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발도 도르티코스 토라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발도 도르티코스 토라도는 쿠바의 정치인으로, 1959년부터 1976년까지 쿠바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변호사 출신으로,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권에 반대하여 혁명에 참여했으며, 피델 카스트로 내각에서 혁명법 장관을 지냈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쿠바를 대표하여 외교 활동을 펼쳤으며, 쿠바 공산당 중앙 위원회 비서국 위원과 중앙 계획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1976년 헌법 개정 이후에는 국립 은행 총재와 국무원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1983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바나 대학교 동문 - 피델 카스트로
    피델 카스트로는 쿠바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쿠바 혁명 이후 47년간 최고 지도자로 군림하며 사회주의 체제 구축과 미국과의 대립을 심화시키는 등 국제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 아바나 대학교 동문 -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는 쿠바 혁명에 참여하여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권에 맞서 싸웠고 혁명 성공 후 쿠바 혁명군의 주요 지휘관, 쿠바 공산당 중앙위원회 및 정치국 위원, 작가 및 작곡가로 활동한 혁명가이다.
  • 아일랜드계 쿠바인 - 체 게바라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는 남아메리카 여행 중 사회 불의를 목격하고 마르크스주의에 심취하여 쿠바 혁명에 참여, 쿠바 해방 후 혁명 정부에서 활동하다 국제적인 혁명 투쟁을 위해 콩고와 볼리비아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이다 볼리비아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혁명가로서의 헌신과 반제국주의 정신을 상징한다.
  • 아일랜드계 쿠바인 - 치코 오파릴
    치코 오파릴은 쿠바 출신의 재즈 음악가로, 아프로-쿠반 재즈의 창시와 보급에 기여했으며, 베니 굿맨 등 유명 뮤지션들의 편곡자로 활동하며 쿠바 음악, 재즈, 유럽 고전 음악을 융합한 음악을 선보였다.
  • 쿠바의 대통령 - 피델 카스트로
    피델 카스트로는 쿠바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쿠바 혁명 이후 47년간 최고 지도자로 군림하며 사회주의 체제 구축과 미국과의 대립을 심화시키는 등 국제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 쿠바의 대통령 - 라울 카스트로
    라울 카스트로는 피델 카스트로의 동생으로, 쿠바 혁명에 참여하여 군사적 역할을 수행하고, 쿠바 공산당의 요직을 거쳐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을 역임하며 경제 개혁과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추진했다.
오스발도 도르티코스 토라도
기본 정보
1960년의 오스발도 도르티코스
1960년의 도르티코스
직함쿠바의 대통령
임기 시작1959년 7월 18일
임기 종료1976년 12월 2일
이전 직책마누엘 우루티아
다음 직책피델 카스트로
출생일1919년 4월 17일
출생지시엔푸에고스, 쿠바 공화국
사망일1983년 6월 23일
사망지아바나, 쿠바
사망 원인총기 자살
배우자마리아 데 라 카리다드 몰리나
모교아바나 대학교
직업변호사
별칭쿠차리타 (찻숟가락)
정치 경력
소속 정당인민사회당 (1941–1961)
7월 26일 운동 (1953–1965)
쿠바 공산당 (1965–1983)
총리피델 카스트로

2. 초기 생애 및 교육

오스발도 도르티코스는 1919년 4월 17일 라스 비야스 주 시엔푸에고스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는 변호사이자 의사였고, 조상 중 한 명은 베네수엘라 출신의 기업가이자 아일랜드인계 후손인 토마스 테리였다.[1] 서반구에서 큰 재산을 모은 토마스 테리는 시엔푸에고스에 토마스 테리 극장을 세웠다.[1]

도르티코스는 아바나 대학교에서 법학과 철학을 공부하여 1941년에 법학 학위를 받았다.[1] 그는 쿠바 인민 사회당에 가입하여 후안 마리넬로의 비서로 활동했다.[1] 1950년대에 시엔푸에고스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열었고, 시엔푸에고스 요트 클럽의 준장으로 활동했다.[1]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부에 반대하여 시민 저항 운동에 참여했으며, 1958년 아바나 변호사 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나 같은 해 체포되어 멕시코로 추방되었다.[1]

