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당저수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당저수지는 충청남도 예산군과 당진시에 걸쳐 있는 저수지로, 홍문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1928년 착공하여 일제강점기 중단되었다가 1946년부터 재착공하여 1964년에 완공되었다. 만수 면적은 10.9km², 저수량은 4,710만 m³이며, 1969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낚시터, 관광지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예당호 출렁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산군의 관광지 - 수덕사
    충청남도 예산군 덕숭산에 위치한 수덕사는 백제 시대 창건 설이 있는 조계종 제7교구 본사이자 덕숭총림의 중심 사찰로서, 국보인 대웅전을 비롯한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며 선불교 중흥에 기여했고, 현재는 템플스테이를 통해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 예산군의 관광지 - 덕산도립공원
    험준한 산악 지형과 다양한 동식물, 풍부한 수자원을 가진 덕산도립공원은 등산 및 탐험에 적합한 한국의 도립공원이다.
  • 충청남도의 저수지 - 탑정저수지
    탑정저수지는 일제강점기 말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건설된 흙댐으로, 수변 개발 사업과 출렁다리 조성으로 관광 명소가 되었으나 가뭄으로 인한 생태계 피해 사례도 있다.
  • 충청남도의 저수지 - 계룡저수지
    금강 수계를 수원으로 하는 계룡저수지는 논산시 일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낚시터로도 이용되며, 계룡산국립공원과 갑사, 신원사 등 관광 명소와 인접해 있다.
  • 예산군의 지리 - 삽교천
    삽교천은 현재 문서가 제공되지 않아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 예산군의 지리 - 덕숭산
    덕숭산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산으로, 수덕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로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예당저수지
위치 정보
기본 정보
개요
위치대한민국 충청남도
설명무한천의 물을 막아 만든 저수지
상세 정보
관리한국농어촌공사
시설
제방
관련 하천무한천
기타
참고 자료무한천 (無限川)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 역사

조선 시대의 국사당보(국사탕보[3], 국사탄보[4])를 모체로 1928년 4월에 착공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말기부터 공사가 중단되었다.[5][6] 1945년 8월 15일 광복 전후, 잠시 공사가 중단된 후,[5][6] 1946년부터 예당수리조합의 주관으로 1952년 12월에 다시 착공하여 1963년에 준공,[5] 1964년 12월 31일에 완공되었다.[6] 예당저수지는 예산군과 당진시에 걸쳐 있는 넓은 홍문평야(鴻門平野)를 관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5]

준공 후 20년이 된 1984년에 방류시설과 수문·통관의 보수가 있었고, 1985년에는 제방 보수공사가 있어 현재 모든 기능이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다.[6]

2. 1. 조선 시대 ~ 일제강점기

조선 시대의 국사당보(국사탕보[3], 국사탄보[4])를 모체로 1928년 4월에 착공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말기부터 공사가 중단되었다.[5][6] 1945년 8월 15일 광복 전후, 잠시 공사가 중단된 후,[5][6] 1946년부터 예당수리조합의 주관으로 1952년 12월에 다시 착공하여 1963년에 준공,[5] 1964년 12월 31일에 완공되었다.[6] 예당저수지는 예산군과 당진시에 걸쳐 있는 넓은 홍문평야(鴻門平野)를 관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5]

준공 후 20년이 된 1984년에 방류시설과 수문·통관의 보수가 있었고, 1985년에는 제방 보수공사가 있어 현재 모든 기능이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다.[6]

2. 2. 해방 이후 ~ 현재

조선 시대의 국사당보(國賜塘浦)[3](국사탄보)[4]를 모체로 1928년 4월에 착공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말기부터 공사가 중단되었다.[5][6] 1945년 8월 15일 광복 전후, 잠시 공사가 중단된 후,[5][6] 1946년부터 예당수리조합의 주관으로 1952년 12월에 다시 착공하여 1963년 준공,[5] 1964년 12월 31일에 완공되었다.[6] 예당저수지는 예산군과 당진시에 걸쳐 있는 넓은 홍문평야(鴻門平野)를 관개하기 위해 건설되었다.[5]

준공 후 20년이 된 1984년에 방류시설과 수문·통관의 보수가 있었고, 1985년에는 제방 보수공사가 있어 현재 모든 기능이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다.[6]

3. 지리

예당저수지예산군당진시의 농경지인 예당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름은 예산군당진시의 앞머리를 따서 지어졌다.[6] 만수 면적은 10.9 km2이고,[6] 저수량은 4천710만 m³, 만수위는 22.5m이다.[6] 둘레는 40km, 동서 길이는 2km, 남북 길이는 8km이며, 유역 면적은 3만 7350ha(373.6km²)이다.[6] 예산군 신양면, 광시면, 대흥면, 응봉면에 걸쳐 있다.

이수 면적은 1만 240ha(약 100km²)[2][6]에 달한다. 무한천(無限川)뿐만 아니라 신양천(新陽川)이 유입되며,[7][5] 26개의 자동 조절 수문을 통해 하나의 무한천으로 북류한다.[5] 1969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20여 년 동안 중부권 최고의 낚시터로 알려져 있으며, 겨울철 얼음낚시 외에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낚시가 가능하다.[6] 주로 붕어·잉어를 비롯한 민물고기가 서식한다.

