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윤종은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로, MBC게임 히어로 연습생을 거쳐 SK텔레콤 T1에서 데뷔했다. 스타크래프트 II와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모두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스타크래프트 II에서는 2012년 옥션 올킬 스타리그 우승, 2015년 GSL 시즌 2 우승, HomeStory Cup XI 우승 등 5번의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로 복귀해서는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와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3에서 우승하며 양대 리그를 석권했다. 이후 2019년 12월 공식전에서 은퇴했으나, 2022년 ASL 시즌13에서 준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열로더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로열로더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우승자 - 문성원
문성원은 과거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며 GSL 우승 및 준우승, 국제 대회 우승 등의 기록을 세웠고, 은퇴 후 복귀하여 현재는 e스포츠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우승자 - 이승현 (프로게이머)
이승현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GSL 로열로더 및 WCS 글로벌 파이널 우승을 차지했으나, 승부조작 사건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영구 제명되었다. - 스타리그 우승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스타리그 우승자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정윤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 | 1992년 8월 14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종족 | 프로토스 |
아이디 | Rain |
별명 | 윤종신 정윤종결자 노잼종 갓윤종 라마윤종 프황(프로토스 황제) ㅇㅊㅁㄹㅇ |
소속팀 | 無 |
키보드 | 필코 마제스터치2 |
마우스 | 조위기어 Mico 블루 |
2. 경력
정윤종은 2009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MBC게임 히어로의 3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1] 이후 SK텔레콤 T1으로 이적하여 프로게이머 경력을 시작했다.
프로게이머 경력은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와 스타크래프트 II로 나뉜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 은퇴 이후에는 아프리카TV 개인 방송을 통해 다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를 플레이하기 시작했으며, ASL과 KSL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양대 리그를 모두 석권하는 기록을 세웠다.
2. 1. 프로게이머 경력 (스타크래프트)
MBC게임 히어로에서 연습생으로 지내다가 2010년 1월 SK텔레콤 T1으로 이적하여 데뷔하였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 2라운드(2R)부터 도재욱의 부진으로 인한 프로토스 라인의 공백을 메우며 잠시 주전으로 활약했지만, 위너스리그에서는 부진했다. 하지만 5라운드(5R)부터 다시 급부상하여 10-11 정규시즌 신인왕 타이틀을 획득했다.[1]2011년 8월 27일 경남 - STX컵 마스터즈 2011 결승전에서 화승 OZ를 상대로 선봉 출전, 김유진, 이제동, 박준오, 구성훈을 상대로 승리하며 올킬을 기록했다. 프로리그에 자주 출전하며 김택용과 도재욱의 뒤를 이을 SK텔레콤 T1 주전 선수로 성장하였다.[1]
스타크래프트Ⅱ 전환 이후 뛰어난 성적을 기록하며, 2012년 8월 스타크래프트Ⅱ 랭킹 4위까지 상승했다. 2012년 10월 14일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아시아 파이널에서 원이삭을 2:0으로 이기고 생애 첫 개인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4강에서는 김성현을 상대로 0:3에서 4:3으로 역스윕하여 결승에 진출, 박수호를 4:1로 꺾고 우승했다. 11월에는 KeSPA 랭킹 1위를 달성했다.[1]
2012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5를 기권하고 MLG 대회 참가를 위해 미국으로 떠났으나 큰 성과를 보지 못했고, 이후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블리자드 컵에서 부진했다.[1]
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 출시 후,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결승에 올랐으나 조성주에게 2:4로 패배하여 준우승했다. 2013 핫식스컵에서 김민철을 4:2로 꺾고 우승하면서, 온게임넷과 곰TV 양대 방송 대회 최초 우승이라는 타이틀을 얻었다.[1]
2014년 9월 30일, 자유로운 연습 환경을 위해 SK텔레콤 T1과의 계약을 만료하고, 11월 9일 스위스 프로게임단 mYinsanity에 입단했다. 2015 스베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결승전에서 한지원을 4:1로 꺾고 GSL 첫 우승을 차지, GSL 랭킹 1위에 올랐다. 홈스토리컵 시즌11에서도 우승했다.[1]