2. 1. 출생과 가계

오스발도 도르티코스 토라도는 1919년 4월 17일 라스 비야스 주 시엔푸에고스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변호사이자 의사였으며, 조상 중 한 명은 베네수엘라 출신의 기업가이자 아일랜드인계 후손인 토마스 테리였다.[1] 서반구에서 큰 재산을 모은 인물 중 한 명인 토마스 테리는 1886년 사망 당시 2,500만 달러(2500만달러)를 보유했다.[1] 그는 시엔푸에고스에 토마스 테리 극장을 세웠다.[1] 도르티코스는 잠시 교사로 일한 후, 아바나 대학교에서 법학과 철학을 공부하여 1941년에 법학 학위를 받았다.[1] 그는 공산주의의 영향을 받은 쿠바 인민 사회당에 가입하여 한동안 당 대표인 후안 마리넬로의 비서로 활동했다.[1]

2. 2. 학업 및 초기 경력

1919년 4월 17일, 라스 비야스 주 시엔푸에고스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변호사이자 의사였으며, 그의 조상 중 한 명은 베네수엘라 출신의 기업가 토마스 테리(:en:Tomás Terry)였다. 부계로 아일랜드인의 혈통을 이은 테리는 1886년 사망 당시 2500만달러를 축적한 서반구에서도 손꼽히는 부호였으며, 시엔푸에고스에 토마스 테리 극장을 설립한 인물이다.

도르티코스는 잠시 교사로 일한 후 아바나 대학교에서 법학과 철학을 공부하여 1941년에 법학 학위를 받았다. 그는 쿠바 인민 사회당(공산주의의 영향을 받음)에 가입하여 한동안 당 대표인 후안 마리넬로의 비서로 활동했다.

1950년대에 도르티코스는 시엔푸에고스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열었고, 시엔푸에고스 요트 클럽의 준장으로 활동했다. 그는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부에 강하게 반대했으며, 시민 저항 운동에 참여하여 반군에게 무기와 물품을 제공했다. 도르티코스는 1958년 아바나 변호사 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으나, 같은 해 바티스타 정권에 체포되어 잠시 멕시코로 추방되었다.

3. 반(反) 바티스타 활동

1919년 4월 17일 산타클라라주(현 시엔푸에고스주) 시엔푸에고스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변호사이자 의사였으며, 그의 조상 중 한 명은 베네수엘라 출신의 유명한 기업가 토마스 테리(:en:Tomás Terry)였다.[1] 부계로 아일랜드인 혈통을 이은 테리는 1886년 사망 당시 2500만달러를 축적한, 서반구에서도 손꼽히는 부호였으며 시엔푸에고스에 토마스 테리 극장을 설립한 인물이기도 하다.[1]

도르티코스는 잠시 교사로 일한 후 하바나 대학교에서 법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1941년 법학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1] 그는 인민사회당(당시 쿠바 공산당은 이렇게 개칭했다)에 입당하여 한동안 당 지도자 후안 마리넬로의 비서를 맡았다.[1]

1950년대에 도르티코스는 시엔푸에고스에서 변호사로 풍부한 경험을 쌓았으며, 요트 클럽 회장도 역임했다.[1] 그는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권에 강력하게 반대하며 시민 저항 운동에 참여하여 반란군에 무기와 물자를 공급했다.[1] 1958년 쿠바 변호사 협회 회장으로 선출되었지만, 곧 바티스타 정권에 의해 체포되어 멕시코로 잠시 망명했다.[1]

4. 쿠바 혁명과 정부 요직

1959년 쿠바 혁명 성공 이후, 도르티코스는 피델 카스트로가 이끄는 내각에서 혁명법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이 자리에서 토지 개혁법과 1940년 헌법을 대체하는 기본 유기법과 같은 혁명 관련 입법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도르티코스는 대통령으로서 비동맹 운동 정상 회담(1961년,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과 미주 기구 정상 회담(1962년, 우루과이 푼타델에스테) 등 국제 회의에서 쿠바를 대표했다.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국제 연합에서 연설하기도 했다.

