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렌지강 식민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렌지강 식민지는 제2차 보어 전쟁 중 영국이 오렌지 자유국을 점령한 후 1900년부터 1910년까지 존재했던 영국의 식민지였다. 1900년 영국은 오렌지 자유국을 병합했으나, 보어인들의 저항으로 오렌지강 식민지와 오렌지 자유국 두 정부가 공존했다. 1907년 자치 정부가 수립되었고, 아브라함 피셔가 초대 총리가 되었다.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이 결성되면서 오렌지강 식민지는 오렌지 자유국 주로 편입되었다. 1904년 인구 조사 결과, 흑인이 가장 많은 인구 집단을 차지했으며, 개신교가 가장 큰 종교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옛 군주국 - 트란스발 식민지
    트란스발 식민지는 보어인들의 대이주로 세워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제2차 보어 전쟁 후 영국의 식민지가 되어,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된 지역으로, 보어인 독립 운동 좌절과 흑인 참정권 문제가 논의되었다.
  • 아프리카의 옛 군주국 - 케이프 식민지
    케이프 식민지는 1652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건설한 유럽-동인도 항로의 중간 기착지에서 시작되어 네덜란드와 영국 지배를 거치며 인종 갈등, 보어인 대이주, 코사 전쟁, 광물 자원 발견 등 여러 사건을 겪었고, 다인종 참정권 제도 도입에도 불구하고 인종 갈등이 지속되었다.
  • 아프리카의 옛 영국 식민지와 보호국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은 보어 전쟁 이후 네덜란드계와 영국계의 화합을 위해 건국되었으며,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이었으나 1934년 주권 국가가 되었고, 행정 수도 프리토리아, 입법 수도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 블룸폰테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 아프리카의 옛 영국 식민지와 보호국 - 트란스발 식민지
    트란스발 식민지는 보어인들의 대이주로 세워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제2차 보어 전쟁 후 영국의 식민지가 되어,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된 지역으로, 보어인 독립 운동 좌절과 흑인 참정권 문제가 논의되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은 보어 전쟁 이후 네덜란드계와 영국계의 화합을 위해 건국되었으며,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이었으나 1934년 주권 국가가 되었고, 행정 수도 프리토리아, 입법 수도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 블룸폰테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 - 트란스발 식민지
    트란스발 식민지는 보어인들의 대이주로 세워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제2차 보어 전쟁 후 영국의 식민지가 되어,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된 지역으로, 보어인 독립 운동 좌절과 흑인 참정권 문제가 논의되었다.
오렌지강 식민지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오렌지 강 식민지 깃발
깃발 (1904–1910)
오렌지 강 식민지 문장
배지
오렌지 강 식민지 위치
위치
일반 명칭오렌지 식민지
역사
존속 기간1902년 – 1910년
이전 국가오렌지 자유국
이후 국가남아프리카 연방
영국 점령1900년 5월 28일
영국 합병1900년 10월 6일
페레니히 조약1902년 5월 31일
자치 정부1907년 11월 27일
남아프리카 연방 편입1910년 5월 31일
정치
정치 체제입헌군주제
군주에드워드 7세(1902–1910)
조지 5세(1910)
총독밀너 자작(1902–1905)
셀본 백작(1905–1907)
경 해밀턴 존 굴드-아담스(1907–1910)
총리아브라함 피셔(1907–1910)
수도
수도블룸폰테인
언어
공용어영어 (공식)
아프리칸스어
네덜란드어
소토어
인구 통계
민족 구성 (1904년)58.11% 흑인
36.83% 백인
4.97% 컬러드
0.06% 아시아인
종교네덜란드 개혁 교회
성공회
아프리카 종교
인구 (1904년)387,315명
통화
통화파운드 스털링
현재 국가
현재 국가남아프리카 공화국

2. 역사

제2차 보어 전쟁 중이던 1900년, 영국군은 키치너 장군의 지휘 아래 초토화 작전을 펼치며 오렌지 자유국 영토로 진격하여 5월 28일 수도 블룸폰테인을 점령했다. 같은 해 10월 6일, 영국 정부는 오렌지 자유국 영토를 대영제국에 공식 병합한다고 선포했으나, 이는 보어인 군대가 완전히 패배하거나 영국이 전 영토를 장악하기 전의 일방적인 선언이었다.

