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로프 솃코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로프 솃코눙은 995년경 스웨덴의 왕위에 오른 인물로, 스웨덴 중부의 스베아인과 남부의 예테인을 모두 지배한 최초의 왕으로 여겨진다. 그는 덴마크의 스베인 1세, 노르웨이의 에이리크 호콘손과 연합하여 스볼데르 해전에서 올라프 1세를 물리쳤으며, 1008년경 기독교로 개종했다. 또한, 스웨덴 최초로 화폐 주조를 시작하여 시그투나에서 "OLUF REX" 또는 "OLAF REX"라는 라틴어 문구가 새겨진 동전을 발행했다. 그의 이름인 "솃코눙"의 정확한 의미는 불분명하며, 세금, 보물, 또는 주화 주조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22년 사망 - 북송 진종
    북송의 제3대 황제인 진종은 문치주의 정책 추진, 과거 제도 정비, 황제 독재 권력 강화, 요나라와의 전연의 맹 체결, 참파 벼 도입, 도교 장려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 1022년 사망 - 원혜왕후
    원혜왕후 김씨는 안산 김씨로 김은부의 딸이자 현종의 왕비이며, 문종의 어머니로 후에 왕비로 추존되어 평경왕후라는 시호를 받았고 능은 회릉에 있다.
  • 980년 출생 - 오토 3세
    오토 3세는 980년 출생하여 1002년 사망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어린 나이에 독일 왕으로 즉위하여 섭정을 받으며 성장, 친정 후에는 로마 제국 부흥을 꿈꿨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980년 출생 - 테오도라 (11세기)
    테오도라는 콘스탄티누스 8세의 딸이자 조에와 함께 비잔티움 제국을 공동 통치했으며 콘스탄티누스 9세 사후 단독 통치한 여제로, 그녀의 통치는 마케도니아 왕조의 종식을 의미한다.
  • 문쇠가 - 아눈드 야코브
    아눈드 야코브는 1022년부터 1050년까지 스웨덴을 통치한 국왕으로, 스칸디나비아 세력 균형을 위해 주변 국가와 외교 관계를 맺고 스웨덴의 독립을 유지하는 데 노력했다.
  • 문쇠가 - 에문드 노왕
    에문드 노왕은 1050년부터 1060년까지 스웨덴을 통치한 올로프 솃코눙의 서자이자 아눈드 야코브의 형제로, 아눈드 야코브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그의 치세는 브레멘 대주교와의 갈등, 군사적 재앙, 스웨덴-덴마크 국경 설정 논쟁으로 특징지어지며, 아들 없이 사망하여 문쇠 왕조의 혈통이 단절되고 왕위는 그의 사위인 스텡킬에게 이어졌다.
올로프 솃코눙
기본 정보
올라프가 새겨진 주화
이름올라프 솃코눙
로마자 표기Olof Skötkonung
칭호스웨덴 국왕
통치
재위 기간기원후 995년경 – 1022년
계승자아눈드 야코브
이전 통치자에리크 빅토르
가족
배우자메클렌부르크의 에스트리드
자녀아눈드 야코브, 스웨덴 국왕
키예프의 잉에게르드
| 서자:
에문드 노왕
아스트리드 올라프스도테르
왕가뭉쇠 가문
아버지에리크 빅토르
어머니시그리드 스토르라다/시비에토스와바
생애
출생기원후 980년경
사망1022년
종교칼케돈 기독교
이전 노르드 이교

2. 생애

에이리크 인 시그르셀리 국왕과 그의 아내 시그리드 스토라다(Sigríð Storråda)의 아들로 태어났다.[47] 995년경 아버지의 뒤를 이어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했으며, 스웨덴 중부의 스베아인과 남부의 예테인을 모두 지배한 최초의 왕으로 알려져 있다.[46][45]

올로프는 벤트족 족장의 딸 에들라(Edla)를 정부로 삼아 아들 에문드 노왕(Emund), 딸 아스트리드(올라프 2세와 결혼), 홀름프리드를 낳았다.[11] 이후 오보트리테의 에스트리드(Estrid of the Obotrites)와 결혼하여 아들 아눈드 야곱(Anund Jacob)과 딸 잉게게르드 올로프스도테르(Ingegerd Olofsdotter)(키예프 대공국의 야로슬라프 1세와 결혼)를 낳았다.[12]