2015년 12월 15일 mYinsanity와의 계약 종료를 발표, 부친 간 이식 수술로 휴식을 취하다 12월 19일 프로게이머 은퇴를 발표했다. 2016년 5월 12일 SPOTV GAMES의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 2 해설로 합류했다.[1]
2016년 말, 아프리카TV 개인 방송을 통해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를 다시 시작했다. 2018년 5월,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에서 장윤철을 3:1로 꺾고 스타크래프트 1 우승을 차지, '스타 2'와 '스타 1'을 석권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1]
블리자드 주최 스타크래프트 1 대회인 KSL에서 전 시즌 모두 4강 이상의 성과를 냈고, 2019년 6월 KSL 시즌3에서 변현제를 4:1로 제압하고 우승했다. KSL 시즌3 우승 당시 2년 내 동족전 승률은 85.7%(30승 5패)였다. ASL 시즌8에서 3위, KSL 시즌4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ASL 시즌9 시드를 반납하며 2019년 12월 공식전 은퇴를 선언했다. 2022년 1월 ASL 시즌13에 참가하여 준우승, 시드를 반납했다가 2023년 7월 ASL 시즌16에 참가하였다.[1]
강민 이후 15년 만에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양대리그를 우승한 프로토스이며, 스타크래프트 II OSL-GSL, 스타크래프트 I ASL-KSL 양대리그를 모두 석권한 유일한 선수이다. 블리자드 공인 개인리그(ASL-KSL) 총 전적은 112승 61패(승률 64.7%)이다. 종족별 전적은 테란전 29승 29패(승률 50.0%), 저그전 41승 24패(승률 63.1%), 프로토스전 42승 8패(승률 84.0%)이다.[1]
2. 2. 프로게이머 경력 (스타크래프트 II)
SK텔레콤 T1으로 이적 후 데뷔하여,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에서 도재욱의 부진으로 인한 프로토스 라인의 공백을 메우며 잠시 주전 역할을 수행했다. 10-11 정규시즌 신인왕 타이틀을 획득했다.[1]2011년 경남 - STX컵 마스터즈 2011 결승전에서 화승 OZ를 상대로 올킬을 기록하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 김택용과 도재욱의 뒤를 이을 SK텔레콤 T1 주전 선수로 성장했으며, 스타크래프트Ⅱ 전환 이후 뛰어난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1]
2012년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 아시아 파이널에서 원이삭을 꺾고 생애 첫 개인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결승에서 박수호를 꺾고 우승하며 KeSPA 랭킹 1위에 올랐다. 그러나 2012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5 기권 및 MLG,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블리자드 컵에서 부진을 겪었다.[1]
스타크래프트 II: 군단의 심장 출시 후,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옥션 올킬 스타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3 핫식스컵에서 김민철을 꺾고 우승하며 온게임넷과 곰TV 양대 방송 대회 최초 우승 기록을 세웠다.[1]
2014년 스위스 프로게임단 mYinsanity에 입단하여 해외팀에서 활동했다. 2015 스베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에서 한지원을 꺾고 GSL 첫 우승과 함께 GSL 랭킹 1위에 올랐다. 홈스토리컵 시즌11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맞았다.[1]
2015년 12월, mYinsanity와의 계약 종료 후 간 이식 수술을 이유로 잠정 휴식에 들어갔다가 프로게이머 은퇴를 발표했다.[1]
2. 3. 기타 경력
2014년 9월 30일, 자유로운 연습 환경을 원하여 재계약을 하지 않고 SK텔레콤 T1과의 계약을 만료하였다.[2] 2014년 11월 9일, 스위스 프로게임단 mYinsanity에 입단하였다.[2] 해외팀으로 이적 후 좋은 성적을 유지하다가, 2015 스베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결승전에 올라 한지원을 4:1로 꺾고 커리어 최초로 GSL 우승을 거머쥐었다.[2] 이로써 2012년 KeSPA 랭킹 1위 달성 이후 이번에는 GSL 랭킹 첫 1위까지 올랐다.[2] 또한 직후 홈스토리컵 시즌11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한번 최고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2]2015년 12월 15일, mYinsanity와의 계약 종료를 발표했으며, 부친에게 간 이식 수술을 사유로 잠정적 휴식을 가지다가[2] 2015년 12월 19일부로 프로게이머 은퇴를 발표했다.[2] 이후 2016년 5월 12일 SPOTV GAMES의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6 시즌 2 해설로 합류했다.[2]
2016년 말, 아프리카TV 개인 방송을 통해 다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플레이를 시작하였다.[2] 이후 2018년 5월,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에서 장윤철을 3:1로 꺾고 처음으로 스타크래프트 1 우승을 차지하였고, '스타 2'와 '스타 1'을 석권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2]
