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리크 인 시그르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이리크 인 시그르셀리(Eiríkr inn sigrsæli)는 970년경부터 995년경까지 스웨덴을 통치한 왕이다. 그는 '승리자'라는 뜻의 'Segersäll'이라는 칭호를 획득했으며, 웁살라 근처의 퓌리베릴 전투에서 승리하여 스웨덴에 상륙한 바이킹을 격파했다. 에이리크는 덴마크를 정복하고 스벤 포크비어드 왕을 몰아내기도 했으며, 폴란드의 볼레스와프 1세와 동맹을 맺었다. 그는 스베알란드 전역에 영향을 미친 최초의 왕으로 여겨지며, 그의 아들 올로프 셰트코눙을 위해 최초의 스웨덴 동전을 주조한 시그투나를 건설했을 가능성이 있다. 브레멘의 아담은 에이리크가 기독교에 적대적이었지만 덴마크 체류 중 세례를 받았다고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45년 출생 - 교황 실베스테르 2세
10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반에 활동한 프랑스 출신의 학자이자 교사이며 교황(재위 999년~1003년)인 실베스테르 2세는 당대 최고의 지식인 중 한 명으로, 수학, 천문학 등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유럽에 아라비아 숫자를 소개하고 주판을 재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교회 개혁과 동유럽 선교에 힘썼다. - 945년 출생 - 쿤다바이 피라티야르
쿤다바이 피라티야르는 10세기 말~11세기 초 촐라 왕조 시대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종교 및 사회 사업에 헌신하며 촐라 제국 번영에 기여한 라자라자 1세의 누이이자 파라안타카 2세의 딸로, 그녀의 업적은 비문과 소설 등을 통해 알려졌다. - 문쇠가 - 올로프 솃코눙
올로프 솃코눙은 스베아인과 예테인을 지배한 최초의 스웨덴 국왕이자 스웨덴 최초로 화폐를 주조하고 기독교로 개종한 왕으로, 그의 통치는 노르웨이와의 전쟁, 스베인 포크비어드와의 동맹, 스웨덴의 기독교화 노력으로 요약된다. - 문쇠가 - 아눈드 야코브
아눈드 야코브는 1022년부터 1050년까지 스웨덴을 통치한 국왕으로, 스칸디나비아 세력 균형을 위해 주변 국가와 외교 관계를 맺고 스웨덴의 독립을 유지하는 데 노력했다.
에이리크 인 시그르셀리 | |
---|---|
기본 정보 | |
![]() | |
왕위 계승 | 스웨덴 국왕 |
통치 기간 | 기원후 970년 – 기원후 995년 경 |
후계자 | 올로프 쾃코눙 |
배우자 | 시그리드 스토라다(?) 시비에토스와바 (?) 벤덴의 군힐드(?) 라데의 오드 호콘스도티르(?) |
배우자 유형 | 배우자 |
자녀 | 올로프 쾃코눙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 |
가문 | 문쇠 |
아버지 | 비외른 3세 에릭손(?) 에문드 에릭손(?) |
출생일 | 기원후 945년 경 |
사망일 | 기원후 995년 경 |
매장지 | 올드 웁살라 |
종교 | 이교도, 잠시 기독교인이었을 가능성 있음 |
2. 생애와 업적
에이리크 인 시그르셀리는 스웨덴의 왕으로, 그의 생애와 업적은 여러 역사 기록과 사가에 전해 내려온다. 그의 통치 기간은 스웨덴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진다.
에이리크의 왕국은 멜라렌호 주변의 스웨덴 중심부 외에도 발트해를 따라 남쪽 블레킹에까지 뻗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브레멘의 아담과 삭소 그라마티쿠스에 따르면, 그는 스벤 포크비어드 왕을 물리치고 덴마크의 왕이 되기도 했다. 에릭의 돌은 덴마크에 대한 스웨덴의 공격을 묘사하고 있다.
