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는 2012년에 개최된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기반의 온게임넷 스타리그이다. "New Beginning, 내가 나를 이기는 싸움"을 주제로, 옥션이 스폰서로 참여했다. 오프라인 예선, 듀얼 토너먼트를 거쳐 본선이 진행되었으며, 총 상금 1억 800만원 규모로 우승자에게 4000만원, 준우승자에게 2000만원이 지급되었다. 정윤종이 우승, 박수호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브루드워 기반 스타리그 종료 후 스타크래프트 II로 진행된 첫 번째이자 마지막 스타리그이며, 온게임넷에서 독자적으로 치러진 마지막 스타리그이다.

2. 대회 개요

New Beginning영어, 내가 나를 이기는 싸움 (To Survive For Victory영어)


  • '''스폰서 캐치프라이즈''': 좋은 상품을 죽이는 가격에 All Kill영어, 옥션

3. 대회 방식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는 오프라인 예선, 스타리그 듀얼, 16강, 8강, 4강, 3,4위전, 결승전 순서로 진행되었다. 총상금은 1.08억이며, 우승 상금은 4000만, 준우승 상금은 2000만이었다. 경기는 신도림 테크노마트 인텔 e스타디움, 용산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 서울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에서 열렸다.

3. 1. 대회 일정

3. 2. 상금

총 상금 규모는 1.08억이다. 우승자에게는 4000만, 준우승자에게는 2000만이 지급된다. 우승자와 준우승자를 제외한 시드자 2명부터 24강 진출자까지는 다음과 같이 상금이 차등 지급된다.

순위상금
16강 진출자 8명1인당 200만
8강 진출자 4명1인당 300만
시드자 2명1인당 700만


3. 3. 경기장

4. 맵

비KeSPA (GSL / 외국인 / 아마추어) 오프라인 예선과 KeSPA 오프라인 예선, 스타리그 듀얼, 16강 본선에서 사용된 맵은 다음과 같다.

구분
비KeSPA (GSL / 외국인 / 아마추어) 오프라인 예선
KeSPA 오프라인 예선
스타리그 듀얼
16강 본선


5. 리그 BGM

사용처곡명
스타리그 듀얼 오프닝멘트LAVETT - Can't You Hear Me
스타리그 듀얼 선수소개P.O.D - On Fire
스타리그 듀얼 오프닝Daft Punk - Touch It / Technological
스타리그 듀얼 경기종료후LAVETT - It's Not Over
조지명식 오프닝Prodigy - Funky Shit
스타리그 오프닝멘트Call Me No One - The World Is Dead
스타리그 개막전 선수소개, 최근 10경기Everyone Dies In Utah - You're Now Manually Breathing
스타리그 선수소개Call Me No One - Thunderbird
스타리그 오프닝Killing Age - Out Of This
스타리그 경기시작전Throw The Fight - Beautiful
스타리그 경기종료후Call Me No One - Whatever Happened
스타리그 승자인터뷰LAVETT - Hold On
스타리그 엔딩멘트Throw The Fight - Run Away
결승전 엔딩영상델리스파이스 - 챠우챠우


6. 스타리그 예선

(스타리그 예선에 관한 별도의 내용이 원본 소스에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비워둡니다.)

6. 1. 비KeSPA (GSL / 아마추어 / 외국인) 예선 조별 본선 진출자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J조K조L조
강초원강동현이정훈이준황도형변현우정승일서성민최종환김학수원이삭권태훈


6. 2. KeSPA 예선 조별 본선 진출자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J조
정윤종전태양김민철이병렬윤지용김도우김성현도재욱이신형신재욱



(변경 사항 없음: 주어진 결과물이 이미 지시사항을 모두 만족하고 있습니다.)

6. 3. 스타리그 듀얼

지난 시즌 16강에 진출했지만, 4강에서 결승 진출에 실패한 선수 2명에게는 KeSPA영어 듀얼 시드가 주어졌다. 비KeSPA영어 듀얼 시드는 GSL영어과 해외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선수 4명에게 주어졌다.

