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네버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네버르는 맥아 와인을 증류하여 만든 술로, 주니퍼 베리를 첨가하여 향을 낸 것이 특징이다. 13세기부터 기록이 있으며, 처음에는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플랑드르 지역의 포도원 감소로 맥주 증류로 대체되었다. 17세기 이후 인기를 얻어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 여전히 즐겨 마시며, 유럽 연합 법령에 따라 특정 지역에서 생산된 것만 '예네버르'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네버르는 증류 방식에 따라 아우더와 용허로 나뉘며, 생산 지역으로는 벨기에의 하셀트, 데인제, 네덜란드의 스키담, 흐로닝언 등이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예네버르
기본 정보
예네버르 병
예네버르 병
종류
원산지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
생산
주재료맥아, 호밀, 옥수수, 밀, 주니퍼 베리
알코올 도수35–48%
역사 및 문화
다른 이름제네바, 홀란드 진, 제네베르, 페케
파생

2. 역사

1950년대부터 네덜란드 국적 항공사인 KLM은 예네버가 채워진 네덜란드의 건물들을 모델로 한 델프트 블루 하우스를 승객에게 선물로 발행해 왔다.

2. 1. 기원과 초기 발전

화학자이자 연금술사인 실비우스 드 보우베(네덜란드어: Sylvius de Bouve, 라틴어: Franciscus Sylvius)가 예네버르를 발명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처음에는 16세기 후반까지 약용으로 판매되었다.[13] 17세기에 예네버르는 향으로 인해 더욱 인기를 얻었으며, 현재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 여전히 인기가 높다. 유럽 연합 법령에 따르면 네덜란드와 벨기에, 프랑스의 두 지방, 독일의 두 지방에서만 만들어진 예네버르만이 ''예네버르''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13]

예네버르는 원래 맥아 와인(네덜란드어로 ''moutwijn'')을 증류하여 50% 알코올 도수로 생산되었다. 당시에는 정제된 증류 기술이 부족하여(단지 단식 증류기만 사용 가능) 증류주의 맛이 좋지 않아 향을 가리기 위해 허브를 첨가했다. 주니퍼 베리(라틴어 ''주니퍼''에서 유래)는 여기서 ''jenever''(그리고 영어 이름 의 어원)라는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그 약효 때문에 사용되었다.

적어도 네덜란드 오버레이설 주 오멘 주변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4] 예네버르는 스펠트 밀이라는 오래된 품종의 밀로 증류된다.[5]

예네버(또는 제네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여러 플랑드르 작가들이 쓴 과학 논문에서 발견된다. 야코프 판 마를란트(브뤼헤, 1235년 – 1300년)는 1266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Der Naturen Bloeme''에서 와인을 증류하여 만든 술에 주니퍼 나무의 일부를 첨가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이것은 네덜란드어로 증류에 관해 쓰여진 최초의 기록으로 주니퍼 나무와 관련이 있었다. 그 후 1522년, 안트베르펜에 거주하는 의사 필리푸스 헤르만니가 제네버의 첫 번째 조리법을 썼다. 그는 으깬 주니퍼 베리를 와인과 섞어 증류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예네버의 초기 버전은 의학적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증류된 와인에서 유래했다. 나중에, 추운 기온으로 인해 플랑드르 지역의 포도원이 사라지자, 맥아 와인이라고 불리는 맥주 증류로 대체되었다.

예네버의 발명이 네덜란드 화학자이자 연금술사인 프란시스쿠스 실비우스 드 부베(1614–1672)에게 기인한다는 전통이 있다.[6] 그러나 증거에 따르면 예네버는 이미 1500년대에 알려져 의약품으로 사용되었다.[7] 이미 1606년(실비우스 출생 수년 전)에 네덜란드는 예네버 및 유사한 술에 알코올 음료로 세금을 부과했는데, 이는 예네버가 그때쯤에는 의약품으로 간주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게다가 실비우스가 열 살이 되기 전인 1623년 필립 매신저의 희곡 ''밀라노 공작''에 예네버가 "제네바"로 언급되었다. ''제네바''는 예네버의 영어식 이름이었고 (술은 스위스 도시 제네바와 아무 관련이 없음에도), 영국 군인들이 저지대 국가에서의 전투에서 돌아오면서 처음 1587년(실비우스 출생 훨씬 전)과 1600년대 초에 가져온 이름이었다.