에이리크는 퓌리베릴 전투에서 승리하여 '승리자'라는 칭호를 얻었다.[8][9] 그의 군사적 성공은 자유 농민과의 동맹 덕분이었지만,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10세기 후반에는 귀족 계급의 영향력이 감소했다.[12] 그는 레둥이라는 징병 제도를 도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그는 시그투나를 건설했는데, 이곳에서 그의 아들 올로프 셰트코눙을 위해 최초의 스웨덴 동전이 주조되었다.[13]
그의 사후 왕위는 아들 올로프가 계승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그의 원래 영토는 웁플란드와 인접한 지방에 있었다.[7] 그는 에피테트인 ''Segersäll'' – '승리자' 또는 문자 그대로 '승리로 축복받은 자' –를 웁살라 근처에서 벌어진 퓌리베릴 전투에서 남쪽에서 온 침략군을 격파한 후에 얻었다.[8][9] 에릭의 형제인 올로프가 그 전투에서 에릭의 주요 적이었던 스튀르비에른 스트롱의 아버지였다는 이야기는 그들에 대한 전통의 일부이다.[10][11]플라테이아르보크에 따르면, 그의 성공은 백작 계급 귀족에 대항한 자유 농민과의 동맹에 기인했지만, 고고학적 발견은 10세기 후반에 그 계급의 영향력이 감소했음을 시사한다.[12] 에릭은 멜라렌 주변의 지방에서 레둥으로 알려진 보편적인 징병 제도를 도입했을 것이다.
아마도 그는 또한 오늘날까지 존재하며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올로프를 위해 최초의 스웨덴 동전이 주조된 시그투나를 건설했을 것이다.[13]
에리크 6세는 스베알란드(스웨덴 일대) 전역에 영향을 미친 최초의 왕으로 여겨진다. 960년대에 잉글링가의 한 분파인 뭉쇠 가문의 당주로서 일족을 이끌고 스베알란드 서부를 지배했으며, 25세에 정식으로 스웨덴 왕위에 올랐다. 에리크의 즉위 당시 스웨덴은 덴마크 왕스벤 1세가 이끄는 바이킹의 잦은 침략으로 경제 상황이 매우 좋지 않았다. 바이킹은 스웨덴에 상륙하여 데인겔드라는 퇴거료를 요구했고, 그 퇴거료를 지불하기 위해 스웨덴에서는 국민에게 중과세를 부과했다. 이 때문에 국민들은 중과세를 부과하는 정부에 여러 번 반란을 일으켰다. 이러한 국가 상황을 회복하기 위해 에리크는 바이킹과 싸울 것을 결의하고, 980년에 웁살라에서 스웨덴에 상륙한 바이킹을 격파했다(퓌리베릴 전투). 이 때문에 에리크 6세는 '''승리왕'''으로 불린다.
2. 2. 퓌리스벨리르 전투와 '승리왕' 칭호
승리왕 에이리크는 여러 사가에 등장하는데, 뵨(3세) 에릭손(Björn Eriksson)의 아들이자 형제인 올라프와 함께 스웨덴을 통치했다고 묘사된다. 한 사가에서는 거만한 시그리드(Sigrid the Haughty)와 결혼했다가 이혼하면서 고틀란드 전체를 봉토로 주었고, 이후 라우드 하콘스도티르 오브 라데(Aud Haakonsdottir of Lade)를 새로운 왕비로 맞이했다.[14]에이리크의 형제 올라프가 죽은 후, 스웨덴인들은 에이리크의 조카 스티르비요른을 새 공동 통치자로 거부했다. 에이리크는 스티르비요른에게 롱쉽 60척을 주었고, 스티르비요른은 욤스보르(Jomsborg)의 통치자가 되어 하랄 블루투스(Harold Bluetooth)의 동맹이 되었다. 스티르비요른은 군대를 이끌고 스웨덴으로 돌아왔지만, 에이리크는 오딘(Odin)에게 제물을 바치고 승리하면 10년 안에 자신을 바치겠다고 약속한 후 퓌리스벨리르 전투(Battle of Fýrisvellir)에서 승리했다.
