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는 쿠바 혁명에 참여한 인물로, 아바나에서 태어나 벽돌공으로 일하다가 피델 카스트로와 함께 몬카다 병영 공격에 참여했다. 그는 '그란마' 호를 타고 쿠바에 돌아와 게릴라전을 벌였으며, 혁명군 사령관으로 진급했다. 혁명 이후 쿠바 혁명군의 지휘관, 정치국 위원 등을 역임했고, '혁명의 지휘관' 칭호를 받았다. 2009년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에는 추모식과 함께 다양한 헌사가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바나 대학교 동문 - 피델 카스트로
    피델 카스트로는 쿠바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쿠바 혁명 이후 47년간 최고 지도자로 군림하며 사회주의 체제 구축과 미국과의 대립을 심화시키는 등 국제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 아바나 대학교 동문 - 오스발도 도르티코스 토라도
    오스발도 도르티코스 토라도는 쿠바 혁명 후 혁명법 장관을 지냈고 1959년부터 1976년까지 쿠바의 대통령을 역임하며 비동맹 운동, 미주 기구 정상 회담에서 쿠바를 대표하고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국제 연합에서 쿠바의 입장을 대변한 정치인이다.
  • 쿠바 혁명 관련자 - 피델 카스트로
    피델 카스트로는 쿠바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쿠바 혁명 이후 47년간 최고 지도자로 군림하며 사회주의 체제 구축과 미국과의 대립을 심화시키는 등 국제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 쿠바 혁명 관련자 - 체 게바라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는 남아메리카 여행 중 사회 불의를 목격하고 마르크스주의에 심취하여 쿠바 혁명에 참여, 쿠바 해방 후 혁명 정부에서 활동하다 국제적인 혁명 투쟁을 위해 콩고와 볼리비아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이다 볼리비아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혁명가로서의 헌신과 반제국주의 정신을 상징한다.
  • 쿠바 공산당의 정치인 - 피델 카스트로
    피델 카스트로는 쿠바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쿠바 혁명 이후 47년간 최고 지도자로 군림하며 사회주의 체제 구축과 미국과의 대립을 심화시키는 등 국제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 쿠바 공산당의 정치인 - 체 게바라
    아르헨티나 출신의 혁명가 체 게바라는 남아메리카 여행 중 사회 불의를 목격하고 마르크스주의에 심취하여 쿠바 혁명에 참여, 쿠바 해방 후 혁명 정부에서 활동하다 국제적인 혁명 투쟁을 위해 콩고와 볼리비아에서 게릴라 활동을 벌이다 볼리비아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혁명가로서의 헌신과 반제국주의 정신을 상징한다.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 - [인물]에 관한 문서

2. 젊은 시절과 쿠바 혁명

알메이다는 아바나의 가난한 지역에서 태어났다. 그는 7살에 학교를 떠나서 벽돌직공이 되었다.[29] 1952년 아바나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는 동안, 그는 인민정통당원 피델 카스트로와 가까운 친구가 되었으며 그해 3월에 쿠바 혁명에 가담했다.

젊은 시절에는 마리화나 노점상과 소매치기를 하다가 아바나에서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으며, "카바요 블랑코" (백마)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2]

1953년 7월 26일, 알메이다는 피델 카스트로, 라울 카스트로와 함께 산티아고 데 쿠바에 있는 몬카다 병영 공격에 참여했다.[3] 그는 카스트로 형제와 함께 피노스 섬 감옥에 체포되어 수감되었다가,[3][4] 1955년 5월 15일 사면으로 석방되어 멕시코로 이송되었다.[15]

알메이다는 피델 카스트로, 라울 카스트로, 체 게바라 및 다른 혁명가 78명과 함께 ''그란마'' 원정대를 타고 쿠바에 돌아왔으며, 초반 상륙에서 살아남은 12명 중 한 명이었다.[3] 알메이다는 종종 체 게바라에게 "여기서는 아무도 포기하지 않는다!" (또는 "여기서는 아무도 항복하지 않는다")라고 외쳤다고 전해지는데,[5] 이는 쿠바 혁명의 구호가 되었지만, 실제로는 카밀로 시엔푸에고스가 한 말이다.[6] 알메이다는 또한 뛰어난 사격술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7] 상륙 후, 알메이다는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부군과 시에라 마에스트라 산맥에서 게릴라전을 벌이며 계속 싸웠다.[3] 1958년, 그는 사령관으로 진급하여 혁명군의 산티아고 사단을 이끌었다.[4] 혁명 동안, 그는 두드러진 지위에 있는 흑인으로서 아프리카계 쿠바인들에게 반란이 쿠바의 차별적인 과거를 깨뜨리는 상징으로 여겨졌다.[7]

쿠바 혁명 이후 보스케는 쿠바 혁명군의 지휘관이 되었으며, 이듬해에는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61년 미국이 군대를 앞세워 피그스만을 침공하자 쿠바 혁명군을 이끌고 미군을 격퇴하였다.