2. 2. 17세기 이후의 발전과 대중화

네덜란드의 화학자이자 연금술사인 실비우스 드 보우베(라틴어: Franciscus Sylvius)에 의해 발명되었다고 믿어지며, 처음에는 16세기 후반까지 약용으로 판매되었다. 17세기에는 예네버르의 향으로 인해 더욱 인기를 모으게 되었고 현재에도 네덜란드와 벨기에에서는 여전히 인기가 높다. 유럽 연합 법령에 따르면 네덜란드와 벨기에, 프랑스의 두 지방, 독일의 두 지방에서만 만들어진 예네버르만이 ''예네버르''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13]

예네버르는 원래 맥아 와인(네덜란드어로 ''moutwijn'')을 증류하여 50% 알코올 도수로 생산되었다. 당시에는 정제된 증류 기술이 부족하여 (단지 단식 증류기만 사용 가능) 증류주의 맛이 좋지 않아 향을 가리기 위해 허브를 첨가했다. 주니퍼 베리(라틴어 ''주니퍼''에서 유래)에서 ''jenever''(그리고 영어 이름 의 어원)라는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그 약효 때문에 사용되었다.

예네버(또는 제네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여러 플랑드르 작가들이 쓴 과학 논문에서 발견된다. 야코프 판 마를란트(브뤼헤, 1235년 – 1300년)는 1266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Der Naturen Bloeme''에서 와인을 증류하여 만든 술에 주니퍼 나무의 일부를 첨가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그 후 1522년, 안트베르펜에 거주하는 의사 필리푸스 헤르만니가 제네버의 첫 번째 조리법을 썼다.

예네버의 발명이 네덜란드 화학자이자 연금술사인 프란시스쿠스 실비우스 드 부베[6] (1614–1672)에게 기인한다는 전통이 있다. 그러나 증거에 따르면 예네버는 이미 1500년대에 알려져 의약품으로 사용되었다.[7] 이미 1606년(실비우스 출생 수년 전)에 네덜란드는 예네버 및 유사한 술에 알코올 음료로 세금을 부과했는데, 이는 예네버가 그때쯤에는 의약품으로 간주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게다가 실비우스가 열 살이 되기 전인 1623년 필립 매신저의 희곡 ''밀라노 공작''에 예네버가 "제네바"로 언급되었다. ''제네바''는 예네버의 영어식 이름이었고, 영국 군인들이 저지대 국가에서의 전투에서 돌아오면서 처음 1587년(실비우스 출생 훨씬 전)과 1600년대 초에 가져온 이름이었다.

3. 종류 및 제조 방식

예네버르는 엿기름주를 증류하여 만든다. 초기에는 증류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향을 내기 위해 허브를 첨가했다.[14] 약용으로 쓰이던 노간주 열매(네덜란드어:''Jeneverbes'', 프랑스어: ''genievre'')가 첨가되었고,[14] 여기서 예네버르라는 이름이 유래했다(영어 이름 ''진''도 마찬가지).

코런베인(네덜란드어:Korenwijn, 옥수수술)은 18세기 양식의 예네버르와 가장 비슷하며, 종종 오크통에 몇 년 동안 숙성되기도 한다. 코런베인은 51%에서 70%의 몰트와인과 리터당 20g의 설탕을 함유하고 있다.

현대에 시판되는 대부분의 ''용허 예네버르''는 벨기에 Filliers에서 생산한 맥아 와인, 독일, 프랑스, 러시아 등지의 공장에서 생산된 사탕무 또는 곡물 기반 에틸 알코올, 그리고 물의 혼합물이다. 대부분의 대형 브랜드는 맥아 와인을 전혀 함유하지 않아 본질적으로 보드카와 유사하다.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증류소는 실제로 예네버를 증류하며, 대부분 소량의 특수 음료를 생산한다.

