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트란토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트란토 전투는 1480년 오스만 제국이 이탈리아의 오트란토를 침공한 사건이다. 오스만 제국은 오트란토를 점령하고 약탈했으며, 생존자들에게 개종을 강요했으나 거부한 800명의 주민들을 처형했다. 이들은 "오트란토의 순교자"로 불리며, 1481년 나폴리 연합군에 의해 오트란토가 탈환되었다. 오트란토 전투는 오스만 제국의 서유럽 진출 시도가 실패로 돌아갔음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유럽 국가들에게 오스만 제국의 위협을 각인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트란토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분쟁오트란토 전투
일부오스만의 유럽 침공
오스만-헝가리 전쟁
날짜1480년 7월 28일 – 1481년 9월 10일
장소이탈리아 오트란토
결과오스만 제국, 오트란토 점령
기독교 세력, 1481년 9월 도시 재탈환
교전 세력 1오스만 제국
교전 세력 2나폴리 왕국
교황령
아라곤 왕국
시칠리아 왕국
헝가리
지휘관
지휘관 1게디크 아흐메드 파샤
지휘관 2파올로 프레고소
프란체스코 라르고
알폰소, 칼라브리아 공작
가스파레 데 스페스
벌라주 머저르
병력 규모
병력 1보병 18,000명
기병 700명
함선 128척
병력 2불명
헝가리: 헝가리 중장보병 2,100명
사상자 및 피해
사상자 1수비군 항복
사상자 212,000명 사망
5,000명 노예화
추가 정보
시민 희생자12,000명 (그 중 1,600명은 헝가리인)
오트란토 성
오트란토 성

2. 오스만 제국의 침공 (1480년)

1479년, 오스만 제국베네치아 공화국에 동맹을 제안했지만, 베네치아 원로원은 이를 거절했다. 베네치아 자료에 따르면, 원로원은 이스탄불의 베네치아 총영사(bailo) 바티스타 그리티를 통해 술탄에게 브린디시, 타란토, 오트란토를 장악하는 것이 그의 권리임을 암시했다. 이러한 선언이 메흐메드 2세의 이탈리아 상륙 계획 실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는 불분명하지만, 그는 신속하게 행동했다.[7]

1480년 초여름, 메흐메드는 카푸단 파샤(kapudan-i derya) 게디크 아흐메드 파샤에게 오트란토 해협을 건너라는 명령을 내렸다. 1480년 7월 28일, 70~200척의 오스만 함대가 오트란토 앞바다에 도착했다. 이들은 로도스 섬 공방전에서 돌아오던 길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 날, 수비병과 주민들은 도시의 성채로 후퇴했지만, 성채에는 대포가 하나도 없었다. 8월 11일, 오스만 군은 포격 지원을 받으며 총공격을 감행했고, 오트란토는 함락되었다.

함락 후, 살아남은 남성 시민들은 노예로 알바니아에 끌려갔다. 스테파노 아그리콜리 대주교 등 주요 성직자들은 대성당에서 살해되었고, 스테파노 펜디넬리 주교와 수비대장 프란체스코 라르고 백작은 산 채로 톱에 절단되는 처형을 당했다. 대성당은 마굿간으로 사용되었다.

2. 1. 오트란토 함락

1480년 7월 28일, 게디크 아흐메드 파샤가 이끄는 70~200척 규모의 오스만 함대가 이탈리아 아풀리아 지방의 오트란토 근처에 도착했다. 이들은 로도스 섬 공방전에서 돌아오던 길이었을 가능성이 있다.[8] 7월 29일 수비병과 도시 주민은 오트란토 성의 성채로 퇴각했으나, 성채에는 대포가 하나도 없었다.

8월 11일, 15일간의 공방전 끝에 게디크 아흐메드는 총공격을 명령했다. 성벽이 대포에 의해 파괴되자 오스만 군은 체계적으로 도시를 약탈하고 파괴했다.

오스만 군은 대성당에서 성복을 입고 십자가를 든 대주교 스테파노 아그리콜리, 수비대 사령관 프란체스코 라르고 백작, 주교 스테파노 펜디넬리를 발견했다. 이들은 성체를 나누어 주고 있었고, 도미니크 수도회 수사가 신자들을 이끌고 기도하는 동안 오트란토의 여성들과 아이들이 함께 있었다.

