다이클로로메테인영어
39.69.11.32661.60
아세트산 에틸
150x150px

Ethyl acetate|아세트산 에틸영어
77.16.020.8941.78
아세톤

Acetone|아세톤영어
56.1210.7862.88
디메틸포름아미드 (DMF)

Dimethylformamide|디메틸포름아미드영어
153380.9443.82
아세토니트릴 (MeCN)
164x164px

Acetonitrile|아세토니트릴영어
8237.50.7863.92
디메틸 설폭사이드 (DMSO)
150x150px

Dimethyl sulfoxide|디메틸 설폭사이드영어
18946.71.0923.96
나이트로메테인
163x163px

Nitromethane|나이트로메테인영어
100–10335.871.13713.56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233x233px

Propylene carbonate|프로필렌 카보네이트영어
24064.01.2054.9
극성 양성자성 용매
암모니아
152x152px

Ammonia|암모니아영어
-33.3170.674
(-33.3 °C에서)
1.42
폼산
120x120px

Formic acid|폼산영어
100.8581.211.41
n-부탄올
215x215px

n-Butanol|n-부탄올영어
117.7180.8101.63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IPA)
155x155px

Isopropyl alcohol|아이소프로필 알코올영어
82.6180.7851.66
n-프로판올
191x191px

n-Propanol|n-프로판올영어
97200.8031.68
에탄올
125x125px

Ethanol|에탄올영어
78.224.550.7891.69
메탄올
128x128px

Methanol|메탄올영어
64.7330.7911.70
아세트산
128x128px

Acetic acid|아세트산영어
1186.21.0491.74
98x98px

Water|물영어
100801.0001.85


5. 2. 한센 용해도 매개변수 값

한센 용해도 매개변수(HSP)는 용매 간의 상호 작용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값이다. 이 값은 분산 결합(δD), 극성 결합(δP), 수소 결합(δH)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14][15] 이러한 값들은 용매와 고분자, 안료, 나노입자 등과의 상용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며, 특정 용매를 다른 용매로 대체할 때 참고할 수 있다.

다음 표는 여러 용매의 한센 용해도 매개변수 값을 보여준다. "극성" 분자는 δP 값이 더 높고, 양성자성 용매는 δH 값이 더 높다.

용매화학식δD (분산)δP (극성)δH (수소 결합)
헥세인CH3CH2CH2CH2CH2CH314.90.00.0
벤젠C6H618.40.02.0
톨루엔C6H5-CH318.01.42.0
다이에틸 에터CH3CH2-O-CH2CH314.52.94.6
클로로포름CHCl317.83.15.7
1,4-다이옥세인/-CH2-CH2-O-CH2-CH2-O-\17.51.89.0
아세트산 에틸CH3-C(=O)-O-CH2-CH315.85.37.2
테트라히드로푸란 (THF)/-CH2-CH2-O-CH2-CH2-\16.85.78.0
다이클로로메테인CH2Cl217.07.37.1
아세톤CH3-C(=O)-CH315.510.47.0
아세토니트릴 (MeCN)CH3-C≡N15.318.06.1
디메틸포름아미드 (DMF)H-C(=O)N(CH3)217.413.711.3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DMSO)CH3-S(=O)-CH318.416.410.2
아세트산CH3-C(=O)OH14.58.013.5
n-부탄올CH3CH2CH2CH2OH16.05.715.8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IPA)CH3-CH(-OH)-CH315.86.116.4
n-프로판올CH3CH2CH2OH16.06.817.4
에탄올CH3CH2OH15.88.819.4
메탄올CH3OH14.712.322.3
폼산H-C(=O)OH14.610.014.0
H-O-H15.516.042.3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은 아세톤보다 극성이 더 크지만 수소 결합은 약간 덜하다.

환경적인 이유 등으로 특정 용매를 다른 용매로 대체해야 할 때, 한센 용해도 매개변수를 기준으로 대체할 수 있다. 혼합 용매의 경우, 각 순수 용매 값의 가중 평균으로 계산한다.[14][15] 예를 들어, 톨루엔1,4-다이옥세인의 1:1 혼합물은 δD, δP, δH 값이 각각 17.8, 1.6, 5.5로, 클로로포름의 17.8, 3.1, 5.7과 유사하다.