2. 1. 출생과 성장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는 아바나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며,[2] 젊은 시절에는 마리화나 노점상과 소매치기를 하다가 아바나에서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으며, "카바요 블랑코" (백마)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2] 그는 열한 살에 학교를 그만두고 벽돌공이 되었다.[2][17] 1952년, 아바나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면서 혁명가 피델 카스트로의 절친한 친구가 되었고, 그해 3월에는 혁명 운동에 참여했다.[17] 1953년 3월 반 바티스타 운동에 참여했고, [2] 1953년 7월 26일, 그는 피델과 그의 형제 라울 카스트로와 함께 산티아고 데 쿠바에 있는 몬카다 병영 공격에 참여했다.[2] 이 실패로 그는 카스트로 형제와 함께 체포되어 피노스 섬 감옥에 투옥되었다.[3][4][15][18] 1955년 5월 15일 사면으로 그는 석방되어 멕시코로 이송되었다.[2]

2. 2. 쿠바 혁명 참여

알메이다는 아바나의 가난한 지역에서 태어나, 7살에 학교를 떠나 벽돌직공이 되었다.[29] 1952년 아바나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는 동안, 인민정통당원 피델 카스트로와 가까운 친구가 되었으며 그해 3월에 쿠바 혁명에 가담했다. 젊은 시절에는 마리화나 노점상과 소매치기를 하다가 아바나에서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으며, "카바요 블랑코" (백마)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다.[2]

1953년 7월 26일, 알메이다는 피델 카스트로, 라울 카스트로와 함께 산티아고 데 쿠바에 있는 몬카다 병영 공격에 참여했다.[3] 그는 카스트로 형제와 함께 피노스 섬 감옥에 체포되어 수감되었다가,[3][4] 1955년 5월 15일 사면으로 석방되어 멕시코로 이송되었다.[15]

알메이다는 피델 카스트로, 라울 카스트로, 체 게바라 및 다른 혁명가 78명과 함께 ''그란마'' 원정대를 타고 쿠바에 돌아왔으며, 초반 상륙에서 살아남은 12명 중 한 명이었다.[3] 알메이다는 종종 체 게바라에게 "여기서는 아무도 포기하지 않는다!" (또는 "여기서는 아무도 항복하지 않는다")라고 외쳤다고 전해지는데,[5] 이는 쿠바 혁명의 구호가 되었지만, 실제로는 카밀로 시엔푸에고스가 한 말이다.[6] 알메이다는 또한 뛰어난 사격술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7] 상륙 후, 알메이다는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부군과 시에라 마에스트라 산맥에서 게릴라전을 벌이며 계속 싸웠다.[3] 1958년, 그는 사령관으로 진급하여 혁명군의 산티아고 사단을 이끌었다.[4] 혁명 동안, 그는 두드러진 지위에 있는 흑인으로서 아프리카계 쿠바인들에게 반란이 쿠바의 차별적인 과거를 깨뜨리는 상징으로 여겨졌다.[7]

2. 3. 피그스 만 침공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는 아바나의 가난한 지역에서 태어나 11세에 학교를 중퇴하고 미장이 기술자가 되었다.[17] 1952년 아바나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며 피델 카스트로와 절친한 친구가 되었고, 3월에는 혁명 운동에 참여했다. 1953년 산티아고 데 쿠바의 몬카다 병영 습격에 참여했다가 실패하여 카스트로 형제와 함께 체포되어 피노스 섬 감옥에 투옥되었다.[15][18] 1955년 5월 15일 사면되어 멕시코로 망명했다.[15] 알메이다는 카스트로 형제, 체 게바라 등과 그란마 호를 타고 쿠바에 귀환, 상륙 시 쿠바 정부군과의 첫 전투에서 살아남은 16명 중 한 명이 되었다.[15] 이때 알메이다는 게바라에게 "여기서 포기하는 자는 없다!"라고 외쳤는데, 이는 쿠바 혁명의 슬로건이 되었다.[15][17] 알메이다는 저격의 명수로도 알려졌다.[19] 아프리카계 쿠바인에 대한 차별이 존재하던 당시, 그는 뛰어난 지위에 있는 흑인으로서 변화의 상징이 되었다.[19]