올로프의 초기 통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스노리 스투를손과 아담 브레멘의 기록에 주로 의존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기록에 비판적이다.[8] 스노리 스투를손에 따르면, 올로프는 통치 초기에 벤트랜드로 바이킹 원정을 이끌었다고 한다.[11]

아이슬란드의 스칼드 시인 할프레드(Hallfreðr vandræðaskáld)의 생애를 전하는 할프레드 사가(Hallfreðars saga)에는 할프레드가 올로프를 방문하여 시를 헌상하고, 올로프가 그에게 스웨덴 체류를 권했지만 거절당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55]

"셰트코누웅"이라는 이름의 의미는 불명확하다.[50]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연대기 기록에 따르면, 올로프는 1021년에서 1022년 겨울 사이에 자연사했다.[40] 1740년대부터 그가 자신의 왕국 중 기독교 지역인 후사뷔에 묻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43]

후사뷔 교회의 올로프 묘(추정)

2. 1. 초기 통치와 동맹

에이리크 인 시그르셀리 국왕과 그의 아내인 시그리드 스토라다(Sigríð Storråda)의 아들로 태어났다. 995년경 아버지 에이리크 인 시그르셀리 국왕의 뒤를 이어 스웨덴의 국왕으로 즉위했다.[8]

999년[44] 또는 1000년[48] 스볼데르 해전에서 덴마크스베인 튜구스케그, 노르웨이의 라데(Lade) 백작 에이리크 호콘손(Eirik Håkonsson)과 연합하여 노르웨이의 올라프 1세 국왕을 물리쳤다.[9][15] 이 전투에서 올라프 1세는 전사했고, 노르웨이는 연합 군주들에게 점령당했다. 정복지의 대부분은 스베인 튜구스케그에게 돌아갔고, 올로프는 트뢴델라그의 일부와 현대의 보후슬렌을 얻었다. 이 지역들은 왕의 사위인 스벤 자를의 지배하에 놓였다.[15]

1008년 기독교 세례를 받으면서 이교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했다.[49]

올로프는 스웨덴 중부의 스베아인(Svear)과 남부의 예테인(Götar) 양쪽을 지배한 것으로 알려진 가장 오래된 왕이다.[46][45]

올로프의 초기 통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스노리 스투를손과 아담 브레멘의 기록에 주로 의존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기록에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8] 아담 브레멘의 기록에 따르면, 올로프는 아버지 에리크의 뒤를 이어 군대를 모아 덴마크의 스베인 튜구스케그에게 기습 공격을 가했고, 덴마크 왕은 쫓겨나고 올로프가 그의 땅을 점령했다. 그러나 이후 갈등은 해결되었고, 스베인이 올로프의 어머니와 결혼하면서 덴마크 왕위에 복귀하고 두 왕은 동맹을 맺었다.[8]

2. 2. 기독교 개종과 종교 정책

올로프는 995년경 아버지 에이리크 인 시그르셀리의 뒤를 이어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했다. 999년 또는 1000년에 일어난 스볼데르 전투에서는 덴마크의 국왕 스베인 튜구스케그, 노르웨이의 라데 백작 에이리크 호콘손과 연합하여 노르웨이올라프 1세 국왕을 물리쳤다.[48]

1008년년에 기독교 세례를 받으면서 이교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했다.[49] 서고트법에 따르면, 올로프는 선교사 시그프리드에 의해 베스터예탈란드 주 후사뷔에서 세례를 받았고, 현장에서 많은 기증을 했다고 한다.[25] 후사뷔 교구 교회에는 그의 세례를 기념하는 표지판이 있으며, 근처에는 올로프가 세례를 받았다고 여겨지는 신성한 샘이 있다. 그는 사망할 때까지 기독교인으로 남은 최초의 스웨덴 국왕이었다.[26]

브레멘의 아담에 따르면, 올로프는 중요한 종교 중심지였던 웁살라 신전을 허물 계획이었으나,[28] 스웨덴인의 상당수가 여전히 이교도였기 때문에 이 목표를 포기해야 했다. 이교도들은 올로프와 그가 기독교인이 되고자 한다면 자신의 선택에 따라 어느 지역에서든 왕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데 합의했다. 만약 그가 교회를 세운다면, 그는 어느 누구에게도 개종을 강요해서는 안 되었다. 올로프는 이에 만족했고 덴마크와 노르웨이에 더 가까운 베스터예탈란드 지역에 주교구를 설치했다. 올로프의 요청으로 함부르크-브레멘 대주교는 투르고트를 스카라의 초대 주교로 임명했다. 이 투르고트는 서게이트와 동게이트 사이에서 기독교를 전파하는 데 성공했다.[29]