6. 다성분 용매

다성분 용매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서 개발되었으며, 소련 붕괴 이후의 국가에서도 계속 사용 및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용매는 하나 이상의 용도를 가질 수 있지만, 보편적인 제제는 아니다.[17][18][19][20]

이름구성
용매 645toluene|톨루엔영어 50%, butyl acetate|부틸 아세테이트영어 18%, ethyl acetate|에틸 아세테이트영어 12%, butanol|부탄올영어 10%, ethanol|에탄올영어 10%
용매 646toluene|톨루엔영어 50%, ethanol|에탄올영어 15%, butanol|부탄올영어 10%, butyl- or amyl acetate|부틸 또는 아밀 아세테이트영어 10%, ethyl cellosolve|에틸 셀로솔브영어 8%, acetone|아세톤영어 7%[17]
용매 647butyl- or amyl acetate|부틸 또는 아밀 아세테이트영어 29.8%, ethyl acetate|에틸 아세테이트영어 21.2%, butanol|부탄올영어 7.7%, toluene|톨루엔영어 또는 benzopyrene|벤조피렌영어 41.3%[18]
용매 648butyl acetate|부틸 아세테이트영어 50%, ethanol|에탄올영어 10%, butanol|부탄올영어 20%, toluene|톨루엔영어 20%[19]
용매 649ethyl cellosolve|에틸 셀로솔브영어 30%, butanol|부탄올영어 20%, xylene|자일렌영어 50%
용매 650ethyl cellosolve|에틸 셀로솔브영어 20%, butanol|부탄올영어 30%, xylene|자일렌영어 50%[20]
용매 651white spirit|화이트 스피릿영어 90%, butanol|부탄올영어 10%
용매 KR-36butyl acetate|부틸 아세테이트영어 20%, butanol|부탄올영어 80%
용매 R-4toluene|톨루엔영어 62%, acetone|아세톤영어 26%, butyl acetate|부틸 아세테이트영어 12%
용매 R-10xylene|자일렌영어 85%, acetone|아세톤영어 15%
용매 R-12toluene|톨루엔영어 60%, butyl acetate|부틸 아세테이트영어 30%, xylene|자일렌영어 10%
용매 R-14cyclohexanone|시클로헥사논영어 50%, toluene|톨루엔영어 50%
용매 R-24용매 50%, xylene|자일렌영어 35%, acetone|아세톤영어 15%
용매 R-40toluene|톨루엔영어 50%, ethyl cellosolve|에틸 셀로솔브영어 30%, acetone|아세톤영어 20%
용매 R-219toluene|톨루엔영어 34%, cyclohexanone|시클로헥사논영어 33%, acetone|아세톤영어 33%
용매 R-3160butanol|부탄올영어 60%, ethanol|에탄올영어 40%
용매 RCCxylene|자일렌영어 90%, butyl acetate|부틸 아세테이트영어 10%
용매 RMLethanol|에탄올영어 64%, ethylcellosolve|에틸셀로솔브영어 16%, toluene|톨루엔영어 10%, butanol|부탄올영어 10%
용매 PML-315toluene|톨루엔영어 25%, xylene|자일렌영어 25%, butyl acetate|부틸 아세테이트영어 18%, ethyl cellosolve|에틸 셀로솔브영어 17%, butanol|부탄올영어 15%
용매 PC-1toluene|톨루엔영어 60%, butyl acetate|부틸 아세테이트영어 30%, xylene|자일렌영어 10%
용매 PC-2white spirit|화이트 스피릿영어 70%, xylene|자일렌영어 30%
용매 RFGethanol|에탄올영어 75%, butanol|부탄올영어 25%
용매 RE-1xylene|자일렌영어 50%, acetone|아세톤영어 20%, butanol|부탄올영어 15%, ethanol|에탄올영어 15%
용매 RE-2petroleum spirits|페트롤륨 스피릿영어 70%, ethanol|에탄올영어 20%, acetone|아세톤영어 10%
용매 RE-3petroleum spirits|페트롤륨 스피릿영어 50%, ethanol|에탄올영어 20%, acetone|아세톤영어 20%, ethyl cellosolve|에틸 셀로솔브영어 10%
용매 RE-4petroleum spirits|페트롤륨 스피릿영어 50%, acetone|아세톤영어 30%, ethanol|에탄올영어 20%
용매 FK-1 (?)absolute alcohol|무수알코올영어 (99.8%) 95%, ethyl acetate|에틸 아세테이트영어 5%



