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경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경홍은 명나라 영락제 주체의 시종으로, 영락제의 몽골 원정에 참여하고 정화와 함께 대항해에 나섰다. 정화의 항해 지식이 부족하여 항로와 함대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총 7차례의 정화 원정에 모두 참여했다. 제7차 원정에서 정화가 사망하자 선단을 이끌고 귀국했으며, 이후 남경수비 직책을 맡아 궁궐 수리, 사찰 중수, 물자 운송 감독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문학 작품에서는 문무를 겸비한 장수로 묘사되며, 대만과 남양 화교들은 그를 왕삼보로 칭하며 숭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이족 - 둥간족
    둥간족은 19세기 말 청나라 회민 반란 이후 러시아 제국령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사람들의 후손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지에 거주하며 농업, 상업에 종사하고 중국 문화와 이슬람 문화를 융합한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하며 중앙아시아와 중국 간 문화, 경제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후이족 - 마환
    마환은 명나라 시대 회족 출신 통역관이자 작가로, 정화의 남해 원정에 참여하여 각 지역의 풍습, 산물, 지리 등을 기록한 《영애승람》을 저술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명나라의 무슬림 - 마귀 (명나라)
    마귀는 회회국 왕족 출신으로 닝샤의 난을 진압하고 정유재란 때 조선에 파견되어 울산성 전투에 참여했으며, 요동 총병관을 역임했고, 그의 후손은 한국 상곡 마씨의 시조가 되었다.
  • 명나라의 무슬림 - 마환
    마환은 명나라 시대 회족 출신 통역관이자 작가로, 정화의 남해 원정에 참여하여 각 지역의 풍습, 산물, 지리 등을 기록한 《영애승람》을 저술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왕경홍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한자王景弘
로마자 표기Wang Jinghong
출생미상
사망미상
활동 시기15세기 초
경력
직업환관, 외교관, 제독
봉직명나라
주요 활동정화의 원정 참여

2. 생애

왕경홍은 원래 연왕(燕王) 주체(朱棣|주체중국어)의 시종이었다. 영락제가 황제로 즉위한 후에는 몽골 원정에 참여하였다. 이후 정화(鄭和)의 대항해에 정사태감(正使太監)으로 참여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424년에는 남경(南京)을 지키는 남경수비(南京守備)로 임명되어 활동했으며,[7] 1437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7]

2. 1. 정화의 원정 참여

왕경홍은 원래 연왕(燕王) 주체(朱棣|주체중국어)의 시종이었다. 주체가 황제로 즉위한 후, 왕경홍은 정사태감(正使太監) 직책으로 정화(鄭和)와 함께 대항해에 참여했다. 정화의 항해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여 왕경홍이 항로와 함대를 관리하였다.

왕경홍은 1405년부터 1433년까지 총 7차례에 걸친 정화의 원정에 모두 참여했다.

  • 제1차 원정 (1405년 ~ 1407년)
  • 제2차 원정 (1407년 ~ 1409년): 이 시기 왕경홍은 참파(占城|점성중국어, Champa)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다.
  • 제3차 원정 (1409년 ~ 1411년)
  • 제4차 원정 (1413년 ~ 1415년)
  • 제5차 원정 (1417년 ~ 1419년)
  • 제6차 원정 (1421년 ~ 1422년)
  • 제7차 원정 (1431년 ~ 1433년): 마지막 원정 도중 정화가 캘리컷(古里|고리중국어, Calicut)에서 사망하자, 왕경홍이 남은 선단을 이끌고 명나라로 귀환했다.

2. 2. 남경 수비

1424년, 왕경홍은 남경(南京)을 지키라는 황제의 명에 따라 남경수비(南京守備) 직책을 맡았다.[7] 이는 정화도 다음 해인 1425년에 맡았던 직책이다.[7] 남경에 머무는 동안 왕경홍은 궁전을 수리하고, 대보은사(大報恩寺)를 중수했으며, 수도인 북경(北京)으로 물자를 운송하는 일을 감독했다.[7] 또한 남경에 거주하는 주씨 성을 가진 왕족들에게 생필품을 배급하고, 관병을 선발하여 훈련시키는 임무도 수행했다.[7] 왕경홍은 1437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7]

2. 3. 사망

1424년, 왕경홍은 남경(南京)을 지키는 남경수비(南京守備)로 임명되었다. 이 직책은 다음 해인 1425년 정화도 맡게 된다. 남경에 머무는 동안 왕경홍은 궁전을 수리하고 대보은사(大報恩寺)를 중수했으며, 북경(北京)으로 물자를 운송하는 일을 감독하고 남경에 있는 주씨 왕족들에게 생필품을 배급하는 한편, 관병을 선발하여 훈련시키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왕경홍은 1437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7]

3. 전설

(내용 없음)

3. 1. 왕삼보

나무등(羅懋登)의 『삼보태감서양기통속연의(三寶太監西洋記通俗演義)』와 저자 미상의 잡극(雜劇) 『봉천명삼보하서양(奉天命三保下西洋)』에서는 모두 왕경홍을 문무를 겸비하고 병법에 능통한 장수로 묘사하였다. 대만과 남양(南洋)의 화교들은 왕경홍을 흔히 '''왕삼보(王三保)'''라고 부른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대만에 와서 약을 나누어 주었으며, 조왜(爪哇) 삼보롱(三寶壠), 즉 자바(Java) 세마랑(Semarang)에서 사망하여 삼보동(三保洞) 곁에 묻혔다고 한다. 현지 화교들은 왕삼보가 바다와 화교들을 지켜줄 것이라고 믿으며, 많은 사람이 삼보동에 찾아가 향을 피우며 참배한다.

3. 2. 문학 작품

나무등`(羅懋登)`의 소설 『삼보태감서양기통속연의(三寶太監西洋記通俗演義)』와 작자 미상의 잡극`(雜劇)` 『봉천명삼보하서양(奉天命三保下西洋)』에서는 모두 왕경홍을 문무를 겸비하고 병법에 능통한 장수로 묘사하였다.

참조

[1] 서적 Eunuchs in the Ming Dynasty (SUNY Series in Chinese Local Stud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11-13
[2] 서적 Chinese studies i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Springer 1996-09-30
[3] 서적 Admiral Zheng He and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6-03-15
[4] 서적 Eunuchs in the Ming Dynasty (SUNY Series in Chinese Local Stud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11-13
[5] 서적 Chinese studies i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and technology Springer 1996-09-30
[6] 서적 Admiral Zheng He and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6-03-15
[7] 서적 명사(明史) 陳學霖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