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교십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교십종은 불교의 가르침과 종파를 분류한 체계이다. 오교는 수행의 단계와 깨달음의 정도에 따라 불교의 가르침을 소승교, 시교, 종교, 돈교, 원교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며, 십종은 불교의 다양한 종파를 아법구유종, 법유아공종, 법무거래종, 현통가실종, 속망진실종, 제법단명종, 일체개공종, 진덕불공종, 상상구절종, 원명구덕종의 열 가지로 구분한다.

2. 오교(五敎)

오교(五敎)는 수행의 단계와 깨달음의 정도에 따라 불교의 가르침을 다섯 가지로 분류한 것이다.[1][2][3][4] 오교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소승교(小乘敎): 소승자를 위한 가르침으로, 《아함경》이 대표적이다.

# 시교(始敎): 일체개공이나 연기에 따른 본체와 현상의 구별을 설하는 가르침으로, 《반야경》, 《해심밀경》 등이 있다.

# 종교(終敎): 변하지 않는 진여가 물들거나 깨끗해짐을 설하는 가르침으로, 《대승기신론》, 《능가경》, 《승만경》 등이 해당한다.

# 돈교(頓敎): 문자나 언어를 넘어 수행의 차례 없이 진여를 가리키는 가르침으로, 《유마경》 등이 있다.

# 원교(圓敎): 곧바로 깨달음으로 들어가는 원만한 가르침으로, 《법화경》, 《화엄경》 등이 대표적이다.

2. 1. 소승교(小乘敎)

소승자(小乘者)를 위한 가르침인 《아함경(阿含經)》의 가르침[1][2][3][4]

2. 2. 시교(始敎)

일체개공(一切皆空)을 설한 《반야경(般若經)》이나 연기(緣起)에 의해 본체와 현상의 구별을 역설한 《해심밀경(解深密經)》 등의 가르침이다.

2. 3. 종교(終敎)

모든 것은 본래 변하지 않는 진여(眞如)이지만 이것이 염(染)이 되거나 정(淨)이 된다고 설하는 《대승기신론》 · 《능가경》 · 《승만경》 등의 가르침이다.[1][2][3][4]

2. 4. 돈교(頓敎)

돈교(頓敎)는 문자나 언어를 떠나 수행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언어적 표현을 넘어선 진여(眞如)의 경지를 직접 가리키는 가르침이다. 대표적인 경전으로는 《유마경(維摩經)》 등이 있다.

2. 5. 원교(圓敎)

곧장 깨달음으로 들어가는 것을 설하는 《법화경》·《화엄경》 등의 가르침이다.

3. 십종(十宗)

십종(十宗)은 불교의 다양한 종파를 교리적 특징에 따라 열 가지로 분류한 것이다.[1][2][5][6][7] 십종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아법구유종(我法俱有宗)

# 법유아공종(法有我空宗)

# 법무거래종(法無去來宗)

# 현통가실종(現通假實宗)

# 속망진실종(俗妄眞實宗)

# 제법단명종(諸法但名宗)

# 일체개공종(一切皆空宗)

# 진덕불공종(眞德不空宗)

# 상상구절종(相想俱絶宗)

# 원명구덕종(圓明具德宗)

3. 1. 아법구유종(我法俱有宗)

주관객관(主客)을 모두 실체로 여기는 종파이다.[1][2][5][6][7]

3. 2. 법유아공종(法有我空宗)

객관만을 실체시(實體視)하는 종파이다.[1][2][5][6][7]

3. 3. 법무거래종(法無去來宗)

만법은 현재에만 존재하고, 과거와 미래에는 공무(空無)하다고 여기는 종파이다.[1][2][5][6][7]

3. 4. 현통가실종(現通假實宗)

만법은 과거와 미래에는 공무(空無)하지만, 현재에도 실유(實有)와 가유(假有)의 2종이 있다고 여기는 종파다.[1][2][5][6][7]

3. 5. 속망진실종(俗妄眞實宗)

세속적 진리인 속제(俗諦)는 허망하며 불교의 진리인 진제(眞諦)는 진실하다고 여기는 종파이다.[1][2][5][6][7]

3. 6. 제법단명종(諸法但名宗)

미계(迷界)와 오계(悟界)의 만법이 다만 이름 뿐이고 실체가 없다고 여기는 종파이다.[1][2][5][6][7]

3. 7. 일체개공종(一切皆空宗)

일체를 으로 여기는 종파이다.

3. 8. 진덕불공종(眞德不空宗)

모든 성품을 진여(眞如)로 여기는 종파이다.[1][2][5][6][7]

3. 9. 상상구절종(相想俱絶宗)

진리를 불가설(不可說)이라 여기는 종파이다.[1][2][5][6][7]

3. 10. 원명구덕종(圓明具德宗)

일체는 중중무진(重重無盡)이며 공덕을 원만(圓滿)하고 있다고 여기는 종파이다.[1][2][5][6][7]

참조

[1] 서적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중국불교의 사상 > 5교10종
[2] 웹사이트 五敎十宗(오교십종) http://buddha.donggu[...] 2011-03-13
[3] 웹사이트 五敎(오교) http://buddha.donggu[...] 2011-06-19
[4] 웹사이트 頓敎(돈교) http://buddha.donggu[...] 2011-06-19
[5] 웹사이트 現通假實宗(현통가실종) http://buddha.donggu[...] 2011-06-19
[6] 웹사이트 俗妄眞實宗(속망진실종) http://buddha.donggu[...] 2011-06-19
[7] 웹사이트 諸法但名宗(제법단명종) http://buddha.donggu[...] 2011-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