명칭구성
희석제 RKB-1butanol|부탄올영어 50%, xylene|자일렌영어 50%
희석제 RKB-2butanol|부탄올영어 95%, xylene|자일렌영어 5%
희석제 RKB-3xylene|자일렌영어 90%, butanol|부탄올영어 10%
희석제 Methanol|에탄올영어 65%, butyl acetate|부틸 아세테이트영어 30%, ethyl acetate|에틸 아세테이트영어 5%
희석제 P-7cyclohexanone|시클로헥사논영어 50%, ethanol|에탄올영어 50%
희석제 R-197xylene|자일렌영어 60%, butyl acetate|부틸 아세테이트영어 20%, ethyl cellosolve|에틸 셀로솔브영어 20%
WFD 희석제toluene|톨루엔영어 50%, butyl acetate|부틸 아세테이트영어 (또는 amyl acetate|아밀 아세테이트영어) 18%, butanol|부탄올영어 10%, ethanol|에탄올영어 10%, ethyl acetate|에틸 아세테이트영어 9%, acetone|아세톤영어 3%


7. 용매의 안전성

유기 용매는 대부분 휘발성이 강해 가연성 또는 고가연성을 띠므로 화재 및 폭발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디클로로메테인이나 클로로포름과 같은 일부 염소화 용매는 예외이지만, 용매 증기와 공기의 혼합물은 폭발할 수 있다.[21] 용매 증기는 공기보다 무거워 바닥에 가라앉아 거의 희석되지 않은 상태로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빈 용기에도 증기가 남아 순간 발화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휘발성 용매가 들어 있던 빈 용기는 거꾸로 뒤집어 열어둔 채 보관해야 한다.

디에틸 에테르와 이황화탄소는 자연 발화 온도가 매우 낮아 화재 위험이 크다. 특히 이황화탄소의 자연 발화 온도는 100°C 미만이므로 증기 파이프, 전구, 핫플레이트, 최근에 꺼진 분젠 버너 등에 의해 점화될 수 있다.[21] 메탄올과 같은 일부 용매는 매우 뜨거운 불꽃으로 연소될 수 있으며, 어떤 조명 조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아 화재 감지가 늦어질 수 있다.[21][22]

용매 노출은 신경계 독성, 생식 기능 장애, 간 및 신장 손상, 호흡기 장애, 암, 청력 손실[26][27]피부염[28]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7. 1. 화재

대부분의 유기 용매는 휘발성이 높아 가연성이 크다. 디클로로메테인이나 클로로포름과 같은 일부 염소화 용매는 예외이지만, 용매 증기와 공기의 혼합물은 폭발할 수 있다.[21] 용매 증기는 공기보다 무거워 바닥에 가라앉고, 빈 용기에도 남아 순간 발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휘발성 용매가 들어 있던 빈 용기는 뒤집어서 열어둔 채 보관해야 한다.

디에틸 에테르와 이황화탄소는 자연 발화 온도가 매우 낮아 화재 위험이 크다. 특히 이황화탄소의 자연 발화 온도는 100°C 미만이므로 증기 파이프, 전구, 핫플레이트, 최근에 꺼진 분젠 버너 등에 의해 점화될 수 있다.[21]

메탄올과 같은 일부 용매는 연소 시 불꽃이 거의 보이지 않아 화재 감지가 늦어질 수 있다.[21][22] 이는 불꽃이 다른 물질로 퍼질 때까지 화재를 인지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7. 2. 폭발성 과산화물 형성

다이에틸 에테르 및 테트라히드로푸란(THF)과 같은 에테르는 산소와 빛에 노출되면 고폭성 유기 과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23] 일반적으로 THF는 다이에틸 에테르보다 과산화물을 더 잘 형성한다. 가장 과산화물이 잘 생성되는 용매 중 하나는 디이소프로필 에테르이지만, 모든 에테르는 잠재적인 과산화물 생성원으로 간주된다.

헤테로원자(산소)는 다른 자유 라디칼에 의한 수소 원자의 추출에 의해 형성되는 자유 라디칼의 형성을 안정화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탄소 중심 자유 라디칼은 산소 분자와 반응하여 과산화물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과산화물 형성 과정은 낮은 수준의 빛에도 노출되면 크게 가속화되지만, 어두운 환경에서도 서서히 진행될 수 있다.

과산화물을 파괴할 수 있는 건조제를 사용하지 않는 한, 과산화물은 더 높은 끓는점 때문에 증류 과정에서 농축된다. 과산화물이 충분히 형성되면 용기 또는 병 입구에 충격에 민감한 결정질 침전물을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내부를 긁거나, 침전물을 제거하거나, 뚜껑을 돌리는 것과 같은 사소한 기계적 방해는 과산화물이 폭발하거나 격렬하게 폭발하는 데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신선한 용매를 빠르게 사용하는 경우 과산화물 형성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한 병을 완전히 사용하는 데 몇 년이 걸릴 수 있는 실험실에서는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소량 사용자는 과산화물이 잘 생성되는 용매를 소량만 구입하고, 오래된 용매는 정기적으로 폐기해야 한다.

