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델로 (1965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델로》(1965)는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로렌스 올리비에가 오델로 역을, 매기 스미스가 데스데모나 역을 맡았다. 이 영화는 올리비에가 블랙페이스를 하고 연기한 점, 그리고 올리비에의 과장된 연기에 대한 비판으로 논란이 있었다. 또한, 주연 배우 전원이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유일한 셰익스피어 영화이다. 2021년에는 미시간 대학교 음악 교수가 이 영화를 강의에 사용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프로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오델로 (1995년 영화)
오델로 (1995년 영화)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오셀로가 아내 데스데모나를 질투하여 살해하고 자살하는 비극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로렌스 피시번, 이렌느 야곱, 케네스 브래너 등이 출연했다. - 키프로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영광의 탈출
《영광의 탈출》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대인 난민의 팔레스타인 탈출을 그린 1960년 영화로, 키프로스를 배경으로 영국군의 방해 속에서 이스라엘로 향하려는 아리 벤 카난과 키티 프리몬트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오셀로를 바탕으로 한 영화 - 이중 생활 (1947년 영화)
이중 생활은 1947년 개봉한 영화로, 셰익스피어의 오셀로 공연을 준비하며 배역에 몰입하여 갈등과 비극을 겪는 배우 앤서니 존의 이야기를 다루며, 로널드 콜먼의 열연과 미클로스 로자의 음악으로 호평받아 아카데미 남우주연상과 음악상을 수상했다. - 오셀로를 바탕으로 한 영화 - 오델로 (1995년 영화)
오델로 (1995년 영화)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오셀로가 아내 데스데모나를 질투하여 살해하고 자살하는 비극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로렌스 피시번, 이렌느 야곱, 케네스 브래너 등이 출연했다. - 베네치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007 카지노 로얄 (2006년 영화)
《007 카지노 로얄》은 이언 플레밍의 소설을 원작으로 다니엘 크레이그가 제임스 본드 역을 처음 맡아 냉철하고 현실적인 묘사를 강조한 제임스 본드 시리즈 21번째 영화로, 테러리스트 자금원 르 시프르를 막기 위해 몬테네그로 카지노의 포커 게임에 참여하는 본드의 이야기와 베스퍼 린드와의 관계, 배후 조직의 존재를 다루며 흥행과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다. - 베네치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은 1938년을 배경으로, 고고학자 인디아나 존스가 아버지의 실종과 성배를 찾아 나치와 십자군 기사단의 방해를 받으며 모험을 펼치는 영화이다.
오델로 (1965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제목 | 오델로 |
원제 | Othello |
감독 | 스튜어트 버지 |
각본 | 윌리엄 셰익스피어 |
출연 | 로렌스 올리비에 매기 스미스 조이스 레드먼 프랭크 핀레이 |
제작 | 앤서니 해블록-앨런 존 브라본 |
음악 | 리처드 햄프턴 |
촬영 | 제프리 언스워스 |
편집 | 리처드 마든 |
제작사 | BHE 필름 로열 내셔널 시어터 |
배급사 | 이글-라이언 필름 워너 브라더스 도호-토와 |
개봉일 | 1965년 12월 15일 1966년 8월 19일 |
상영 시간 | 165분 |
언어 | 영어 |
![]() |
2. 등장인물
주어진 결과물은 하위 섹션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하위 섹션과 중복되는 내용을 제거해야 합니다. 또한, 모든 배우와 배역을 나열할 필요 없이, 주요 배역만 간략하게 언급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text
- 로렌스 올리비에 - 오델로 역
- 매기 스미스 - 데스데모나 역
- 조이스 레드먼 - 에밀리아 역
- 프랭크 핀레이 - 이아고 역
- 데릭 제이코비 - 카시오 역
- 로버트 랭 - 로데리고 역
- 케네스 매킨토시 - 로도비코 역
- 앤서니 니콜스 - 브라반쇼 역
- 쉴라 리드 - 비앙카 역
- 에드워드 하드윅 - 몬타노 역
- 마이클 갬본 - 원로원 의원/병사/키프로스인 역[8]
```
위 출력물에서 하위섹션과 겹치는 내용을 제거하면 다음과 같다.