토르발드 히알타손(Thorvaldr Hjaltason)의 두 스칼드 시가는 이 전투를 묘사한다. 스카니아(Scania)에 있는 헬스타드 룬석(Hällestad Runestones)과 쇼루프 룬석(Sjörup Runestone)은 감라 웁살라(Gamla Uppsala)에서의 전투를 언급하며, 전통적으로 이 전투와 관련되어 있지만 연대기적인 문제가 있다.[15]
작센의 그라마티쿠스(Saxo Grammaticus)는 에이리크가 침공 후 7년 동안 덴마크를 통치했으며, 스벤 포크비어드(Sweyn Forkbeard)의 군대를 스카니아(Scania)에서 물리쳤다고 언급한다.[16] 스노리 스투를라손 역시 에이리크가 침략자로부터 왕국을 굳건히 지켰다고 언급한다.
사가 자료에 따르면 에이리크에게는 아름다운 딸이 있었는데, 스웨덴인 오케가 그녀와 결혼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에이리크는 오케가 자신의 딸에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결혼을 금지하고 러시아 왕과 결혼시켰다. 오케는 이에 앙심을 품고 러시아 왕을 죽이고 에이리크의 딸을 데려갔다. 에이리크는 오케와 화해했지만, 하콘 야를(Haakon Jarl)의 제안으로 오케를 죽이고 그의 동맹 세력을 숙청했다.[19][20]
에이리크 6세는 960년대에 뭉쇠 가문의 당주로서 일족을 이끌고 스베알란드 서부를 지배했으며, 25세에 정식으로 스웨덴 왕위에 올랐다. 에이리크의 즉위 당시 스웨덴은 덴마크 왕 스벤 1세가 이끄는 바이킹의 침략으로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았다. 에이리크는 바이킹과 싸울 것을 결의하고 980년에 웁살라에서 바이킹을 격파했다(퓌리스벨리르 전투). 이 때문에 에이리크 6세는 '''승리왕'''으로 불린다.
2. 3. 덴마크 정복과 폴란드와의 동맹
브레멘의 아담(1075년경)에 따르면, 에이리크는 대규모 군대를 모아 스벤 포크비어드 왕에 대항하여 덴마크를 침략했다. 에이리크는 "매우 강력한 폴란드인 왕, 볼레스와프 (992–1025)"와 동맹을 맺었는데, 볼레스와프는 에이리크에게 그의 누이 또는 딸을 결혼시켰다.[24] 이 공주는 일부 북유럽 자료에서 ''부리슬레브''(볼레스와프) 왕의 딸인 군힐드 오브 벤덴으로 확인되었다.[25] 다른 해석에 따르면, 그녀는 이후 사가에서 시그리드 더 호티로 알려진 여성과 동일하며, 그녀의 이름은 아마도 고 폴란드어 이름 쉬비엥토스와바를 오해한 것일 수 있다.[26]에이리크의 덴마크 침략은 성공적이었다. 여러 해전이 벌어졌고, 그곳에서 동쪽에서 슬라브족의 공격을 받은 덴마크군은 전멸했다.[27] 에이리크는 한동안 덴마크를 유지했고, 스벤은 노르웨이, 잉글랜드, 스코틀랜드로 도망쳐야 했다.[28]
덴마크에서 에이리크의 통치는 북부 독일에서 바이킹 활동이 증가한 시기와 일치한다. 스웨덴과 덴마크 선단이 엘베강을 거슬러 올라가 작센의 스타데에 상륙했고, 작센 군대는 패배했다. 포로로 잡힌 작센 기사에 의해 바이킹 부대는 글린데스무어의 황량한 늪지로 유인되어 전멸했다.[29]