스테파노 아그리콜리 대주교 등 주요 성직자들은 대성당에서 살해되었고, 스테파노 펜디넬리 주교와 프란체스코 라르고 백작은 산 채로 톱에 의해 절단되었다. 오트란토와 주변 살렌토 반도 지역에서 총 12,000명이 사망하고 5,000명이 노예로 끌려갔다.[8] 이슬람교로 개종하기를 거부한 800명의 시민은 미네르바 언덕(지금은 순교의 언덕이라고 부른다)에서 참수되었다. 대성당은 모스크로 개조되었다.[8]

2. 2. 오트란토의 순교자

1480년 오스만 제국군은 오트란토를 점령한 후, 생존자들에게 이슬람교로 개종할 것을 강요했다. 그러나 스테파노 아그리코리 대주교와 스테파노 펜디네리 주교, 프란체스코 라르고 백작을 포함한 800명의 주민들은 이를 거부했다. 이들은 8월 14일 성모 승천 철야기도 날에 처형당했다.[8] 안토니오 프리말도라는 재봉사는 "형제들이여, 우리는 마을을 지키기 위해 싸웠습니다. 이제 우리 자신의 영혼을 위해 싸웁시다."라며 저항을 이끌었다. 이들은 "오트란토의 순교자"로 불리며, 그들의 시신은 오트란토 대성당에 안치되어 있다.

2013년, 교황 프란치스코는 오트란토의 순교자들을 시성하였다. 하지만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순교자들에 대한 전통적인 기독교적 관점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15] 당시 오스만 제국에서는 종교적 이유로 인한 학살이 정당화되었지만, 이레니아 로마나 카세타(Ilenia Romana Cassetta)는 위협 목적의 처형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16]

2. 3. 침공의 일시적 중단

1480년 10월, 레체, 타란토, 브린디시가 공격받았다. 메흐메드 2세의 죽음이 임박해지면서 이탈리아 공략 계획이 보류되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으나, 군량 부족으로 인해 게디크 아흐메드 파샤는 오트란토를 지키는 보병 800명과 기병 500명을 남기고 나머지 군대를 이끌고 알바니아로 철수했다.[7] 겨울을 보낸 후 돌아온다는 계획이었다.

술탄 메흐메드 2세는 오트란토를 향후 이탈리아 정복의 거점으로 삼고 싶었지만, 대부분의 주민들이 도시를 떠나면서 불가능해졌다. 그 결과, 오스만 제국은 이탈리아에서 대부분의 군대를 철수시키고 해상 수송으로 유지할 수 있는 규모의 주둔군만 남겨두었다. 원정군을 이끌던 게디크 아흐메드 파샤는 추가 병력을 모아 해군 지원 하에 이탈리아 원정을 재개하려 했지만, 준비를 위해 일단 아브로니아(ヴロラ, Vlorë)로 돌아가 8,000명의 병력을 하이레딘 베이(Hayreddin Bey)에게 맡겼다. 그 후, 게디크는 다시는 이탈리아 땅을 밟지 못했다.[13]

3. 유럽의 반응과 반격 (14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로마도 같은 운명에 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교황과 로마 시민들을 도시에서 피난시키려는 계획이 세워졌다. 교황 식스토 4세십자군 소집을 다시 호소했고, 몇몇 이탈리아 도시국가와 헝가리 왕국, 프랑스가 이에 적극적으로 호응했다. 그러나 1479년 오스만 제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했던 베네치아 공화국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1]

1481년 페르디난도 1세는 그의 아들 알폰소 2세가 이끄는 군대를 일으켰으며, 헝가리 왕 마티아스 1세도 병력을 제공했다.[2]

3. 1. 유럽의 연합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이후 로마가 같은 운명을 맞이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자, 교황 식스토 4세십자군 소집을 다시 호소했다. 나폴리 왕국, 헝가리 왕국, 프랑스 등이 이에 호응하여 연합군을 형성했다.[1] 그러나 1479년 오스만 제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한 베네치아 공화국은 연합군에 참여하지 않았다.[1]