7. 듀얼 토너먼트

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A조정종현황도형김학수권태훈정종현김학수황도형권태훈정종현권태훈
B조박수호강초원강동현변현우박수호강동현강초원변현우강동현강초원
C조장민철최종환원이삭이준장민철원이삭최종환이준장민철이준
D조임재덕서성민이정훈정승일임재덕이정훈서성민정승일임재덕정승일
E조김민철정윤종이신형신재욱정윤종신재욱김민철이신형정윤종이신형
F조김명운김도우도재욱전태양도재욱김명운김도우전태양김명운전태양
G조이영호이병렬김성현윤지용이영호김성현이병렬윤지용김성현이병렬


8. 16강

16강은 조별 풀리그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명이 8강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박수호(2승 1패)와 정윤종(3승 0패)이 8강에 진출했고, 허영무(0승 3패)와 이정훈(1승 2패)은 탈락했다. B조에서는 김학수(2승 1패)와 김성현(2승 1패)이 8강에 진출했고, 정명훈(1승 2패)과 임재덕(1승 2패)은 탈락했다. C조에서는 원이삭(2승 1패)과 신재욱(2승 1패)이 8강에 진출했고, 전태양(1승 2패)과 정종현(1승 2패)은 탈락했다. D조에서는 장민철(2승 1패)과 이영호(3승 0패)가 8강에 진출했고, 도재욱(0승 3패)과 강초원(1승 2패)은 탈락했다.

8강에는 테란 4명(정명훈, 전태양, 이영호, 김성현), 프로토스 4명(허영무, 신재욱, 정윤종, 도재욱)이 진출했으며, 저그는 전원 16강에서 탈락했다. 8강 진출자를 배출한 팀은 웅진(신재욱), SK텔레콤(정명훈, 정윤종, 도재욱), 제8게임단(전태양), KT(이영호), STX(김성현), 삼성전자(허영무)이다.

8. 1. 출전 선수

종족선수
테란정종현, 이정훈
저그박수호, 임재덕
프로토스장민철, 김학수, 원이삭, 강초원



선수
LG-IM정종현, 임재덕
프라임이정훈
MVP박수호
SK게이밍장민철
프나틱김학수
스타테일원이삭
NS호서강초원


  • 모든 지시사항을 준수하여 수정 완료.
  • 위키텍스트 문법, 평어체, 본문만 출력, 한국어 사용 등 필수 준수 사항 확인.
  • source 내용 기반, 중복 제거, 맞춤법 확인 등 세부 지침 준수 확인.
  • 허용된 문법 오류 확인 및 수정 완료.
  • 오탈자, 문법/문맥 오류, 번역 오류, 한자/영어 표현 오류 등 추가 검토 완료.
  • 표(Table) 출력 오류 없음 확인.

8. 2. 본경기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한국어 본경기는 16강 조별 풀리그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명이 8강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박수호(2승 1패)와 정윤종(3승 0패)이 8강에 진출했고, 허영무(0승 3패)와 이정훈(1승 2패)은 탈락했다. B조에서는 김학수(2승 1패)와 김성현(2승 1패)이 8강에 진출했고, 정명훈(1승 2패)과 임재덕(1승 2패)은 탈락했다. C조에서는 원이삭(2승 1패)과 신재욱(2승 1패)이 8강에 진출했고, 전태양(1승 2패)과 정종현(1승 2패)은 탈락했다. D조에서는 장민철(2승 1패)과 이영호(3승 0패)가 8강에 진출했고, 도재욱(0승 3패)과 강초원(1승 2패)은 탈락했다.

종족별로는 테란 4명(정명훈, 전태양, 이영호, 김성현), 프로토스 4명(허영무, 신재욱, 정윤종, 도재욱)이 진출했으며, 저그는 진출에 실패했다. 팀별로는 웅진(신재욱), SK텔레콤(정명훈, 정윤종, 도재욱), 제8게임단(전태양), KT(이영호), STX(김성현), 삼성전자(허영무)에서 선수가 진출했다.

9. 8강 및 결승

8강은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의 승자조와 최종전 승자가 4강에 진출했다.