에이리크는 세례를 받고 최초의 스웨덴 왕이 되었으나, 얼마 후 기독교 신앙을 잊고 조상의 종교로 돌아갔다고 한다. 에릭이 죽자 스벤 포크비어드는 망명에서 돌아와 덴마크를 되찾았다. 그는 또한 에릭의 과부이자 에릭의 후계자인 올라프 쉿코눙 왕의 어머니와 결혼하여 스웨덴과 덴마크 왕가는 동맹을 맺게 되었다.[30]
에릭의 덴마크 정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의문시되었지만, 역사가 스투레 볼린은 에릭의 덴마크 정복이 실제로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며, 이는 ''두 개의'' 독립적인 출처(삭소 그라마티쿠스와 브레멘의 아담, 그는 덴마크 왕 스벤 2세로부터 정보를 얻었다)에 의해 뒷받침되기 때문이다.[31]
2. 4. 내치와 왕권 강화
그의 원래 영토는 웁플란드와 인접한 지방에 있었다.[7] 그는 웁살라 근처에서 벌어진 퓌리베릴 전투에서 남쪽에서 온 침략군을 격파한 후에 '승리자' 또는 문자 그대로 '승리로 축복받은 자'를 뜻하는 ''Segersäll''라는 에피테트를 얻었다.[8][9] 에릭의 형제인 올로프가 그 전투에서 에릭의 주요 적이었던 스튀르비에른 스트롱의 아버지였다는 이야기는 그들에 대한 전통의 일부이다.[10][11]에릭의 왕국의 크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멜라렌호 주변의 스웨덴 심장부 외에도 발트해를 따라 남쪽 블레킹에까지 뻗어 있었을 수 있다. 브레멘의 아담과 삭소 그라마티쿠스에 따르면 그는 또한 스벤 포크비어드 왕을 물리친 후 덴마크의 왕이기도 했다. 에릭의 돌은 또한 브레멘의 아담이 언급한 것처럼 덴마크에 대한 스웨덴의 공격을 묘사하고 있다.
플라테이아르보크에 따르면, 그의 성공은 백작 계급 귀족에 대항한 자유 농민과의 동맹에 기인했지만, 고고학적 발견은 10세기 후반에 그 계급의 영향력이 감소했음을 시사한다.[12] 에릭은 멜라렌 주변의 지방에서 레둥으로 알려진 보편적인 징병 제도를 도입했을 것이다.
아마도 그는 또한 오늘날까지 존재하며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올로프를 위해 최초의 스웨덴 동전이 주조된 시그투나를 건설했을 것이다.[13]
에리크 6세는 스베알란드(스웨덴 일대) 전역에 영향을 미친 최초의 왕으로 여겨진다. 960년대에 잉글링가의 한 분파인 뭉쇠 가문의 당주로서 일족을 이끌고 스베알란드 서부를 지배했으며, 25세에 정식으로 스웨덴 왕위에 올랐다. 에리크의 즉위 당시 스웨덴은 덴마크 왕스벤 1세가 이끄는 바이킹의 잦은 침략으로 경제 상황이 매우 좋지 않았다. 바이킹은 스웨덴에 상륙하여 데인겔드라는 퇴거료를 요구했고, 그 퇴거료를 지불하기 위해 스웨덴에서는 국민에게 중과세를 부과했다. 이 때문에 국민들은 중과세를 부과하는 정부에 여러 번 반란을 일으켰다. 이러한 국가 상황을 회복하기 위해 에리크는 바이킹과 싸울 것을 결의하고, 980년에 웁살라에서 스웨덴에 상륙한 바이킹을 격파했다(펠리세베트릴 전투). 이 때문에 에리크 6세는 '''승리왕'''으로 불린다.
