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리병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리병원은 영리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하여 의료 사업을 수행하는 병원을 의미한다. 주주를 위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당수는 유럽과 북미, 특히 미국에 위치해 있다. 미국에서는 영리 병원이 높은 요금을 받는 경향이 있으며, 효율성 증진과 경쟁 유도를 옹호하는 측과 의료산업 복합체 조장과 같은 부작용을 비판하는 측의 의견이 대립한다. 캐나다와 인도에서도 영리 병원에 대한 비판이 존재하며, 대한민국은 의료법상 영리병원의 개설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에서 영리 자회사 허용으로 논란이 있었고, 2018년 제주도에 외국인 대상 영리병원 개설이 허가되면서 논쟁이 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의료 - 국민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은 1963년 의료보험법 제정으로 시작되어 2000년 국민 의료 보험과 직장 의료 보험을 통합하여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회보험 제도로, 모든 국민을 가입자로 하며 소득에 따라 보험료가 부과되고 요양기관을 지정하여 운영하며, 저수가 정책, 도농 간 의료 격차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대한민국의 의료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와 국민 의료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2000년 설립된 준정부기관으로, 요양급여 비용 심사, 적정성 평가, 의약품 유통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COVID-19 대응에도 기여한다.
영리병원

2. 개념

영리병원을 이해하려면 우선 영리법인을 이해해야 한다. 영리법인은 특정한 사업을 하기로 뜻을 같이 한 다수의 투자자들이 모여 설립하며, 설립된 법인은 해당 사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 발생한 이윤을 투자자들에게 분배한다.[5] 주식회사는 대표적인 영리법인으로, 투자자는 주주이고, 주식회사는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윤을 주주들에게 분배한다.

영리법인이란 수익사업을 행하고, 그를 통해 벌어들인 이윤을 법인의 구성원에게 분배하는 법인이다. '''영리병원은 이러한 영리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하여 의료사업을 할 경우를 말한다'''.

영리병원은 유럽과 북미에 위치해 있으며, 특히 20세기 후반에 설립된 병원 중 상당수가 미국에 있다. 이들은 전통적인 비영리병원과 달리 주주들을 위해 수익을 창출하려고 한다. 2015년 Health Affairs지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가장 높은 요금을 받는 병원은 영리병원이다.[6]

2. 1. 영리법인과 영리병원

영리법인을 이해해야 영리병원을 이해할 수 있다. 영리법인은 특정한 사업을 위해 뜻을 같이 한 다수의 투자자들이 모여 설립한다. 설립된 영리법인은 해당 사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 발생한 이윤을 투자자들에게 분배한다.[5] 주식회사가 대표적인 영리법인이다. 주식회사의 투자자는 주주이고, 주식회사는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윤을 주주들에게 분배한다.

영리법인은 수익사업을 하고, 그를 통해 벌어들인 이윤을 법인의 구성원(투자자, 예를 들어 주식회사의 주주)에게 분배하는 법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영리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하여 의료사업을 할 경우, 그 의료기관이 바로 영리병원이다'''.

영리병원 중 상당수는 유럽과 북미에 있으며, 특히 20세기 후반에 설립된 병원 중 상당수가 미국에 있다. 이들은 전통적이고 일반적인 비영리병원과 달리 주주들을 위해 수익을 창출하려고 한다. 2015년 Health Affairs지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가장 높은 요금을 받는 병원은 영리병원이다.

2. 2. 영리병원의 특징

영리병원을 이해하려면 우선 영리법인을 이해해야 한다. 영리법인은 특정한 사업을 하기로 뜻을 같이 한 다수의 투자자들이 모여 설립하며, 해당 사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 발생한 이윤을 투자자들에게 분배한다.[5] 주식회사가 대표적인 영리법인으로, 주식회사의 투자자는 주주이고, 주식회사는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윤을 주주들에게 분배한다.

결국 영리법인이란 수익사업을 행하고, 그를 통해 벌어들인 이윤을 법인의 구성원(투자자, 가령 주식회사의 주주)에게 분배하는 법인이다. '''영리병원은 이러한 영리법인이 의료기관을 개설하여 의료사업을 할 경우를 말한다'''.

영리병원 중 상당수는 유럽과 북미에 위치해 있으며, 특히 20세기 후반에 설립된 병원 중 상당수가 미국에 있다. 영리병원은 전통적인 비영리병원과 달리 주주들을 위해 수익을 창출하려고 한다. 2015년 Health Affairs지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가장 높은 요금을 받는 병원은 영리병원이다.