상륙 후 알메이다는 시에라 마에스트라 산악 지대에서 게릴라전을 통해 풀헨시오 바티스타 정부군에 대한 투쟁을 지속했다.[15] 1958년 사령관으로 승진하여 혁명군 산티아고 종대를 지휘했다. 1959년 쿠바 혁명 종결 후 쿠바 혁명군 장군 지위에 올랐고, 당 중앙 위원회 위원과 정치국원으로 선출되어 정부 내에서 많은 직함을 유지했다.[20] 그는 "혁명 지도자" 칭호를 수여받았고, 죽을 때까지 그 칭호를 받은 3명 중 한 명이 되었다(다른 두 명은 기예르모 가르시아와 라미로 발데스이다).[15]

3. 혁명 이후

1959년 1월 쿠바 혁명 성공 이후, 알메이다는 쿠바 혁명군의 상당 부분을 지휘했다.[4] 1961년 4월 피그스 만 침공 당시 소장으로, 산타클라라에 사령부를 둔 중앙군을 이끌었다.[4] 이후 그는 대장으로 진급했으며, 중앙 위원회 및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여러 정부 직책을 역임했다.[4]

그는 '혁명의 지휘관' 칭호를 받았으며, 사망 당시 이 칭호를 가진 생존자는 기예르모 가르시아와 라미로 발데스를 포함하여 세 명뿐이었다.[3]

1998년, 피델 카스트로는 알메이다를 "쿠바 공화국의 영웅"으로 임명했다.[8],[21] 알메이다는 또한 혁명 참전 용사 및 전몰자 전국 협회를 이끌었다. 그는 인기 삼부작인 『군사 감옥』, 『망명』, 『상륙』을 포함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그는 또한 작곡가이기도 했으며, 그의 노래 중 하나인 "Dame un traguito" (한 모금 줘요/Dame un traguitoes)는 수년 동안 쿠바에서 인기를 누렸다.[8],[21] 국립 쿠바 혁명 퇴역 군인 협회 회장이 되었다.

3. 1. 정치 및 군사 경력

1959년 1월 쿠바 혁명 성공 이후, 알메이다는 쿠바 혁명군의 상당 부분을 지휘했다.[4] 1961년 4월 피그스 만 침공 당시 소장으로, 산타클라라에 사령부를 둔 중앙군을 이끌었다.[4] 이후 그는 대장으로 진급했으며, 중앙 위원회 및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여러 정부 직책을 역임했다.[4]

그는 '혁명의 지휘관' 칭호를 받았으며, 사망 당시 이 칭호를 가진 생존자는 기예르모 가르시아와 라미로 발데스를 포함하여 세 명뿐이었다.[3]

1998년, 피델 카스트로는 알메이다를 "쿠바 공화국의 영웅"으로 임명했다.[8] 알메이다는 또한 혁명 참전 용사 및 전몰자 전국 협회를 이끌었다.[8] 그는 인기 삼부작인 『군사 감옥』, 『망명』, 『상륙』을 포함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8] 그는 또한 작곡가이기도 했으며, 그의 노래 중 하나인 "Dame un traguito" (한 모금 줘요/Dame un traguitoes)는 수년 동안 쿠바에서 인기를 누렸다.[8]

3. 2. 문화 활동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는 작곡가이자 작가로도 활동했다. 그의 노래 중 하나인 "Dame un traguito"(한국어: "한 모금 줘요")는 수년 동안 쿠바에서 인기를 누렸다.[8] 그는 또한 『군사 감옥』, 『망명』, 『상륙』 등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8]

4. 죽음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는 2009년 9월 11일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8][21] 9월 13일, 혁명 광장에서 추모식이 거행되었고, 쿠바 전역에서도 여러 행사가 열렸다.[9] 국가 애도일이 선포되었고, 조기가 게양되었다.[9][22] 추도식에는 수만 명의 쿠바인들이 참가하여 알메이다의 영정에 조의를 표했다.[23] 라울 카스트로는 영정 앞에 분홍색 장미를 바치며 추모를 시작했다.[23] 2008년 대통령직에서 사임한 이후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던 피델 카스트로는 직접 참석하는 대신, "반세기 이상에 걸친 영웅적인 승리의 저항에서의 모범적인 행동"을 칭찬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라울 카스트로와 함께 조화를 보냈다.[10][23][24] 다른 고위 정부 및 공산당 간부들도 참석했다.[10][24]