3. 사가 속의 에리크
승리왕 에이리크는 구전 전통에서 보존된 북유럽 역사 이야기인 여러 사가에 등장한다. 다양한 이야기에서 그는 뵨(3세) 에릭손(Björn Eriksson)의 아들이자 형제인 올라프와 함께 통치했다고 묘사된다. 한 사가에서는 그가 악명 높은 여왕 거만한 시그리드(Sigrid the Haughty)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전설적인 바이킹인 스카굴 토스테(Skagul Toste)의 딸이며, 이혼하면서 그녀에게 고틀란드 전체를 봉토로 주었다고 묘사한다. ''에이문드의 사가(Eymund's saga)''에 따르면 그는 이후 노르웨이의 통치자인 호콘 시구르드손(Haakon Sigurdsson)의 딸인 라우드 하콘스도티르 오브 라데(Aud Haakonsdottir of Lade)를 새로운 왕비로 맞이했다.[14]
에이리크의 형제 올라프가 죽은 후, 새로운 공동 통치자를 임명해야 했지만, 스웨덴인들은 에이리크의 시끄러운 조카 스티르비요른을 거부했다. 에이리크는 스티르비요른에게 60척의 롱쉽을 하사했고, 그는 이를 타고 바이킹으로 해상 생활을 했다. 그는 욤스보르(Jomsborg)의 통치자가 되었고, 덴마크 왕 하랄 블루투스(Harold Bluetooth)의 동맹이 되었으며, 그의 딸 덴마크의 티라(Tyra of Denmark)와 결혼했다. 스티르비요른은 군대를 이끌고 스웨덴으로 돌아왔지만, 하랄과 덴마크군은 물러선 것으로 보인다. 에이리크는 ''스티르비아르나르 사트르 스비아카파(Styrbjarnar þáttr Svíakappa)''에 따르면 오딘(Odin)에게 제물을 바치고 승리하면 10년 안에 자신을 오딘에게 바치겠다고 약속한 후 퓌리스벨리르 전투(Battle of Fýrisvellir)에서 승리했다.
토르발드 히알타손(Thorvaldr Hjaltason)의 두 스칼드 시가 이 전투를 묘사한다. 첫 번째는 에이리크가 퓌리스벨리르의 요새에서 적군을 완전히 물리쳤다고 명시하고, 두 번째는 바이킹이 수적으로 우세했지만 스웨덴을 공격했을 때 쉽게 사로잡혔고 도망간 사람들만 살아남았다고 명시한다. 스카니아(Scania)에 있는 헬스타드 룬석(Hällestad Runestones)과 쇼루프 룬석(Sjörup Runestone)은 덴마크의 일부였으며, 공격자들이 패배하고 도망친 감라 웁살라(Gamla Uppsala)에서의 전투를 언급한다. 이 돌들은 전통적으로 이 전투와 관련되어 있지만, 연대기적인 문제를 제시하며 다음 세기의 것일 수도 있다.[15]
작센의 그라마티쿠스(Saxo Grammaticus)는 에이리크가 침공 후 7년 동안 덴마크를 통치했다고 언급한다. 그는 스웨덴의 덴마크 정복의 타당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며, 스웨덴의 덴마크 침공은 하랄 블루투스가 강한 스티르비요른을 지원한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주장한다. 작센은 브레멘의 아담과 달리 에이리크가 스벤 포크비어드(Sweyn Forkbeard)의 군대를 스카니아(Scania)에서 덴마크 왕좌를 놓고 벌인 전투에서 결정적으로 물리쳤다고 언급한다.[16] 스노리 스투를루손 역시 에이리크가 침략자로부터 굳건히 왕국을 지켰으며, 스웨덴 왕국을 굳건히 확장했다고 언급한다.
사가 자료에 따르면, 에이리크에게는 아름다운 딸이 있었다. 스웨덴인 오케가 그녀를 원했으나, 에이리크는 그가 그녀와 결혼시키고 싶어하는 러시아의 왕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결혼 제안을 금지했다. 오케는 또한 그의 딸에게 어울리지 않는 사람이었다. 사가는 러시아 왕을 묘사하기 위해 퓔케스코눙(fylkeskonung)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잉글링 사가에 따르면 웁살라 왕에게 조공을 바쳤으며 웁살라 왕의 제후 왕으로 묘사된다.[17] 때로는 소왕을 의미하기도 한다.[18] 에이리크는 딸을 러시아 왕과 결혼시켰고, 이후 오케는 사랑을 빼앗긴 것에 대해 러시아 왕에게 질투하고 분노했다.
오케는 친구와 함께 러시아로 가서 왕을 죽이고 에이리크의 딸을 데려가는 방식으로 보복했다. 이후 에이리크의 보복을 피하기 위해 강력한 스웨덴 야를과 동맹을 맺었다. 에이리크는 내전을 초래할 수 있는 대결을 감수하고 싶어하지 않았다. 몇 년 동안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고 오케에게는 카스피해(Caspian Sea)로의 루스 원정을 이끈 잉바르 더 파-트래블드(Ingvar the Far-Travelled)의 아버지인 에드먼드라는 아들이 있었다. 에이리크와 오케는 나중에 좋은 관계를 맺고 다시 친구가 되었다.