13세기부터 알려진 성 시그프리드의 전설은 여전히 이교도였던 올로프가 영국의 요크 대주교 시그프리드를 불러 자신의 왕국에 새로운 신앙을 가르치도록 했다고 전한다. 가는 길에 시그프리드와 그의 세 조카는 스몰란드 남부 베렌드에 도착했고, 그곳의 12개 지역 부족은 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시그프리드는 조카들을 베렌드에 남겨두고 올로프의 궁정으로 향했고, 그곳에서 왕과 그의 가족은 세례를 받았다. 한편, 베렌드에서의 이교도들의 반발로 조카들이 목숨을 잃었고, 그들의 머리는 베크쇠 호수에 가라앉았다. 이 소식을 들은 시그프리드는 베렌드로 돌아왔고, 기적을 통해 머리가 발견되었다. 그러자 올로프 왕은 군대를 이끌고 베렌드에 나타나 살인자들을 처벌하고 현지인들에게 교회에 재산을 넘기도록 강요했다.[30]

2. 3. 스웨덴 최초의 주화 주조

올로프 솃코눙은 스웨덴에서 최초로 주화를 주조한 국왕으로 알려져 있다.[32] 현존하는 수백 개의 주화는 그의 통치에 대한 당대의 자료로 활용된다. 그의 아들 아눈드 야콥도 주화를 주조했지만, 그 이후로는 주조가 중단되었고, 12세기 후반 크누트 에리크손 때 다시 주조가 시작되었다.[32]

올로프는 웁살란드주 시그투나에서 주화를 주조할 때, "왕"을 뜻하는 라틴어 ''rex''를 사용했다. 주화에는 ''OLUF REX'' 또는 ''OLAF REX''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그가 이미 이 시기에 세례를 받았음을 시사한다.[33][34] 하지만 이 주화들은 형태와 스타일 면에서 영국의 페니를 모방한 것이었다.[33][34] 시그투나는 ''SITUN'', ''ZINT'', ''ZTNETEI'', 또는 ''SIDEI''로 기록되어 있는데, 마지막 두 가지는 "신의 시그투나"를 의미하는 ''Si(gtuna) Dei''로 해독되었다.[33][34]

올로프의 초기 주화에는 단순히 "시그투나의 왕"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후기 주화에는 "스웨덴의 왕"이라고 적혀 있다. 이러한 명칭 변화는 1000년경 올로프의 권력 기반 확장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5] 시그투나는 이 도시에서 통치되는 웁살란드 지역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스웨덴인에 대한 통치는 더 광범위한 영토를 의미할 수 있다. 당대의 스칼드 시가는 올로프를 스웨덴인과 게아트인(괴타르)의 지배자로 언급하며, 아담 브레멘의 기록도 마찬가지이다.[35]

2. 4. 노르웨이와의 갈등과 외교 관계

999년 또는 1000년에 일어난 스볼데르 해전에서 덴마크스베인 1세와 연합하여 노르웨이올라프 1세를 물리쳤다.[44][48] 올라프 1세는 전투 중 사망했고, 노르웨이는 연합 군주들에게 점령당했다. 올로프는 트뢴델라그의 일부와 현대의 보후슬렌을 얻었고, 이 지역들은 왕의 사위인 스벤 자를의 지배하에 놓였다.[15]

1015년 올라프 2세가 노르웨이 왕국을 재건한 후 노르웨이와 스웨덴 사이에 새로운 전쟁이 발발했다.[17] 스웨덴과 노르웨이 양국의 많은 사람들이 두 왕의 화해를 시도했다. 1018년, 올로프의 사촌이자 베스테르예틀란드 백작인 라그발드 울프손과 노르웨이 국왕의 사절이 웁살라의 팅(의회)에 도착하여 스웨덴 국왕이 평화를 받아들이고 그의 딸 잉에게르드 올로프스도테르를 노르웨이 국왕과 결혼시키도록 설득하려고 했다. 그러나 올로프는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잉에게르드를 키예프 대공국의 야로슬라프 1세와 결혼시켰다.[17]

노르웨이의 올라프 2세가 이 소식을 듣고 격분하여 올로프 솃코눙을 공격하려 했으나, 게트족의 라그발드 울프손이 올라프 2세의 스칼드 시그바트 토르다르손과 공모하여 임박한 전쟁을 막았다. 올로프의 다른 딸 아스트리드는 그 당시 라그발드와 함께 있었고, 그녀가 잉게게르드의 자리를 대신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 올로프 몰래 그녀는 노르웨이로 가서 올라프 2세와 결혼했다. 그 일은 약 1019년에 일어났다.[17]