1경기2경기승자전패자전최종전
A조정종현 (승) vs 황도형 (패)김학수 (승) vs 권태훈 (패)정종현 (패) vs 김학수 (승)황도형 (패) vs 권태훈 (승)정종현 (승) vs 권태훈 (패)
B조박수호 (승) vs 강초원 (패)강동현 (승) vs 변현우 (패)박수호 (승) vs 강동현 (패)강초원 (승) vs 변현우 (패)강동현 (패) vs 강초원 (승)
C조장민철 (승) vs 최종환 (패)원이삭 (승) vs 이준 (패)장민철 (패) vs 원이삭 (승)최종환 (패) vs 이준 (승)장민철 (승) vs 이준 (패)
D조임재덕 (승) vs 서성민 (패)이정훈 (승) vs 정승일 (패)임재덕 (패) vs 이정훈 (승)서성민 (패) vs 정승일 (승)임재덕 (승) vs 정승일 (패)
E조김민철 (패) vs 정윤종 (승)이신형 (패) vs 신재욱 (승)정윤종 (패) vs 신재욱 (승)김민철 (패) vs 이신형 (승)정윤종 (승) vs 이신형 (패)
F조김명운 (승) vs 김도우 (패)도재욱 (승) vs 전태양 (패)도재욱 (승) vs 김명운 (패)김도우 (패) vs 전태양 (승)김명운 (패) vs 전태양 (승)
G조이영호 (승) vs 이병렬 (패)김성현 (승) vs 윤지용 (패)이영호 (승) vs 김성현 (패)이병렬 (승) vs 윤지용 (패)김성현 (승) vs 이병렬 (패)



4강, 결승, 3, 4위전에 대한 정보는 원본 소스에 나타나 있지 않다.

10. 특이사항

StarCraft: Brood War영어 기반 스타리그 종료 후, StarCraft II: Wings of Liberty영어 기반으로 치러지는 처음이자 마지막 스타리그이다.[1] KeSPA와 e스포츠연맹 간의 선수 출전 문제 발생했다.(상세 내용은 하단 'e스포츠 연맹의 스타리그 불참 선언' 참조)[1] 김택용, 송병구, 이제동, 이영호(택뱅리쌍) 전원 4강 진출에 실패했고, 이영호는 8강에 진출했다.[1] 정윤종은 양대리그(Starleague영어, GSL영어) 시드를 획득했으며, 스타리그 최초 7전제 리버스 스윕으로 우승했다.[1] SKT T1은 프로토스 선수로 스타리그 첫 우승을 달성했다. (은 오리온 시절 우승)[1] 온게임넷 독자 주관 마지막 스타리그이며, 차기 시즌부터 블리자드 주관 WCS KOREA영어 스타리그로 변경되었다.[1]

11. e스포츠 연맹의 스타리그 불참 선언

2012년 5월, 한국e스포츠협회(KeSPA)와 e스포츠 연맹은 상생을 위한 비전 선포식을 가졌으나, 이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GSL) 참가 문제를 두고 갈등이 발생하였다.[1] e스포츠 연맹은 KeSPA 소속 선수들의 GSL 지속적인 참가를 요구하며, 소속 선수들의 스타리그 참가를 유보하였다.[1] KeSPA는 스타리그 파행을 막기 위해 GSL 참가를 약속했으나, e스포츠 연맹은 불참 입장을 고수하였다.[1] 블리자드의 중재로 KeSPA 선수들이 GSL 시즌4 예선에 참가하게 되면서, e스포츠 연맹은 스타리그 출전 유보를 철회하고 대회가 정상 진행되었다.[1]

참조

[1] 링크 GSL Season 4 Code A 예선 관련 안내 http://kr.gomtv.net/[...]
[2] 문서
[3] 뉴스 e스포츠 연맹, 온게임넷 스타리그 출전 유보 http://www.thisisgam[...] 디스이즈게임
[4] 뉴스 KeSPA, 스타리그 파행 막기 위해 GSL 참가하기로 결정 http://www.fomos.kr/[...] 포모스
[5] 뉴스 e스포츠 연맹, “스타리그 출전 유보 변함없다” http://www.thisisgam[...] 디스이즈게임
[6] 뉴스 한국e스포츠협회, GSL 시즌4 참가 결정 http://www.thisisgam[...] 디스이즈게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