실제로 오렌지 자유국 정부는 전쟁 초기에 크룬스타트로 이전하여 활동을 계속했으며, 보어인들은 1902년 5월 31일 베르니힝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주권을 상실하지 않았다고 여겼다. 이 때문에 1900년 10월부터 1902년 5월까지는 영국의 오렌지강 식민지 행정부와 마르티누스 테우니스 스테인 대통령이 이끄는 오렌지 자유국 정부가 공존하는 상황이었다. 스테인 대통령이 병가를 떠난 마지막 날인 1902년 5월 30일에는 크리스티안 데 웨트 장군이 임시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베르니힝 조약 체결 이후 영국은 알프레드 밀너 경을 초대 총독으로 임명하며 본격적인 식민 통치를 시작했다. 1904년경부터 식민지 내에서는 자치 요구가 커지기 시작했다. 아프리카너들의 권익과 정치적 지위 확보를 목표로 하는 정당들이 결성되었는데, 1905년 1월 헷 볼크 당(Het Volk)이, 1906년 5월에는 오렌지 연합당(Orangia Unie)이 공식 출범했다. 특히 오렌지 연합당은 보어 전쟁 이전 오렌지 자유국의 주요 정치인이었던 아브라함 피셔가 이끌었으며, 크리스티안 데 베트 장군과 마르티누스 테우니스 스테인 전 대통령 등 보어인들의 신망을 받던 인물들이 참여하여 아프리카너들의 정치적 결집을 이끌었다. 반면, 영국계 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헌법당(Constitutional Party)도 활동했다.

1905년, 밀너의 후임으로 윌리엄 팔머, 제2대 셀본 백작이 총독으로 부임하면서 보어인들에게 자치권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전환되었다. 마침 영국 본국에서 자유당이 집권하면서 자치 확대 계획은 더욱 탄력을 받았다. 셀본 총독은 자치 정부 수립을 위한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1907년 선거 결과 오렌지 연합당이 압승을 거두었고, 1907년 11월 27일 아브라함 피셔를 초대 수상으로 하는 자치 정부가 출범했다.

1908년 5월, 오렌지강 식민지는 다른 남아프리카의 영국 식민지들과 함께 관세 및 철도 문제에 관한 회의에 참여하여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남아프리카 연방 결성을 위한 논의를 본격화했다. 이 과정에서 전 오렌지 자유국 대통령 마르티누스 테우니스 스테인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식민지 간의 통합을 이끌었다.

마침내 1910년 5월 31일, 오렌지강 식민지는 케이프 식민지, 나탈 식민지, 트란스발 식민지와 통합하여 남아프리카 연방을 결성하였고, 연방 내 오렌지 자유국주로 편입되면서 식민지 시대는 막을 내렸다.

2. 1. 영국-보어 전쟁과 오렌지 자유국의 병합 (1900년 ~ 1902년)

제2차 보어 전쟁이 진행되면서 영국군은 초토화 작전을 통해 오렌지 자유국 영토로 진격했다. 1900년 3월 13일, 영국군은 수도인 블룸폰테인을 점령했다.[3] 같은 해 10월 6일, 영국 정부는 오렌지 자유국 영토 전체를 대영제국에 공식적으로 병합한다고 선포하였으나, 이때 영국은 아직 자유국 군대를 완전히 격파하지 못했고 전체 영토를 실질적으로 장악한 상태도 아니었다.

오렌지 자유국 정부는 전쟁 초기에 이미 크룬스타트(Kroonstad)로 수도를 옮긴 상태였으며, 군대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활동을 이어갔다. 보어인들은 1902년 5월 31일 베르니힝 조약(Treaty of Vereeniging)이 체결되기 전까지는 독립을 잃지 않았다고 여겼다.

따라서 1900년 10월 6일부터 1902년 5월 31일까지 오렌지 자유국 영토에는 사실상 두 개의 정부, 즉 영국의 오렌지강 식민지 행정부와 기존 오렌지 자유국 정부가 공존하는 상황이었다. 보어인 측에서는 마르티누스 테우니스 스테인 대통령이 1902년 5월 30일까지 정부를 이끌었으나, 이후 병가를 떠나 크리스티안 데 웨트 장군이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영국 측에서는 1901년 1월 4일 알프레드 밀너 경을 오렌지강 식민지의 행정관(Administrator)으로, 해밀턴 존 굴드-아담스를 부총독(Lieutenant-Governor)으로 임명했다.

1903년 제2차 보어 전쟁 후 영국에서 발행된 오렌지강 식민지 허가증.


전쟁이 끝난 후인 1902년 6월 23일, 밀너 경은 블룸폰테인을 방문하여 새로운 헌법을 공포하고 같은 날 오렌지강 식민지의 총독(Governor) 겸 총사령관(Commander-in-Chief)으로 공식 취임했다. 이 자리에는 군 관계자, 민간 부서장, 그리고 데 웨트 장군을 포함한 구 보어 정부 대표들도 참석했다.[3]

1902년부터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이 성립되어 식민지가 해체될 때까지 다음 인물들이 총독을 역임했다.