올로프 솃코눙과 노르웨이의 올라프 사이의 적대 행위 결과, 예임틀란드와 헬싱란드 사람들이 노르웨이 국왕이 아닌 스웨덴 국왕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9] 예임틀란드는 1111년에 노르웨이 국왕에게 돌아갔지만, 헬싱란드는 그 이후로 스웨덴의 지배를 받았다.[21]

2. 5. 사망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연대기 기록에 따르면, 올로프는 1021년에서 1022년 겨울 사이에 자연사했다.[40] 브레멘의 아담은 그가 크누트 대왕(1035년)과 거의 같은 시기에 죽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분명 너무 늦은 시점이다.[41]

그가 이교 신들에게 제사를 거부한 후 순교했다는 주장은 『안스가리의 전기』(Vita Ansgari)에 나오는 올로프 왕(올로프(스웨덴 왕 852))과 노르드 사료에 나오는 올로프 트래탈야(Olof Trätälja)를 혼동한 데서 비롯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42]

1740년대부터 그가 자신의 왕국 중 기독교 지역인 후사뷔(Husaby)에 묻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이러한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43]

3. 가족 관계

올로프 솃코눙은 에이리크 인 시그르셀리 국왕과 시그리드 스토라다(Sigríð Storråda) 사이에서 태어났다.[47] 그는 슬라브족 지도자의 딸인 에들라(Edla)를 정부로 두었으며, 에들라와의 사이에서 세 자녀를 두었다.[11]

이름관계기타
에문드 노왕아들약 1050년~1060년 스웨덴 국왕
아스트리드 올로프스도테르1035년 이후 사망, 노르웨이 올라프 2세(성 올라프)와 결혼
홀름프리드딸 (혹은 여동생)노르웨이의 스베인 하콘손과 결혼



올로프는 오보트리테의 에스트리드와 정식으로 결혼하였으며, 에스트리드와의 사이에서 두 자녀를 두었다.[12]

이름관계기타
아눈드 야코브아들1022년~약 1050년 스웨덴 국왕
잉게게르드 올로프스도테르1050년 사망, 키예프의 야로슬라프 1세와 결혼


4. 셰트코누웅이라는 이름의 어원

"솃코누웅"(Skötkonung)이라는 이름의 의미는 명확하지 않다.[50] 고대 노르드어 "Óláfr sœnski"는 "스웨덴의 올라프"를 의미하며, 노르웨이 국왕 올라프 트뤼그바손(Olaf Tryggvasson)과 올라프 하랄드손(Olaf Haraldsson)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칭호이다.

참고로, 히스만 시게코(ヒースマン姿子)는 "울프 종속왕(ウールヴ従属王)"[56], 히사미츠 시게히라(久光重平)는 "우로프 과세왕(ウーロフ課税王)"이라고 부르고 있다.[54]

4. 1. 세금 또는 보물

'솃코눙'(Skötkonung)이라는 이름에 대한 여러 가지 설명 중 하나는 스웨덴어 "스카트"(skatt)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다. 이 단어는 "세금" 또는 "보물"을 의미할 수 있다. 후자의 의미는 "조공왕"으로 해석되었으며, 한 영국 학자는 그의 계부였던 덴마크 왕 스베인 포크비어드(Sweyn Forkbeard)와의 조공 관계에 대해 추측했다.[5] 그러나 그 설명은 증거나 역사적 자료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 이름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설명은 그가 주화를 주조한 최초의 스웨덴 국왕이었다는 사실을 언급한다.[6] 토지를 누군가의 무릎(스웨덴어: sköte)에 놓는 고대 토지 소유식은 "스코팅"(scotting)이라고 불렸으며, 이 칭호와 관련이 있었을 수 있다.[7]

4. 2. 주화 주조

올로프 셰트코눙은 스웨덴에서 최초로 주화를 주조한 국왕으로 알려져 있다.[6] 현존하는 수백 개의 주화는 그의 통치에 대한 당대의 자료로 활용된다.[32]

