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신여객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신여객은 1960년 6월 9일 광주고속 서울 강북구 영업소를 분리하여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인 서울버스공사로 설립되었으며, 1966년 6월 14일 현재의 상호로 변경되었다. 과거 6번, 11번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했으며, 서울시 버스 노선 개편을 통해 109번, 120번, 1167번 등을 운행하고 있다.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및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종을 운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북구의 교통 - 덕릉로
덕릉로는 서울 강북구에서 시작해 도봉구, 노원구를 지나 경기 남양주시 별내동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주변에 다양한 공공기관, 복지시설, 교육기관이 위치한다. - 서울 강북구의 교통 - 우이령
우이령은 북한산국립공원의 고개로, 출입 통제 후 2009년 개방되었으며, 환경 문제 논란 속에 탐방 예약제를 통해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 1960년 설립된 기업 - 세아그룹
세아그룹은 특수강, 강관 등을 주력 사업으로 하는 기업 집단이며, 세아홀딩스를 지주회사로 두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생산 거점을 확보하고 있으며, 아람코와 협력하여 중동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 1960년 설립된 기업 - 금호타이어
금호타이어는 1960년 삼양타이어공업으로 시작하여 1978년 금호타이어로 상호를 변경한 대한민국의 타이어 제조 기업이며, 중국 더블스타에 인수되어 한국, 중국, 베트남, 미국 등지에서 생산 시설과 연구 개발 센터를 운영한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한국도심공항
한국도심공항은 1985년 설립되어 시내 체크인 서비스와 공항버스 운수업을 운영했으며, 2023년 시내 체크인 서비스를 폐업하고 현재는 공항버스 사업과 수출입 물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영신여객 (서울)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 이름 | 영신여객자동차 주식회사 |
원어 | Yeongshin Yeogek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60년 6월 9일 |
시장 정보 | 해당 사항 없음 |
장소 |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173길 22 (우이동)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박성동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 |
자본금 | 55,100,000원 |
매출액 | 12,948,345,295원 |
영업이익 | 162,853,901원 |
순이익 | 248,804,563원 |
자산총액 | 5,131,035,002원 |
주주 구성 | |
주요 주주 | 마대준 : 34.07% 마대영, 마대종 : 각 24.99% 김선희 : 15.91% 자기주식 : 0.04% |
종업원 수 | 157명 |
2. 역사
현재 두 개의 간선버스 노선과 한 개의 지선버스 노선을 운영 중이다.
2. 1. 설립 초기 (1960년대)
1960년 6월 9일 '''서울버스공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립되었다. 이는 광주고속의 서울 강북구 영업소가 분리 독립하여 만들어진 회사이다. 이후 1966년 6월 14일 회사 이름을 '''영신여객'''으로 변경하였다.2. 2. 노선 변화 (개편 전후)
- '''개편 전 노선'''
도시형버스
- 6번: 우이동 도선사 - 수유역 - 미아삼거리역 ↔ 성균관대 → 창경궁로 → 퇴계로 → 세종로 → 율곡로 → 성균관대 (이후 동아운수 101번이 계승)
- 11번: 우이동 ↔ 수유리 ↔ 미아사거리 ↔ 창경궁 ↔ 안국동 → 광화문 → 시청 → 서울역 → 롯데백화점 → 안국동 (1984년 삼영교통에 양도)
- '''개편 후 노선'''
지선버스
- 1122번: 우이동 도선사 - 화계사입구 ↔ 길음역 → 고려대 → 보문역 → 성신여대입구역 → 아리랑고개 → 길음역 (신설 노선. 2004년 8월 5일 간선버스 109번으로 형간 전환 및 노선 연장)
- 1166번: 도선사 - 국민대학교 (2018년 8월 24일 폐선)
- 1217번: 구 6-1번 노선. 2005년 9월 1일 간선버스 120번으로 형간 전환.
- 1219번: 구 442번 노선. 2005년 4월 지선버스 1166번으로 번호 변경 및 노선 단축.
3. 운행 노선
운행노선 | 운행구간 | 배차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109번 | 우이동 | ↔ | 광화문 | 4~12 | 14 | 구 1122번 |
120번 | 우이동 | ↔ | 서울시동부병원 | 4~15 | 32 | 구 6-1번. 구 1217번 |
1167번 | 우이동 | ↔ | 은행사거리 | 15~25 | 13 | 2018년 8월 24일 신설 |
3. 1. 간선버스
2024년 12월 22일 기준이다.[1]
4. 보유 차량
전 차량을 현대자동차의 버스로 운용하고 있다.
5. 갤러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