```text
출연진으로는 로렌스 올리비에, 매기 스미스, 조이스 레드먼, 프랭크 핀레이 등이 있다.[8]
2. 1. 주연
- 로렌스 올리비에 - 오델로 역
- 매기 스미스 - 데스데모나 역
- 조이스 레드먼 - 에밀리아 역
- 프랭크 핀레이 - 이아고 역
- 데릭 제이코비 - 카시오 역
- 로버트 랭 - 로데리고 역
- 케네스 매킨토시 - 로도비코 역
- 앤서니 니콜스 - 브라반쇼 역
- 쉴라 리드 - 비앙카 역
- 에드워드 하드윅 - 몬타노 역
- 마이클 갬본 - 원로원 의원/병사/키프로스인 역[8]
2. 2. 조연
앤서니 니콜스, 로이 홀더, 데릭 제이코비, 데이빗 하그리브즈가 조연으로 출연했다.[8]배우 | 역할 | 배역 |
---|---|---|
데릭 제이코비 | 카시오 | 조연 |
로버트 랭 | 로데리고 | 조연 |
케네스 매킨토시 | 로도비코 | 조연 |
앤서니 니콜스 | 브라반쇼 | 조연 |
쉴라 리드 | 비앙카 | 조연 |
에드워드 하드윅 | 몬타노 | 조연 |
마이클 갬본 | 원로원 의원/병사/키프로스인 | 조연 |
영화 《오셀로》는 셰익스피어 원작의 내용을 대부분 유지하며, 로렌스 올리비에의 이전 셰익스피어 영화인 ''햄릿''과 ''리처드 3세''처럼 장면 순서를 변경하지 않았다.[1] 광대 장면은 크게 생략되었고, 그 외 사소한 대사들이 일부 삭제되었다.[1] 데릭 제이코비(카시오 역)와 마이클 갬본은 이 영화로 데뷔했고, 에드워드 하드윅(몬타노 역)은 이후 7년 동안 국립극단에서 활동했다.
로런스 올리비에는 오셀로 역을 블랙페이스로 연기하며 독특한 억양과 걸음걸이를 선보였다. 칼럼니스트 이네즈 롭은 올리비에의 연기를 재즈 싱어의 알 졸슨에 비유하며 "매우 캠프적"이라고 묘사했고,[3] 영화 평론가 폴린 케일은 작품과 올리비에의 연기에 극찬을 보내면서도 영화 제작에 충분한 예산이 지원되지 않은 점을 비판했다.[4] 존 사이먼은 작품 해석에 동의하지 않으면서도 올리비에의 연기는 훌륭하다고 평가했다.[5]
3. 제작 배경
1965년 당시, 올리비에의 셰익스피어 영화 후원자들이 모두 사망하여 야외 촬영이나 정교한 세트 제작을 위한 자금 확보가 어려웠다.[1] 따라서 영화는 원래 무대 세트의 확대 복사본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1] 이 영화는 영어로 제작된 최초의 컬러 및 와이드스크린 버전의 오셀로이며, 1952년 오슨 웰스 버전 이후 두 번째 주요 영화 각색 작품이다. 미국에서는 단 이틀 동안만 로드쇼 형식으로 상영되었다.[1][2]
4. 평가
2021년, 음악 교수 브라이트 셩은 미시간 대학교에서 학부 작곡 수업 시간에 블랙페이스가 등장하는 이 영화를 학생들에게 사전 경고 없이 보여준 후 사임했다. 셩은 주세페 베르디가 셰익스피어의 ''오셀로''를 오페라 ''오텔로''로 각색한 방식을 보여주려 했다고 밝혔다.[7]
4. 1. 비평
로런스 올리비에의 블랙페이스 연기는 알 졸슨의 연기와 비교되며 비판을 받기도 했다. 칼럼니스트 이네즈 롭은 올리비에의 연기를 "매우 캠프적"이라고 묘사했고,[3] 영화 평론가 폴린 케일은 영화 제작에 충분한 예산이 지원되지 않은 점을 비판했다.[4] 존 사이먼은 작품 해석 방식에는 동의하지 않지만, 올리비에의 연기는 훌륭하다고 평가했다.[5] 특히 올리비에의 눈알 굴리기 연기는 블랙페이스 영화에서 흑인을 묘사할 때 사용되던 표현으로, 셰익스피어 시대의 무대 지시와는 무관하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었다.[6]
4. 2. 수상 내역
이 영화는 주연 배우 전부가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유일한 셰익스피어 영화이다.[4] 프랭크 핀레이 (이아고)는 극 중 가장 많은 대사 (1117개)를 소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올리비에는 856개)[4]
5. 논란
로런스 올리비에는 오셀로 역을 블랙페이스로 연기하며 자신이 창조한 억양과 걸음걸이를 사용했다. 칼럼니스트 이네즈 롭은 올리비에의 연기를 재즈 싱어의 알 졸슨에 비유하며 깎아내렸다. 그녀는 올리비에의 연기를 "매우 캠프적"이라고 묘사하며, "옆에 앉아 '언제 ''맘마''를 부르나요?'라고 계속 묻는 신사분과 나는 완전히 마음이 맞았다"고 말했다.[3] 영화 평론가 폴린 케일은 이 작품과 올리비에의 연기에 대해 극찬을 보냈으며, 올리비에에게 영화 제작에 너무 적은 돈을 지원하여 그와 대중이 거의 문자 그대로 촬영된 연극 작품에 만족해야 했던 주요 영화 스튜디오들을 비난했다. 반면 다른 영화들은 수백만 달러의 예산을 지원받았다.[4] 존 사이먼은 작품의 해석 방식에 동의하지 않으면서도, "올리비에는 이 잘못된 오셀로를 훌륭하게 연기하며, 언제나 기이한 즐거움을 선사한다"고 말했다.[5]