쿠바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위원 (1965년)과 중앙 기획 위원회 의장 (1964년)을 역임했으나, 대부분 허수아비였고 실제 권력은 총리였던 피델 카스트로가 쥐고 있었다.[1]

4. 1. 혁명 참여와 초기 역할

1959년 1월 1일 쿠바 혁명 성공 이후, 도르티코스는 쿠바에 돌아와 피델 카스트로 내각에서 혁명법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 그는 이 직위에서 토지 개혁법과 1940년 헌법을 대체하는 기본 유기법 등 혁명 관련 입법을 작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마누엘 우루티아 대통령 사임 후, 1959년 7월 17일 각료 회의에서 쿠바 대통령으로 임명되었다.[1]

4. 2. 대통령 취임

1959년 1월 1일 쿠바 혁명이 성공하자 도르티코스는 쿠바에 귀국했다. 피델 카스트로 정권의 혁명법 담당 장관으로 임명되어 토지 개혁법, 1940년 헌법을 대체하는 기본 조직법 등 혁명적인 여러 법률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마누엘 우루티아가 대통령직을 사임하자 1959년 7월 17일, 각료 평의회에 의해 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대통령으로서 도르티코스는 1961년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비동맹 운동 정상 회의, 1962년 우루과이 푼타델에스테에서 열린 미주 기구 정상 회의에 참석했다. 같은 해 쿠바 미사일 위기 중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여, 핵무기 사용을 바라지 않지만 핵무기를 소유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1973년 5월 25일에는 아르헨티나에서 새로 선출된 페론주의 대통령 엑토르 캄포라의 취임식에 칠레 대통령 살바도르 아옌데와 함께 참석했다.

대통령 직무 외에도 1964년부터 중앙 계획 평의회 의장, 1965년부터 쿠바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서기를 맡았다. 1976년 신헌법이 시행되어 피델 카스트로가 국가 평의회 의장으로서 쿠바의 국가 원수가 되면서 중앙 은행 총재, 국가 평의회 의원으로 전임했다.

4. 3. 외교 활동

도르티코스는 대통령으로서 1961년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제1차 비동맹 운동 정상 회담과 1962년 우루과이 푼타 델 에스테에서 열린 미주 기구 정상 회담에서 쿠바를 대표했다.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국제 연합에서 연설을 통해 쿠바가 사용하지 않기를 바라는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1973년 5월 25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페론주의 대통령 엑토르 캄포라의 취임식에 칠레 대통령 살바도르 아옌데와 함께 참석했다.

4. 4. 그 외 직책

1964년부터 중앙 계획 평의회 의장을, 1965년부터 쿠바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서기를 맡았다. 1976년 신헌법이 시행되어 피델 카스트로가 국가 평의회 의장으로서 쿠바의 국가 원수가 되면서 중앙 은행 총재, 국가 평의회 의원으로 전임했다.

5. 사망

도르티코스는 1983년 6월 23일에 자살했다.[1] 그의 자살은 아내의 죽음과 만성적인 척추 질환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뉴스 Osvaldo Dorticos, An Ex-President and Aide to Castro, Kills Himself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8-11
[2] 뉴스 Dorticós en 1960, la última visita de Estado cubana a México https://elpais.com/i[...] El País 2015-11-06
[3] 웹사이트 Československý řád Bílého lva 1923–1990 https://www.prazskyh[...] 2024-10-18
[4] 뉴스 North Koreans Cite Cubans https://news.google.[...] The Free Lance–Star 1966-11-02
[5] 뉴스 Recibe Salvador Allende, presidente de Chile, la Orden Nacional José Martí; le fue impuesta por Osvaldo Dorticós, presidente de la República; fueron condecorados Fidel y Dorticós con la Orden al Mérito, Gran Collar http://lanic.utexas.[...] Granma 1972-12-14
[6] 웹사이트 Party-Government Delegation Continues Cuban Visit http://lanic.utexas.[...] Latin American Network Information Center 1973-04-26
[7] 뉴스 Impuso Ceausescu la Orden Estrella de la República, de primer clase, al presidente Osvaldo Dorticós, palabras de Nicolae Ceausescu, palabras de Osvaldo Dorticós http://lanic.utexas.[...] Granma 1973-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