총독재임 기간
알프레드 밀너, 밀너 자작1902년 6월 23일 – 1905년 4월 1일
윌리엄 팔머, 제2대 셀본 백작1905년 4월 2일 – 1907년 6월 7일
해밀턴 존 굴드-아담스 경1907년 6월 7일 – 1910년 5월 31일


2. 2. 영국 통치 시기 (1902년 ~ 1910년)

제2차 보어 전쟁의 결과, 1902년 5월 31일 베르니어헝 조약이 체결되면서 오렌지 자유국은 영국에 공식적으로 병합되었고, 오렌지강 식민지가 되었다. 비록 영국은 1900년 10월 6일에 이미 병합을 선포했지만, 보어인들의 저항은 계속되었으며, 오렌지 자유국의 관점에서는 베르니어헝 조약 비준 시점까지 독립을 유지한 것으로 여겨진다.

영국 통치가 시작되면서 알프레드 밀너 경이 1901년 1월 4일 오렌지강 식민지의 행정관으로 임명되었고, 헤밀턴 존 굴드-아담스가 부총독으로 임명되었다. 밀너 경은 1902년 6월 23일 블룸폰테인을 방문하여 새로운 헌법을 공포하고, 같은 날 초대 총독 겸 사령관으로 공식 취임했다.[3]

1902년부터 1910년까지 오렌지강 식민지를 통치한 총독은 다음과 같다.

총독재임 기간
알프레드 밀너, 밀너 자작1902년 6월 23일 ~ 1905년 4월 1일
윌리엄 팔머, 제2대 셀본 백작1905년 4월 2일 ~ 1907년 6월 7일
해밀턴 존 굴드-아담스 경1907년 6월 7일 ~ 1910년 5월 31일



1904년경부터 식민지 내부에서는 자치 요구가 커지기 시작했다. 아프리카너들의 권익 보호와 정치적 지위 확보를 목표로 하는 정당들이 결성되었다. 1905년 1월에는 헷 볼크 당(Het Volk)이, 1906년 5월에는 오렌지 연합당(Orangia Unie)이 공식 출범했다. 오렌지 연합당은 아브라함 피셔가 이끌었으며, 그는 보어 전쟁 이전 오렌지 자유국의 정치인이자 전쟁 중에는 보어 공화국들의 외교 대표였다. 당에는 크리스티안 데 베트 장군과 전 대통령 마르티누스 테우니스 스테인 같은 보어인들의 신망을 받던 인물들도 참여하여 아프리카너들의 정치적 결집을 이끌었다.

반면, 영국계 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헌법당(Constitutional Party)도 존재했다. 당수는 존 G. 프레이저였으며, 주로 블룸폰테인의 중산층을 기반으로 활동했다. 이들 정당은 아프리카너의 지위 확보라는 공통된 목표를 가졌지만, 영국의 식민 통치에 대한 입장에는 차이가 있었다.

1905년, 알프레드 밀너의 후임으로 윌리엄 팔머, 제2대 셀본 백작이 오렌지강 식민지와 트란스발 식민지의 총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보어인들에게 자치권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했다. 마침 1905년 12월 영국에서 자유당이 집권하면서 이러한 자치 확대 계획은 더욱 탄력을 받았다. 셀본 총독은 자치 정부 실험을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1907년 6월 오렌지강 식민지에 자치 정부를 수립한 뒤 총독직에서 물러났다.

1907년에 실시된 선거 결과, 오렌지 연합당이 압승을 거두어 총 38석 중 29석을 차지했다. 헌법당은 5석, 무소속이 4석을 얻었다. 이에 따라 1907년 11월 27일, 아브라함 피셔를 초대 수상으로 하는 자치 정부 내각이 출범했다. 피셔 내각의 주요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
법무 장관 겸 교육 임원J. B. M. 헤르초흐 (훗날 남아프리카 연방의 3대 수상)
회계 담당자A.E.W. 람스보톰
농림성 장관크리스티안 데 베트
국가 사업성 장관코넬리우스 허마누스 베젤즈



이 자치 정부는 1910년 5월 31일, 오렌지강 식민지가 케이프 식민지, 나탈 식민지, 트란스발 식민지와 통합하여 남아프리카 연방을 결성하면서 해체되었다. 오렌지강 식민지는 연방 내 오렌지 자유주가 되었다.