국제적으로도 여러 조사가 있었다. 베트남 대통령 응우옌 민 찌엣은 알메이다를 "양국 간의 연대에 공헌한 베트남인의 훌륭한 친구"라고 칭송하는 메시지를 라울 카스트로에게 보냈다.[11][25] 볼리비아의 "페레도 형제 재단"과 콜롬비아 공산당 서기장 하이메 카이세보도 애도의 뜻을 표했다.[25] 모스크바에서는 알메이다의 노래 모음집인 "El Bolero Cubano"(쿠바 발라드)가 러시아어로 처음 발매되는 등 음악적 헌사가 열렸다.[12][26]

알메이다는 국장을 원하지 않았으며,[3][15] 군사 장례식을 치른 후 산티아고 데 쿠바 인근 산악 지역에 있는 영묘에 안장되었다. 이곳은 그가 혁명 당시 전투를 벌였던 곳이다.[10][13][24][27]

2013년, 알메이다의 부조 초상화가 산티아고 데 쿠바의 헤레디아 극장 정면에 설치되었다. 이 조각품은 하바나 혁명 광장에 있는 체 게바라카밀로 시엔푸에고스의 초상화를 제작한 엔리케 아빌라 곤잘레스가 디자인했으며, "Aqui no se rinde nadie"(여기서는 아무도 포기하지 않는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2005년에 출판된 한 책은 존 F. 케네디 행정부가 1963년 12월 1일에 시작될 피델 카스트로 제거 음모인 AMWORLD 또는 C-Day에서 알메이다를 핵심 역할로 지목했다고 주장한다. 미국 의회 조사관이자 이후 JFK 암살 음모 이론가인 라마르 월드론은 2013년 저서 "The Hidden History of the JFK Assassination"에서 후안 알메이다 장군이 JFK-알메이다 계획이라고 불리는 1963년 12월 1일 쿠바에서 계획된 반 카스트로 봉기에 자발적으로 참여했다고 주장한다. 월드론에 따르면 AMWORLD는 CIA의 리처드 헬름스가 주도하고 JFK와 로버트 F. 케네디의 동의 없이 진행된 마피아-CIA의 카스트로 암살 음모였다. 알메이다의 동기는 쿠바 혁명의 이상을 버린 카스트로의 독재에 대한 환멸이었다. 이 책은 이 음모가 로버트 F. 케네디에 의해 관리되었고 1963년 11월 존 F. 케네디의 암살로 인해 중단되었다고 주장한다.[14]

4. 1. 사후

후안 알메이다 보스케는 2009년 9월 11일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8][21] 9월 13일, 혁명 광장에서 추모식이 거행되었고, 쿠바 전역에서도 여러 행사가 열렸다.[9] 국가 애도일이 선포되었고, 조기가 게양되었다.[9][22] 추도식에는 수만 명의 쿠바인들이 참가하여 알메이다의 영정에 조의를 표했다.[23] 라울 카스트로는 영정 앞에 분홍색 장미를 바치며 추모를 시작했다.[23] 2008년 대통령직에서 사임한 이후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던 피델 카스트로는 직접 참석하는 대신, "반세기 이상에 걸친 영웅적인 승리의 저항에서의 모범적인 행동"을 칭찬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라울 카스트로와 함께 조화를 보냈다.[10][23][24] 다른 고위 정부 및 공산당 간부들도 참석했다.[10][24]

국제적으로도 여러 조사가 있었다. 베트남 대통령 응우옌 민 찌엣은 알메이다를 "양국 간의 연대에 공헌한 베트남인의 훌륭한 친구"라고 칭송하는 메시지를 라울 카스트로에게 보냈다.[11][25] 볼리비아의 "페레도 형제 재단"과 콜롬비아 공산당 서기장 하이메 카이세보도 애도의 뜻을 표했다.[25] 모스크바에서는 알메이다의 노래 모음집인 "El Bolero Cubano"(쿠바 발라드)가 러시아어로 처음 발매되는 등 음악적 헌사가 열렸다.[12][26]

알메이다는 국장을 원하지 않았으며,[3][15] 군사 장례식을 치른 후 산티아고 데 쿠바 인근 산악 지역에 있는 영묘에 안장되었다. 이곳은 그가 혁명 당시 전투를 벌였던 곳이다.[10][13][24][27]