특히 논란이 된 것은 올리비에의 눈알 굴리기였는데, 이는 주로 연극보다는 영화에서 사용되는 장치였다. 이 표현은 블랙페이스 영화에서 흑인들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되던 표현으로, 특히 알 졸슨과 관련되며, 셰익스피어 시대의 무대 지시와는 무관하다.[6]
이 영화는 주연 배우 전부가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유일한 셰익스피어 영화이다. 프랭크 핀레이(이아고 역)는 극 중 가장 많은 대사 (1117개)를 소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올리비에는 856개)
5. 1. 미시간 대학교 강의 중단 사건
2021년, 미시간 대학교 음악 교수 브라이트 셩은 학부 작곡 수업 시간에 블랙페이스가 등장하는 이 영화를 사전 경고 없이 학생들에게 보여주었다. 셩 교수는 주세페 베르디가 셰익스피어의 《오셀로》를 오페라 《오텔로》로 각색한 방식을 보여주려 했다고 해명했다.[7] 이 사건으로 인해 셩 교수는 결국 강의에서 사임했다.[7]6. 기타
이 영화는 셰익스피어 원작 대부분을 유지하며, 로렌스 올리비에의 ''햄릿''과 ''리처드 3세''처럼 장면 순서를 바꾸지 않았다. 유일하게 크게 생략된 부분은 광대 장면이며, 다른 사소한 대사들은 여기저기서 잘려나갔지만, 무대 버전은 영화보다 더 많은 부분을 담고 있었다.[1] 데릭 제이코비(카시오)와 마이클 갬본은 이 영화를 통해 영화 데뷔를 했으며, 에드워드 하드윅 (몬타노)은 이후 7년 동안 국립극단에서 활동하게 된다.
''오셀로'' 영화는 정교한 새 세트를 제작하는 대신, 원래 무대 세트의 확대한 복사본을 사용했다. 올리비에의 셰익스피어 영화에 대한 이전 후원자들은 1965년까지 모두 사망했고, 그는 야외 촬영이나 정교한 세트에서 영화 버전을 제작할 자금을 모을 수 없었다. 거의 10년 전, 올리비에는 1955년 스트랫퍼드에서 그 역할을 공연한 후, 자신의 ''맥베스'' 영화 버전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찾으려고 시도했지만, 결국 성공하지 못했다.[1] 국립극단은 이미 안톤 체호프의 ''바냐 삼촌''(1963)을 영화로 제작했으며, 나중에는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의 ''죽음의 무도''(1969)를 제작했다. 올리비에의 ''오셀로''는 1955년에 러시아에서 컬러로 제작된 버전에 이어, 영어로 제작된 최초의 컬러 영화이자 와이드스크린 버전이다. 이 작품은 1952년 오슨 웰스가 제작한 이후, 두 번째 주요 영화 각색 작품이었다.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영화처럼 여러 주 동안 상영되지 않고, 단 이틀 동안만 상영되었다.[2] 이 영화는 로드쇼 형식으로 상영되었다.[1]
올리비에의 모든 셰익스피어 영화 중에서 ''오셀로''는 음악이 가장 적은 영화이다. 이아고와 병사들은 한 장면에서 술을 마시며 노래를 부르고, 다른 장면에서는 음악가들이 이국적인 악기를 잠시 연주하는 모습이 나오지만, 그 외에는 영화에 음악이 없다.
참조
[1]
서적
Macbeth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
웹사이트
Minstrel Show ''Othello''; Radical Makeup Marks Olivier's Interpretation
https://www.nytimes.[...]
2018-04-25
[3]
서적
Inside Oscar
Ballantine Books
[4]
서적
Kiss Kiss Bang Bang
Marion Boyars Publishers
1970
[5]
서적
Shakespeare in the Theatre: An Anthology of Criticism
[6]
서적
Blacks in Films
Littlehampton Book Services Ltd
1975
[7]
간행물
College Music Professor Steps Down After Showing Students 'Blackface' Othello
https://www.newsweek[...]
2021-10-11
[8]
서적
映画はブラウン館の指定席で―淀川長治と『日曜洋画』の20年
全国朝日放送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