보리, 밀, 스펠트, 호밀 등 생산 과정에 사용되는 다양한 곡물은 서로 다른 풍미의 예네버르를 만들어낸다. 때로는 미국 위스키에 사용되었던 배럴을 사용하여 맛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3. 1. 용허(Jonge) 예네버르

예네버르는 '아우더(Oude)'와 '용허(Jonge)' 두 종류로 나뉘는데, 이는 숙성 기간이 아닌 증류 기법에 따른 구분이다.[14] 1900년대경, 원료에 상관없이 맛이 거의 없는 고품질 알코올 생산이 가능해졌다. 더 가볍고 덜 강한 맛, 저렴한 가격을 추구하는 세계적 경향에 따라 영국에서는 블렌드 위스키가, 네덜란드에서는 용허 예네버르가 탄생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수입 곡물 부족으로 엿기름이 부족해지자, 사탕무 산업에서 생산된 당밀 추출 알코올이 곡물 알코올 대신 사용되었다. 이로 인해 전통 방식의 예네버르는 '아우더', 엿기름보다 곡물 함량이 높고 단순 설탕 기반 알코올을 함유한 새로운 방식은 '용허'라고 불리게 되었다.

현대 용허 예네버르는 맥아주를 15% 이하, 1리터당 설탕을 10g 이하로 함유해야 한다. 보드카처럼 중성적인 맛에 약간의 주니퍼와 맥아 증류주 향이 난다.

3. 2. 아우더(Oude) 예네버르

예네버르는 크게 "아우더(Oude)"와 "용허(Jonge)" 두 종류로 나뉜다. 이는 숙성 기간이 아닌 증류 기법에 따른 구분이다.[14] 1900년대 무렵, 원료와 관계없이 맛이 거의 없는 고품질 알코올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영국에서는 블렌드 위스키가, 네덜란드에서는 용허 예네버르가 각각 발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수입 곡물 부족으로 엿기름이 부족해지자, 당밀 추출 알코올이 곡물 생산 알코올을 대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전통 방식의 예네버르는 '아우더', 엿기름보다 곡물 함량이 높고 설탕 기반 알코올이 섞인 새로운 방식은 '용허'라고 불리게 되었다.

현대에는 곡물로 증류한 예네버르를 흐란예네버르, 엿기름으로 생산한 것을 엿기름 예네버르라고 한다. 용허 예네버르는 맥아주 함량이 15% 이하, 리터당 설탕 함량은 20%를 넘을 수 없다. 코런베인(네덜란드어:Korenwijn, 옥수수술)은 18세기 방식과 유사하며 오크통에 수년간 숙성하기도 하는데, 몰트와인 51~70%와 리터당 설탕 20g을 함유한다.

용허 예네버르는 보드카처럼 중성적인 맛에 주니퍼와 맥아 증류주 향이 약간 난다. 아우더 예네버르는 부드럽고 향긋하며 맥아 풍미가 강하다. 아우더 예네버르는 나무통 숙성을 거쳐 위스키와 비슷한 맥아, 나무, 훈제 향을 내기도 한다. 보리, 밀, 스펠트, 호밀 등 다양한 곡물이 사용되어 각기 다른 풍미를 만들어내며, 미국 위스키에 사용했던 배럴을 활용하여 맛을 더하기도 한다.

3. 3. 기타 변형

예네버르는 '아우더(Oude, 오래된)'와 '용허(Jonge, 젊은)' 두 종류로 나뉜다. 이는 숙성 기간이 아닌 증류 기법에 따른 구분이다.[14] 1900년대경, 원료와 무관하게 맛이 거의 없는 고품질 알코올 생산이 가능해졌다. 보다 가볍고 덜 강한 맛, 저렴한 가격을 추구하는 세계적 경향은 영국에서 블렌드 위스키로, 네덜란드에서는 용허 예네버르로 이어졌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수입 곡물 부족으로 엿기름이 부족해지자 이러한 변화가 가속화되었다. 사탕무 당밀 추출 알코올이 곡물 알코올 대신 사용되면서, 전통 방식은 '아우더', 엿기름보다 곡물 함량이 높고 단순 당 기반 알코올이 많은 새 방식은 '용허'로 불리게 되었다.