1481년 페르디난도 1세는 그의 아들 알폰소 2세가 이끄는 군대를 일으켰다. 이 군대에는 헝가리 왕 마티아스가 제공한 병력도 포함되어 있었다.[2]

3. 2. 오트란토 탈환

1481년 5월 1일, 나폴리 왕국의 알폰소 2세가 이끄는 연합군이 오트란토를 포위했다.[9] 오스만 제국5월 3일 술탄 메메드 2세가 사망하면서 권력 승계 다툼이 벌어져 오트란토에 제대로 된 지원군을 보낼 수 없었다.[13]

메메드 2세의 두 아들인 젬 술탄과 바예지드 2세 사이의 권력 다툼은 6월 20일 예니셰히르 전투에서 젬 술탄이 패배하고 망명하면서 일단락되었다. 바예지드 2세는 원정을 계속하려 했으나, 알바니아에서의 반란과 헝가리의 국경 위협으로 인해 지원군 파병이 불가능해졌다.[13][17]

오트란토는 해상 봉쇄로 보급이 끊기면서 한계에 다다랐고, 결국 오스만 군은 협상 끝에 8월에 항복하고 무기를 소지한 채 1481년 9월 오트란토에서 철수하여 13개월간의 점령을 종식시켰다.[13] 철수하지 않은 오스만 군 2,050명은 포로가 되었고, 그중 500명은 나폴리 왕의 군대에 합류하여 여러 전투에 참가했다.[14]

오트란토 대성당 내부

4. 전투의 결과 및 영향

오트란토 전투로 인해 오트란토의 인구는 크게 감소했다. 전투 이전 약 20,000명이었던 인구는 전투 이후 8,000명으로 줄었으며, 많은 주민들이 다시 공격해 올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도시를 떠났다.[10]

오트란토의 순교자들의 유해는 오트란토 대성당과 나폴리의 산타 카테리나 아 포르미엘로 교회에 안치되었다.[18]

오트란토 전투는 오스만 제국의 서유럽 진출 시도가 실패로 끝났음을 보여준다. 이 사건은 유럽 국가들에게 오스만 제국의 위협을 각인시키고, 이후 방어 체제 강화에 영향을 미쳤다.

5. 대중문화

마나베 죠지의 만화(전 7권 완결) 중기갑소녀 콩만하지만에서 오스만 제국이탈리아반도 침공은 오트란토 전투를 모델로 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Encyclopædia Americana, Volume 9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 서적 The Ottoman Empire: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3] 서적 Magyarország Képes Története Magyar Könyvklub
[4] 간행물 Hospitallers and Ottomans Between the Two Great Sieges of Rhodes (1480–1522/1523) 1. https://www.taylorfr[...] Routledge
[5] 뉴스 Pope canonises 800 Italian Ottoman victims of Otranto https://www.bbc.com/[...] BBC News 2022-03-17
[6] 웹사이트 HOMILY OF POPE FRANCIS https://www.vatican.[...] www.vatican.va 2022-03-17
[7] 서적 Mehmed the Conqueror and His Ti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서적 Gli Eroi della Patria e i Martiri della Fede: Otranto 1480–1481 Editrice Salentina
[9] 간행물 Una flotta siciliana ad Otranto (1480) https://www.academia[...] Archivio Storico Pugliese
[10] 서적 Puglia Rough Guides Snapshot Italy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1] 서적 The Sultans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2] 서적 Discovering Turkey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13] 서적 Otranto Seferi https://islamansiklo[...] Türkiye Diyanet Vakfı 2020-08-29
[14] 웹사이트 Mehmet II’s Campaign to Italy (1480-1481) http://proje.akdeniz[...] akdeniz.edu.tr 2020-08-29
[15] 서적 Creating East And West: Renaissance Humanists And the Ottoman Turk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6] 간행물 La Prise d'Otrante (1480–81), entre sources chrétiennes et turques Turcica
[17] 서적 Archivum ottomanicum, Volumes 1–3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11-03-19
[18] 뉴스 로마법왕 프란치스코, 약 800명을 “성인”으로 인정 https://www.cnn.co.j[...] CNN 2013-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