폭발적인 과산화물 형성을 피하려면, 빛과 공기 모두 과산화물 형성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에테르는 기밀 용기에 보관하고 빛으로부터 멀리 보관해야 한다.[23]

에테르 내 과산화물의 존재를 감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험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황산 제이철과 티오시안산 칼륨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과산화물은 Fe2+ 이온을 Fe3+ 이온으로 산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티오시안산염과 짙은 붉은색 배위 착물을 형성한다.

과산화물은 산성 황산 제이철로 세척하거나, 알루미나를 통해 여과하거나, 나트륨/벤조페논으로부터 증류하여 제거할 수 있다. 알루미나는 과산화물을 분해하지만 일부는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폐기해야 한다.[24] 나트륨/벤조페논을 사용하는 장점은 수분과 산소도 함께 제거된다는 것이다.[25]

7. 3. 건강 영향

용매 노출은 신경계 독성, 생식 기능 장애, 간 및 신장 손상, 호흡기 장애, 암, 청력 손실[26][27]피부염[28]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외에도 알코올, 아세톤, 헥산과 같은 유기물이 용매로 많이 사용되며, 이들을 '''유기용매'''라고 부른다. 유기용매는 드라이클리닝(테트라클로로에틸렌), 신나(톨루엔, 테르펜유), 매니큐어 제거액이나 접착제(아세톤,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얼룩 제거(헥산, 석유 에테르), 합성세제(오렌지 오일), 향수(에탄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대부분의 유기 용매는 휘발성이 강하고 독성이 있어 건강에 해롭다. 특히 벤젠이나 HMPA 등은 발암성을 가지고 있거나 그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메탄올은 시신경에 장애를 주어 실명을 유발하거나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유기용매의 독성과 환경 문제는 녹색 지속 가능 화학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이며, 독성이 강한 용매를 비교적 덜 해로운 용매로 대체하거나 용매 사용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용매를 다룰 때는 다음 사항에 주의해야 한다.

  • 용매 증기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작업 환경은 드래프트 챔버를 사용하거나 환기를 잘 시켜야 한다.
  • 밀폐 용기에 보관한다.
  • 가연성 용매는 불 근처에서 개봉해서는 안 된다.
  • 폭발이나 화재를 피하기 위해 인화성 용매를 바닥에 흘려서는 안 된다.
  • 용매의 증기를 흡입해서는 안 된다.
  • 용매를 피부에 닿게 해서는 안 된다. 많은 용매는 피부를 통해 쉽게 흡수된다.

7. 3. 1. 급성 노출

많은 용매는 다량으로 흡입될 경우 갑작스러운 의식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 다이에틸 에테르 및 클로로포름과 같은 용매는 오랫동안 의학에서 마취제, 진정제, 수면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신경독성 또는 과 같은 해로운 장기적인 건강 영향을 초래하기 때문에 현재는 사용이 제한적이다. 일부 용매는 본드 흡입에 오락적으로 남용되기도 한다.

에탄올은 널리 사용되는 정신활성 약물이지만, 메탄올, 1-프로판올, 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다른 알코올은 섭취 시 유독성 알데히드와 산으로 대사되어 대사성 산증을 유발할 수 있다.[30] 메탄올은 섭취 시 영구적인 실명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으며, 프랙킹 유체에 사용되는 용매 2-부톡시에탄올은 저혈압과 대사성 산증을 유발할 수 있다.[31]

7. 3. 2. 만성 노출

장기간 용매 증기를 흡입하거나 섭취하면 만성 용매 유발 뇌병증(CSE)이 발생할 수 있다.[32] 작업 환경에서 유기 용매에 만성적으로 노출되면 다양한 신경정신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용매에 직업적으로 노출된 경우 알코올 중독으로 고통받는 화가의 수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33] 일부 유기 용매는 백내장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알코올, 에스터, 케톤, 테르펜의 혼합물은 눈의 수정체에서 백내장이 발생할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다.[34]

7. 4. 환경 오염

용매, 특히 염소계 용매의 유출이나 누출은 토양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용매는 쉽게 상당한 거리를 이동하므로 광범위한 오염이 드물지 않게 발생하며, 대수층이 영향을 받는 경우 건강상의 위험이 커진다.[35] 지하에 광범위하게 용매가 오염된 지역에서는 증기 침입이 발생할 수 있다.[36] 증기 침입은 지하에 오염된 용매 증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다.

8. 화학 반응성

용매는 용질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것이 이상적이다. 반응성은 분자간 힘(쌍극자 상호작용 포함)의 영향을 받으며, 분자간 상호작용에 따라 강해진다. 수소 결합(O, N 원자와 O-H, N-H기의 수소와의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강하다.