현대에는 곡물과 맥아만으로 증류한 예네버르를 '흐란예네버(Graanjenever, 곡물 예네버)'라 한다. '용허 예네버'는 맥아 와인 15% 이하, 리터당 설탕 10g 이하를, '아우더 예네버'는 맥아 와인 최소 15% 이상, 리터당 설탕 20g 이하를 함유해야 한다. '코런베인(Korenwijn, 곡물 와인)'은 18세기 스타일과 유사하며, 종종 오크 통에서 수년간 숙성된다. 51%~70%의 맥아 와인과 최대 20g/L의 설탕을 함유한다. '아우더 예네버'라는 명칭이 반드시 숙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오크 통 숙성을 하는 증류소도 있다.

4. 생산 지역 및 유명 회사

하셀트에서 판매되는 예네베르 병들, 전통적인 찰흙 병 2개 포함


벨기에의 하설트, 데인제, 알스트, 리에주와 네덜란드의 스키담, 흐로닝언, 암스테르담, 델프트는 예네베르로 유명하며 종종 "예네베르 도시"(jeneversteden)로 불린다.[8] 스히담의 멜허스, 헹커스와 하세캄프는 아프리카로 예네베르를 상당수 수출한다. 몬트리올의 데 카위퍼르는 캐나다에서 예네베르를 생산한다. 하셀트는 벨기에의 예네베르 수도를 자처하며 예네베르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왈로니아의 Biercée Distillery는 미국으로 자사 제네바를 수출하는 벨기에 증류소 두 곳 중 하나이다.[8]

4. 1. 주요 생산 지역

벨기에의 하설트, 데인제, 네덜란드의 스키담, 흐로닝언이 예네버르로 유명하다.[8]

벨기에의 하셀트, 데인제, 알스트, 리에주와 네덜란드의 스키담, 흐로닝언, 암스테르담, 델프트는 예네베르로 유명하며 종종 "예네베르 도시"(jeneversteden)로 불린다.[8] 암스테르담에서는 ''The Stillery'', ''Van Wees'', ''Wynand Fockink''에서 예네베르를 생산한다. 스키담의 유명한 예네베르 증류소로는 ''Nolet'', ''Onder De Boompjes'', ''Herman Jansen,'' 그리고 ''De Kuyper''가 있다. (예네베르는 영어식 이름인 "schiedam"으로 표기될 수 있다.) 네덜란드-벨기에 국경 근처의 바를레나사우에서는 ''Zuidam''이 전통적인 예네베르와 네덜란드 리큐어를 생산한다. 네덜란드의 다른 예네베르 도시로는 흐로닝언 (''Hooghoudt'')과 도르드레흐트 (''Rutte Distillery''[9])가 있다. 벨기에의 데인제는 ''Filliers'' 증류소로 매우 유명하며, 알스트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운영 중인 ''Stokerij De Moor''와 ''Stokerij Van Der Schueren''으로 유명하다. 하셀트는 벨기에의 예네베르 수도를 자처하며 이 음료를 위한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왈로니아의 Biercée Distillery는 미국으로 자사 제네바를 수출하는 벨기에 증류소 두 곳 중 하나이다.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루카스 볼스는 남아메리카에서 Ginebra|히네브라es로 알려진 ''oude genever''를 생산하고 판매한다. 케텔 원은 현재 보드카 생산으로 더 잘 알려져 있지만, 예네베르 증류소로 시작했으며 지금도 그렇다.