2. 3. 자치 정부 수립 (1907년)

1904년경부터 오렌지강 식민지 내부에서는 자치 정부 수립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에 부응하여 아프리카너들의 정치적 결집이 이루어졌다. 오렌지 연합당(Orangia Unie)은 몇 달간의 준비를 거쳐 1906년 5월에 공식적으로 출범했다.[2] 이는 트란스발에서 1905년 1월 결성된 Het Volk와 유사한 성격의 조직이었다. 두 정당 모두 이전의 범아프리카너 정치 운동이었던 아프리카너 본드(Afrikaner Bond)의 정신을 이어받아, 국가와 사회 내에서 아프리카너의 안정적인 지위를 확보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2] 오렌지 연합당의 당수는 제2차 보어 전쟁 이전 오렌지 자유국의 주요 정치인이자 전쟁 중 보어 공화국의 외교 대표였던 아브라함 피셔였다. 이 외에도 J. B. M. 헤르초크, 크리스티안 데 베트 장군, 마르티누스 테우니스 스테인 전 대통령 등이 당의 주요 인물로 참여했다.

한편, 헌법당이라는 또 다른 정당도 활동했다. 이 당은 주로 영국 통치 하에서 안정적인 지위를 누리던 부르거들로 구성되었다. 당수는 제2차 보어 전쟁 이전에 오렌지 자유국 의회(Volksraad)에서 친영국적 성향을 보였던 존 G. 프레이저 경이었다. 헌법당은 수도인 블룸폰테인에서는 상당한 영향력을 가졌으나, 그 외 지역에서는 지지 기반이 약했다. 오렌지 연합당과 헌법당은 아프리카너의 지위 확보라는 유사한 목표를 가졌지만, 영국의 오렌지 자유국 합병 문제와 아프리카너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시각에서 차이를 보였다.[2]

1905년, 알프레드 밀너의 후임으로 셀본 경이 트란스발과 오렌지강 식민지의 고등 판무관 겸 총독으로 부임했다. 셀본은 이전 보어 공화국들을 왕령 식민지 상태에서 자치 정부 체제로 전환시키는 임무를 받았다. 마침 1905년 12월 영국에서 자유당이 집권하면서, 트란스발과 오렌지강 식민지에 대한 자치 정부 부여 결정이 지체 없이 이루어졌고, 자치 전환 과정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셀본은 이러한 변화된 상황을 수용하며 자치 정부 수립을 위한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1907년 1월 7일, 셀본은 남아프리카의 정치·경제적 상황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정치적 연합의 필요성을 역설한 셀본 각서를 발표했다. 이 문서는 이후 남아프리카 내 네덜란드계와 영국계 주민 간의 화해와 정치적 통합 논의에 영향을 미쳤다.

1907년 선거가 실시된 후, 오렌지강 식민지는 마침내 1907년 11월 27일에 자치 정부를 수립했다. 아브라함 피셔가 초대이자 마지막 수상이 되어 1910년 5월 31일까지 재임했다. 피셔가 이끈 첫 내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직책인물
수상 겸 식민지부 장관아브라함 피셔
법무 장관 겸 교육부 장관J. B. M. 헤르초크
재무부 장관A. E. W. 램스보텀
농업부 장관크리스티안 데 베트
공공사업부 장관코르넬리우스 헤르마누스 베셀스



첫 번째 입법 의회(Legislative Assembly)는 오렌지 연합당 29석, 헌법당 5석, 무소속 4석으로 구성되어 오렌지 연합당이 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입법 평의회(Legislative Council)는 오렌지 연합당 5석, 헌법당 5석, 무소속 1석으로 구성되어 양대 정당 간의 세력 균형이 이루어졌다.

셀본 경은 오렌지강 식민지가 자치를 획득한 1907년 6월 총독직에서 물러났으며, 이후 남아프리카 연방이 설립되기 직전인 1910년 5월까지 다른 직책을 수행했다.

오렌지강 식민지 지도 (1902년)

2. 4. 남아프리카 연방으로의 통합 (1910년)

1908년 5월, 오렌지강 식민지는 프리토리아와 케이프 타운에서 열린 회의에 참여하여 다른 영국 식민지들과 함께 기존의 관세 협정을 갱신하고 철도 요금을 변경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회의는 남아프리카 내 영국 식민지들의 더 긴밀한 연합을 모색하고, 남아프리카 연방 결성을 위한 헌법 초안을 마련할 국민 협약에 대표단을 보내기로 합의하는 계기가 되었다.[2]

이후 열린 국민 협약에서는 과거 오렌지 자유국의 대통령이었던 마르티누스 테우니스 스테인이 주도적이고 화합을 이끄는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노력에 힘입어 오렌지강 식민지 입법부는 4개의 자치 식민지를 하나로 통합하는 협약의 조건에 동의하였다.[2]

마침내 1910년 5월 31일, 제국 법에 따라 케이프 식민지, 나탈 식민지, 트란스발 식민지, 그리고 오렌지강 식민지는 남아프리카 연방으로 통합되었다. 이 과정에서 오렌지강 식민지는 오렌지 자유국주라는 이름의 주로 연방에 가입하게 되었다.[2] 초대 연방 정부에는 피셔와 헤르초크가 참여했으며, A. E. W. 램스보텀은 오렌지 자유주의 초대 행정관으로 임명되었다.[2] 이로써 1902년 영국에 병합되어 성립되었던 오렌지강 식민지는 해체되었다.