9. 용매의 정제

대부분의 추출 및 화학 반응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매의 등급은 “시약 등급”이며, 순도는 97~99%로 약간의 수분과 휘발성 불순물을 포함한다.[1]

경우에 따라 더 높은 순도의 용매가 필요하여 고순도 용매를 구입하거나 용매를 정제하기도 한다.[2] 용매에는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안정제가 첨가되는 경우가 있으며, 수분이나 기타 불순물이 섞여 있을 수도 있다.

용매의 정제는 일반적으로 건조증류를 의미한다.[3] 분자체와 같은 건조제를 이용한 건조나 증류를 통해 정제하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cetone and Non-acetone Nail Polish Remover? https://health.howst[...] 2009-11-03
[2] 논문 Solvents
[3] 서적 Physical Chemistry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2002
[4] 문서 Lowery and Richardson
[5] 간행물 Dielectric Constant of Water from 0° to 100 °C 1956-01
[6] 문서 Lowery and Richardson
[7] 서적 An introduction to Physical Organic Chemistry Wiley
[8] 간행물 Solvent effects on the reactivities of organometallic compounds
[9] 간행물 A first-principles alternative to empirical solvent parameters
[10] 문서 Lowery and Richardson
[11] 웹사이트 Solvent Properties – Boiling Point http://www.xydatasou[...] 2013-01-26
[12] 웹사이트 Dielectric Constant http://macro.lsu.edu[...] 2013-01-26
[13] 간행물 Toward a More Holistic Framework for Solvent Selection
[14] 서적 Hansen solubility parameters in practice. https://books.google[...] Hansen-Solubility 2008
[15] 서적 Hansen solubility parameters: a user's handbook.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2-01
[16] 웹사이트 Selected solvent properties – Specific Gravity http://www.xydatasou[...] 2013-01-26
[17] 웹사이트 dcpt.ru Solvent 646 Characteristics (ru) https://www.dcpt.ru/[...]
[18] 웹사이트 dcpt.ru Solvent 647 Characteristics (ru) https://www.dcpt.ru/[...]
[19] 웹사이트 dcpt.ru Solvent 648 Characteristics (ru) https://web.archive.[...] 2018-01-18
[20] 웹사이트 dcpt.ru Solvent 650 Characteristics (ru) https://www.dcpt.ru/[...]
[21] 간행물 SAE Technical Paper Series SAE 1984-10-01
[22] 간행물 Concerning the Luminosity of Methanol-Hydrocarbon Diffusion Flames 1985-07-01
[23] 웹사이트 Peroxides and Ethers {{!}} Environmental Health, Safety and Risk Management https://www.uaf.edu/[...] 2018-01-25
[24] 웹사이트 Handling of Peroxide Forming Chemicals https://ehs.ucsc.edu[...] 2021-09-24
[25] 간행물 Revisiting of Benzophenone Ketyl Still: Use of a Sodium Dispersion for the Preparation of Anhydrous Solvents 2018-10-31
[26] 보고서 Preventing Hearing Loss Caused by Chemical (Ototoxicity) and Noise Exposure https://www.cdc.gov/[...] 2024-11-15
[27] 간행물 Organic solvents and hearing loss: The challenge for audiology 2006
[28] 웹사이트 Solvents https://www.osha.gov[...] U.S. Department of Labor
[29] 뉴스 National: Recall ordered for toy that turns into drug https://www.theage.c[...] 2007-11-07
[30] 간행물 Toxic Alcohols 2018-01
[31] 간행물 Fomepizole fails to prevent progression of acidosis in 2-butoxyethanol and ethanol coingestion 2010-07
[32] 간행물 Chronic Solvent induced Encephalopathy: A step forward https://www.scienced[...] 2012-08-01
[33] 간행물 Diagnoses of alcohol abuse and other neuropsychiatric disorders among house painters compared with house carpenters 1992-06
[34] 간행물 Lens changes in car painters exposed to a mixture of organic solvents 1976-08
[35] 간행물 A study of chlorinated solvent contamination of the aquifers of an industrial area in central Italy: a possibility of bioremediation
[36] 논문 Adverse birth outcomes and maternal exposure to trichloroethylene and tetrachloroethylene through soil vapor intrusion in New York State 2012-04-00
[37] 서적 2006-07-01
[38] 웹사이트 Solvent Properties – Boiling Point http://www.xydatasou[...] 2013-01-26
[39] 웹사이트 Dielectric Constant http://macro.lsu.edu[...] 2013-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