4. 2. 유명 회사

벨기에의 하설트, 데인제와 네덜란드의 스키담, 흐로닝언이 예네버르로 유명하다.[8]

네덜란드에 기반한 루카스 볼스는 남아메리카에서 스페인어로 ''히네브라(스페인어:Ginebra(제네바))''라고 불리는 ''아우더 예네버르''를 생산한다.[8] 현재 보드카로 더 잘 알려진 케텔 원은 예네버르 양조장으로 시작했으며 현재도 예네버르를 생산하고 있다.[8]

벨기에의 하설트, 데인제, 알스트, 리에주와 네덜란드의 스키담, 흐로닝언, 암스테르담, 델프트는 예네베르로 유명하며 종종 "예네베르 도시"(jeneversteden)로 불린다.[8] 암스테르담에서는 ''The Stillery'', ''Van Wees'', ''Wynand Fockink''에서 예네베르를 생산한다.[8] 스키담의 유명한 예네베르 증류소로는 ''Nolet'', ''Onder De Boompjes'', ''Herman Jansen,'' 그리고 ''De Kuyper''가 있다.[8] 네덜란드-벨기에 국경 근처의 바를레나사우에서는 ''Zuidam''이 전통적인 예네베르와 네덜란드 리큐어를 생산한다.[8] 네덜란드의 다른 예네베르 도시로는 흐로닝언 (''Hooghoudt'')과 도르드레흐트 (''Rutte Distillery''[9])가 있다.[8] 벨기에의 데인제는 ''Filliers'' 증류소로 매우 유명하며, 알스트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운영 중인 ''Stokerij De Moor''와 ''Stokerij Van Der Schueren''으로 유명하다.[8]

5. 음용법

예네버르는 일반적으로 냉장 보관하여 차갑게 마시지만, 고급 아우더(ouder)와 코런와인(korenwijn)은 상온에서 마신다.[10] 예네버르를 라거 맥주와 함께 마실 때는 '콥스투트(kopstoot)'라고 부르는데, 이는 네덜란드어로 '박치기'를 의미한다.[10]

5. 1. 전통적인 음용법

예네버르는 때때로 냉장고에 보관하여 차게 마시지만, 높은 품질의 아우더와 코런와인은 상온으로 마신다. 예네버르를 라거 맥주 다음에 이어서 마실 때는 네덜란드어로 박치기를 의미하는 '콥스투트(kopstoot)'라고 부른다.

전통적으로 예네버르는 튤립 모양의 잔에 가장자리까지 채워 제공되며, 표면 장력으로 인해 예네베르가 잔의 가장자리보다 더 높이 올라오게 된다. 흔히 "jonkie"(어린 녀석)라고 불리는 '요네 예네베르'(young jenever)는 실온에서 제공되며, 때로는 (지금은 매우 구식으로 여겨지지만) 설탕과 작은 숟가락으로 섞어서 제공되기도 한다. 냉동실에 보관한 병에서 차갑게 또는 온더락('jonge met ijs')으로 제공되기도 한다. 고품질의 '아우더 예네베르'(oude jenever) 및 '코렌와인'(korenwijn)은 보통 실온에서 제공된다. 예네베르를 맥주(일반적으로 라거)와 함께 체이서로 마실 때, 플란데런과 네덜란드 남부에서는 예네베르 잔을 맥주 잔에 담그면 "kopstoot"(헤드버트)라고 하며, "duikboot"(잠수함)이라고 부른다. 전통적으로 예네베르는 냉동실에서 바로 꺼낸 가득 채워진 샷잔으로 제공된다. 잔이 매우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잔을 잡지 않고 테이블에 올려놓고 허리를 구부려 잔에 입을 대고 첫 모금을 마시는 것이 좋다.[10]

5. 2. 현대적인 음용법

예네버르는 때때로 냉장고에 보관하여 차게 마시기도 한다. 그러나 높은 품질의 아우더와 코런와인은 상온으로 마신다. 예네버르를 라거 맥주 다음에 이어서 마실 때는 네덜란드어로 박치기를 의미하는 '콥스투트(kopstoot)'라고 부른다.[10]