2013년, 알메이다의 부조 초상화가 산티아고 데 쿠바의 헤레디아 극장 정면에 설치되었다. 이 조각품은 하바나 혁명 광장에 있는 체 게바라카밀로 시엔푸에고스의 초상화를 제작한 엔리케 아빌라 곤잘레스가 디자인했으며, "Aqui no se rinde nadie"(여기서는 아무도 포기하지 않는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2005년에 출판된 한 책은 존 F. 케네디 행정부가 1963년 12월 1일에 시작될 피델 카스트로 제거 음모인 AMWORLD 또는 C-Day에서 알메이다를 핵심 역할로 지목했다고 주장한다. 미국 의회 조사관이자 이후 JFK 암살 음모 이론가인 라마르 월드론은 2013년 저서 "The Hidden History of the JFK Assassination"에서 후안 알메이다 장군이 JFK-알메이다 계획이라고 불리는 1963년 12월 1일 쿠바에서 계획된 반 카스트로 봉기에 자발적으로 참여했다고 주장한다. 월드론에 따르면 AMWORLD는 CIA의 리처드 헬름스가 주도하고 JFK와 로버트 F. 케네디의 동의 없이 진행된 마피아-CIA의 카스트로 암살 음모였다. 알메이다의 동기는 쿠바 혁명의 이상을 버린 카스트로의 독재에 대한 환멸이었다. 이 책은 이 음모가 로버트 F. 케네디에 의해 관리되었고 1963년 11월 존 F. 케네디의 암살로 인해 중단되었다고 주장한다.[14]

5. 암살 음모 연루설

참조

[1] 간행물 Revolution Commander Juan Almeida Bosque Passes Away on Friday http://www.ain.cubaw[...] Cuban News Agency 2009-09-12
[2] 뉴스 Cuban revolutionary Almeida di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9-12
[3] 뉴스 Juan Almeida Bosque, Laborer Who Rose to Power at Castro's Side, Dies at 82 https://www.nytimes.[...] 2016-02-10
[4] 서적 2007
[5] 뉴스 Juan Almeida Bosque https://www.telegrap[...] 2009-09-18
[6] 서적 Episodes of the Revolutionary War International
[7] 뉴스 Cuban vice president Juan Almeida dies https://www.google.c[...] AFP 2009-09-12
[8] 뉴스 Cuba revolution commander Juan Almeida dies at 82 http://in.reuters.co[...] Reuters India 2009-09-12
[9] 뉴스 Cuba mourns key revolution leader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9-13
[10] 뉴스 Cubans pay homage to deceased vice president http://news.xinhuane[...] Xinhua 2009-09-14
[11] 간행물 Sorrow for Almeida's Decease Continue http://www.radioguan[...] Cuban News Agency 2011-07-18
[12] 간행물 Juan Almeida, Forever Alive. Homage in Moscow http://www.cubaperio[...] 2009-09-16
[13] 뉴스 Cuban revolutionary commander Almeida dies http://www.brisbanet[...] Brisbane Times 2009-09-13
[14] 서적 Ultimate Sacrifice: John and Robert Kennedy, the Plan for a Coup in Cuba, and the Murder of JFK Basic Books 2009
[15] 뉴스 Juan Almeida Bosque, a Comrade of Castro’s, Is Dead at 82 http://www.nytimes.c[...] 2009-09-12
[16] 간행물 Revolution Commander Juan Almeida Bosque Passes Away on Friday http://www.ain.cubaw[...] Cuban News Agency 2009-09-12
[17] 뉴스 Cuban revolutionary Almeida di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9-12
[18] 서적 Fidel Castro: My Life Penguin Books 2007
[19] 뉴스 Cuban vice president Juan Almeida dies https://www.google.c[...] AFP 2009-09-12
[20] 서적 ibid
[21] 뉴스 Cuba revolution commander Juan Almeida dies at 82 http://in.reuters.co[...] Reuters India 2009-09-12
[22] 뉴스 Cuba mourns key revolution leader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9-13
[23] 뉴스 Thousands of Cubans pay tribute to Castro's right-hand man Juan Almeida Bosque http://www.dailymail[...] 데일리・メール 2009-09-14
[24] 뉴스 Cubans pay homage to deceased vice president http://news.xinhuane[...] 新華社 2009-09-14
[25] 간행물 Sorrow for Almeida´s Decease Continue http://www.radioguan[...] Cuban News Agency 2011-07-18
[26] 간행물 Juan Almeida, Forever Alive. Homage in Moscow http://www.cubaperio[...] 2009-09-16
[27] 뉴스 Cuban revolutionary commander Almeida dies http://www.brisbanet[...] Brisbane Times 2009-09-13
[28] 뉴스 Juan Almeida Bosque, a Comrade of Castro’s, Is Dead at 82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09-09-12
[29] 뉴스 Cuban revolutionary Almeida di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9-12
[30] 뉴스 쿠바 권력서열 3위 사망 http://www.ajnews.co[...] 아주경제 2009-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