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환은 명나라 영락제와 선덕제 시기 정화의 원정에 통역관으로 참여하여, 20개국 이상의 지역을 방문하고 경험을 기록한 인물이다. 그는 세 차례의 원정에 참여하여 지리, 정치, 경제, 풍습 등을 기록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1451년경 『영애승람』을 저술했다. 『영애승람』은 명나라 시대의 해양 탐험, 동남아시아 및 인도의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마환은 이 책을 통해 당시의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중동 지역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이족 - 둥간족
    둥간족은 19세기 말 청나라 회민 반란 이후 러시아 제국령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사람들의 후손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지에 거주하며 농업, 상업에 종사하고 중국 문화와 이슬람 문화를 융합한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하며 중앙아시아와 중국 간 문화, 경제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후이족 - 마가군
    마가군은 중국 서북 지역에서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회족 군벌 가문으로, 마잔아오 가문, 마첸링 가문, 마하이옌 가문으로 나뉘어 청나라 말기부터 국공내전 시기까지 서북 지역을 지배하며 활동했다.
  • 명나라의 무슬림 - 마귀 (명나라)
    마귀는 회회국 왕족 출신으로 닝샤의 난을 진압하고 정유재란 때 조선에 파견되어 울산성 전투에 참여했으며, 요동 총병관을 역임했고, 그의 후손은 한국 상곡 마씨의 시조가 되었다.
  • 명나라의 무슬림 - 해서 (명나라)
    강직하고 청렴한 명나라의 관료인 해서는 가정제 비판 상소로 투옥되었지만 융경제 시기 석방되어 토지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사후 청렴결백한 관리의 상징으로 추앙받고 기념관과 묘소가 조성되었다.
  • 정화의 원정 - 명-코테 전쟁
    15세기 초 명나라의 정화 함대가 스리랑카의 코테 왕국을 공격하여 알라케스와라를 폐위시키고 파라크라마바후 6세를 왕으로 옹립한 명-코테 전쟁은 명나라의 해외 원정이 주변 국가에 미친 영향과 한계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 정화의 원정 - 공진 (명나라)
    명나라 환관 정화의 서양 원정에 참여하여 《서양번국지》를 저술한 공진은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아프리카 동부 해안 등의 지리, 문화, 풍습을 기록하여 당시 중국인들의 세계관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마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마환
본명마환
중국어 간체马欢
중국어 정체馬歡
병음Mǎ Huān
종도 (宗道, Zōngdào)
아랍어ﻣَﺎ ﺧُﻮًا
직업탐험가, 번역가, 여행 작가
국적중국
주요 작품영애승람 (The Overall Survey of the Ocean's Shores)
생애
출생기원후 1380년경
출생지저장성회계군
사망기원후 1460년경

2. 정화 원정 참여 및 기록

마환은 정화의 원정에 통역관으로 참여하여 여러 국가를 방문하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영애승람』을 저술했다. 마환은 정화의 원정 중 적어도 세 차례, 즉 1413년(영락 11년)의 4차 원정, 1421년(영락 19년)의 6차 원정, 1431년(선덕 6년)의 7차 원정에 통역관으로 참여하였다.[3]

마환이 참여한 원정의 경로는 다음과 같다.

차수연도방문 지역
제4차 원정영락 11년(1413)점성(참파), 조왜(자바), 구항(스리비자야), 섬라(시암), 고리(캘리컷), 홀로모사(호르무즈) 등[3]
제6차 원정영락 19년(1421)만랄가(믈라카), 아로(아루Aru), 소문답랄(수마트라), 석란(실론), 소갈란(콜람Kollam), 가지(코치Kochi), 고리(캘리컷), 조법아(주파르Zufar), 홀로모사(호르무즈) 등[3]
제7차 원정선덕 6년(1431)천방(메카Mecca) 등[3]



마환은 항해 중에 지리, 정치, 기후, 환경, 경제, 현지 풍습, 심지어 범죄자에 대한 처벌 방법까지 기록했다. 귀국 후 첫 항해(1413년)의 기록을 바탕으로 책을 쓰기 시작했고, 1416년경에 초고를 완성했다. 이후의 항해를 통해 내용을 추가하고 수정하여 1451년경에 『영애승람(瀛涯勝覽)』(대양 연안의 전반적인 조사)을 완성했다.[3]

2. 1. 원정 참여

마환은 정화의 원정 중 1413년(영락 11년), 1421년(영락 19년), 1431년(선덕 6년)의 최소 세 차례 원정에 통역관으로 참여하였다.[3] 그는 아랍어 등 여러 언어에 능통하여 원정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환은 원정 경험을 바탕으로 20개국의 국왕, 정치, 풍토, 지리, 인문, 경제 등을 기록하여 경태 2년(1451년)에 『영애승람』을 출간하였다.