블리자드가 직접 주최하는 스타크래프트 1 대회인 KSL에서 출전 선수들 중 유일하게 전 시즌 모두 4강 이상의 좋은 성과를 내었고, 특히 2019년 6월, KSL 시즌3에서는 변현제를 4:1로 제압하고 우승을 차지하면서 다시 한 번 스스로 현 프로토스 최강자임을 증명하였다.[2] KSL 시즌3 우승 당시 2년 내 동족전 승률은 무려 85.7%(30승 5패)에 육박할 정도로 압도적이었다.[2] 이후 ASL 시즌8에서 3위, KSL 시즌4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고, ASL 시즌9 개최 전 시드(seed)를 반납하면서 2019년 12월 부로 공식전 은퇴를 선언하였다.[2] 그러다가 2년 넘는 공백 끝에 2022년 1월 ASL 시즌13에 참가하여 준우승을 달성하였고, 다시 시드를 반납했다가 1년 6개월의 공백 후 2023년 7월 ASL 시즌16에 참가하였다.[2]
이로써 정윤종은 2004년 강민 이후 15년 만에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양대리그를 우승한 프로토스 플레이어가 되어, 현역 시절 스타크래프트 II OSL-GSL 양대리그 우승에 이어 은퇴 후 스타크래프트 I ASL-KSL 양대리그 우승까지 차지하며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역사상 최초로 양 분야의 양대리그를 모두 석권하는 전무후무한 대업을 달성하였다.[2] 현역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리그 종료 이후 현재 블리자드 공인 개인리그로 인정되어 있는 '''ASL-KSL''' 기록만 놓고 보아도 '''총 전적 112승 61패(승률 64.7%)'''로, 테란전 29승 29패(승률 50.0%), 저그전 41승 24패(승률 63.1%, 승률 1위), '''프로토스전(동족전) 42승 8패(승률 84.0%, 승률 1위)'''이다.[2]
3. 주요 업적
연도 | 대회 | 결과 |
---|---|---|
2012년 | 201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CS) 아시아 파이널 | 우승 (2:0 원이삭) |
2012년 |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 우승 (4:1 박수호) |
2012년 | 201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CS) 글로벌 파이널 | 3위 |
2012년 | MLG Tournament of Champions | 준우승 |
2013년 | 2013 WCS 코리아 시즌 2 옥션 올킬 스타리그 | 준우승 (2:4 조성주) |
2013년 | 2013 핫식스컵 라스트 빅매치 | 우승 (4:2 김민철) |
2014년 | PughCraft Invitational #2 | 우승 (4:0 조성호) |
2014년 | IEM Season IX - San Jose | 준우승 (3:4 김준호) |
2015년 | 2015 스베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코드 S | 우승 (4:1 한지원) |
2015년 | HomeStory Cup XI | 우승 (4:2 이예훈) |
4. 스타리그 로열로더
2012년 10월 27일,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에서 박수호를 4:1로 꺾고 우승하며 온게임넷 스타리그 로열로더로 등극하였다.[1]
정윤종은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로 치뤄진 온게임넷 최초이자 최후의 우승자이며, 온게임넷에서 독자적으로 주관한 스타리그의 마지막 우승자다.[1] 또한 온게임넷 스타리그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저그를 꺾고 우승한 프로토스가 되었다.[1]
5. ASL-KSL 통산 전적 (블리자드 공인)
대회 | 결과 | 상대 선수 | 스코어 |
---|---|---|---|
201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CS) 아시아 파이널 | 우승 | 원이삭 | 2:0 |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 | 우승 | 박수호 | 4:1 |
2012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WCS) 글로벌 파이널 | 3위 | ||
2013 핫식스컵 라스트 빅매치 | 우승 | 김민철 | 4:2 |
2014년 11월 PughCraft Invitational #2 | 우승 | 조성호 | 4:0 |
IEM Season IX - San Jose | 준우승 | 김준호 | 3:4 |
2015 스베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코드 S | 우승 | 한지원 | 4:1 |
HomeStory Cup XI | 우승 | 이예훈 | 4:2 |
2015 WCS 글로벌 파이널 | 8강 |
6. 수상 경력
정윤종은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두 종목에서 모두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한 프로게이머이다. 스타크래프트에서는 블리자드 공인 개인리그에서 2회 우승, 2회 준우승을, 스타크래프트 II에서는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5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했다.[1][2]
연도 | 대회 | 결과 | 상대 | 비고 |
---|---|---|---|---|
2009년 | 제46회 스타크래프트 준프로게이머 선발전 | 입상 | ||
2016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 | 16강 | ||
2017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 | 24강 | ||
2017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 | 8강 | ||