3. 국가별 현황

미국, 캐나다, 인도 등 여러 국가에서 영리병원이 운영되고 있으며, 각 국가마다 영리병원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미국의 경우 영리병원은 효율성과 경쟁을 통해 의료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의료산업 복합체를 조장하고 의료 서비스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캐나다에서는 영리병원이 더 높은 비용으로 열등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비판이 있으며, 인도에서는 영리병원의 과잉 진료 및 불필요한 수술 권유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의료법상 영리법인은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어 영리병원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제주도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영리병원인 '녹지국제병원' 개설이 허가되면서 논란이 된 바 있다.[7]

3. 1. 미국

미국에서 가장 큰 영리병원 기업은 병원 법인 미국(Hospital Corporation of America), 테넷(Tenet), 인컴패스 헬스(Encompass Health)이다.[2] 인컴패스 헬스는 미국에서 세 번째로 큰 전국 체인이자 재활 서비스의 주요 제공업체이기도 하다. 2010년 유니버설 헬스 서비스(Universal Health Services)가 정신과 솔루션즈(Psychiatric Solutions)를 인수하여 미국 최대의 정신과 서비스 제공업체가 되었다.[2]

영리 건강 유지 기구(HMO)는 현재 미국의 의료 서비스(medical services)를 제공하는 주요 수단이다. 영리 HMO 지지자들은 효율성이 높아 더 낮은 비용으로 더 나은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자유 시장에서 병원들이 경쟁을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동기를 갖게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영리 병원이 의료산업 복합체(Medical–industrial complex)를 조장하고 의사와 환자의 상호 작용을 줄일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3]

영리 의료 제공업체의 성공은 주로 부유하고 보험에 가입한 고객에게 수익성이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성이 낮은 분야는 회피하는 방식에서 비롯된다는 비판이 있다. 예를 들어, 영리 병원은 재활 의학(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선택적/성형 수술, 심장학 등 수익성이 높은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반면, 빈곤층을 주로 대상으로 하는 응급 의학과 같이 손실을 발생시키는 서비스는 피한다는 것이다. 영리 HMO 비판론자들은 이러한 기업들이 건강한 사람들을 주로 보험에 가입시키고 만성 질환 환자를 회피하여, 결국 공공 보험 계획과 비영리 제공업체가 만성 질환자를 떠맡게 된다고 주장한다.

3. 2. 캐나다

영리 병원은 캐나다 의료계에서 더 높은 비용으로 열등한 치료를 제공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 이러한 비판은 캐나다 의학 협회 저널과[2]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의 사설에서도 제기되었다.[3]

3. 3. 인도

인도의 영리 병원은 최근 언론의 집중적인 조사를 받고 있다. 허핑턴 포스트의 기사에서는 "기업 병원"과 상급 외과 의사들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환자들에게 수술을 권유하도록 지시받는 문제에 대해 이야기했다. 한 사례에서는, 한 의사가 충분한 환자를 수술하지 않으면 해고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4]

3. 4. 대한민국

대한민국 의료법상 의료기관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의료인, 비영리법인 등이 개설할 수 있다. 반면 영리법인은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으며, 의료사업도 할 수 없다. 따라서 대한민국에서 영리병원은 개설될 수 없다.

3. 4. 1. 제주도 녹지국제병원 논란

박근혜 정부는 병원을 비영리로 운영하되, 영리 자회사를 갖출 수 있게 함으로써 병원들이 어느 정도 투자자들의 개입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6]

2018년 12월 5일, 제주도에 최초의 영리병원이자 외국인이 이용하는 '녹지국제병원'의 개설이 허가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7]

참조

[1] 뉴스 Highest-Charging U.S. Hospitals Are For-Profit And Concentrated In Florida https://www.npr.org/[...] NPR 2015-06-09
[2] 웹사이트 https://olis.leg.sta[...] 2022-03
[3] 서적 The Medical Industrial Complex / Stanley Wohl Harmony Book 1984
[4] 웹사이트 Exclusive: Doctors And Hospitals Are Playing With Lives For Profit, Say Authors Of Medical Exposé http://www.huffingto[...] 2016-07-15
[5] 문서
[6] 뉴스 "[의사 이정렬의 병원 이야기]의료법인 영리 자회사에 대한 오해와 진실"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14-02-18
[7] 뉴스 원희룡, 국내 첫 영리병원 제주녹지국제병원 허가 https://n.news.naver[...] 노컷뉴스 2018-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