결혼 전에 하콘 야를(Haakon Jarl)은 에이리크가 오케에 대해 뭔가를 해야 하며 그에 대한 그의 행동은 처벌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콘은 그에게 복수를 하면 에리크에게 선물을 제공하고 복수를 돕겠다고 제안했다. 경쟁자를 살려두는 것은 오케가 왕좌를 노리는 잠재적인 공격에서 그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었다. 에이리크는 경비병을 무장시키고 오케가 술에 취한 경호원들과 함께 파티를 떠나려고 할 때 그를 죽이는 복수 음모를 시작했다. 그 후 에이리크는 오케와 동맹을 맺은 모든 야를들을 무자비하게 죽이고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는 숙청을 시작했다. 그는 아이는 살려서 손자로 키웠고, 딸도 살려서 데려왔다.[19][20]
4. 종교 정책
독일의 교회 연대기 작가 브레멘의 아담은 에이리크 왕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을 남겼다. 아담은 에이리크를 '강력한 왕'으로 묘사하며, 그가 에문드 에릭손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둘의 관계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에이리크는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덴마크를 침략했는데, 이는 에이리크와 폴란드의 왕 볼레스와프 1세 용감공 사이의 동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에이리크는 덴마크 침략에서 승리하여 한동안 덴마크를 통치했고, 덴마크 왕 스벤 포크비어드는 망명길에 올랐다.[23][24][27][28]
아담에 따르면, 에이리크는 원래 이교도였으며 기독교에 적대적이었다.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선교사들이 활동했고, 에이리크는 덴마크에 머무는 동안 세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스웨덴 왕 최초의 세례였다. 그러나 얼마 후 에이리크는 기독교 신앙을 버리고 다시 이교로 돌아갔다고 한다.[30]
5. 후대의 평가
독일의 교회 연대기 작가 브레멘의 아담은 에이리크 왕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을 남겼는데, 이는 사가와는 상당히 다르다. 그는 덴마크 왕 스벤 2세를 자신의 정보 출처로 언급하며, 에이리크를 "강력한" 왕, 즉 "대왕"을 뜻하는 라틴어 "potentissimus"로 칭했다.[23] 아담은 에이리크의 통치를 에문드 에릭손의 통치 이후로 묘사하지만, 둘의 관계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퓌리사벨리의 전투에 대한 언급은 없지만, 에이리크가 대규모 군대를 모아 스벤 포크비어드 왕에 대항하여 덴마크를 침략했다고 기록했다.
에이리크는 "매우 강력한 폴란드인 왕, 볼레스와프 (992–1025)"와 동맹을 맺고 그의 누이 또는 딸과 결혼했다.[24] 이 공주는 일부 북유럽 자료에서 ''부리슬레브''(볼레스와프) 왕의 딸인 군힐드 오브 벤덴으로 확인되었다.[25] 다른 해석에 따르면, 그녀는 사가에서 시그리드 더 호티로 알려진 여성과 동일하며, 그녀의 이름은 고 폴란드어 이름 쉬비엥토스와바를 오해한 것일 수 있다.[26] 에이리크의 덴마크 침략은 성공적이었고, 여러 해전에서 덴마크군은 전멸했다.[27] 에이리크는 한동안 덴마크를 통치했고, 스벤은 노르웨이, 잉글랜드, 스코틀랜드로 망명해야 했다.[28]
아담에 따르면, 에이리크의 덴마크 통치 기간 동안 북부 독일에서 바이킹 활동이 증가했다. 스웨덴과 덴마크 선단이 스타데에 상륙하여 작센 군대와 전투를 벌였으나 작센 군대는 패배했다. 포로로 잡힌 작센인들은 바이킹에게 불구로 만들어져 해안에 버려졌지만, 작센 공작 벤노는 새로운 군대를 모아 바이킹을 습격했다. 다른 바이킹 부대는 포로로 잡힌 작센 기사에 의해 늪지로 유인되어 전멸했다.[29]
아담은 에이리크를 이교도로 묘사하고 처음에는 기독교에 적대적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선교사들이 활동했고, 에이리크는 세례를 받고 기독교로 개종한 최초의 스웨덴 왕이 되었다. 하지만 얼마 후 에이리크는 기독교 신앙을 버리고 조상의 종교로 돌아갔다. 에이리크가 죽자 스벤 포크비어드는 망명에서 돌아와 덴마크를 되찾고 에이리크의 과부와 결혼하여 스웨덴과 덴마크 왕가는 동맹을 맺게 되었다.[30]