2018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 | 우승 | 3:1 장윤철 | |
2018년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 4강 | ||
2018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6 | 8강 | ||
2018년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2 | 4강 | ||
2019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7 | 4위 | ||
2019년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3 | 우승 | 4:1 변현제 | |
2019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8 | 3위 | ||
2019년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4 | 준우승 | 2:4 이재호 | |
2022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3 | 준우승 | 0:4 이재호 |
6. 1. 개인 리그
정윤종은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두 종목에서 모두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한 프로게이머이다. 스타크래프트에서는 블리자드 공인 개인리그에서 2회 우승, 2회 준우승을 차지했고,[1] 스타크래프트 II에서는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5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했다.[2]6. 1. 1.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블리자드 공인 개인리그 우승 2회, 준우승 2회'''[1]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5회, 준우승 2회'''[2]
연도 | 대회 | 결과 | 상대 | 비고 |
---|---|---|---|---|
2009년 | 제46회 스타크래프트 준프로게이머 선발전 | 입상 | ||
2016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 | 16강 | ||
2017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 | 24강 | ||
2017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 | 8강 | ||
2018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 | 우승 | 3:1 장윤철 | |
2018년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 4강 | ||
2018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6 | 8강 | ||
2018년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2 | 4강 | ||
2019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7 | 4위 | ||
2019년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3 | 우승 | 4:1 변현제 | |
2019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8 | 3위 | ||
2019년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4 | 준우승 | 2:4 이재호 | |
2022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3 | 준우승 | 0:4 이재호 | |
2009년 ~ 2014년 | SK텔레콤 T1 | |||
2014년 ~ 2015년 | mYinsanity |
6. 1. 2.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5회, 준우승 2회'''.[2]
연도 | 대회 |
---|---|
2009년 | 제46회 스타크래프트 준프로게이머 선발전 입상 |
2016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 16강 |
2017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3 24강 |
2017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 8강 |
2018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 우승 (3:1 장윤철) |
2018년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4강 |
2018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6 8강 |
2018년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2 4강 |
2019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7 4위 |
2019년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3 우승 (4:1 변현제) |
2019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8 3위 |
2019년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4 준우승 (2:4 이재호) |
2022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3 준우승 (0:4 이재호) |
6. 2. 팀단위 리그
참조
[1]
대회성적
주요 대회 성적
[2]
대회성적
주요 대회 성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