3. 인구 통계

오렌지강 식민지의 인구 구성 및 종교 분포에 대한 상세한 통계는 1904년 인구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4]

3. 1. 1904년 인구 조사

1904년 인구 조사 인구[4]

인구 집단인원비율
(%)
흑인225,10158.11
백인142,67936.83
유색인19,2824.97
아시아인2530.06
합계387,315100.00


3. 2. 1904년 종교

1904년 인구 조사에 따른 오렌지강 식민지의 종교별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1904년 오렌지강 식민지 종교별 인구
종교인원남성여성비율
개신교251,904135,933115,97165.04%
가톨릭4,5903,3191,2711.19%
유대교1,6161,1764400.42%
이슬람교3926130.01%
기타 종파9375180.02%
종교 없음474340.01%
무교127,63768,53659,10132.95%
불특정8536232300.22%
언급 거부5363641720.14%
합계387,315210,095177,220100.0%



위 표의 '무교' 항목에는 별도로 집계되지 않은 전통적인 아프리카 전통 신앙이 포함되어 있으며, 종교가 없다고 밝힌 사람들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다음은 1904년 인구 조사를 바탕으로 인종별 종교 분포를 상세히 나타낸 표이다.

1904년 오렌지강 식민지 인종 및 종교별 인구
종교유럽인 또는 백인원주민혼혈 및 기타전체 인종
인원남성여성인원남성여성인원남성여성인원남성여성
총 인구142,67981,57161,108229,149120,064109,08515,4878,4607,027387,315210,095177,220
I. 개신교
네덜란드 개혁 교회101,07952,75948,32021,27210,59610,6762,5721,3481,224124,92364,70360,220
게레포르메르드 교회5,2852,7592,52619511184271895,5072,8882,619
잉글랜드 성공회17,87913,8844,49514,7828,0206,7621,8871,01187634,54822,41512,133
장로교3,9422,8841,0581,2607045568949405,2913,6371,654
독립교회 및 회중 교회
독립교회 및 회중 교회195136591,383962421214164501,7921,262530
런던 선교회88331111
기타 독립교회 및 회중 교회
감리교
웨슬리 감리교5,1213,0162,10551,57625,65025,9264,1632,1412,02260,86030,80730,053
원시 감리교5520713281316582533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 (에티오피아)223,7471,8561,8913611811804,1102,0392,071
감리교 (기타)1248836526276250703931720403317
기타 감리교1111
기타 개신교
침례교6644232414732432303821171,175687488
베를린 선교회
칼뱅주의431431
그리스도의 제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64218108241410
독일 복음주의651651
루터교7004792215,0302,5172,5131,1035015026,7333,4973,236
모라비아 교회 또는 연합 형제2011178429171223013496
파리 복음주의 선교회11473,1971,7081,4892751551203,4831,8671,615
플리머스 형제단1812618126
라인 선교회33853159626179
구세군140806018144127517010169
퀘이커5555
유니테리언272611128271
기타 개신교 (명시됨)1207149875433145922113091
기타 개신교 (명시되지 않음)1,2488294195443022429151401,8831,182701
기독교인 (교파 불명)211744334918108826121
II. 가톨릭
로마 가톨릭3,2862,5217651,09364045311571444,4943,2321,262
기타 가톨릭948592296879
III. 유대교1,6161,1764401,6161,176440
IV. 이슬람교5511332013392613
V. 기타 종파106411826814937518
VI. 종교 없음413834421147434
VII. 무교1219724123,25865,94757,3114,2582,4921,766127,63768,53659,101
VIII. 불명 및 미지정58441117320816444614813853623230
IX. 언급 거부3162377919511283251510536264172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of the British empire. 1901 https://archive.org/[...] Openlibrary.org 2013-12-26
[2] 서적 Orange Free State
[3] 뉴스 Latest intelligence Orange River Colony The Times 1902-06-26
[4] 서적 Smuts I: The Sanguine Years 1870–191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