2. 1. 1. 제4차 원정 (1413년)

영락 11년(1413), 마환은 네 번째 원정에 참여하여 점성(참파), 조왜(자바), 구항(스리비자야), 섬라(시암), 고리(캘리컷), 홀로모사(호르무즈) 등을 방문하였다.[3] 이 항해에서 마환은 각 지역의 지리, 정치, 기후, 환경, 경제, 풍습, 범죄자 처벌 방법 등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2. 1. 2. 제6차 원정 (1421년)

영락 19년(1421), 마환은 제6차 원정에 참여하여 믈라카, 아루, 수마트라, 스리랑카, 콜람, 코치, 고리(캘리컷), 도파르, 호르무즈 등을 방문하였다.[3]

2. 1. 3. 제7차 원정 (1431년)

선덕 6년(1431년), 마환은 제7차 원정에 참여하였다. 이 원정에서 벵골, 치타공, 소나르가온, 가우르, 코지코드 등을 방문했다. 캘리컷에서는 환관 홍보에 의해 메카로 파견되었다.[3]

2. 2. 『영애승람(瀛涯勝覽)』 저술

마환은 정화의 원정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20개국의 국왕, 정치, 풍토, 지리, 인문, 경제 등을 기록하였다. 초고는 1416년경에 완성되었고, 이후 수정을 거쳐 경태 2년(1451년)경에 『영애승람(瀛涯勝覽)』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3]

이 책은 명나라청나라 시대에 여러 판본이 존재하며, 현대에도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해 번역 및 주석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J.V.G. 밀스(J.V.G. Mills)의 영어 번역본은 1970년 해클루이트 학회에서 출판되었고, 1997년 방콕의 화이트 로터스 프레스에서 재판되었다.[3]

『영애승람(瀛涯勝覽)』은 중국학자들 사이에서 명나라 해양 탐험의 역사, 동남아시아의 역사, 인도의 역사에 대한 주요 자료로 간주된다. 마환에 대해 연구한 학자들로는 J.J.L. 뒤이벤닥, F. 히르트, 폴 펠리오, 봉승균(馮承鈞), 향대(向達), J.V.G. 밀스 등이 있다.

3. 『영애승람(瀛涯勝覽)』의 가치와 영향

마환은 정화의 원정에 참여하여 참파, 자바, 수마트라, 팔렘방, 시암, 코치, 호르무즈 등 여러 지역을 방문했다. 그는 항해 중 지리, 정치, 기후, 환경, 경제, 현지 풍습, 범죄자에 대한 처벌 방법까지 상세하게 기록했다.[3]

1416년경 『잉야 생란(瀛涯勝覽)』(대양 연안의 전반적인 조사) 초고를 완성했고, 이후 항해를 통해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1451년경 최종본을 완성했다. 명나라청나라 시대에는 많은 인쇄본과 필사본이 있었으며, 가장 최근의 진본은 역사가 봉승균(馮承鈞)이 편집하고 주석을 달았다.

3. 1. 역사적 사료로서의 가치

잉야 생란(瀛涯勝覽)은 정화 원정의 규모와 경로, 방문 국가들의 상황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여, 명나라 초기 해양 탐험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간주된다. 특히, 당시 동남아시아인도양 각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기록은 다른 문헌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내용이 많아 사료적 가치가 높다.[3]

마환은 정화의 원정에 참여하여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20개국의 국왕, 정치, 풍토, 지리, 인문, 경제 등을 기록하여 경태 2년(1451년) 『잉야 생란(瀛涯勝覽)』을 출간하였다. 이 책은 지리, 정치, 기후, 환경, 경제, 현지 풍습, 범죄자에 대한 처벌 방법까지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잉야 생란(瀛涯勝覽)』은 명나라청나라 시대에 많은 인쇄본과 필사본이 있었으며, 가장 최근의 진본은 역사가 봉승균(馮承鈞)이 편집하고 주석을 단 것이다. J.V.G. 밀스(J.V.G. Mills)의 주석이 달린 영어 번역본은 1970년 해클루이트 학회에서 출판되었고, 1997년 방콕의 화이트 로터스 프레스에서 재판되었다.

이 책은 중국학자들 사이에서 명나라 해양 탐험의 역사, 동남아시아의 역사, 인도의 역사에 대한 주요 자료로 간주된다. 마환에 대해 연구한 학자들로는 J.J.L. 뒤이벤닥, F. 히르트, 폴 펠리오, 봉승균(馮承鈞), 향대(向達), J.V.G. 밀스 등이 있다.

3. 2. 후대 연구

잉야 생란(瀛涯勝覽)은 J.J.L. 뒤이벤닥, F. 히르트, 폴 펠리오, 봉승균(馮承鈞), 향대(向達), J.V.G. 밀스 등 많은 학자들이 연구했습니다. 특히 J.V.G. 밀스가 번역한 영어 번역본은 1970년 해클루이트 학회에서 출판되었고,[3] 1997년 방콕의 화이트 로터스 프레스에서 재판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밀스의 번역본은 봉승균(馮承鈞)의 판본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잉야 생란(瀛涯勝覽)』은 중국학자들 사이에서 명나라 해양 탐험의 역사, 동남아시아 역사, 인도 역사에 대한 주요 자료로 간주됩니다.

참조

[1]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E.J. Brill
[2] 서적 Encyclopedia of Islam, Volumes 1–5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011-03-26
[3] 간행물 Book review by Jung-pang Lo https://www.jstor.or[...]
[4] 서적 《郑和下西洋研究文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