그가 웁살란드주 시그투나에서 주화를 주조할 때, "왕"을 뜻하는 라틴어 ''rex''를 사용했다. 위에 표시된 주화처럼 ''OLUF REX'' 또는 ''OLAF REX''로 표기되어 있다. 라틴어 사용은 그가 이미 이 시기에 세례를 받았음을 시사하지만, 반면에 이 주화들은 형태와 스타일 면에서 영국의 페니를 모방한 것이었다.[33][34] 시그투나는 ''SITUN'', ''ZINT'' (위 주화에서), ''ZTNETEI'', 또는 ''SIDEI''로 기록되어 있다. 마지막 두 가지는 "신의 시그투나"를 의미하는 ''Si(gtuna) Dei''로 해독되었다.[33][34] 올로프의 초기 주화에는 단순히 "시그투나의 왕"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후기 주화에는 "스웨덴의 왕"이라고 적혀 있다.[35]

이러한 명칭의 변화는 1000년경 올로프의 권력 기반 확장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시그투나는 이 도시에서 통치되는 웁살란드 지역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스웨덴인에 대한 통치는 더 광범위한 영토를 의미할 수 있다.[35]

스웨덴에서의 화폐 주조는 경제적인 목적보다는 정치적인 목적이 더 컸기 때문에 올로프와 그의 아들 아눈드 야콥의 치세가 지나자 중단되었다.[54] 이후 스웨덴에서 다시 주화를 주조한 사람은 12세기 후반의 크누트 에리크손이다.[32]

4. 3. 기타

'솃코눙'(Skötkonung)이라는 이름은 스웨덴어 "스카트"(skatt)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명이 있다. 이 단어는 "세금" 또는 "보물"을 뜻할 수 있다. "보물"이라는 뜻은 "조공왕"으로 해석되었으며, 한 영국 학자는 그의 계부였던 덴마크 왕 스베인 포크비어드(Sweyn Forkbeard)와의 조공 관계를 추측했다.[5] 그러나 이 설명은 증거나 역사적 자료로 뒷받침되지 않는다. 이름에 대한 또 다른 설명으로는 그가 주화를 주조한 최초의 스웨덴 국왕이었다는 사실을 언급한다.[6] 토지를 누군가의 무릎(스웨덴어: sköte)에 놓는 고대 토지 소유 의식은 "스코팅"(scotting)이라고 불렸으며, 이 칭호와 관련이 있었을 수 있다.[7]

고대 노르드어 "Óláfr sœnski"는 "스웨덴의 올라프"를 뜻하며, 노르웨이 국왕 올라프 트뤼그바손(Olaf Tryggvasson)과 올라프 하랄드손(Olaf Haraldsson)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칭호이다.

5. 평가 및 영향

올로프 솃코눙에 대한 평가는 스노리 스투를손과 아담 브레멘의 기록에 주로 의존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한다. 아담 브레멘은 올로프를 훌륭한 기독교인으로 칭찬했지만, 아이슬란드의 저술가들은 그를 거만하고 까다로운 왕으로 묘사했다.[13]

올로프는 전쟁보다 왕실 스포츠를 더 좋아했으며, 이로 인해 아버지 에리크 6세가 정복했던 덴마크 땅을 스베인 1세가 쉽게 되찾았다는 설명이 있다.[13] 또한, 올로프는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 지역에 대한 조공권을 상실했을 수도 있다.

1000년 스볼데르 해전에서 올로프는 스베인 1세와 연합하여 노르웨이 왕 올라프 트리그바손을 물리치고 노르웨이 일부를 차지했다.[15] 그러나 1015년 올라프 2세가 노르웨이 왕국을 재건하면서 스웨덴과 노르웨이 사이에 새로운 전쟁이 발발했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기록에 따르면, 1018년 우프살라 팅(의회)에서 스웨덴과 노르웨이 양국의 많은 사람들이 두 왕의 화해를 시도했다. 특히, 토르그니 법률가는 강력한 연설을 통해 올로프 왕에게 노르웨이와의 평화와 잉에게르드 올로프스도테르 공주와 노르웨이 왕의 결혼을 촉구했다.[16] 올로프 왕은 농민들의 요구에 따랐지만, 약속을 어기고 잉에게르드를 야로슬라프 1세와 결혼시켰다. 결국, 올로프의 다른 딸 아스트리드 올로프스도테르가 노르웨이의 올라프 2세와 결혼하게 되었다.[17]

올로프 솃코눙은 스웨덴에서 최초로 주화를 주조한 왕으로, 그의 주화는 현존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그는 웁살란드주 시그투나에서 주화를 주조하면서 "왕"을 뜻하는 라틴어 ''rex''를 사용했다. 초기 주화에는 "시그투나의 왕"으로, 후기 주화에는 "스웨덴의 왕"이라고 적혀 있다.[33][34] 이러한 명칭 변화는 1000년경 올로프의 권력 기반 확장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