전통적으로 예네베르는 튤립 모양의 잔에 가장자리까지 채워서 제공되며, 표면 장력으로 인해 예네베르가 잔의 가장자리보다 더 높이 올라오게 된다. 흔히 "jonkie"(어린 녀석)라고 불리는 '요네 예네베르'(young jenever)는 실온에서 제공되며, 때로는 (지금은 매우 구식으로 여겨지지만) 설탕과 작은 숟가락으로 섞어서 제공되기도 한다. 냉동실에 보관한 병에서 차갑게, 또는 온더락(''jonge met ijs'')으로 제공되기도 한다. 고품질의 '아우더 예네베르'(oude jenever) 및 '코렌와인'(korenwijn)은 보통 실온에서 제공된다. 예네베르를 맥주(일반적으로 라거)와 함께 체이서로 마실 때, 플란데런과 네덜란드 남부에서는 예네베르 잔을 맥주 잔에 담그면 "kopstoot"(헤드버트)라고 하며, "duikboot"(잠수함)이라고 부른다. 전통적으로 예네베르는 냉동실에서 바로 꺼낸 가득 채워진 샷잔으로 제공된다. 잔이 매우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잔을 잡지 않고 테이블에 올려놓고 허리를 구부려 잔에 입을 대고 첫 모금을 마시는 것이 좋다.[10]

6. 지리적 표시제

역사적, 문화적 기여를 인정받아 생산 규정을 준수하는 지리적 표시제에 따라 유럽 연합은 11가지 특정 유형의 예네버를 보호하고 있다.


  • 벨기에, 네덜란드, 프랑스 소규모 지역, 독일 소규모 지역: 예네버(''Genièvre / Jenever / Genever''), 곡물 예네버(''Genièvre de grains / Graanjenever / Graangenever'')
  • 벨기에, 네덜란드, 독일 소규모 지역: 과일 예네버(''Genièvre aux fruits / Vruchtenjenever / Jenever met vruchten / Fruchtgenever'')
  • 벨기에, 네덜란드: 올드 예네버(''oude jenever / oude genever''), 영 예네버(''jonge jenever / jonge genever'')
  • 벨기에: O'de Flander 진짜 동플랑드르 곡물 예네버(''O'de Flander Echte Oost-Vlaamse graanjenever''), 하셀트 예네버(''Hasseltse jenever''), 발레겜 예네버(''Balegemse jenever''), 그리고 왈롱의 페케(''Peket-Pekêt / Pèket-Pèkèt de Wallonie'')
  • 프랑스 2개 지역: 플랑드르 아르투아 예네버(''genièvre Flandre Artois'')
  • 독일 2개 주: 동프리지아 곡물 예네버(''Ostfriesischer Korngenever'')


Genièvre 및 Genièvre de Jura라는 이름도 스위스의 지리적 표시로 보호받고 있다(EU에서 인정).

예네버의 지리적 표시 보호는 아르메니아, 중국, 조지아, 아이슬란드, 코소보, 리히텐슈타인, 멕시코, 몰도바, 노르웨이, 스위스, 우크라이나, 영국, 일본에도 적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Serious Eats Guide to Genever https://drinks.serio[...] 2022-12-11
[2] 웹사이트 Genever invention: The rich and malty ancient spirit is making a http://www.independe[...] 2020-01-24
[3] 웹사이트 Jenever http://www.thinkingb[...]
[4] 간행물 Een slimme boer bedenkt iets nieuws https://core.ac.uk/d[...] 1997
[5]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Growing Your Own Hops, Malts, and Brewing Herbs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ing Company 2012-09-01
[6] 웹사이트 Bunnyhugs » Blog Archive » Genever, Geneva or Jenever? History and Product Comparison http://bunnyhugs.org[...] bunnyhugs.org
[7] 웹사이트 History of gin (1100s - mid-1500s) https://www.diffords[...] 2021-04-30
[8] 웹사이트 Belgian Genever http://www.Belgiange[...]
[9] 웹사이트 Agecheck {{!}} Rutte Distillers http://www.rutte.com 2018-01-11
[10] 웹사이트 What is Jenever & How to Drink It: Top 10 Best Dutch Gin https://bespokeunit.[...]
[11] 웹사이트 Genièvre / Jenever / Genever https://www.tmdn.org[...] 2021-09-18
[12] 웹인용 Jenever http://www.thinkingb[...] 2010-07-17
[13] 웹인용 Distillery Cooymans http://www.cooymans.[...] 2010-07-17
[14] 웹인용 Bols Distilleries http://www.answer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