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감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감도는 시인 이상이 1934년 발표한 연작시이다. 제목은 조감도에서 '새 조(鳥)'의 한 획을 빼 '까마귀 오(烏)'로 바꾼 것으로, 불안 의식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적인 표현으로 해석된다. 이 시는 일제강점기 식민지 지식인의 불안, 공포, 좌절, 그리고 희미한 희망을 '막다른 골목'과 '뚫린 골목'이라는 역설적 상황으로 표현하며, 띄어쓰기를 의도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파격적인 형식을 통해 세상에 대한 반항과 미적 자유를 나타낸다. '13인의 아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기하 수열을 통해 죽음을 상징한다는 분석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감도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작품 정보 | |
제목 | 오감도 (烏瞰圖) |
언어 | 한국어 |
국가 | 한국 |
장르 | 시 |
발표 | 1934년 |
발표 매체 | 조선중앙일보 |
작가 | 이상 |
관련 문서 | ko:오감도 (동음이의) |
작품 내용 | |
종류 | 연작시 |
구성 | 15편의 시 |
특징 | 모더니즘 경향 난해한 표현 실험적인 시도 |
주요 등장인물 | '13인의 아해' (13인의 아이) |
주제 | 식민지 시대의 불안과 절망 자아의 분열과 고뇌 새로운 시 형식의 탐색 |
작품에 대한 평가 | |
발표 당시 반응 | 난해하다는 비판 독자들의 반발 연재 중단 |
문학사적 의의 | 한국 모더니즘 시의 대표작 실험적인 시 정신의 발현 현대시의 새로운 가능성 제시 |
2. 제목의 유래
새가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본 것과 같은 상태의 도면을 '조감도(鳥瞰圖)'라 하는데, 여기서 '새 조(鳥)'의 한 획을 빼서 '까마귀 오(烏)'로 바꾸어 쓴 것이다. 이러한 특이한 제목 때문에 초기 조판 과정에서 몇 번이나 조감도로 수정되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이러한 제목은 불안 의식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적인 표현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전통적으로 불행을 의미했던 까마귀라는 단어 또한 이 시의 분위기를 꺼림칙하게 하고 있다.[3][4]
'조감도(鳥瞰圖)'에서 '새 조(鳥)' 자의 한 획을 빼 '까마귀 오(烏)' 자로 바꾼 것은 불안 의식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적인 표현으로 보인다. 전통적으로 불행을 의미하는 까마귀라는 단어는 시의 분위기를 더욱 꺼림칙하게 만든다. 이러한 특이한 제목 때문에 초기 조판 과정에서 '조감도'로 여러 번 수정되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3. 내용 분석
193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사람들은 어디를 가든 불안에 떨며 절망적인 삶을 살 수밖에 없었다. 이상은 결핵을 앓고 있었기에 죽음의 그림자가 늘 따라다녔다. '오감도'는 삶의 의미와 방향을 잃은 우리 민족과 이상 자신의 모습을 투영하고 있다.
3. 1. 오감도 시제1호
시의 행간이 전혀 없다는 점이 눈에 띈다. 한국어는 띄어쓰기가 생명인데, 띄어쓰기가 없으면 읽는 데 혼란스러울 뿐만 아니라 의미를 파악하기도 어렵다. 이러한 문법의 기본을 위반하는 것은 시인의 반항, 세상의 상징적 권력에 대한 불복종, 그리고 미적 자유에 대한 갈망을 의미한다.[4]
보통 1930년대의 한국(일제강점기) 사람들은 어디를 가든 절망 속에서 살아야 했을 것이다. 또한, 이상은 폐질환을 앓고 있었기에 항상 죽음의 위협에 시달렸다. 삶의 방향 감각을 잃은 13명의 아이들은 그 시대의 민족과 그들 자신의 자화상이다. 이 시는 '막다른 골목'과 '열린 결말'이라는 역설적인 상황 속에서 불안과 공포로 가슴 아픈 시대를 살아야 했던 식민지 시인의 두려움, 좌절감, 그리고 희미한 희망을 표현한다.
'13명의 아이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있다. 이 숫자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분석 중 하나는 최후의 만찬에 참석한 13명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13명의 아이들은 무서워하는 아이들이든 무서운 아이들이든 그냥 그렇게 모여 있었다(다른 어떤 조건도 없는 것이 훨씬 더 나았다)'라는 부분은 예수를 배반할 운명인 유다 이스카리옷의 불안, 그리고 배반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는 다른 사도들의 불안을 보여준다.[4]
3. 2. 오감도 시제4호
이 시에 대한 일반적인 분석은 숫자가 기하 수열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이 수열은 항상 0으로 수렴하며, 이는 죽음을 상징한다. 또한, 시인은 자신이 앓고 있던 결핵과도 관련지어 해석할 수 있다.[5] 이 시와 관련된 문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2003년에 출제되었다.[6]
4. 기타
새가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 본 것과 같은 상태의 도면을 '조감도(鳥瞰圖)'라 하는데, 여기서 '새 조(鳥)'의 한 획을 빼서 '까마귀 오(烏)'로 바꾸어 쓴 것이다. 이러한 특이한 제목 때문에 초기 조판 과정에서 몇 번이나 조감도로 수정되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이러한 제목은 불안 의식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적인 표현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전통적으로 불행을 의미했던 까마귀라는 단어 또한 이 시의 분위기를 꺼림칙하게 하고 있다.
전위적인 첼리스트 이옥경의 앨범 ''길''(2013)의 첫 번째 트랙 제목은 이상 시인의 시 "까마귀의 눈"을 언급하며 "The Crow Flew After Yi Sang"으로 명명되었다. 림버스 컴퍼니, 프로젝트 문에서 개발한 비디오 게임에는 이상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가 등장하며, "까마귀의 눈"이라는 이름의 특별 기술을 사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오감도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https://ko.wikisourc[...]
2018-11-24
[2]
웹사이트
오감도
http://www.doopedia.[...]
2018-11-24
[3]
웹사이트
오감도(烏瞰圖)
http://encykorea.aks[...]
2018-11-24
[4]
웹사이트
이상의 시
https://terms.naver.[...]
2018-11-24
[5]
서적
Ogamdo ŭi t'ansaeng
[6]
웹사이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홈페이지
http://www.suneung.r[...]
2018-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