아담의 기록은 에이리크 승리왕의 죽음을 992년에서 995년 사이로 추정한다. 스노리 스투를라손에 따르면, 에이리크는 웁살라에서 사망했다. 아담의 기록과 다른 출처 간의 불일치는 특히 에이리크의 결혼에 대해 스웨덴 역사가들 사이에서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 덴마크 정복에 대한 내용은 의문시되었지만, 역사가 스투레 볼린은 에이리크의 덴마크 정복이 실제로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며, 이는 ''두 개의'' 독립적인 출처에 의해 뒷받침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31]
해리슨의 최근 평가에 따르면, 정복은 "적어도 강력한 덴마크 영주에 대한 느슨한 종주권으로 간주한다면, 가능성이 높다".[32] 995년경에 세워진 에릭의 석비에는 에이리크 왕의 정복 후 정착지를 점령한 스웨덴 수비대에 대한 스벤 왕의 헤데비 공격에 대한 가능한 설명이 새겨져 있다.[33]
참조
[1]
서적
Rulers of Sweden
Historiska Media
[2]
간행물
The Cambridge History of Scandinavia
[3]
웹사이트
Listing
http://www.kungahuse[...]
2021-11-23
[4]
문서
Hervarar saga, Saga of Harald Fairhair and Styrbjarnar þáttr Svíakappa
[5]
서적
Kings and Rulers of Sweden
[6]
간행물
Sveriges historia 600-1350
[7]
문서
Alternatively, it has been speculated that he belonged to a Geatic clan that established its power in the Mälaren Valley and founded Sigtuna in c. 980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Slaget på Fyrisvallarna i ny tolkning
Göteborgs universitet
[10]
간행물
Vikingatidens ABC
http://histvarld.his[...]
Swedish Museum of National Antiquities
2007-08-18
[11]
서적
Slaget på Fyrisvallarna i ny tolkning
Göteborgs universitet
[12]
간행물
Svitiod: resor till Sveriges ursprung
Atlantis
[13]
웹사이트
Sigtuna och folklanden; den tidiga Sigtunamyntningen och den politiska geografin
http://samla.raa.se/[...]
2017-10-20
[14]
웹사이트
The saga of Yngvar the Traveller
http://www.northvegr[...]
2010-06-17
[15]
웹사이트
Erik segersäll
https://sok.riksarki[...]
[16]
서적
The History of the Danes, Books I-IX
[17]
서적
Nordiska kungasagor
Fabel
[18]
웹사이트
The Saga of Yngvar the Traveller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Erik Segersäll
https://www.tacitus.[...]
[20]
문서
Sagan om Ingwar widtfarne och hans son Swen
[21]
서적
Finskt museum, Volym 23–29
https://books.google[...]
2015-09-07
[22]
서적
Numismatiska forskningsgruppen: verksamhetsberättelse 1992-1993
http://www.archaeolo[...]
2015-09-07
[23]
웹사이트
Erik Segersäll
https://www.tacitus.[...]
[24]
서적
Historien om Hamburgstiftet och dess biskopar
Proprius Förlag
[25]
서적
[26]
웹사이트
Sigrid storråda
https://sok.riksarki[...]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웹사이트
Artikel i Svenskt biografiskt lexikon
https://sok.riksarki[...]
[32]
서적
Sveriges historia 600-1350
Norstedts
[33]
문서
De danske runemindesmærk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