참조

[1] 서적 Cross and Scepter: The Rise of the Scandinavian Kingdoms from the Vikings to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2] 웹사이트 Religion in Sweden https://sweden.se/so[...] 2014-09-02
[3] 웹사이트 När dog asatron i Skandinavien ut? https://popularhisto[...] 2017-06-24
[4] 웹사이트 Sweyn I king of Denmark and England https://www.britanni[...] 2024-10-10
[5]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6] 웹사이트 Olof Skötkonung http://www.myntkabin[...]
[7] 서적 Öknamn och tillnamn på nordiska stormän och kungligheter
[8] 서적 Historien om Hamburgerstiftet och dess biskopar Proprius 1984
[9] 서적 Nordiska kungasagor Fabel 1991
[10] 서적 Spåren av kungens män Rabén Prisma 1996
[11] 서적 Nordiska kungasagor Fabel 1992
[12] 서적 Historien om Hamburgerstiftet och dess biskopar Proprius 1984
[13] 서적 Historien om Hamburgerstiftet och dess biskopar Proprius 1984
[14] 서적 Nordiska kungasagor Fabel 1991
[15] 서적 Nordiska kungasagor Fabel 1991
[16] 서적 Nordiska kungasagor Fabel 1992
[17] 서적 Att tolka Svitjod (To interpret Svitjod) Göteborgs universitet 2012
[18] 서적 Nordiska kungasagor Fabel 1992
[19] 서적 Nordiska kungasagor Fabel 1992
[20] 서적 Norges historie. Bind 2 Cappelen 1976
[21] 서적 Det norske Folks historie. Anden Deel Tonsbergs 1855
[22] 서적 Historien om Hamburgerstiftet och dess biskopar Proprius 1984
[23] 문서 Anderson and Onslow both say Hungary
[24] 논문 From Theophanu to St. Margaret of Scotland: A study of Agatha's ancestry 2012
[25] 서적 Götarnas riken: Upptäcktsfärder till Sveriges enande Atlantis 2002
[26] 논문 Ett kungligt dop: Olof skötkonung och Bruno av Querfurt Kring ett aktualiserat problem i svensk historieskrivning http://samla.raa.se/[...] 2008
[27] 서적 Vägar till Sveriges kristnande Atlantis 1996
[28] 서적 Vägar till Sveriges kristnande Atlantis 1996
[29] 서적 Historien om Hamburgerstiftet och dess biskopar Proprius 1984
[30] 웹사이트 Sigfrid https://sok.riksarki[...]
[31] 서적 Historien om Hamburgerstiftet och dess biskopar Proprius 1984
[32] 웹사이트 Olof "skötkonung" https://sok.riksarki[...] 2024-07-12
[33] 서적 Vikingatidens ABC Statens historiska museum 1981
[34] 서적 Sveriges historia genom tiderna. Första delen. Stockholm 1947
[35] 논문 Sigtuna och folklanden; den tidiga Sigtunamyntningen och den politiska geografin http://samla.raa.se/[...] 2002
[36] 서적 Sveriges historia. 600–1350 Norstedts
[37] 웹사이트 Chapter 4. Yngvar Demanded Tribute https://web.archive.[...]
[38] 서적 The Emergence of Rus 750-1200
[39] 웹사이트 Óláfsdrápa, verse 6 http://www.heimskrin[...]
[40] 서적 Nordiska kungasagor Fabel
[41] 서적 Historien om Hamburgerstiftet och dess biskopar Proprius
[42] 웹사이트 Den hellige Olof Skötkonung av Sverige (~980-~1022) http://www.katolsk.n[...] 2021-05-31
[43] 웹사이트 Olof 'skötkonung' https://sok.riksarki[...]
[44] 서적 熊野 1998
[45] 서적 熊野 1998
[46] 서적 熊野 1998
[47] 서적 〈灰色マントのハラルド王〉のサガ プレスポート・北欧文化通信社
[48] 서적 森 2005
[49] 서적 熊野 1998
[50] 서적 熊野 1998
[51] 서적 Vikingatidens ABC Statens historiska museum
[52] 서적 Sveriges historia genom tiderna. Första delen.
[53] 서적 久光 1995
[54] 서적 久光 1995
[55] 서적 森 2005
[56] 서적 ヴァイキングの考古学 同成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