4. 구조

댐의 높이는 12.1m, 길이는 247m이다.[5] 저수지의 둑 구조는 어스필댐이며, 길이는 814.5m, 높이는 13.3m이다. 방류 시설에는 한국 최초로 설치된 텐터게이트(Tainter gate)가 특징적이다.[6] 높이 약 25m의 콘크리트로 된 방류 시설에 설치된 26개의 자동 개폐 수문은 평상시 만수위를 유지하고, 호우 시에는 홍수 조절 기능을 갖는다.[6] 각 수문의 크기는 너비 6m, 높이 3.6m이며, 배수량은 초당 63.2m3, 총 배수량은 초당 1645m3에 달하고, 수문 조작은 관리 사무실에서 원격 조종된다.[6]

5. 이용

예당저수지는 관개 면적이 3만 7400km2에 달하는 충청남도의 대표적인 저수지로, 상류 집수 면적이 넓고 담수어의 먹이가 풍부하게 유입되기 때문에[5] 담수어 양식장으로 유명하며, 뱀장어·잉어가 양식되고 있다.[6] 지난 20여 년간 중부권 최고의 낚시터로 알려져 있으며,[1] 연간 낚시 인구도 10만 명을 넘는다.[6] 겨울철 얼음낚시는 물론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낚시가 가능하다.[1] 붕어, 잉어를 비롯한 담수어가 대부분이다.[1]

1969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개발되면서 다양한 휴양지로 주목받고 있다.[1] 최근에는 예당저수지와 덕산도립공원·덕산온천·도고온천·추사고택 등을 함께 방문하는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다.[2]

배놀이와 조정 경기 연습장으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1979년 대한민국 전국체육대회 때는 조정 경기장으로 사용된 바 있다.[6]

5. 1. 농업용수 공급

예당저수지는 만수 면적 10.9 km2, 저수량 4천710만 m³, 만수위는 22.5m이다. 예산군당진시의 농경지인 예당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예산군당진시의 앞머리를 따서 이름을 지었다.[1] 관개 면적이 3만 7400km2에 달하는 충청남도의 대표적인 저수지이다.[5]

5. 2. 낚시터

예당저수지는 지난 20여 년 동안 중부권 최고의 낚시터로 알려져 있다.[1] 겨울철 얼음낚시 외에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낚시가 가능하며,[1] 주로 붕어, 잉어를 비롯한 민물고기가 대부분이다.[1] 연간 낚시 인구는 10만 명이 넘는다.[6] 상류 집수 면적이 넓고 담수어의 먹이가 풍부하게 유입되어[5] 뱀장어, 잉어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6] 1979년 대한민국 전국체육대회에서는 조정 경기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6]

5. 3. 관광

예당저수지는 1969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이후 다양한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다.[1] 예산군당진시예당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붕어, 잉어를 비롯한 민물고기가 많이 서식하여 지난 20여 년 동안 중부권 최고의 낚시터로 알려져 있다.[1] 겨울철 얼음낚시 외에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낚시가 가능하며, 연간 낚시 인구도 10만 명이 넘는다.[6][1] 뱀장어, 잉어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6]

최근에는 예당저수지와 덕산도립공원, 덕산온천, 도고온천, 추사고택 등을 함께 방문하는 관광객이 늘고 있다.[2] 배놀이와 조정 경기 연습장으로도 활용되며, 1979년 대한민국 전국체육대회 조정 경기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6]

5. 4. 기타

예당저수지는 관개 면적이 3만 7400km2에 달하는 충청남도의 대표적인 저수지이다.[5] 상류 집수 면적이 넓고 담수어의 먹이가 풍부하게 유입되어 담수어 양식장으로 유명하며, 뱀장어·잉어가 양식되고 있다.[6] 지난 20여 년간 중부권 최고의 낚시터로 알려져 있으며,[1] 연간 낚시 인구도 10만 명을 넘는다.[6] 겨울철 얼음낚시는 물론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낚시가 가능하며,[1] 붕어, 잉어를 비롯한 담수어가 대부분이다.[1]

1969년에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어 개발되면서 다양한 휴양지로 주목받고 있다.[1] 최근에는 예당저수지와 덕산도립공원·덕산온천·도고온천·추사고택 등을 함께 방문하는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다.[2]

배놀이와 조정 경기 연습장으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1979년 대한민국 전국체육대회 때 조정 경기장으로 사용된 바 있다.[6]

6. 예당호 출렁다리

예당호 출렁다리는 예당호를 가로지르는 다리이다.

참조

[1]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지리/중부지방-남부지방/충청남도#예당저수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 웹사이트 무한천(無限川)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00-00
[3] 위키 洑
[4] 뉴스 예산군농업인 대축제’ 개최 | 비를 바라는 마음 담은- 황선봉 군수, 비 내리기를 기원하는 기우제 지내 - http://www.jamill.kr[...] 2015-11-12
[5] 웹사이트 예당저수지[禮唐貯水池] http://www.doopedia.[...] 두산동아
[6] 웹사이트 예당저수지(禮唐貯水池)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1995-00-00
[7] 웹사이트 삽교호수계의 수질총량관리제 시행을 위한 하천현황자료 구축 https://www.cni.re.k[...] 충남발전연구원 2007-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